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069A - Electr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069A
KR20140034069A KR1020130106558A KR20130106558A KR20140034069A KR 20140034069 A KR20140034069 A KR 20140034069A KR 1020130106558 A KR1020130106558 A KR 1020130106558A KR 20130106558 A KR20130106558 A KR 20130106558A KR 20140034069 A KR20140034069 A KR 2014003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ontacts
electrical connector
cros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다카 오코시
이사오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3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0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lectrical connector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a protrusion formed in a housing from breaking when an opponent connector is obliquely coupled, and which has multiple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at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housing. The electrical connector (10) includes a housing made of (10) synthetic resin, multiple metallic contacts (21) fixed in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has a flat plate-shaped protrusion (12) protruding to the front from the front (11a) of a housing base (11). The multiple contacts (2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left-to-right direction to be extended in a front-to-back direction. A cross bar (23) extending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at least one contact (21) of the multiple contacts (21) and buried in the protrusion (12) while exposing the front thereof.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에 형성된 평판상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 flat projection formed in a housing.

종래부터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에 케이블에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I/O 커넥터라 불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I/O 커넥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하우징에 형성된 평판상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하우징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전기 커넥터로서 종래에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what is called an I / O connector for fitting a mating connector connected to a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is known. In this I / O connector, there may be used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fo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 flat projection formed in a housing. As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protruding portion of the housing, what is conventionally shown in, for example, FIG. 23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도 23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에서의 23B-23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A)에서의 23C-23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3 shows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A) is a front view,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3B-23B in (A), and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3C-23C in (A). .

도 23(A), (B), (C)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01)는 하우징(110)과, 복수의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와, 셸(13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하우징 기부(111)와, 하우징 기부(111)의 전면(111a)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12)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1)의 전면(111a)의 상하 방향 및 폭 방향(도 23(A)에서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101 shown to FIG. 23 (A), (B), (C) is equipped with the housing 110, the some 1st contact 121 and the 2nd contact 122, and the shell 130. As shown in FIG. Doing. Here, the housing 110 is formed by molding a synthetic resin, and includes a housing base 11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protrusion 11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111a of the housing base 111. The protrusion part 112 is formed in flat form,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111a of the housing base 111, and the width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23 (A)).

또한 복수의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는 하우징(110)에 인서트 몰딩되어 하우징(110)에 형성된 돌출부(112)에 병렬 배치된다. 제1콘택트(121)는 돌출부(112)의 폭 방향 양단에 배치되며, 제2콘택트(122)는 제1콘택트(121)보다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는 폭 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1 and the second contacts 122 may be insert molded in the housing 11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rotrusions 112 formed in the housing 110. The first contact 121 is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12, and the second contact 122 is dispos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contact 121. The first contact 121 and the second contact 122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same pitch in the width direction.

각 제1콘택트(121)는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12)의 하면에 형성된 홈 내를 뻗는 하부접점부(12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1콘택트(121)는 하부접점부(121a)의 전단에서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아가 후방으로 골곡하여 돌출부(11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상부접점부(12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1콘택트(121)는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판접속부(121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121)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Each first contact 121 has a lower contact portion 121a extending in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forward from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housing base 111, as shown in Fig. 23B. have.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contacts 121 has an upper contact portion 121b that is bent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contact portion 121a and extends upward, and further curved backward to extend at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sion 112. . In addition, each first contact 121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121c extending downward obliquely downward from a portion supported by the housing base 111. Each first contact 121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한편 각 제2콘택트(122)는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12)의 하면에 형성된 홈 내를 뻗는 하부접점부(12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2콘택트(122)는 하부접점부(122a)의 전단에서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아가 전방으로 골곡하여 돌출부(11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상부접점부(12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2콘택트(122)는 하우징 기부(111)에 지지된 부분에서 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판접속부(122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122)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each second contact 122 has a lower contact portion 122a extending in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forward from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housing base 111 as shown in Fig. 23C. Doing. In addition, each second contact 122 has an upper contact portion 122b that is bent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contact portion 122a and extends upward, and further curved forward to extend at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sion 112. . In addition, each second contact 122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122c extending downward obliquely rearward from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housing base 111. Each first contact 122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셸(30)은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1)에 장착되어 하우징(110)의 주위를 덮듯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컨넥터(101)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140)가 감합된다. 이 때 상대 콘택트(141)의 하측 접점(141a)이 하부접점부(121a, 122a)에 접촉하고 상측 접점(141b)이 상부접점부(121b, 122b)에 접촉한다.The shell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and is mounted on the housing base 111 to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10. The mating connector 140 is f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4. At this time, the lower contact 141a of the mating contact 141 contacts the lower contact portions 121a and 122a, and the upper contact 141b contacts the upper contact portions 121b and 122b.

여기서 하부접점부(121a, 122a) 및 상부접점부(121b, 122b)는 돌출부(112)의 하면 및 상면의 각각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 커넥터(140)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도 24에는 상대 커넥터(140)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대 콘택트(141)의 하측 접점(141a) 혹은 상측 접점(141b)의 어느 쪽인가 반드시 하부접점부(121a, 122a) 혹은 상부접점부(121b, 122b)의 어느 쪽인가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 콘택트(140)와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와의 확실한 접촉을 얻을 수 있다.The lower contact portions 121a and 122a and the upper contact portions 121b and 122b are exposed from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protrusion 112, respectively. Therefor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ting connector 14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IG. 24 shows a case whe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ting connector 140 in the upward direction), the lower contact 141a of the mating contact 141 or Either of the upper contacts 141b is always in contact with either the lower contact portions 121a, 122a or the upper contact portions 121b, 122b. Therefore, reliable contact between the counterpart contact 140, the first contact 121, and the second contact 122 can be obtained.

특개2004-36282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362827

그러나 상기 종래의 도 23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101 shown in FIG. 23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대 커넥터(140)가 전기 커넥터(10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되고, 상대 커넥터(140)가 하우징 기부(111)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의 선단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112)의 선단이 파손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깨지는 경우도 있으며, 돌출부(112)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121) 및 제2콘택트(122)의 지지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That is, the mating connector 140 may be fit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01, and the mating connector 140 may collide with the tip of the protrusion 112 protruding from the housing base 111. In this case, the tip of the protrusion 112 may be broken and, in some cases, broken, and the sup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121 and the second contact 122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rotrusion 112 may be impeded. There was a case.

특히 상대 커넥터(140)에 금속제 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금속제 셸이 돌출부(112)의 선단에 충돌하면 돌출부(112)의 선단은 크게 파손된다. 돌출부(112)를 포함하는 하우징(110)이 합성수지이며 금속제 셸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metal shell is provided in the mating connector 140, when the metal shell collides with the tip of the protrusion 112, the tip of the protrusion 112 is largely damaged. This is because the housing 110 including the protrusion 112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its mechanical strength is weaker than that of the metal shell.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상대 커넥터가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에 형성된 평판상의 돌출부에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 배치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 flat protrusion formed in a housing that can prevent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housing from being damaged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at an angl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금속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전면을 갖는 하우징 기부와, 해당 하우징 기부의 상기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평판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돌출부에 각각의 콘택트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의 전단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설치하고, 해당 크로스 바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made of synthetic resin, a plurality of metal contacts fixed to the housing, the housing base hav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late-like protrusion project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the plurality of contac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right direction such that each of the contacts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 cross ba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and the cross bar is embed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exposed.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cross bar is preferably a curved structure that is curv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convex.

더욱이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콘택트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electrical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bar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one contact dispos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최외단의 2개의 콘택트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cross bar may be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two outermos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금속제이며 상기 콘택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said electrical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ross bar is made of met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id contact.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의 전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설치하고, 크로스 바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상대 커넥터는 크로스 바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bar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nd the cross bar is embedded in the protrus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so that the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When mated securely against the mating connector, the mating connector impinges on the front of the cross bar. For this reason, the front end (front end) of a protrus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상대 커넥터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가 크로스 바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므로 돌출부가 파손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obliquely to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sl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reciprocates, the mating connector sl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ross bar, so that the protrusion is not damaged.

[도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 상에 실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서 셸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5]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6] 도 4(B)에 있어서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도 4(B)에 있어서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도 1의 전기 커넥터에서 셸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9] 도 1의 전기 커넥터에서 셸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10] 도 8(A)에 있어서의 10-10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제1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12]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3]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14]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와 감합하는 상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 도 14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16]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7]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1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18]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1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9]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1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20]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2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의 사시도이다.
[도 21]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2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22]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크로스 바의 제2변형예를 갖는 제1콘택트 군을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23]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에서의 23B-23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A)에서의 23C-23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 도 2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감합하고, 상대 커넥터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hell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4: shows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5: shows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rear view.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6-6 line in FIG. 4 (B).
FIG. 7: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7-7 line | wire in FIG.4 (B).
FIG. 8: shows the state which removed the shell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ell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al connector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0-10 line in FIG. 8 (A).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group of contacts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12: shows the 1st contact group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FIG. 13: shows the 1st contact group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back view.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ting connector fit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15: shows the mating connector of FIG. 14,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right side view.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ction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obliquely to the electrical connector.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tact group having a first modification of a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18: shows the 1st contact group which has the 1st modification of the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FIG. 19 shows a first group of contacts hav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a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tact group hav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ross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FIG. 21: shows the 1st contact group which has a 2nd modified example of the cross bar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top view, and (B) is a front view.
Fig. 22 shows a first group of contacts hav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cross bars us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1, (A) is a right side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
Fig. 23 shows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A) is a front view,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3B-23B in (A), and (C) is taken along line 23C-23C in (A). It is a cross section.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when the mating connector fits into the electrical connector shown in FIG. 23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ting connector in an upward direc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되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PCB)은 전자 기기 내에 내장되고, 상대 커넥터(50)에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이 접속되며, 전기 커넥터(1)에 상대 커넥터(50)를 감합하면 전자 기기 내의 회로 기판(PCB)과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electrical connector 1 shown in FIG. 2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CB as shown in FIG. 1,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mating connector 50 shown in FIG. 14 and FIG. 15 may fit. A circuit board (PCB) is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 cab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50.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is f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 the circuit board (PCB) and the cable in the electronic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전기 커넥터(1)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복수의 제1콘택트(21) 및 제2콘택트(22)로 이루어지는 콘택트(20)와 셸(30)을 구비하고 있다.1, 2, 4, and 7, the electrical connector 1 includes a housing 20, a contact 20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and second contacts 22, and The shell 30 is provided.

하우징(10)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하우징 기부(11)와 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기부(11)는 도 3, 도 8 (A), (B) 및 도 9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11a), 후면(11b), 좌측면(11c), 우측면(11d), 상면(11e), 및 하면(11f)을 갖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기부(11)의 전면(11a)이며 좌우 방향 양단 상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셸 계합용 요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11)의 후면(11b)의 좌우 방향 양단 상부에는 도 5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PCB) 상에 재치되는 한 쌍의 기판재치부(14)가 당해 좌우 방향 양단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11)의 후면(11b)의 한 쌍의 기판재치부(14)의 내측에는 도 5(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셸 계합면(11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에 설치된 돌출부(12)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의 전면(11a)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12)의 주면을 구성하는 상면 및 하면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housing 10 is formed by molding a synthetic resin, and has a housing base 11 and a protrusion 12. The housing base 11 has a front face 11a, a rear face 11b, and a left face 11c as shown in Figs. 3, 8 (A), (B) and 9 (A), (B), (C). ), The right surface 11d, the upper surface 11e, and the lower surface 11f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3, a pair of shell engagement recesses 13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1a of the housing base 11, and both upper-left and upper ends. Moreover, a pair of board | substrate mounting part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CB at the upp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surface 11b of the housing base 11 as shown to FIG. 5 (A), (B), (C) 14) is protruded backward from the upper left and right ends. Moreover, inside a pair of board | substrate mounting part 14 of the back surface 11b of the housing base 11, as shown in FIG.5 (A), (B), (C), a pair of shell engagement surface 11g is shown. Is installed. Moreover, the protrusion part 12 provided in the housing 10 is formed in flat form,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11a of the housing base 11. As shown in FIG. Upper and lower surfaces constituting the main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콘택트(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콘택트(21)는 도 2, 도 3, 도 7,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된다. 또한 제1콘택트(21)는 각각의 제1콘택트(2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부(12)의 상면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병렬 배치된다. 한편 콘택트(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콘택트(22)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되고, 각각의 제2콘택트(22)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부(12)의 하면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병렬 배치된다.Moreover, the some 1st contact 21 which comprises the contact 20 is insert-molded in the housing 10 as shown to FIG. 2, FIG. 3, FIG. 7, FIG. 8, and FIG.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s 2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pitc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protrusion 12 so that each of the first contacts 21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 constituting the contact 20 are insert molded in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7 and 10, and the protrusions so that each second contact 22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pitc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12).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의 제1콘택트(21) 군만을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다.11 to 13 show only the first group of contacts 21 mounted on the housing 10.

복수의 제1콘택트(21)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6개 배열되어 있다. 각 제1콘택트(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1콘택트(21)는 고정부(2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회로 기판(PCB) 상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각 제1콘택트(2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a)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2)의 상면에 형성된 홈(12a) 내에 연장되는 상부접점부(21c)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접점부(21c)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은 노출되어 있다. 각 제1콘택트(21)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are specifically arranged as shown in Figs. 11 to 13. Each 1st contact 21 is provided with the fixing part 21a fixed to the housing base 11 as shown in FIG. Moreover, each 1st contact 21 is equipped with the board | substrate connection part 21b extended back from the fixing | fixed part 21a, and solder-connected on the circuit board PCB. Moreover, each 1st contact 21 is provided with the upper contact part 21c extended in the groove 12a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12 forward from the fixing part 21a as shown in FIG. The upper contact portion 21c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its upper surface is exposed. Each first contact 21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상기 복수의 콘택트(21)는 캐리어(미도시)에 각 기판접속부(21b)가 병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성형하는 금형 내에 들어가고, 당해 금형 내에 합성수지를 부어 넣음으로써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된다. 그 후 캐리어와 각 기판접속부(21b)와의 사이를 절단한다.The plurality of contacts 21 enter into a mold for forming the housing 10 in a state in which each board connection portion 21b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 carrier (not shown), and the synthetic resin is poured into the housing 10 to pour the synthetic resin into the housing 10. Insert molded in. Thereafter, the carrier is cut off betwee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21b.

또한 제2콘택트(22)는 5개 배열되어 있다. 각 제2콘택트(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기부(11)에 고정되는 고정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각 제2콘택트(22)는 고정부(22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회로 기판(PCB) 상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각 제2콘택트(2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2a)에서 전방으로 돌출부(12)의 하면에 형성된 홈(12b) 내에 연장되는 하부접점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접점부(22c)의 하면은 노출되어 있다. 각 제2콘택트(22)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five second contacts 22 are arranged. Each second contact 22 has a fixing portion 22a fixed to the housing base 11 as shown in FIG. 6, and each of the second contacts 22 is rearward from the fixing portion 22a. It is provided with the board | substrate connection part 22b extended and soldered on the circuit board PCB. Moreover, each 2nd contact 22 is provided with the lower contact part 22c extended in the groove 12b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part 12 forward from the fixing part 22a as shown in FI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ntact portion 22c is exposed. Each second contact 22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복수의 제2콘택트(22)도 제1콘택트(21)와 마찬가지로 캐리어(미도시)에 각 기판접속부(22b)가 병렬로 접속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성형하는 금형 내에 들어가고, 당해 금형 내에 합성수지를 부어 넣음으로써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된다. 그 후 캐리어와 각 기판접속부(21b)와의 사이를 절단한다.Similarly to the first contact 21,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22 also enter a mold for forming the housing 10 in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22b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 carrier (not shown). Insert molding is carried out in the housing 10 by pouring the synthetic resin. Thereafter, the carrier is cut off betwee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21b.

더욱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 구체적으로는 좌측에서 3번째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의 전단에서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만곡구조체이다. 크로스 바(23)는 금속제이며,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된다. 크로스 바(23)의 좌우 방향 길이는 가능한 한 돌출부(12)의 좌우 방향 폭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크로스 바(23)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11, it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thogonal to a front-back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substantially middle part, specifically, the 3rd contact 1st from the left among the some 1st contact 21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Cross bars 23 are provided. The cross bar 23 is a curved structure that extends downward by bending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convex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21c of the first contact 21. The cross bar 23 is made of met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tact 21. This cross bar 23 is embedded in the projection 12 so that the front surface may be exposed as shown in FI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ross bar 23 is preferably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protrusion 12. The function of this cross bar 23 is mentioned later.

또한 셸(30)은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기부(11)에 장착되어 하우징(10)의 주위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셸(30)은 하우징(10)의 상측을 덮는 꼭지판(31)과 꼭지판(31)의 좌우 방향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0)의 좌우 양측을 덮는 한 쌍의 측판(33, 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셸(30)은 한 쌍의 측판(33, 34)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당해 한쌍의 측판(33, 34)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바닥판(3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32)은 하우징(10)의 하측을 덮는다. 그리고 하우징(10)에 형성된 돌출부(12)의 주위를 덮는 꼭지판(31), 한 쌍의 측판(33, 34) 및 바닥판(32)에 의해 상대 커넥터(50)를 감합하는 감합용 공간(15)을 형성한다. 또한 꼭지판(31)의 후단부에는 당해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후방돌출부(38)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돌출부(38)의 후단에는 좌우 양측에 대칭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코킹편(35)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한 쌍의 측판(33, 34)의 각각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회로 기판(PCB)에 형성된 스루 홀(PCB2)에 들어가는 한 쌍의 각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판(33, 34)의 각각의 후단부에는 회로 기판(PCB) 상에 재치되는 한 쌍의 재치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부(36) 및 재치부(37)는 회로 기판(PCB)에 대해 납땜 접속된다.Moreover, the shell 30 is formed in substantially box shape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and is comprised in the housing base 11,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housing 10 may be covered. The shell 30 extends dow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top and left sides of the top plate 31 and the top plate 31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pair of side plates 33 covering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0. 34). In addition, the shell 30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32 extending from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plates 33 and 34 so as to connec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plates 33 and 34. The bottom plate 32 covers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fitting space for fitting the mating connector 50 by the top plate 31, the pair of side plates 33, 34 and the bottom plate 32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protrusion 12 formed in the housing 10 ( 15). Moreover, the rear protrusion part 38 which protrudes rearward from the said rear end part is provided in the rear end part of the top plate 31. As shown in FIG. The rear end of the rear projection 38 is provided with a pair of caulking pieces 35 extending symmetrically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Moreover, a pair of corner parts 36 which enter through-hole PCB2 formed in the circuit board PCB are provided in substantially front-back direction of each of the pair of side plates 33 and 34. Moreover, a pair of mounting part 37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CB is provided in each rear end of the pair of side plates 33 and 34. These corners 36 and the mounting portion 37 are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PCB.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복수의 제1콘택트(21) 및 제2콘택트(22)를 인서트 몰딩한 하우징(1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셸(30)을 하우징(1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셸(30)의 꼭지판(31)의 후단부를 하우징(10)에 형성된 셸 계합용 요부(13)에 하우징(1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동시에 셸(30)의 한 쌍의 측판(33, 34)으로 하우징 기부(11)의 좌우 측면(11c, 11d)을 덮고, 나아가 바닥판(32)으로 하우징 기부(11)의 하면(11f)을 덮는다. 그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코킹편(35)을 비스듬히 하방으로 절곡하고 각 코킹편(35)의 측 둘레를 하우징(10)의 셸 계합면(11g)에 계합시킨다. 이에 따라 셸(30)은 하우징(10)에 장착된다.In order to assemble the electrical connecto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housing 10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first contacts 21 and the second contacts 22 are insert molded is prepared. Next, the shell 30 is mounted to the housing 10.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top plate 31 of the shell 30 is inserted into the shell engagement recess 13 formed in the housing 10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10. At this time, the right and left side surfaces 11c and 11d of the housing base 11 are covered with a pair of side plates 33 and 34 of the shell 30, and further, the bottom surface 11f of the housing base 11 with the bottom plate 32. ). Then, 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caulking pieces 35 are bent diagonally downward, and the side circumference of each caulking piece 35 is engaged with 11 g of shell engaging surfaces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shell 30 is mounted to the housing 10.

그리고 조립된 전기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로 기판(PCB)의 일측 둘레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노치(PCB1)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PCB1)의 좌우 방향(도 1에서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기 커넥터(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노치(PCB1)의 전후 방향(안쪽 방향)의 폭은 전기 커넥터(1)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PCB)의 노치(PCB1)에 전기 커넥터(1)를 상방으로부터 집어 넣는다. 이 때 셸(30)의 한 쌍의 각부(36)를 회로 기판(PCB)에 형성된 한 쌍의 스루 홀(PCB2)에 삽입한다. 또한 동시에 셸(30)의 한 쌍의 재치부(37) 및 하우징(10)의 한 쌍의 기판재치부(14)를 회로 기판(PCB) 상에 재치한다. 그 후 각부(36) 및 재치부(37)를 회로 기판(PCB)에 대해 납땜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된다.The assembled electrical connector 1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PCB as shown in FIG. 1. Specifically, a rectangular notch PCB1 is formed around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PCB as shown in FIG. 1.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1) of the notch PCB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and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ward direction) of the notch PCB1 is the electrical connector. It is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1). The electrical connector 1 is inserted into the notch PCB1 of the circuit board PCB from above. At this time, the pair of corner portions 36 of the shell 30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through holes PCB2 formed in the circuit board PCB. At the same time, a pair of mounting portions 37 of the shell 30 and a pair of substrate placing portions 14 of the housing 10 are placed on the circuit board PCB. Thereafter, the legs 36 and the mounting section 37 are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PCB. The electrical connector 1 is thu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CB.

그리고 회로 기판(PCB) 상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된다. 상대 커넥터(50)는 합성수지제의 상대 하우징(60)과 복수의 제1상대 콘택트(71) 및 제2상대 콘택트(72)로 구성되는 콘택트(70)와, 금속제 셸(80)을 구비하고 있다.And the mating connector 50 shown in FIG. 14 and FIG. 15 is fit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1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CB. The mating connector 50 includes a mating housing 60 made of synthetic resin, a contact 70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mating contacts 71 and a second mating contact 72, and a metal shell 80. .

상대 하우징(60)에는 전기 커넥터(1)의 돌출부(12)가 삽입 가능한 돌출부 수용공간(61)이 형성되어 있다.The mating housing 6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ccommodating space 61 into which the protrusion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can be inserted.

또한 복수의 제1상대 콘택트(71)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60)의 돌출부 수용공간(61)의 상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된다. 각 제1상대 콘택트(71)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에 접속됨과 동시에 돌출부 수용공간(61)에 삽입된 돌출부(12)에 설치되는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에 접촉한다.As shown in FIG. 15B, the plurality of first relative contacts 71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itch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space 61 of the mating housing 60. Each of the first mating contacts 71 is connected to a cable (not shown) and contacts the upper contact portion 21c of the first contact 21 provided in the protrusion 12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space 61.

한편 복수의 제2상대 콘택트(72)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60)의 돌출부 수용공간(61)의 하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된다. 각 제2상대 콘택트(72)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에 접속됨과 동시에 돌출부 수용공간(61)에 삽입된 돌출부(12)에 설치되는 제2콘택트(22)의 하부접점부(22c)에 접촉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lative contacts 72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pitch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space 61 of the mating housing 60, as shown in FIG. 15 (B). Each second relative contact 72 is connected to a cable (not shown) and contacts the lower contact portion 22c of the second contact 22 provided in the protrusion 12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space 61.

더욱이 셸(80)은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60)에 장착되어 하우징(60)의 주위를 덮는다. 셸(80)의 외형은 전기 커넥터(1)의 감합용 공간(15)에 대해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Furthermore, the shell 80 is formed into an approximately box shape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and is mounted on the housing 60 to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60. The outer shape of the shell 80 ha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space 15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그리고 전기 커넥터(1)에 대해 전기 커넥터(1)의 전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되면, 전기 커넥터(1)의 감합용 공간(15)에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들어간다. 또한 동시에 전기 커넥터(1)의 돌출부(12)가 상대 커넥터(50)의 돌출부 수용공간(61)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전기 커넥터(1)의 제1콘택트(21)와 상대 커넥터(50)의 제1상대 콘택트(71)가 접촉하고, 나아가 전기 커넥터(1)의 제2콘택트(22)와 상대 커넥터(50)의 제1상대 콘택트(72)가 접촉한다. 이 결과 전기 커넥터(1)가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PCB)과 상대 커넥터(50)에 접촉되어 있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nd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is fitted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 from the front sid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will enter into the fitting space 15 of the electric connector 1. . At the same time, the projection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enters the projection receiving space 61 of the mating connector 50. As a result, the first contact 2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and the first mating contact 71 of the mating connector 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urther, the second contact 22 and the mating connector 50 of the electric connector 1 are contacted. The first relative contact 72 of) contacts. As a result, the circuit board PCB in which the electric connector 1 is mounted and the cable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전기 커넥터(1)에 상대 커넥터(50)가 감합되는 때에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해진 상태로 화살표(A) 방향으로 감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전기 커넥터(1)의 돌출부(12)에 충돌하는 일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로스 바(23)가 그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금속제이지만 크로스 바(23)도 금속제이기 때문에 크로스 바(23)의 기계적 강도의 부족으로 인한 돌출부(12)의 파손은 방지된다.Here,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is f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 as shown in FIG. 16 (A), the mating connector 50 is f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an oblique state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connector 1. There is a case. In this case,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may collide with the protrusion 12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ross bar 23 is embedded in the projection 12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collide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ross bar 23. For this reason, the front end (front end)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Here,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is made of metal, but since the cross bar 23 is also made of metal, breakage of the protrusion 12 due to the lack of mechanical strength of the cross bar 23 is prevented.

또한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50)가 화살표(B)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크로스 바(23)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돌출부(12)의 파손 확률은 매우 높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므로 돌출부(12)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Moreover,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fits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6 (B),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sl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shown by the arrow B, reciprocating motion is performed. There is. In this case, if the cross bar 23 is not provided, the probability of breakage of the protrusion 12 is very high. However, also in this case, in the electrical connector 1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sl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ross bar 23, the protrusion part 12 is not damaged.

또한 크로스 바(23)는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콘택트(21)를 형성하는 때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크로스 바(23)를 제1콘택트(21)와 별개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 bar 2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tact 21, the cross bar 23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when the first contact 21 is formed, and the cross bar 23 is separate from the first contact 21.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manufacturing.

또한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이므로, 크로스 바의 전면을 단순히 평면으로 하는 평면구조체로 하는 경우보다도 기계적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 bar 23 is a curved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convex,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strong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cross bar 23 is simply a flat structure hav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ross bar as a flat surface.

더욱이 크로스 바(23)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1콘택트(21)를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하는 때에, 크로스 바(23)가 설치되는 제1콘택트(21)의 병렬 방향 위치의 밸런스가 좋고, 복수의 제1콘택트(21)의 위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ross bar 2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one first contact 21 dispos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arranged in parallel. Therefore, when insert mold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to the housing 10, the balance of the parallel positions of the first contacts 21 in which the cross bars 23 are provided is good,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 Position stability of 21) can be secured.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크로스 바(23)의 제1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19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Next,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ross bar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19. 17-19,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member same as FIG. 11-13, and the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 | omitted.

도 17 내지 도 19에 있어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 구체적으로는 좌측에서 3번째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크로스 바(23)와는 달리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의 전단에서 하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는 연결편(23a)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크로스 바(23)는 연결편(23a)의 전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상의 봉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로스 바(23)는 금속제이며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된다.17 to 19, a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arranged in parallel,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third first contact 21 from the left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Cross bars 23 are provided. Unlike the cross bar 23 shown in FIGS. 11 to 13, the cross bar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21c of the first contact 21 via a connecting piece 23a which is curved to be convex. It is extended. The cross bar 23 is comprised from the cross-sectional rectangular rod-shaped body exten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iece 23a. The cross bar 23 is made of met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tact 21. In addition, the cross bar 23 is embedded in the projection 12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이러한 크로스 바(23)를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한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Even when such a cross bar 2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tact 21,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is cross-bar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is obliquely f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 It hits the front of 23. For this reason, the front end (front end)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상대 커넥터(5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fits the electrical connector 1 at an angle, and the mating connector 50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crosses the cross bar 23. Slide about the front of the For this reason, the protrusion 12 does not break.

또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크로스 바(23)의 제2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3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20 to 22,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cross bar 23 will be described. In FIGS. 20-2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member as FIG. 11-13, and the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 | omitted.

도 20 내지 도 22에 있어서, 크로스 바(23)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는 달리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의 상부접점부(21c)의 전단에서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만곡구조체이다. 크로스 바(23)는 금속제이며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12)에 매설된다.In FIGS. 20 to 22, the cross bars 23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two outermost first contacts 2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arranged in parallel unlike those shown in FIGS. 11 to 13. It is installed to The cross bar 23 is a curved structure that is curved downwar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convex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tact portion 21c of the two outermost first contacts 21. The cross bar 23 is made of metal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two outermost first contacts 21. This cross bar 23 is embedded in the projection 12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이와 같은 크로스 바(23)를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한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된 때에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은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충돌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의 선단(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Even when such a cross bar 2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tact 21,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crosses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is fit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electrical connector 1. It collides with the front of the bar 23. For this reason, the front end (front end)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대 커넥터(50)가 전기 커넥터(1)에 대해 비스듬히 감합하고, 나아가 상대 커넥터(5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왕복운동하는 경우에도 상대 커넥터(50)의 셸(80)이 크로스 바(23)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12)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ating connector 50 fits the electrical connector 1 at an angle, and the mating connector 50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hell 80 of the mating connector 50 crosses the cross bar 23. Slide about the front of the For this reason, the protrusion 12 does not break.

더욱이 크로스 바(23)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1콘택트(21)를 하우징(10)에 인서트 몰딩하는 때에 크로스 바(23)의 지지가 최외단의 2개의 제1콘택트(21)에 의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콘택트(21)의 위치안정성을 보다 더 높게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cross bar 23 is provided so that the front end of two outermost 1st contacts 21 among the some 1st contacts 21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may be connected. For this reason, when insert-molding the some 1st contact 21 to the housing 10, the support of the cross bar 23 is performed stably by the two outermost 1st contacts 21.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positional stability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can be maintained high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예를 들면 크로스 바(23)는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제2콘택트(22)의 전단에 설치되어도 좋다.For example, the cross bar 23 need not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tact 21, but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tact 22.

또한 크로스 바(23)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나 단면 사각형의 봉상체일 필요는 없고,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면이 노출되도록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ross bar 23 does not need to be a curved structure that is curved to be convex in the front face or a rod-shaped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is embedded in the protrus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o expose the front face. good.

더욱이 크로스 바(23)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1콘택트(21)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될 필요는 반드시 없고, 2개 이상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되거나 혹은 가장 바깥의 제1콘택트(21)의 전단에 설치되어도 좋다.Furthermore, the cross bar 23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one first contact 21 dispos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s 21 arranged in parallel, and two or more first contacts ( It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21 or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most first contact 21.

또한 크로스 바는 금속제일 필요는 없고 또한 제1콘택트(2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반드시 없다.In addition, the cross bar need not be made of metal and need not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tact 21.

1 전기 커넥터
10 하우징
11 하우징 기부
11a 하우징 기부의 전면
12 돌출부
20 콘택트
21 제1콘택트(콘택트)
22 제2콘택트(콘택트)
23 크로스 바
1 electrical connector
10 Housing
11 Housing Base
11a front of housing base
12 protrusion
20 contacts
21 First Contact (Contact)
22 2nd Contact (Contact)
23 cross bars

Claims (5)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금속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전면을 갖는 하우징 기부와, 상기 하우징 기부의 상기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평판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돌출부에 각각의 콘택트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의 전단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 바는 전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 housing made of synthetic resin;
A plurality of metallic contacts fixed to the housing,
The housing has a housing base having a front face, and a flat protrusion projecting forwardly from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base,
In the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each contact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projecting portion,
And a cross bar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a front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wherein the cross bar is embedded in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전면이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만곡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bar is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tructure curv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convex.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대략 중간부에 배치된 1개의 콘택트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ross bar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at a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thereof.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병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최외단의 2개의 콘택트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cross bar is provided to connect the front ends of the two outermost contacts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는 금속제이며 상기 콘택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cross bar is made of metal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ct.

KR1020130106558A 2012-09-11 2013-09-05 Electrical connector KR2014003406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9626A JP5993672B2 (en) 2012-09-11 2012-09-11 Electrical connector
JPJP-P-2012-199626 2012-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69A true KR20140034069A (en) 2014-03-19

Family

ID=5031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58A KR20140034069A (en) 2012-09-11 2013-09-05 Electrical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93672B2 (en)
KR (1) KR20140034069A (en)
CN (1) CN1036827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85B1 (en) * 2014-01-20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with Integr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6370B2 (en) * 2003-06-02 2008-01-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49109B2 (en) * 2008-09-10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725942U (en) * 2010-07-28 2011-01-26 莫列斯公司 Electric connector
JP2012146419A (en) * 2011-01-07 2012-08-02 Hosiden Corp Receptacle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85B1 (en) * 2014-01-20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with Integr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56665A (en) 2014-03-27
JP5993672B2 (en) 2016-09-14
CN103682741A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0423B2 (en) connector
KR101232437B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64231B1 (en) Connector
CN108140992B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503461A1 (en) Connector assembly
US20120009824A1 (en) Surface Mount Multi-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657633B2 (en) Connector
US20130033826A1 (en) Electrical component
JP5859938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379025B2 (en) sockets and electronic equipment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13748B1 (en) Connector
US850047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nforcedd locking portion
KR20080076901A (en) Electric connector
TWI720706B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2011134461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307483B1 (en) Connector
JP5203099B2 (en) Vertical SMT connector
KR20140034069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10063737A (en) Connector
KR101163428B1 (en) Connector
JP54325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206170B2 (en) sockets and electronics
CN107332002B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