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786A -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786A
KR20140033786A KR1020120100093A KR20120100093A KR20140033786A KR 20140033786 A KR20140033786 A KR 20140033786A KR 1020120100093 A KR1020120100093 A KR 1020120100093A KR 20120100093 A KR20120100093 A KR 20120100093A KR 20140033786 A KR20140033786 A KR 2014003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fence
monitoring area
location
remot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널아이
(주)커널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널아이, (주)커널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널아이
Priority to KR102012010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786A/ko
Publication of KR2014003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및 그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은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펜스(fence)를 설정하는 펜스설정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소정 주기마다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수집부 및 위치 정보 및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REMORT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GPS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이 보편화되면서 GPS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68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GPS를 이용하여 단말기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 등이 등장하고 있으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등의 이동 물체의 원격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그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동 물체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관리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관리할 모바일 단말이 많아지는 경우 관제서버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여 관제서비스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 폴리곤 형태의 모니터링 영역을 설정하고, 모바일 단말이 그 모니터링 영역의 진입 진출 여부를 계산하여 관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제서버의 부하 감소 및 고품질의 관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이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및 그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그 모바일 단말은,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펜스(fence)를 설정하는 펜스설정부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소정 주기마다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수집부와, 그 위치 정보 및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판단부는 위치수집부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결과와 그 이전 시점에 결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판단부는 현재 시점과 이전 시점과의 변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시점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펜스는 폴리곤(polygon)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펜스에 대한 정보는 그 펜스의 아이디 및 그 펜스를 형성하는 각 꼭짓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판단부는 현재 시점의 위치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선을 생성하고, 그 직선과 상기 꼭짓점들이 연결되어 펜스를 형성하는 선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수를 산출하여 그 교차점의 수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판단 결과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관제서버는 위치전송부로부터 전송된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 폴리곤 형태의 모니터링 영역을 설정하고, 모바일 단말이 그 모니터링 영역의 진입 진출 여부를 계산하여 관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제서버의 부하 감소 및 고품질의 관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모니터링 영역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방법 중 모바일 단말에서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영역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은 모바일 단말(100) 및 관제서버(200)를 포함한다.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은 모바일 단말(100)이 특정 모니터링 영역에 진입하는지 그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관제서버(200)에서 모니터링하고 관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00)이 장착되거나 이를 휴대하고 운행중인 차량 등 이동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내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노트북, 내비게이션 단말 등의 휴대용 단말을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영역을 설정하고, GPS센서를 통해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각 모니터링 영역에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여 관제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원격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들을 수신하여 그 모바일 단말(100)들의 원격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관제서버(100)에서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100)에서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만을 관제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관제서버(200)에서 일일이 모든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추적하여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출입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어 작업 부하를 감소시키고 관제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펜스설정부(110), 위치수집부(120), 위치판단부(130) 및 위치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설정부(110)는 모바일 단말(100)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영역에 대하여 펜스(fence)를 설정한다. 이때, 펜스는 폴리곤(polygon)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펜스설정부(110)는 모니터링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 각 모니터링 영역별로 펜스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각 펜스의 아이디 및 각 펜스의 꼭짓점 정보를 각 펜스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다.
위치수집부(120)는 GPS를 통해 소정 주기(예: 1초, 1분, 10분, 1시간 등)마다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소정 주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운반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이 장착되거나 휴대한 물품 운반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수집 주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고, 점차 목적지 주변에 가까워졌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수집 주기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위치판단부(130)는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설정된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위치판단부(130)는 위치수집부(120)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결과와 그 이전 시점에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전 시점에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고 현재 시점에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그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이전 시점의 결정 결과가 내부이고 현재 시점의 결정 결과가 외부인 경우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위치판단부(130)는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와 이전 시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변위를 산출하고, 그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그 현재 시점에 대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소정 기준은 산출된 변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시점은 현재 시점의 바로 직전 시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시점 이전에 모니터링 영역에 대한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결정된 시점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물품을 수송하는 차량 등이 휴게소에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와 같이 소정 주기가 경과한 경우에도 실제로 이동거리가 얼마 되지 않는 경우에 위치판단부(130)가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매번 판단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모니터링 영역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에 모니터링 영역(M1)에 대한 펜스(F1)가 설정되어 있다.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은 모바일 단말(100)을 휴대한 차량(O1)이 펜스(F1)를 통과하여 모니터링 영역(M1)내로 진입하는 경우 진입 알림을 하거나, 차량(O2)가 모니터리 영역(M1)에서 진출한 경우 진출 알림을 할 수 있다.
위치수집부(120)에 의해 소정 주기로 수집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가 차례대로 P1 ~ P5라고 가정하면, 위치판단부(130)는 위치수집부(120)에 의해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선을 생성하여 그 직선과 꼭짓점들이 연결되어 펜스(F1)을 형성하는 선분들과의 교차점의 갯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짝수이면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 홀수이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1 지점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위치판단부(130)는 P1위치에서 수평으로 직선을 생성한다. 그 다음, 그 직선과 펜스(F1)의 꼭짓점 정보를 기초로 꼭짓점들이 연결되어 펜스를 형성하는 선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수를 산출한다. P1에 대한 교차점은 2개(ip11, ip12)이므로 P1은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라고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P2 지점에서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위치 판단부(130)는 수평으로 직선을 생성하고, 그 직선과 펜스(F1)의 선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5개(ip21 ~ ip25)로 홀수이므로 P2 지점은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라고 결정한다. 위치판단부(130)는 현재 시점인 P2 지점에서 결정된 결과(내부)와 이전 시점인 P1 지점에서 결과(외부)를 비교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M1)으로 진입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4 지점에서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3개로 홀수이므로 P4 지점은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라고 결정하고, P5 지점에서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2개로 짝수이므로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라고 결정한다. 위치판단부(130)는 현재 시점인 P5 지점에서 결정된 결과(외부)와 이전 시점인 P4 지점에서 결과(내부)를 비교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M1)에서 진출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위치판단부(130)는 모니터링 영역이 다수개 존재하는 경우 모든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입 진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전송부(140)는 모바일 단말(100)이 특정 모니터링 영역에 진입하거나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펜스 아이디와 진입 진출 여부, 진입 진출 시간 정보 등의 판단 결과를 관제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위치전송부(140)로부터 전송된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그 모바일 단말(100)의 원격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관련 담당자들의 컴퓨터, 휴대 전화 등에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100)의 진입 진출 여부를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통보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모니터링DB(미도시), 담당자DB(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되는 모바일 단말(100)의 판단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DB(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담당자DB(미도시)에 모바일 단말(100)의 원격 위치를 관리하는 담당자의 성명,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방법 중 모바일 단말에서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1)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100)의 원격 위치 추적 방법 중에서 모바일 단말(100)에서의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100)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영역에 대하여 펜스를 설정한다(단계 310). 여기서, 펜스는 폴리곤(polygon)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니터링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 각 모니터링 영역별로 펜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각 펜스의 아이디 및 각 펜스의 꼭짓점 정보를 각 펜스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다.
그 다음, GPS를 통해 소정 주기(예: 1초, 1분, 10분, 1시간 등)마다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320). 이때, 물품 운반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이 장착되거나 휴대한 물품 운반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수집 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점차 목적지 주변에 가까워졌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수집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소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다음,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설정된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30).
일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0)은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 즉, 모니터링 영역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결과와 그 이전 시점에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전 시점에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고 현재 시점에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그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이전 시점의 결정 결과가 내부이고 현재 시점의 결정 결과가 외부인 경우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모니터링 영역이 다수개 존재하는 경우 모든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입 진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모바일 단말(100)이 특정 모니터링 영역에 진입하거나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펜스 아이디와 진입 진출 여부, 진입 진출 시간 정보 등의 판단 결과를 관제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340). 관제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그 모바일 단말(100)의 원격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관련 담당자들의 컴퓨터, 휴대 전화 등에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100)의 진입 진출 여부를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통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영역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모니터링 영역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30)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정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와 이전 시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변위를 산출하고(단계 331), 산출된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332). 이때, 소정 기준은 산출된 변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시점은 현재 시점의 바로 직전 시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시점 이전에 모니터링 영역에 대한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결정된 시점을 의미한다.
그 다음, 산출된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시 다음 주기에 위치 정보가 수집될 때까지 대기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다음 주기에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로 하여 단계 331을 다시 수행한다. 이는, 물품을 수송하는 차량 등이 휴게소에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와 같이 소정 주기가 경과하더라도 실제로 이동거리가 얼마 되지 않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를 매번 판단하는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00)의 불필요한 자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만약, 산출된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면 수집된 현재 시점의 위치에서 수평 또는 수직의 직선을 생성한다(단계 333).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주기마다 수집된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가 차례대로 P1 ~ P5라고 가정한 경우, 각 주기마다 위치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그 위치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그 직선과 꼭짓점들이 연결되어 펜스(F1)을 형성하는 선분들과의 교차점의 갯수를 산출한다(단계 334). 이때,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판단하고(단계 335), 산출된 교차점의 개수가 홀수이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단계 336), 짝수이면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337).
그 다음, 현재 시점의 결정 결과와 이전 시점의 결정 결과를 기초로 진입 진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38).
도 3의 예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P1 지점의 교차점의 수는 2개(ip11, ip12)이므로 P1은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라고 결정하고, P2 지점에서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5개(ip21 ~ ip25)로 홀수이므로 P2 지점은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라고 결정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0)은 현재 시점인 P2 지점에서 결정된 결과(내부)와 이전 시점인 P1 지점에서 결과(외부)를 비교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M1)으로 진입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4 지점에서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3개로 홀수이므로 P4 지점은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라고 결정하고, P5 지점에서 산출된 교차점의 수가 2개로 짝수이므로 모니터링 영역의 외부라고 결정한다. 위치판단부(130)는 현재 시점인 P5 지점에서 결정된 결과(외부)와 이전 시점인 P4 지점에서 결과(내부)를 비교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100)이 모니터링 영역(M1)에서 진출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시점의 위치가 수집되어 이전 시점과의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시점의 위치에서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333)이하의 과정은 모든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반복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100: 모바일 단말
110: 펜스설정부 120: 위치수집부
130: 위치판단부 140: 위치전송부
200: 관제서버

Claims (6)

  1. 모바일 단말 및 그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 펜스(fence)를 설정하는 펜스설정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소정 주기마다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수집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펜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위치수집부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시점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그 위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결과와 그 이전 시점에 결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또는 모니터링 영역에서 진출하는지를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현재 시점과 상기 이전 시점과의 변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변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그 현재 시점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폴리곤(polygon)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펜스에 대한 정보는 그 펜스를 형성하는 꼭짓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현재 시점의 위치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선을 생성하고, 그 직선과 상기 꼭짓점들이 연결되어 펜스를 형성하는 선분들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수를 산출하여 그 교차점의 수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모니터링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위치전송부로부터 전송된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그 판단 결과를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120100093A 2012-09-10 2012-09-10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40033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93A KR20140033786A (ko) 2012-09-10 2012-09-10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93A KR20140033786A (ko) 2012-09-10 2012-09-10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86A true KR20140033786A (ko) 2014-03-19

Family

ID=5064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093A KR20140033786A (ko) 2012-09-10 2012-09-10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7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726A (ko) 2017-12-20 2019-06-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PS 모듈과 Bluetooth 통신장치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US10511932B2 (en) 2015-11-20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CN113741517A (zh) * 2021-08-31 2021-12-03 普宙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无人机进入禁飞区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1932B2 (en) 2015-11-20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KR20190074726A (ko) 2017-12-20 2019-06-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PS 모듈과 Bluetooth 통신장치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CN113741517A (zh) * 2021-08-31 2021-12-03 普宙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无人机进入禁飞区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6561B (zh) 在位置确定期间考虑室内-室外过渡
CN103426328B (zh) 一种用于停车位检测的方法、终端设备和停车管理服务器
US9313721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712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geofencing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9959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ud-service asset management for portable computer test tools
US20140087758A1 (en)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and location based modification of computing device applications
KR102108963B1 (ko)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TWI618430B (zh) 提供基於位置脫離的通知的系統、方法和電腦可讀記錄介質
KR102289305B1 (ko) 지연 허용 분산형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
JP67208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32087B2 (en) Motion detection for passive indoor positioning system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3136627A (zh) 区域物业智能管理系统
CN104101342A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展馆自主导航系统
CN104598528A (zh) 一种交通信息的查询方法、装置和系统
CN112256024A (zh) 控制机器人充电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4200304A (zh) 治安巡检任务实现方法和系统
KR20140033786A (ko) 모바일 단말의 원격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642739B1 (ko)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64395B1 (ko) 주차 구역 안내 장치 및 방법
US11335199B2 (en) Parking control system, parking control method, and mobile robot device
KR102637041B1 (ko) 차량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
KR101680728B1 (ko) 비콘 디바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Kim et al. A study on the NFC-based mobi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12232723B (zh) 异常行为的实时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