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764A -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764A
KR20140032764A KR1020120099453A KR20120099453A KR20140032764A KR 20140032764 A KR20140032764 A KR 20140032764A KR 1020120099453 A KR1020120099453 A KR 1020120099453A KR 20120099453 A KR20120099453 A KR 20120099453A KR 20140032764 A KR20140032764 A KR 20140032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signal
signal
oscillation
wireless communication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391B1 (ko
Inventor
조용찬
이태훈
김중관
박래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39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 및 발진 검출 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무선통신 중계기에서 발진 검출 장치는, 아웃 밴드(out-band)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 하향링크 경로(downlink path)를 따라 입력되는 상기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RF 신호 중에서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반사된 일부가 상향링크 경로(uplink path)로 입력되는 듀플렉서부, 상기 반사된 RF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고,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 및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Method for Detecting Osci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and Repeater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이란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 방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RF(Radio Frequency) 통신이라 불리기도 한다. 전파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은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전파로 변조하여 전력 증폭기(PA)를 통해 전파를 송출하고, 수신측에서 수신된 전파를 복조하여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휴대 전화와 같은 쌍방향 무선통신의 경우, 송신 주파수(Transmit Frequency)와 수신 주파수(Receive Frequency)를 별도로 두어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쌍방향 무선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통신채널을 이용하도록 통신채널을 할당한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수용 용량의 한계 및 서비스 지역의 제한과 같은 문제점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실제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지역을 여러 개의 셀로 나누어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셀 커버리지를 조절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건물 또는 지하 공간 등에 의한 음영 지역이 발생된다. 이 경우, 음영 지역에 중계기(repeater)를 설치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단말들로 중계한다.
중계기는 산이나 빌딩 또는 기타 지형지물로 인한 전파 차단 지역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 지하 상가와 같이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음영지역을 대상으로 기지국의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증폭해 음영지역을 서비스하고, 음영지역의 단말기의 신호가 기지국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장치이다.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 링크(downlink)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들로 중계하고,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상향 링크(uplink) 신호를 취합하여 기지국으로 중계한다. 이때, 중계기 내부에서 원하지 않은 발진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발진은 내부 소자들의 오동작, 하우징에 의한 구조적 공진 등과 같은 내부적 원인이나, 또는,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운 경우나 기지국에서 신호를 너무 높게 보내는 경우 등의 외부적 원인에 기인할 수 있다.
만일, 중계기의 내부적 원인에 의해 발진이 발생한 경우라면 중계기를 리부트시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발진의 원인이 내부적 원인인지 아니면 외부적 원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발진에 의한 중계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출력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계기에서 발생된 발진의 원인이 내부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외부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1080호,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발진처리 시스템 및 발진처리 방법"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에서 발진이 발생되는 경우에 발진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는, 아웃 밴드(out-band)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 하향링크 경로(downlink path)를 따라 입력되는 상기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RF 신호 중에서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반사된 일부가 상향링크 경로(uplink path)로 입력되는 듀플렉서부; 상기 반사된 RF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고,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 및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에서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파일럿 신호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계산하여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는, 다운 컨버터에서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g)된 이후에 상기 파일럿 신호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발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를 리부트(reboot)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은, 하향링크 경로의 IF 구간에서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신호가 주입된 IF 신호를 RF 신호로 업 컨버팅(up converting)하는 단계; 상기 RF 신호의 일부가 듀플렉서부에서 반사되어 상향링크 경로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반사된 RF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는, 아웃 밴드 주파수 대역에 상기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측정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계산하여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된 RF 신호를 IF 신호로 다운 컨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 컨버팅 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IF 신호에서 서비스 밴드(service band)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진 발생을 검출하는 무선통신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IF 신호로 다운 컨버팅하고, 아웃 밴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한 후, 이를 RF 신호로 업 컨버팅하는 업다운 컨버터; 상기 IF 신호의 아웃 밴드 주파수 대역에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 업 컨버팅된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듀플렉서부; 상기 듀플렉서부에서 외부로 출력되지 않고 상향링크 경로로 반사된 일부의 RF 신호 중에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고,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 및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에서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파일럿 신호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계산하여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된 파일럿 신호가 필터링 된 후의 전력값과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가 필터링 된 후의 전력값의 비를 계산하여 발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에서 발진이 발생되는 경우에 발진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발진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파일럿 신호 주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파일럿 신호 검출부와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통신 단말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경유하여 다른 무선통신 단말들과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20)는 기지국(10)과 무선통신 단말(30) 간에 무선으로 신호를 중계한다.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통신 단말(30)로 중계한다. 또한, 중계기(20)는 무선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취합하여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중계기(20)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각각의 안테나는 듀플렉서를 통해 햐향링크 경로(downlink path) 및 상향링크 경로(uplink path)와 연결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중계기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기는, 링크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기지국 신호를 제1 듀플렉서(120)를 통해 하향링크 경로 상의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30)에 입력하여 저잡음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다운 컨버터(220)를 통해 중간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로 다운 컨버젼한다. 이후, 중간주파수 구간에서 대역 통과 필터(BPF, band-pass filter)를 통해 통과시키고자 하는 서비스 밴드(service band) 대역만을 통과시킨 후, 다시 업 컨버터(260)을 통해 IF 신호를 RF 신호로 업 컨버젼하고 전력증폭기(PA, Power Amplifier)(140)를 통해 증폭한다. 증폭된 신호는 제2 듀플렉서(150)를 통해 서비스 안테나(160)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로 중계된다. 이때, 대역 통과 필터로는 스커트(skirt) 특성이 우수한 표면 탄성파(SAW)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무선통신 단말로부터의 신호가 서비스 안테나(16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 신호는 제2 듀플렉서(150)를 통해 상향링크 경로 상의 저잡음 증폭기(170)에 입력되어 저잡음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는 상기 하향링크와 마찬가지로 다운 컨버터(320), 대역 통과 필터 및 업 컨버터(340)를 통과하며 순서대로 다운 컨버팅, 필터링, 업 컨버팅 된다. 이후, 업 컨버팅된 단말 신호는 전력증폭기(180)를 통해 증폭된 후 제1 듀플렉서(120)를 통해 링크 안테나(110)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듀플렉서(120)는 하향링크 경로와 상향링크 경로를 하나의 안테나(110)에서 공유하도록 하며, 내부적으로 송신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BPF와 수신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BPF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듀플렉서(150)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다.
한편, 중계기는 발진 검출을 위하여 IF 구간에서 서비스 밴드(service band) 대역 이외의 아웃 밴드(out band)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고, 제2 듀플렉서(150)에서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여 발진 검출 여부의 판단시에 사용하게 된다.
이때, 파일럿 신호의 주입은 하향링크 경로의 다운 컨버터(220) 후단에 위치하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240)를 통해 수행되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검출 및 전력량의 측정은 상향링크 경로의 다운 컨버터(320) 후단에 위치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330)에서 처리된다. 또한, 파일럿 신호 검출부(330)에서 측정된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은 제어부(350)로 전달되어 발진 여부 판단에 사용된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파일럿 신호 주입 및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 측정을 통한 발진 검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발진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들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3의 구성을 통한 발진 검출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기에서, 파일럿 신호 주입부(240)는 하향링크 경로 상의 IF 구간에서 하향링크의 서비스 밴드(service band, 또는, in-band) 밖의 인접 대역(이하, 아웃 밴드(out-band)라고 함)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파일럿 신호(Pin)를 주입한다(S100).
이때,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240)는 파일럿 신호의 주입을 위한 별도의 PLL(Phase-Locked Loop)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PLL을 통해 파일럿 신호가 아웃 밴드 내의 특정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신호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력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은 -30dBm ~ 0dBm 정도일 수 있다.
파일럿 신호 주입부(240)에서 주입된 파일럿 신호는 업 컨버팅을 통해 RF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된 후에 제2 듀플렉서(150)로 입력된다. 이때, 제2 듀플렉서(150)로 입력된 신호의 대부분은 서비스 안테나(160)를 통해 출력되며, 일부의 신호가 제2 듀플렉서(150)에서 반사되어 상향링크 경로로 입력될 수 있다.
파일럿 신호 검출부(330)는 제2 듀플렉서(150)에서 반사되어 입력된 RF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S200). 또한, 파일럿 신호 검출부(330)는 검출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여 후술할 제어부(3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반사된 RF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는 제2 듀플렉서(150)로 입력된 파일럿 신호 대비 상당히 작은 크기의 전력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듀플렉서(150)에서 서비스 안테나(160)로 통과되는 신호와 상향링크 경로로 반사되는 신호의 전력비는 60dB 정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입되는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30dBm ~ 0dBm 이라면, 반사되는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은 -90dBm ~ -60dBm 정도가 된다.
제어부(350)는 반사되어 상향링크 경로로 입력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중계기 내부에서 발진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다(S300).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파일럿 신호 주입부(240) 에서 제2 듀플렉서(150)를 거쳐서 파일럿 신호 검출부(330)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중계기의 내부적 원인에 의해 발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는 파일럿 신호가 서비스 밴드 이외의 아웃 밴드 대역에 주입되기 때문에, 서비스 밴드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되는 발진의 경우에는 외부의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 등과의 관련성이 없어서 중계기의 내부적 원인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350)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240)에서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파일럿 신호 검출부(330)에서 검출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발진 원인을 파악할 수도 있다.
만일, 발진 발생의 원인이 중계기 내부 소자들의 오동작 등과 같이 내부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350)는 LED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중계기를 리부트할 수 있다(S4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파일럿 신호 주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된 기지국 신호는 다운 컨버팅용 믹서(222) 및 PLL(290)에 의해 IF 신호로 다운 컨버팅된 후, 별도의 PLL(242)에 의해 아웃 밴드의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파일럿 신호가 주입된다. 이때, 파일럿 신호는 도 4(a)에서와 같이 감쇄기(270) 및 BPF(280)의 전단에서 주입될 수 있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감쇄기(270)와 BPF(280)의 사이에서 주입될 수 있다.
도 4(a)에서와 같이, 파일럿 신호가 감쇄기(270)의 전단에서 PLL(242)에 의해 주입되는 경우, 주입된 파일럿 신호는 감쇄기(270) 및 대역 통과 필터(280)를 거치며 크기가 작아지므로, 제어부(350)에서 사용되는 기준치는 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파일럿 신호가 감쇄기(270)와 대역 통과 필터(280)의 사이에서 PLL(244)에 의해 주입되는 경우, 기준치의 설정시에 감쇄기(270)에 의한 전력량의 감쇄분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나, 이 경우, 감쇄기(270) 주변의 원인으로 인한 발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도 4(c)에서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280)의 후단에서 PLL(246)을 이용하여 파일럿 신호를 주입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a)에서와 같이 PLL(242)이 감쇄기(270)의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도 5(a)에서와 같이 상향링크 경로의 대역 통과 필터(370)의 후단에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도록 전력 검출기(332)를 대역 통과 필터(370)의 후단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PLL(244)이 감쇄기(270)와 대역 통과 필터(28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전력 검출기(334)가 대역 통과 필터(370)와 감쇄기(360)의 사이에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도 4(c)에서와 같이 PLL(246)이 대역 통과 필터(280)의 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c)에서와 같이 전력 검출기(336)를 다운 컨버팅용 믹서(322)와 감쇄기(360)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병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에서 발진이 발생되는 경우에 발진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에 있어서,
    아웃 밴드(out-band)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
    하향링크 경로(downlink path)를 따라 입력되는 상기 파일럿 신호가 삽입된 RF 신호 중에서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반사된 일부가 상향링크 경로(uplink path)로 입력되는 듀플렉서부;
    상기 반사된 RF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고,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 및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에서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파일럿 신호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계산하여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는, 다운 컨버터에서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g)된 이후에 상기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중계기를 리부트(reboot)시키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
  5.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경로의 IF 구간에서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파일럿 신호가 주입된 IF 신호를 RF 신호로 업 컨버팅(up converting)하는 단계;
    상기 RF 신호의 일부가 듀플렉서부에서 반사되어 상향링크 경로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반사된 RF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는,
    아웃 밴드 주파수 대역에 상기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인,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측정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계산하여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된 RF 신호를 IF 신호로 다운 컨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업 컨버팅 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IF 신호에서 서비스 밴드(service band)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10. 발진 발생을 검출하는 무선통신 중계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IF 신호로 다운 컨버팅하고, 아웃 밴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한 후, 이를 RF 신호로 업 컨버팅하는 업다운 컨버터;
    상기 IF 신호의 아웃 밴드 주파수 대역에 파일럿 신호를 주입하는 파일럿 신호 주입부;
    업 컨버팅된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듀플렉서부;
    상기 듀플렉서부에서 외부로 출력되지 않고 상향링크 경로로 반사된 일부의 RF 신호 중에서 파일럿 신호를 검출하고,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을 측정하는 파일럿 신호 검출부; 및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기초로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진 발생을 검출하는 무선통신 중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럿 신호 주입부에서 주입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파일럿 신호 검출부에서 측정된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비를 계산하여 발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발진 발생을 검출하는 무선통신 중계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된 파일럿 신호가 필터링 된 후의 전력값과 상기 반사된 파일럿 신호가 필터링 된 후의 전력값의 비를 계산하여 발진 여부를 판단하는,
    발진 발생을 검출하는 무선통신 중계기.
KR1020120099453A 2012-09-07 2012-09-07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KR101953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53A KR101953391B1 (ko) 2012-09-07 2012-09-07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53A KR101953391B1 (ko) 2012-09-07 2012-09-07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64A true KR20140032764A (ko) 2014-03-17
KR101953391B1 KR101953391B1 (ko) 2019-02-28

Family

ID=5064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453A KR101953391B1 (ko) 2012-09-07 2012-09-07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01B1 (ko) * 2019-01-24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729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디지털 티브이 송신기의 자동 에러 보상 방법 및 그를위한 장치
KR20050052814A (ko) * 2003-12-0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리피터의 전압 정재파비 측정장치 및그 방법
KR100807820B1 (ko) * 2006-09-19 2008-03-03 신동준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
KR20090031080A (ko)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729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디지털 티브이 송신기의 자동 에러 보상 방법 및 그를위한 장치
KR20050052814A (ko) * 2003-12-0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리피터의 전압 정재파비 측정장치 및그 방법
KR100807820B1 (ko) * 2006-09-19 2008-03-03 신동준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
KR20090031080A (ko)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01B1 (ko) * 2019-01-24 2020-07-02 주식회사 한화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0153606A1 (ko) * 2019-01-24 2020-07-30 주식회사 한화 발파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635283B2 (en) 2019-01-24 2023-04-25 Hanwha Corporation Bl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391B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2533B2 (en) Line loss detection in a signal booster system
US20230097593A1 (en) Desktop Signal Booster
US10805026B2 (en) Narrowband signal detection
US10009049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oscillations in a signal booster device,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WO2014085345A1 (en) Built-in passive intermodulation detector for base station equipment
US11012143B2 (en) Desktop signal booster
US10925115B2 (en) Signal booster with coaxial cable connections
US8626061B2 (en) Isolation distance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ance of inter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system
KR101953391B1 (ko)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CN109257065B (zh) 一种消除共存干扰的方法及电路、终端
KR100682714B1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KR100915205B1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EP3577797B1 (en) Reducing oscillation in a signal booster
KR20100002997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설치 시스템 및 방법
US10484085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KR101020701B1 (ko) Rf 중계기의 입력 신호의 c/i값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중계기의 안테나 틸팅 방법
KR101360670B1 (ko) 무선 통신 중계기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회피를 위한 이격 거리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08978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 중계기 및방법
CN107566067A (zh) 一种用cw信号检测同频端口隔离度的方法
KR100918586B1 (ko) 중계기의 이득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02948A (ko) 수동상호변조왜곡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800875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090123302A (ko) 통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