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910A - Breaker valve assembly - Google Patents
Breaker valv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3910A KR20140033910A KR1020120100439A KR20120100439A KR20140033910A KR 20140033910 A KR20140033910 A KR 20140033910A KR 1020120100439 A KR1020120100439 A KR 1020120100439A KR 20120100439 A KR20120100439 A KR 20120100439A KR 20140033910 A KR20140033910 A KR 201400339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stepped
- diameter portion
- stepped surfac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유체 흐름을 방향 전환하도록 밸브실(VR)에 설치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VR)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되어 있는 밸브 슬리브와,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내측에 면접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밸브 스풀과, 상기 밸브 슬리브의 상기 타측 말단에 연접하여 설치되는 밸브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밸브 스풀의 양 측면이 완전 개방된 구성에 의하여 밸브 상하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속도가 빠른 것은 물론, 이와 같이 빠른 밸브 작동 속도에 의해 유압 맥동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 슬리브로 유입되는 유압이 각각의 단차면을 통하여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고압의 유압이 밸브 스풀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교적 대칭을 이루며 작용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면과 밸브 슬리브 내주면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습동운동이 가능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나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comprising: a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installed in a valve chamber (VR) to divert fluid flow, the valve chamber (VR) being inserted into and installed on both sides thereof. A valve sleeve that is provided, a valve spool which is installed to be interviewed and movable inside the valve sleeve 100 and has an open shape on both sides thereof, and a valve plug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alve sleeve. It relates to a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pool has a fully open configuration so that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valve is smooth and the operating speed is high, as well as the hydraulic pulsation can be reduced by such a high valve operating speed. .
In addition, the hydraulic pressure flowing into the valve sleeve is applied relatively uniformly through each step surface, so that the hig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pool operates relative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valve spool. The fric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enables smooth sliding motion and reduces the wear and scratch caused by the fri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유체 흐름을 방향 전환하도록 밸브실(VR)에 설치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있어서,
BACKGROUND OF THE
상기 밸브실(VR)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는 각각 순차로 2개 이상의 제 1 관통공(121), 제 2 관통공(122) 및 제 3 관통공(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 1 내부 단차면(131), 제 2 내부 단차면(132) 및 제 3 내부 단차면(133)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 슬리브(100);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valve chamber VR, both sides are open, the first stepped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내측에 면접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Interviewed inside the
제 1 소경부(210)와,The first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대경부(220)와,
상기 대경부(22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경부(230)와, A second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외주면 상에 상기 일측으로 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환상 그루브(240) 및 제 2 환상 그루브(250)와, A first
상기 제 1 소경부(210)와 상기 대경부(220)가 만나는 단차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제 3 환상 그루브(260)와,A third
상기 제 1 환상 그루브(240)에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통과공(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밸브 스풀(200);
A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밸브 슬리브(100)에 연접하는 상기 일측 말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2개 이상의 플러그 통과공(320)이 형성되는 밸브 플러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The
상기 제 1 단차면(111a)은 통로(P1)를 통해 제 3 챔버(44)와 연통되고,The first stepped surface 111a communicates with the
상기 제 2 단차면(111b)은 귀환 통로(P2) 및 유체 배출구(22)에 연통되며,The second stepped surface 111b communicates with the return passage P2 and the fluid outlet 22.
상기 제 3 단차면(111c)은 제 2 챔버(46)와 연통되고, The third stepped surface 111c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은 귀환통로(58)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일반적으로, 브레이커(BREAKER)는 유압 혹은 공압에 의한 동력이 피스톤의 상면에 단속(斷續)적으로 작용하여 일정영역 내에서 상하 왕복운동되는 피스톤이 치즐(CHISEL)의 두부를 타격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치즐의 선단으로 하여금 파쇄대상물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를 파쇄토록 하여 주는 기구이다.
In general, a breaker (BREAKER)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hitting the head of the chisel (CHISEL) is a vertically reciprocating movement in a certain area by the power of the hydraulic or pneumatic acting intermittently ac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It is a mechanism that allows the tip of the chisel to be crushed while the crushed object is in contact with it.
예컨대, 브레이커는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내 피스톤(7)의 상단부에 형성된 가스실(5) 내에 질소 가스 등 압축성 가스가 주입되어 충전되고, 피스톤(7)의 하단에는 치즐(3)의 두부가 상기 피스톤(7)과 접촉 가능하게 동축상에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 상태가 밸브실(VR)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에 의해 전환되면서 상기 피스톤(7)을 승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때 가스실(5) 안의 질소가스의 팽창력이 상기 피스톤(7)을 통해 치즐(3)의 두부를 타격하는 해머링 에너지(hammering energy)로 전환되어 그 선단에 접하고 있는 암반, 콘크리트 등의 경도성 파쇄대상물을 파쇄하도록 구성된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breaker is filled with a compressed gas such as nitrogen gas and injected into the
이러한 브레이커의 예들은 다수 공지되어 있는바, 이를테면 하기 선행기술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등록특허 10-0078639호([가스와 유압을 이용한 타격기구]에는 밸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고압유체 통과공을 이용하지 않고 피스톤 상부에 형성되는 후방 환상실과 밸브에 형성된 관통공을 연결하는 통로의 입구를 직접 개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피스톤이 가스실을 압축하면서 상사점에 도달하게 되면 스풀(SPOOL)의 외주면과 밸브의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된 밸브전환실에 고압유체가 유입되고 이 고압유체는 직접 밸브 내의 상기 스풀을 밀어 밸브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개방시킴으로써 곧바로 피스톤 상부에 형성된 후방 환상실을 고압측으로 전환토록 함으로써 밸브의 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타격에너지를 상승시키도록 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Examples of such a breaker are well known, for example, Patent No. 10-0078639 ([A blow mechanism using gas and hydraulic pressure]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Patent Document 1) has a high-pressure fluid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valve Without opening, the inlet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rear annular chamber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iston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valve is directly opened and closed.When the piston reaches the top dead center while compressing the gas chamb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SPOOL) The high pressure fluid flows into the valve switching chamber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igh pressure fluid directly pushes the spool in the valve to ope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valve, thereby immediately switching the rear annular chamber formed on the piston to the high pressure side. Configuration to maximize the energy and increase the hit energy at the same time .
이러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존 발명은 그 구성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격로드(1)와 ; 일단으로부터 피스톤의 하단부를 수용하고 타단으로부터 피스톤과 동축상으로 배설되는 상기 타격로드를 수용하는, 동 피스톤과 타격로드의 스트로크 길이 및 스트로크 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프론트헤드(10)와, 피스톤 및 밸브시스템이 장착된 실린더(20)와 그리고 가스실을 형성하는데에 소용되는 백헤드(30)를 구비한 가스와 유압을 이용한 타격기구에 있어서, 2 and 3, the existing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상기 타격기구는 (a)피스톤을 수용하는 피스톤 챔버가 하부유체통로(47)를 통해 압력라인과 연결되는 제 1 챔버(43)와, 피스톤의 중간부 단차부(45)에 의해 규정되어 배출라인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챔버(46)와, 피스톤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42)에 의해 규정되는, 압력라인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3챔버(44)와, 그리고 피스톤의 최상부에 상기 제 3 챔버와 분리되도록 형성된 개스실을 규정하는 제4 챔버(60)로 나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대소의 단차부들 을 갖는 피스톤(40)과, The striking mechanism is defined by (a) a
(b) 밸브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챔버와 평행하게 배설된 밸브챔버(50)와; (b) a valve chamber (50) disposed in parallel with said piston chamber for receiving a valve system;
(c) 유체의 압력라인을 배출라인으로 전환하고 상기 밸브챔버(50)를 상기 제 2 챔버(46)와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전환통로(P3)와 ,(c) a switching passage P3 for converting the pressure line of the fluid into the discharge line and operatively connecting the
(d) 피스톤 하강작동 이후의 압력해제 상태로 전환된 폐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p2)와, (d) a discharge passage (p2) for discharging the waste fluid converted to the depressurized state after the piston lowering operation,
(e) 고압의 유체를 유체인입구(21)로부터 상기 제 1 챔버(43)로 공급하기 위한 하부 유체통로(47)와; (e) a lower fluid passage (47) for supplying a high pressure fluid from the fluid inlet (21) to the first chamber (43);
(f) 고압의 유체를 유체인입구(21)로부터 상기 밸브챔버(50) 및 자압공간(81)으로 공급하기 위한, 상기 하부유체통로(47)로부터 분지된 상부유체통로(48)와 ; (f) an
(g) 밸브전환에 따라 상기 밸브챔버(50)와 상기 제 3 챔버(44)를 작동적으로 연통하기 위한 통로(p1)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g) a passage p1 for operatively communicating the
특히 밸브 슬리브-밸브 스풀-밸브 플러그로 구성되는 밸브 구조체의 구성에 있어서, In particular in the construction of a valve structure consisting of a valve sleeve-valve spool-valve plug,
"(a) 밸브챔버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외경과, " (a) the out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chamber,
상기상부유체통로(48)의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과,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하단 중앙부에 상기 상부유체통로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뚫린 관통공(71)과, A through hole (71) drilled in the lower central portion at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of the upper fluid passage;
스풀의 하단부를 섭동자재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단차면(72)과, An annular
중앙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제 2 환상홈(73)(74)과, First and second
그리고 스풀의 대경부를 섭동자재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 단차면(75)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중공의 원통형 밸브(70),
And a hollow
여기서 상기 제 1 환상홈(73)상에는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그 중의 하나의 관통공(76)은 통로(P1)를 통해 상기 제 3 챔버(44)와 연통되며, Here, several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first
상기 제 2 환상홈(74)상에는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그 중 하나의 관통공(77)은 귀환통로(P2)에 연결되고, 이 관통공(77)과 반대방향에 있는 또하나의 관통공(78)은 유체배출구(22)와 연통되며, 상기 환상단차면(75)에는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그 중의 하나의 관통공(79)은 상기 제 2 챔버(46)와 연통하도록 배설된 전환통로(P3)와 연결되며 ;
Several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econd
(b) 대경부(95)와, (b) the large neck portion 95,
소경부(94)와,
상기 상부유체통로(48)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하단부에 형성된 축방향 개구부(91)와,An axial opening 91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수 개의 축방향 구멍(93)을 갖는 상부 막음플레이트(99)와, An upper blocking plate 99 having several axial holes 93 at circumferential equal intervals,
밸브커버 내의 축방향 구멍(8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막음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원통부(96)와, A cylindrical portion 96 project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locking plat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axial hole 86 in the valve cover;
그리고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 및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가 만나는 단차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환상의 그루브들(97)(98)을 갖는, 상기 밸브(77)내에 섭동자재로 장착되는 스풀 (90);
And a spool (90) mounted in the valve (77) with an annular groove (97, 98)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where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meet ;
그리고
And
(c) 내경이 상기 스플(90)의 대경부의 외경과 동일한 원통형 리세스(81)와, (c) a cylindrical recess 81 whose inner diameter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상기 스풀의 돌출원통부(96)가 섭동자재로 끼워지도록 상기 리세스의 중앙으로 연통하는 축방향 구멍(86)과,An axial hole 86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of the recess such that the protruding cylindrical portion 96 of the spool is fitted with perturbation material;
외주면상에 형성된 환상의 그루브(85)와, An annular groove 8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상기 환상의 그루브(85)와 저압실(84)과를 연결하는 경사통로(83)를 갖는 밸브커버(80) ; " And a valve cover (80) having an inclined passage (83) connecting the annular groove (85) and the low pressure chamber (84 ); "
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예들에서는 원통형의 방향전환용 밸브스플의 외주면과 습동외주면 전체에 걸쳐 유압에 의한 과다한 팽창력이 작용하여 이들의 원만한 상호작용이 유발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스플의 외주면 전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피스톤의 해머링에너지(HAMMERING ENERGY)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로인해 브레이커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또한, 개폐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밸브스플이 유체와 유압의 흐름에 원활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그 외주면과 밸브슬리브의 내주면 전체 습동면이 연동적으로 발생하여 습동운동 외주면과 내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밸브스플의 습동행정이 제한을 받게 되어 해머링기능이 약화되는 단점도 간과하고 있다.
However, in these examples, excessive expansion force by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lid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witching valve spout so that their smooth interaction cannot be induced, and thus scratches are generated o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pline. As a result, it acts as a factor that hampers the hammering energy of the piston, thereby overlooking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breake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ction, the valve spline does not respond smoothly to the flow of fluid and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entire sliding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re interlocked to generate scratches on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liding motion. It also ignores the disadvantage that the hammering function of the valve spline is restricted and the hammering function is weakened.
특히, 상기 스풀(90)의 축방향 개구부(91)쪽의 일측 말단에 의해 결정되는 제 1 수압면의 면적에 비하여, 상기 상부 막음플레이트(99)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 2 수압면의 면적이 과다하게 크므로, (제 2 수압면>>제 1 수압면) 밸브 스폴이 상승하는데 과다한 압력이 필요하여 그로 인하여 작동압력이 상승과 밸브 스폴의 속도 저하로 밸브 슬리브의 관통공(71)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있지 않아 충분한 유량이 통과하지 않은 관계로 타격력 및 속도가 저하된다는 큰 단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 area of the second pressure receiving surface determined by the upper blocking plate 99 is excessive compared to the area of the first pressure receiving surface determined by one end of the axial opening 91 sid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밸브 스풀의 양 측면이 완전 개방된 구성에 의하여 밸브 상하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속도가 빠른 것은 물론, 이와 같이 빠른 밸브 작동 속도에 의해 유압 맥동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alve spool is open to both sides of the valve is fully open, smooth operation up and down the valve speed, as well as lower the hydraulic pulsation by such a fast valve operating spe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that can be used.
또한, 밸브 슬리브로 유입되는 유압이 각각의 단차면을 통하여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고압의 유압이 밸브 스풀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교적 대칭을 이루며 작용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면과 밸브 슬리브 내주면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습동운동이 가능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나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hydraulic pressure flowing into the valve sleeve is applied relatively uniformly through each step surface, so that the hig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pool operates relative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valve spoo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capable of smooth sliding motion b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abrasion or scratches caused by fric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흐름을 방향 전환하도록 밸브실(VR)에 설치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provided in the valve chamber (VR) to redirect the fluid flow,
상기 밸브실(VR)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는 각각 순차로 2개 이상의 제 1 관통공(121), 제 2 관통공(122) 및 제 3 관통공(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 1 내부 단차면(131), 제 2 내부 단차면(132) 및 제 3 내부 단차면(133)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 슬리브(100);와,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valve chamber VR, both sides are open, the first stepped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내측에 면접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Interviewed inside the
제 1 소경부(210)와,The first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대경부(220)와,
상기 대경부(22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경부(230)와, A second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외주면 상에 상기 일측으로 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환상 그루브(240) 및 제 2 환상 그루브(250)와, A first
상기 제 1 소경부(210)와 상기 대경부(220)가 만나는 단차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제 3 환상 그루브(260)와,A third
상기 제 1 환상 그루브(240)에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통과공(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밸브 스풀(200);과,
A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밸브 슬리브(100)에 연접하는 상기 일측 말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플러그 함입홈(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에는 2개 이상의 플러그 통과공(320)이 형성되는 밸브 플러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I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상기 제 1 단차면(111a)은 통로(P1)를 통해 제 3 챔버(44)와 연통되고,The first stepped surface 111a communicates with the
상기 제 2 단차면(111b)은 귀환 통로(P2) 및 유체 배출구(22)에 연통되며,The second stepped surface 111b communicates with the return passage P2 and the fluid outlet 22.
상기 제 3 단차면(111c)은 제 2 챔버(46)와 연통되고, The third stepped surface 111c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은 귀환통로(58)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또한,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일측 말단에 형성된 제 1 수압면(201)과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형성된 제 2 수압면(202)는, 상기 제 1 수압면(201)의 면적이 상기 제 2 수압면(202)의 면적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상기 제 1 수압면(201)의 면적이 상기 제 2 수압면(202)의 면적은 그 면적의 비율(제 1 수압면(201)/제 2 수압면(202))이 1.0~1.5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rea of the first
또한, 상기 제 1 수압면(201) 또는 상기 제 2 수압면(2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각각 합입홈부(20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또한, 상기 플러그 통과공(320)은, 상기 밸브 플러그(300)의 상기 일측 말단부에 대하여 개방된 반원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밸브 스풀의 양 측면이 완전 개방된 구성에 의하여 밸브 상하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속도가 빠른 것은 물론, 이와 같이 빠른 밸브 작동 속도에 의해 유압 맥동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pool has a fully open configuration so that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valve is smooth and the operating speed is high, as well as the hydraulic pulsation can be reduced by such a high valve operating speed. .
또한, 밸브 슬리브로 유입되는 유압이 각각의 단차면을 통하여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고압의 유압이 밸브 스풀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교적 대칭을 이루며 작용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면과 밸브 슬리브 내주면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습동운동이 가능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나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hydraulic pressure flowing into the valve sleeve is applied relatively uniformly through each step surface, so that the hig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pool operates relative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valve spool. The fric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enables smooth sliding motion and reduces the wear and scratch caused by the friction.
도 1: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커의 예시적인 단면도.
도 2: 기존 발명의 밸브 구조체가 구비된 브레이커의 타격 작동시의 단면도.
도 3: 기존 발명의 밸브 구조체가 구비된 브레이커의 상승 작동시의 단면도.
도 4: 기존 발명의 밸브 구조체가 구비된 브레이커의 최대 상승 작동시의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밸브 슬리브의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밸브 스풀의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밸브 플러그의 사시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밸브 슬리브의 단면도.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밸브 스풀의 단면도.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밸브 플러그의 단면도.
도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타격 작동시의 단면도.
도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의 상승 작동시의 단면도.1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br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eaker with the val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iking opera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eaker with the val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cending opera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eaker with the val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aximum raising opera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sleeve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spool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plug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lve sleeve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lve spool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lve plug of a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in the strik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Cross-sectional view in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밸브 슬리브(100), 밸브 스풀(200) 및 밸브 플러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밸브 슬리브(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 슬리브(100)는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밸브실(VR)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밸브 슬리브(100)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First, the
한편, 상기 상기 밸브 슬리브(100)는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는 각각 순차로 2개 이상의 제 1 관통공(121), 제 2 관통공(122) 및 제 3 관통공(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 1 내부 단차면(131), 제 2 내부 단차면(132) 및 제 3 내부 단차면(133)이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5 and 12, the
이 경우,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은 본 발명의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가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구조체와 교체하여 호환되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구조체의 각각의 관통공(76, 77, 79)에 대응하는 위치에 순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irst stepped
또한,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은 밸브룸(VR)d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통로로 부터 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킨다는 점에서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구조체의 각각의 관통공(76, 77, 79)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단차면(111a)은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구조체에서와 같이 도2에 도시한 통로(P1)를 통해 제 3 챔버(44)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tepped
또한, 상기 제 2 단차면(111b)은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구조체에서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귀환 통로(P2) 및 유체 배출구(22)에 연통되며, 상기 제 3 단차면(111c)은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 구조체에서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제 2 챔버(46)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stepped surface 111b communicates with the return passage P2 and the fluid outlet 22 shown in FIG. 2 as in the valve structure of
이 경우, 상기 통로(P1), 제 3 챔버(44), 귀환 통로(P2), 유체 배출구(22) 및 제 2 챔버(46)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밸브 구조체와 호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타격 기구에서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특허문헌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에 속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structure regarding the said passage P1, the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에서는 유체가 상기 각각의 관통공(76, 77, 79)만을 통하여 유입되므로, 유체의 압력이 상기 각각의 관통공(76, 77, 79) 방향으로만 편향되어 전달되는 문제가 있는데 비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을 통하여 상기 밸브 슬리브(100)로 유입되는 유압이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관통공(121), 제 2 관통공(122) 및 제 3 관통공(123)을 통해 상기 밸브 스풀(2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밸브 스풀(200)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고압의 유압이 상기 밸브 스풀(200)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교적 대칭을 이루며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스풀(200)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 슬리브(100) 내주면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습동운동이 가능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나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xisting invention of
또한, 상기 밸브 슬리브(100)에 형성된 상기 제 1관통공(121)은 많은 양의 유체가 통과하며 흘러야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2관통공(122)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관통공(121)은 상기 제2관통공(122)보다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at the first through-
다음으로, 밸브 스풀(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 스풀(2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내측에 면접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브 스풀(200)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 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소경부(210)와,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대경부(220)와, 상기 대경부(22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경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스풀(200)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외주면 상에 상기 일측으로 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환상 그루브(240) 및 제 2 환상 그루브(250)와, 상기 제 1 소경부(210)와 상기 대경부(220)가 만나는 단차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제 3 환상 그루브(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 스풀(200)에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환상 그루브(240)에는 작동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270)이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이 경우, 상기 밸브 스풀(200)의 양측 말단은 상기 밸브 스풀(200)의 작동시 주요한 기능을 가지는 수압면으로 각각 기능하게 되며,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스풀(200)의 상기 일측 말단에 형성된 제 1 수압면(201)과 상기 밸브 스풀(2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형성된 제 2 수압면(202)으로 구분하여 볼 경우, 상기 제 1 수압면(201)의 면적이 상기 제 2 수압면(202)의 면적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이 제 1 수압면의 면적에 비하여, 상기 상부 막음플레이트(99)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 2 수압면의 면적이 과다하게 크므로, (제 2 수압면>>제 1 수압면) 밸브 스폴이 상승하는데 과다한 압력이 필요하여 그로 인하여 작동압력이 상승과 밸브 스폴의 속도 저하로 밸브 슬리브의 관통공(71)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있지 않아 충분한 유량이 통과하지 않은 관계로 타격력 및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는 점을 해결하여, 상기 밸브 스풀(200)의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속도가 빠른 것은 물론, 이와 같이 빠른 작동 속도에 의해 유압 맥동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수압면(201)의 면적이 상기 제 2 수압면(202)의 면적은 그 면적의 비율(제 1 수압면(201)/제 2 수압면(202))이 1.0~1.5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한편, 상기 제 1 수압면(201) 또는 상기 제 2 수압면(2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합입홈부(20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작동시 완충 구역 및 작동 유체의 함입에 의한 윤활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다음으로, 밸브 플러그(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 플러그(300)는 도 5 및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연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밸브 플러그(300)는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슬리브(100)에 연접하는 상기 일측 말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플러그 함입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에는 2개 이상의 플러그 통과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Next, the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은 본 발명이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과 호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귀환통로(58)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귀환통로(58)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밸브 구조체와 호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타격 기구에서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특허문헌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에 속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플러그 통과공(320)은, 가공의 편의 및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밸브 플러그(300)의 상기 일측 말단부에 대하여 개방된 반원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는,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과 유사한 작동원리를 가지고 특허문헌 1의 기존 발명과 교체되어 설치되어 호환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밸브 스풀의 양 측면이 완전 개방된 구성에 의하여 밸브 상하 작동이 원활하고 작동 속도가 빠른 것은 물론, 이와 같이 빠른 밸브 작동 속도에 의해 유압 맥동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imilar operating principle as that of the existing invention of
또한, 밸브 슬리브로 유입되는 유압이 각각의 단차면을 통하여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고압의 유압이 밸브 스풀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교적 대칭을 이루며 작용하도록 하여, 밸브 스풀의 외주면과 밸브 슬리브 내주면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습동운동이 가능하고 마찰에 의한 마모나 스크래치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hydraulic pressure flowing into the valve sleeve is applied relatively uniformly through each step surface, so that the hig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pool operates relative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valve spool. B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smooth sliding motion is possible and the occurrence of abrasion or scratch caused by the friction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밸브 슬리브
111: 제 1 단차면 112: 제 2 단차면
113: 제 3 단차면
121: 제 1 관통공 122: 제 2 관통공
123: 제 3 관통공
131: 제 1 내부 단차면 132: 제 2 내부 단차면
133: 제 3 내부 단차면
200: 밸브 스풀
201: 제 1 수압면 202: 제 2 수압면
203: 함입홈부
210: 제 1 소경부 220: 대경부
230: 제 2 소경부
240: 제 1 환상 그루브 250: 제 2 환상 그루브
260: 제 3 환상 그루브 270: 통과공
300: 밸브 플러그
310: 플러그 함입홈 320: 플러그 통과공100: valve sleeve
111: first stepped surface 112: second stepped surface
113: third step surface
121: first through hole 122: second through hole
123: third through hole
131: first internal stepped surface 132: second internal stepped surface
133: third internal stepped surface
200: valve spool
201: first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2: second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3: recessed groove
210: first small diameter portion 220: large diameter portion
230: second small diameter part
240: first annular groove 250: second annular groove
260: third annular groove 270: through hole
300: valve plug
310: plug recess groove 320: plug through hole
Claims (5)
상기 밸브실(VR)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는 각각 순차로 2개 이상의 제 1 관통공(121), 제 2 관통공(122) 및 제 3 관통공(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단차면(111), 제 2 단차면(112) 및 제 3 단차면(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 1 내부 단차면(131), 제 2 내부 단차면(132) 및 제 3 내부 단차면(133)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 슬리브(100);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내측에 면접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 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소경부(210)와,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대경부(220)와,
상기 대경부(220)의 상기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경부(230)와,
상기 제 1 소경부(210)의 외주면 상에 상기 일측으로 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환상 그루브(240) 및 제 2 환상 그루브(250)와,
상기 제 1 소경부(210)와 상기 대경부(220)가 만나는 단차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제 3 환상 그루브(260)와,
상기 제 1 환상 그루브(240)에 2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통과공(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밸브 스풀(200);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밸브 슬리브(100)에 연접하는 상기 일측 말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플러그 함입홈(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에는 2개 이상의 플러그 통과공(320)이 형성되는 밸브 플러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 1 단차면(111a)은 통로(P1)를 통해 제 3 챔버(44)와 연통되고,
상기 제 2 단차면(111b)은 귀환 통로(P2) 및 유체 배출구(22)에 연통되며,
상기 제 3 단차면(111c)은 제 2 챔버(46)와 연통되고,
상기 플러그 함입홈(310)은 귀환통로(58)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
In the co-pneumatic breaker valve structure installed in the valve chamber to redirect the fluid flow,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valve chamber VR, both sides are open, the first stepped surface 111, the second stepped surface 112 and the third stepped surface 113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3 )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first stepped surface 111, the second stepped surface 112, and the third stepped surface 113 are respectively two or more first through holes 121 and second through A hole 122 and a third through hole 123 are form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ped surface 111, the second stepped surface 112, and the third stepped surface 113, respectively. A valve sleeve 100 having a first internal step surface 131, a second internal step surface 132, and a third internal step surface 133;
Interviewed inside the valve sleeve 1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both sides have an open form,
The first small diameter portion 210,
Large diameter portion 22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mall diameter portion 210,
A second small diameter portion 230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20;
A first annular groove 240 and a second annular groove 25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mall diameter portion 210 in order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 third annular groove 26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where the first small diameter portion 21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20 meet each other,
A valve spool 200 including at least two through holes 270 formed in the first annular groove 240;
I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valve sleeve 100, the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valve sleeve 100 is formed with a plug recess groove 310 along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lug recess groove 310 ) Valve plug 300 having two or more plug through holes 320 are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e first stepped surface 111a communicates with the third chamber 44 through the passage P1,
The second stepped surface 111b communicates with the return passage P2 and the fluid outlet 22.
The third stepped surface 111c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hamber 46,
The plug recess groove 310 is a co-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return passage (58).
상기 밸브 스풀(200)의 상기 일측 말단에 형성된 제 1 수압면(201)과 상기 밸브 슬리브(100)의 상기 타측 말단에 형성된 제 2 수압면(202)는, 상기 제 1 수압면(201)의 면적이 상기 제 2 수압면(202)의 면적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1 formed at the one end of the valve spool 200 and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alve sleeve 100 are formed of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1. Co-acting breaker valv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2).
상기 제 1 수압면(201)의 면적이 상기 제 2 수압면(202)의 면적은 그 면적의 비율(제 1 수압면(201)/제 2 수압면(202))이 1.0~1.5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area of the first pressure receiving surface 201 is the ratio of the area (the first pressure receiving surface 201 / the second pressure receiving surface 202) is 1.0 to 1.5.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having a.
상기 제 1 수압면(201) 또는 상기 제 2 수압면(2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각각 합입홈부(20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of the first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1) or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surface (202), a plurality of mating groove portion 203 is formed, respectively.
상기 플러그 통과공(320)은,
상기 밸브 플러그(300)의 상기 일측 말단부에 대하여 개방된 반원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유압식 브레이커 밸브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plug through hole 320,
Covalent pressure breaker valv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opened with respect to the one end of the valve plug (3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439A KR20140033910A (en) | 2012-09-11 | 2012-09-11 | Breaker valv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439A KR20140033910A (en) | 2012-09-11 | 2012-09-11 | Breaker valve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3910A true KR20140033910A (en) | 2014-03-19 |
Family
ID=5064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0439A Abandoned KR20140033910A (en) | 2012-09-11 | 2012-09-11 | Breaker valv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33910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05028A1 (en) * | 2014-12-26 | 2016-06-30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Device for operating flat and plate-shaped spool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
CN110219334A (en) * | 2019-04-02 | 2019-09-10 | 台州贝力特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hydraulic breaking hammer |
KR102004198B1 (en) * | 2018-10-15 | 2019-10-01 | 이일재 | Hydraulic valve and hydraulic percussion deivice |
KR102166409B1 (en) * | 2020-07-16 | 2020-10-15 | 주식회사 에이펙스인터내셔널 | Strike speed control device for breakers that adjusts the strike spe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ck |
WO2022006529A1 (en) * | 2020-07-02 | 2022-01-06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Electric flow control valve |
US11761300B2 (en) | 2018-06-22 | 2023-09-19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Full bore electric flow control valve system |
-
2012
- 2012-09-11 KR KR1020120100439A patent/KR2014003391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05028A1 (en) * | 2014-12-26 | 2016-06-30 | 주식회사수산중공업 | Device for operating flat and plate-shaped spool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
US11761300B2 (en) | 2018-06-22 | 2023-09-19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Full bore electric flow control valve system |
US12312910B2 (en) | 2018-06-22 | 2025-05-27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Full bore electric flow control valve system |
KR102004198B1 (en) * | 2018-10-15 | 2019-10-01 | 이일재 | Hydraulic valve and hydraulic percussion deivice |
CN110219334A (en) * | 2019-04-02 | 2019-09-10 | 台州贝力特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hydraulic breaking hammer |
CN110219334B (en) * | 2019-04-02 | 2024-05-14 | 台州贝力特机械有限公司 | Hydraulic breaking hammer |
WO2022006529A1 (en) * | 2020-07-02 | 2022-01-06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Electric flow control valve |
KR102166409B1 (en) * | 2020-07-16 | 2020-10-15 | 주식회사 에이펙스인터내셔널 | Strike speed control device for breakers that adjusts the strike spe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33910A (en) | Breaker valve assembly | |
KR940005811B1 (en) | Hydropneumatic hammer | |
US20060169468A1 (en) | Control valve and a method for a percussion device with a working cycle involving several coupling moments | |
KR100901145B1 (en) | Hydraulic breaker | |
KR100343888B1 (en) | Breaker using in nitrogen gas and hydraulic pressure | |
EP3085880B1 (en) | Impact-driven tool | |
KR20090041823A (en) | Automatic Strike Adjuster of Hydraulic Breaker | |
KR101230343B1 (en) | Control Valve for Breaker | |
KR101490597B1 (en) | Hydraulic breaker | |
CN212175907U (en) | Hydraulic breaking hamme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stroke | |
CN212318413U (en) | Control device for air-hammer-preventing breaking hammer | |
KR200253891Y1 (en) | Gas and hydraulic pressure type breaker | |
CN108457323B (en) | Breaking hammer | |
KR20180043749A (en) | The hydraulic breaker sealing structure | |
KR0178906B1 (en) | Hydraulic Control Valve Unit for Hydraulic Breaker | |
KR101332260B1 (en) | Hydraulic control valve for breaker | |
CN106012786A (en) | Drill rod displacement triggering mechanism for breaking hammer | |
CN106120925A (en) | A kind of set valve type hydraulic breaking hammer | |
KR20160103267A (en) | Control valve for breaker | |
KR20120041995A (en) | Valve room fluid channel structure for breaker | |
KR100891189B1 (en) | Valve Room Structure of Breaker Valve Device | |
CN104481396A (en) | Injection-type hydraulic dive-hole hammer of plunger valve | |
KR20120041996A (en) | Breaker | |
KR20160103316A (en) | Breaker | |
KR102661101B1 (en) | Automatic strike converter of hydraulic hamm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8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