KR20140034069A - Electr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4069A KR20140034069A KR1020130106558A KR20130106558A KR20140034069A KR 20140034069 A KR20140034069 A KR 20140034069A KR 1020130106558 A KR1020130106558 A KR 1020130106558A KR 20130106558 A KR20130106558 A KR 20130106558A KR 20140034069 A KR20140034069 A KR 201400340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housing
- contacts
- electrical connector
- cross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징에 형성된 평판상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 flat projection formed in a housing.
종래부터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I/O 커넥터라 불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I/O 커넥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하우징에 형성된 평판상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하우징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전기 커넥터로서 종래에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what is called an I / O connector for fitting a mating connector connected to a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is known. In this I / O connector, there may be used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fo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 flat projection formed in a housing. As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protruding portion of the housing, what is conventionally shown in, for example, FIG. 23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도 23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에서의 23B-23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A)에서의 23C-23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3 shows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A) is a front view,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도 23(A), (B), (C)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01)는 하우징(110)과, 복수의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와, 셸(13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하우징 기부(111)와, 하우징 기부(111)의 전면(111a)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12)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1)의 전면(111a)의 상하 방향 및 폭 방향(도 23(A)에서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The
또한 복수의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는 하우징(110)에 인서트 몰딩되어 하우징(110)에 형성된 돌출부(112)에 병렬 배치된다. 제1콘택트(121)는 돌출부(112)의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며, 제2콘택트(122)는 제1콘택트(121)보다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는 폭 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각 제1콘택트(121)는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12)의 하면에 형성된 홈 내를 뻗는 하부접점부(12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1콘택트(121)는 하부접점부(121a)의 전단에서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아가 후방으로 골곡하여 돌출부(11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상부접점부(12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1콘택트(121)는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판접속부(121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121)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Each
한편 각 제2콘택트(122)는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12)의 하면에 형성된 홈 내를 뻗는 하부접점부(12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2콘택트(122)는 하부접점부(122a)의 전단에서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아가 전방으로 골곡하여 돌출부(11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상부접점부(12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2콘택트(122)는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판접속부(122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122)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each
셸(30)은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1)에 장착되어 하우징(110)의 주위를 덮듯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컨넥터(101)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140)가 감합된다. 이 때 상대 콘택트(141)의 하측 접점(141a)이 하부접점부(121a, 122a)에 접촉하고 상측 접점(141b)이 상부접점부(121b, 122b)에 접촉한다.The
여기서 하부접점부(121a, 122a) 및 상부접점부(121b, 122b)는 돌출부(112)의 하면 및 상면의 각각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커넥터(140)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도 24에는 상대 커넥터(140)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대 콘택트(141)의 하측 접점(141a) 혹은 상측 접점(141b)의 어느 쪽인가 반드시 하부접점부(121a, 122a) 혹은 상부접점부(121b, 122b)의 어느 쪽인가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 콘택트(140)와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와의 확실한 접촉을 얻을 수 있다.The
그러나 상기 종래의 도 23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즉 상대 커넥터(140)가 전기 커넥터(10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되고, 상대 커넥터(140)가 하우징 기부(111)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의 선단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112)의 선단이 파손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깨지는 경우도 있으며, 돌출부(112)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의 지지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That is, the
특히 상대 커넥터(140)에 금속제 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금속제 셸이 돌출부(112)의 선단에 충돌하면 돌출부(112)의 선단은 크게 파손된다. 돌출부(112)를 포함하는 하우징(110)이 합성수지이며 금속제 셸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metal shell is provided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상대 커넥터가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에 형성된 평판상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 flat protrusion formed in a housing that can prevent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housing from being damaged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at an angl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금속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전면을 갖는 하우징 기부와, 해당 하우징 기부의 상기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평판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돌출부에 각각의 콘택트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의 전단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설치하고, 해당 크로스 바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made of synthetic resin, a plurality of metal contacts fixed to the housing, the housing base hav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late-like protrusion project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the plurality of contac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right direction such that each of the contacts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 cross ba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and the cross bar is embed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exposed.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cross bar is preferably a curved structure that is curv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convex.
더욱이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콘택트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electrical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bar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one contact dispos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최외단의 2개의 콘택트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cross bar may be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two outermos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금속제이며 상기 콘택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said electrical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ross bar is made of met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id contact.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의 전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설치하고, 크로스 바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상대 커넥터는 크로스 바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bar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nd the cross bar is embedded in the protrus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so that the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When mated securely against the mating connector, the mating connector impinges on the front of the cross bar. For this reason, the front end (front end) of a protrus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상대 커넥터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가 크로스 바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므로 돌출부가 파손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obliquely to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sl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reciprocates, the mating connector sl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ross bar,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damaged.
[도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 상에 실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서 셸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5]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6] 도 4(B)에 있어서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도 4(B)에 있어서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도 1의 전기 커넥터에서 셸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9] 도 1의 전기 커넥터에서 셸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10] 도 8(A)에 있어서의 10-10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제1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12]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3]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14]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와 감합하는 상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 도 14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16]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7]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1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18]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1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9]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1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20]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2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21]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2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22]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2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23]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에서의 23B-23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A)에서의 23C-23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 도 2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감합하고, 상대 커넥터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hell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4: shows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5: shows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rear view.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6-6 line in FIG. 4 (B).
FIG. 7: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7-7 line | wire in FIG.4 (B).
FIG. 8: shows the state which removed the shell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ell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0-10 line in FIG. 8 (A).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group of contacts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12: shows the 1st contact group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FIG. 13: shows the 1st contact group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back view.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ting connector fit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15: shows the mating connector of FIG. 14,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right side view.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ction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obliquely to the electrical connector.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tact group having a first modification of a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18: shows the 1st contact group which has the 1st modification of the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19 shows a first group of contacts hav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tact group hav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ross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21: shows the 1st contact group which has a 2nd modified example of the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top view, and (B) is a front view.
Fig. 22 shows a first group of contacts hav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cross bars us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
Fig. 23 shows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A) is a front view,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when the mating connector fits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23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ting connector in an upward direc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되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PCB)은 전자 기기 내에 내장되고, 상대 커넥터(50)에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이 접속되며, 전기 커넥터(1)에 상대 커넥터(50)를 감합하면 전자 기기 내의 회로 기판(PCB)과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여기서 전기 커넥터(1)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복수의 제1콘택트(21) 및 제2콘택트(22)로 이루어지는 콘택트(20)와 셸(30)을 구비하고 있다.1, 2, 4, and 7, the
하우징(10)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하우징 기부(11)와 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기부(11)는 도 3, 도 8 (A), (B) 및 도 9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11a), 후면(11b), 좌측면(11c), 우측면(11d), 상면(11e), 및 하면(11f)을 갖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기부(11)의 전면(11a)이며 좌우 방향 양단 상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셸 계합용 요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11)의 후면(11b)의 좌우 방향 양단 상부에는 도 5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PCB) 상에 재치되는 한 쌍의 기판재치부(14)가 당해 좌우 방향 양단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11)의 후면(11b)의 한 쌍의 기판재치부(14)의 내측에는 도 5(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셸 계합면(11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에 설치된 돌출부(12)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의 전면(11a)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12)의 주면을 구성하는 상면 및 하면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또한 콘택트(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콘택트(21)는 도 2, 도 3, 도 7,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된다. 또한 제1콘택트(21)는 각각의 제1콘택트(2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부(12)의 상면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병렬 배치된다. 한편 콘택트(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콘택트(22)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되고, 각각의 제2콘택트(22)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부(12)의 하면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병렬 배치된다.Moreover, the some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의 제1콘택트(21) 군만을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다.11 to 13 show only the first group of
복수의 제1콘택트(21)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6개 배열되어 있다. 각 제1콘택트(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1콘택트(21)는 고정부(2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회로 기판(PCB) 상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각 제1콘택트(2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a)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2)의 상면에 형성된 홈(12a) 내에 연장되는 상부접점부(21c)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접점부(21c)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은 노출되어 있다. 각 제1콘택트(21)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콘택트(21)는 캐리어(미도시)에 각 기판접속부(21b)가 병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성형하는 금형 내에 들어가고, 당해 금형 내에 합성수지를 부어 넣음으로써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된다. 그 후 캐리어와 각 기판접속부(21b)와의 사이를 절단한다.The plurality of
또한 제2콘택트(22)는 5개 배열되어 있다. 각 제2콘택트(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에 고정되는 고정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각 제2콘택트(22)는 고정부(22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회로 기판(PCB) 상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각 제2콘택트(2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2a)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2)의 하면에 형성된 홈(12b) 내에 연장되는 하부접점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접점부(22c)의 하면은 노출되어 있다. 각 제2콘택트(22)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five
복수의 제2콘택트(22)도 제1콘택트(21)와 마찬가지로 캐리어(미도시)에 각 기판접속부(22b)가 병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성형하는 금형 내에 들어가고, 당해 금형 내에 합성수지를 부어 넣음으로써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된다. 그 후 캐리어와 각 기판접속부(21b)와의 사이를 절단한다.Similarly to the
더욱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 구체적으로는 좌측에서 3번째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의 전단에서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만곡구조체이다. 크로스 바(23)는 금속제이며,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된다. 크로스 바(23)의 좌우 방향 길이는 가능한 한 돌출부(12)의 좌우 방향 폭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크로스 바(23)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11, it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thogonal to a front-back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substantially middle part, specifically, the 3rd contact 1st from the left among the some
또한 셸(30)은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에 장착되어 하우징(10)의 주위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셸(30)은 하우징(10)의 상측을 덮는 꼭지판(31)과 꼭지판(31)의 좌우 방향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0)의 좌우 양측을 덮는 한 쌍의 측판(33, 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셸(30)은 한 쌍의 측판(33, 34)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당해 한쌍의 측판(33, 34)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바닥판(3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32)은 하우징(10)의 하측을 덮는다. 그리고 하우징(10)에 형성된 돌출부(12)의 주위를 덮는 꼭지판(31), 한 쌍의 측판(33, 34) 및 바닥판(32)에 의해 상대 커넥터(50)를 감합하는 감합용 공간(15)을 형성한다. 또한 꼭지판(31)의 후단부에는 당해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후방돌출부(38)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돌출부(38)의 후단에는 좌우 양측에 대칭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코킹편(35)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한 쌍의 측판(33, 34)의 각각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회로 기판(PCB)에 형성된 스루 홀(PCB2)에 들어가는 한 쌍의 각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판(33, 34)의 각각의 후단부에는 회로 기판(PCB) 상에 재치되는 한 쌍의 재치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부(36) 및 재치부(37)는 회로 기판(PCB)에 대해 납땜 접속된다.Moreover,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복수의 제1콘택트(21) 및 제2콘택트(22)를 인서트 몰딩한 하우징(1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셸(30)을 하우징(1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셸(30)의 꼭지판(31)의 후단부를 하우징(10)에 형성된 셸 계합용 요부(13)에 하우징(1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동시에 셸(30)의 한 쌍의 측판(33, 34)으로 하우징 기부(11)의 좌우 측면(11c, 11d)을 덮고, 나아가 바닥판(32)으로 하우징 기부(11)의 하면(11f)을 덮는다. 그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코킹편(35)을 비스듬히 하방으로 절곡하고 각 코킹편(35)의 측 둘레를 하우징(10)의 셸 계합면(11g)에 계합시킨다. 이에 따라 셸(30)은 하우징(10)에 장착된다.In order to assemble the
그리고 조립된 전기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로 기판(PCB)의 일측 둘레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노치(PCB1)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PCB1)의 좌우 방향(도 1에서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기 커넥터(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노치(PCB1)의 전후 방향(안쪽 방향)의 폭은 전기 커넥터(1)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PCB)의 노치(PCB1)에 전기 커넥터(1)를 상방으로부터 집어 넣는다. 이 때 셸(30)의 한 쌍의 각부(36)를 회로 기판(PCB)에 형성된 한 쌍의 스루 홀(PCB2)에 삽입한다. 또한 동시에 셸(30)의 한 쌍의 재치부(37) 및 하우징(10)의 한 쌍의 기판재치부(14)를 회로 기판(PCB) 상에 재치한다. 그 후 각부(36) 및 재치부(37)를 회로 기판(PCB)에 대해 납땜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된다.The assembled
그리고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된다. 상대 커넥터(50)는 합성수지제의 상대 하우징(60)과 복수의 제1상대 콘택트(71) 및 제2상대 콘택트(72)로 구성되는 콘택트(70)와, 금속제 셸(80)을 구비하고 있다.And the
상대 하우징(60)에는 전기 커넥터(1)의 돌출부(12)가 삽입 가능한 돌출부 수용공간(61)이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복수의 제1상대 콘택트(71)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60)의 돌출부 수용공간(61)의 상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된다. 각 제1상대 콘택트(71)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에 접속됨과 동시에 돌출부 수용공간(61)에 삽입된 돌출부(12)에 설치되는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에 접촉한다.As shown in FIG. 15B, the plurality of first
한편 복수의 제2상대 콘택트(72)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60)의 돌출부 수용공간(61)의 하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된다. 각 제2상대 콘택트(72)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에 접속됨과 동시에 돌출부 수용공간(61)에 삽입된 돌출부(12)에 설치되는 제2콘택트(22)의 하부접점부(22c)에 접촉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second
더욱이 셸(80)은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60)에 장착되어 하우징(60)의 주위를 덮는다. 셸(80)의 외형은 전기 커넥터(1)의 감합용 공간(15)에 대해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Furthermore, the
그리고 전기 커넥터(1)에 대해 전기 커넥터(1)의 전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되면, 전기 커넥터(1)의 감합용 공간(15)에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들어간다. 또한 동시에 전기 커넥터(1)의 돌출부(12)가 상대 커넥터(50)의 돌출부 수용공간(61)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전기 커넥터(1)의 제1콘택트(21)와 상대 커넥터(50)의 제1상대 콘택트(71)가 접촉하고, 나아가 전기 커넥터(1)의 제2콘택트(22)와 상대 커넥터(50)의 제1상대 콘택트(72)가 접촉한다. 이 결과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PCB)과 상대 커넥터(50)에 접촉되어 있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nd when the
여기서 전기 커넥터(1)에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되는 때에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해진 상태로 화살표(A) 방향으로 감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전기 커넥터(1)의 돌출부(12)에 충돌하는 일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로스 바(23)가 그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금속제이지만 크로스 바(23)도 금속제이기 때문에 크로스 바(23)의 기계적 강도의 부족으로 인한 돌출부(12)의 파손은 방지된다.Here, when the
또한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50)가 화살표(B)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크로스 바(23)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돌출부(12)의 파손 확률은 매우 높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므로 돌출부(12)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Moreover, when the
또한 크로스 바(23)는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콘택트(21)를 형성하는 때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크로스 바(23)를 제1콘택트(21)와 별개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이므로, 크로스 바의 전면을 단순히 평면으로 하는 평면구조체로 하는 경우보다도 기계적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더욱이 크로스 바(23)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1콘택트(21)를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하는 때에, 크로스 바(23)가 설치되는 제1콘택트(21)의 병렬 방향 위치의 밸런스가 좋고, 복수의 제1콘택트(21)의 위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크로스 바(23)의 제1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19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Next,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도 17 내지 도 19에 있어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 구체적으로는 좌측에서 3번째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크로스 바(23)와는 달리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의 전단에서 하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는 연결편(23a)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크로스 바(23)는 연결편(23a)의 전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상의 봉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로스 바(23)는 금속제이며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된다.17 to 19, a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이러한 크로스 바(23)를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한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Even when such a
또한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상대 커넥터(5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또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크로스 바(23)의 제2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20 to 22,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도 20 내지 도 22에 있어서, 크로스 바(23)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는 달리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의 전단에서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만곡구조체이다. 크로스 바(23)는 금속제이며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된다.In FIGS. 20 to 22, the cross bars 23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two outermost
이와 같은 크로스 바(23)를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한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Even when such a
또한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상대 커넥터(5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더욱이 크로스 바(23)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1콘택트(21)를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하는 때에 크로스 바(23)의 지지가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에 의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콘택트(21)의 위치안정성을 보다 더 높게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예를 들면 크로스 바(23)는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제2콘택트(22)의 전단에 설치되어도 좋다.For example, the
또한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나 단면 사각형의 봉상체일 필요는 없고,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In addition, the
더욱이 크로스 바(23)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될 필요는 반드시 없고, 2개 이상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되거나 혹은 가장 바깥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되어도 좋다.Furthermore, the
또한 크로스 바는 금속제일 필요는 없고 또한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반드시 없다.In addition, the cross bar need not be made of metal and need not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1 전기 커넥터
10 하우징
11 하우징 기부
11a 하우징 기부의 전면
12 돌출부
20 콘택트
21 제1콘택트(콘택트)
22 제2콘택트(콘택트)
23 크로스 바1 electrical connector
10 Housing
11 Housing Base
11a front of housing base
12 protrusion
20 contacts
21 First Contact (Contact)
22 2nd Contact (Contact)
23 cross bars
Claims (5)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금속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전면을 갖는 하우징 기부와, 상기 하우징 기부의 상기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평판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돌출부에 각각의 콘택트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의 전단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 바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 housing made of synthetic resin;
A plurality of metallic contacts fixed to the housing,
The housing has a housing base having a front face, and a flat protrusion projecting forwardly from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base,
In the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each contact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projecting portion,
And a cross ba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a front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wherein the cross bar is embed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상기 크로스 바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bar is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tructure curv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convex.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콘택트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ross bar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at a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thereof.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최외단의 2개의 콘택트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ross bar is provided to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two outermost contacts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상기 크로스 바는 금속제이며 상기 콘택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cross bar is made of met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99626 | 2012-09-11 | ||
JP2012199626A JP5993672B2 (en) | 2012-09-11 | 2012-09-11 | Electrical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4069A true KR20140034069A (en) | 2014-03-19 |
Family
ID=5031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6558A KR20140034069A (en) | 2012-09-11 | 2013-09-05 | Electrical connec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993672B2 (en) |
KR (1) | KR20140034069A (en) |
CN (1) | CN10368274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985B1 (en) * | 2014-01-20 | 2015-04-09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with Integral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6370B2 (en) * | 2003-06-02 | 2008-01-2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4849109B2 (en) * | 2008-09-10 | 2012-01-1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201725942U (en) * | 2010-07-28 | 2011-01-26 | 莫列斯公司 | Electric connector |
JP2012146419A (en) * | 2011-01-07 | 2012-08-02 | Hosiden Corp | Receptacle connector |
-
2012
- 2012-09-11 JP JP2012199626A patent/JP5993672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09-05 KR KR1020130106558A patent/KR2014003406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9-11 CN CN201310410647.7A patent/CN103682741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985B1 (en) * | 2014-01-20 | 2015-04-09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with Integral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93672B2 (en) | 2016-09-14 |
CN103682741A (en) | 2014-03-26 |
JP2014056665A (en) | 2014-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50423B2 (en) | connector | |
KR101232437B1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US742247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364231B1 (en) | Connector | |
CN108140992B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EP1503461A1 (en) | Connector assembly | |
JP5859938B2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7379025B2 (en) | sockets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8657633B2 (en) | Connector | |
US20130033826A1 (en) | Electrical component | |
KR101042120B1 (en) | Electric connector | |
TWI720706B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US730029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313748B1 (en) | Connector | |
US8500478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nforcedd locking portion | |
JP7206170B2 (en) | sockets and electronics | |
JP2011134461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307483B1 (en) | Connector | |
JP5203099B2 (en) | Vertical SMT connector | |
KR20140034069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10063737A (en) | Connector | |
KR101163428B1 (en) | Connector | |
JP543253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7332002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7056133B2 (en) | Surface mounting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