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080A -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080A
KR20090031080A KR1020070096917A KR20070096917A KR20090031080A KR 20090031080 A KR20090031080 A KR 20090031080A KR 1020070096917 A KR1020070096917 A KR 1020070096917A KR 20070096917 A KR20070096917 A KR 20070096917A KR 20090031080 A KR20090031080 A KR 2009003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ion
signal
isolation
spectrum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기
강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07009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1080A/ko
Publication of KR2009003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1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signal isolation, e.g. isolation by frequency or by antenna pattern, or by polar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방지시스템 및 발진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중계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하는 커플링부; 상기 커플링부에서 추출된 신호 중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스펙트럼분석부;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여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격리도(isolation)를 연산하는 발진검출부; 및 상기 발진검출부에서 연산된 격리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방지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발진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발진으로 인한 시스템의 열화현상을 최소화하는 것과 동시에 발진으로 인한 전송되는 신호의 왜곡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계기, 발진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System for treating oscillation from relay system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RF 중계기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RF 중계기의 출력 신호가 회절 및 반사등으로 인하여 재입력되어 발진되는 현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영 지역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중계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계기는 기지국이나 이동기기로부터 약한 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재전송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와 기지국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링크안테나(101)는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서비스안테나(102)는 단말기와 중계기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링크안테나(101)를 통하여 수신되면, 듀플렉서 부(104)를 통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추출되고, 추출된 신호는 업다운컨버터부(106)에 입력되어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다운 컨버팅된 후 필터링을 통하여 원하는 대역의 신호가 추출된 후 다시 업컨버팅을 통하여 변조가 된 후 증폭되어 듀플렉서부(108) 및 서비스안테나(102)를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1에서 업다운컨버터부(106)는 저잡음증폭기(LNA), 고압증폭기(HPA), 감쇄기 등을 포함하는 유닛이다.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가 중계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때, 서비스안테나(102)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직접적으로 입력단으로 재입력되거나, 건물 혹은 벽 등에 의해 반사되어 재입력되는 등의 피드백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신호의 발진현상이 발생하여 신호의 세기가 강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열화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래의 신호 역시 왜곡되어 복조하기 어렵게 되며, 증폭기에도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또한, 발진 발생에 의해 역 방향 경로로 전송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해 기지국에서 잘못된 처리가 발생하며, 이는 전체 통신 시스템에 장애를 불러온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 중계기에서 이러한 발진을 검출하여 억제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발진을 검출하는 방식 중의 하나에는 사용자가 직접 출력신호의 스펙트럼을 확인하여 판단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출력신호의 전력 레벨이 미리 정해진 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발진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자동으로 중계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발진으로 인해 중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중계기의 기능이 정지함으로 인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단절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발진으로 인한 중계기의 손상만 막을 수 있을 뿐, 발진으로 인해 전송되는 신호의 왜곡현상은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진 현상으로 인해 중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시스템을 통하여 발진 현상으로 중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하는 커플링부; 상기 커플링부에서 추출된 신호 중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스펙트럼분석부;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여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격리도(isolation)를 연산하는 발진검출부; 및 상기 발진검출부에서 연산된 격리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진검출부는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는 역푸리에변환부; 상기 역푸리에변환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로부터 발진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진폭및델타분석부; 및 상기 진폭및델타분석부로부터 출력된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로부터 격리도를 연산하기 위한 격리도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펙트럼분석부는 스윕방식 또는 푸리에변환방식으로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진검출부는 상기 발진이 발생되는 지점의 지연시간을 연산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연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이면서, 상기 지연시간에서의 진폭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발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신호 중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분석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여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격리도(isolation)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격리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발진으로 인한 시스템의 열화현상을 최소화하는 것과 동시에 발진으로 인한 전송되는 신호의 왜곡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진처리시스템에 구비된 중계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중계기 시스템은 종래에 중계기에 구비되는 링크안테나부(201) 및 서비스안테나부(202), 듀플렉서부(204, 208) 및 업다운컨버터부(206)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링크안테나부(2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안테나부(202)로 출력하는 과정을 보면, 링크안테나부(201)로 수신된 무선신호는 듀플렉서부(204)에서 사용되는 할당 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신호가 필터링되고, 업다운컨버터부(206)로 입력된다.
업다운컨버터부(206)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다운 컨버팅한 후 필터링을 통하여 원하는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고, 다시 업컨버팅을 통하여 변조를 한 후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서부(208)를 통하여 서비스안테나부(202)를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
서비스안테나부(202)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증폭되어 링크안테나부(201)를 통하여 출력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발진처리시스템이 구비된 중계기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요소외에 커플링부(211, 215), 스펙트럼분석부(212), 발진검출부(213) 및 제어부(214)를 더 포함하여 발진을 처리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링크안테나부(2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안테나부(202)로 출력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커플링부(211)는 중계기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한다.
중계기시스템을 통하여 발진없이 출력되는 신호를 s[n]이라고 할 때, 기지국 송신신호와 다중경로를 통해 재입력된 신호를 포함할 경우 추출된 신호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9011727-PAT00001
여기서 ar은 nr지점에서의 진폭, 즉 신호의 세기를 의미한다.
스펙트럼분석부(212)에서는 커플링부(211)에서 추출된 신호를 주파수 기반으로 자료변환을 하고,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스펙트럼을 검출하여 분석한다.
스펙트럼분석부(212)를 통하여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은 중계기 시스템에서 할당받은 주파수 대역 전부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할당받은 주파수 대역 중의 임의의 3MHz 대역과 같이 할당받은 주파수 대역 중 일부 영역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렇게 스펙트럼분석부(212)를 통하여 분석된 스펙트럼 파형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9011727-PAT00002
여기에서 발진검출에 필요한 신호구간 f1 ~ f2만 취하고, 신호 스펙트럼 s[k]에 비해 발진 성분 신호가 더 클 때, 신호 전력을 기준점으로 진폭을 구할 경우 수학식 3과 같은 스펙트럼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9011727-PAT00003
한편, 스펙트럼분석부(212)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을 검출하는 방식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펙트럼 검출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스윕방식이나 푸리에변환을 이용한 방식을 이용하는 예가 있다.
스윕방식은 가변 국부 발진기를 통해 스펙트럼을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각 주파수의 엔벨로프를 측정하여 스펙트럼을 구하는 방식이고, 푸리에변환방식은 특정 국부 발진기를 샘플링주파수로 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후, 푸리에변환을 통 해 스펙트럼을 구하는 방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윕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의 스펙트럼분석부(21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커플링부(211)에서 출력된 신호는 믹서(412)를 통하여 스윕용 국부발진기(411)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 신호와 믹스되고, 밴드패스필터(413)를 통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이 추출된다.
이 때, 스윕용 국부발진기(411)는 스펙트럼분석구간에서 스윕주파수 구간별로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며 국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추출된 신호는 로그증폭기(414)를 통하여 증폭된 후, 각 스윕 주파수 구간별로 분해능용 필터(415)를 통과하면서 정밀한 발진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분석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416)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발진검출부(213)로 입력된다.
스윕방식의 스펙트럼분석의 경우 분석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분해능에 따른 주파수 구간별로 나누어,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측정하는 관계로 보다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큰 편이다.
도 5는 푸리에변환 방식을 이용하는 스펙트럼분석부(21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커플링부(211)에서 출력된 신호는 믹서(512)를 통하여 국부발진기(511)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 신호와 믹스되고, 밴드패스필터(513)를 통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이 추출된다.
이렇게 추출된 신호는 저역증폭기(514)를 통하여 증폭된 후,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15)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푸리에변환기(516)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다.
푸리에변환방식의 스펙트럼분석의 경우 스윕방식과 달리 원하는 크기만큼의 순간을 취하여 한번에 처리가 가능하므로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짧으나 시간에 따라 원본 신호를 변화시키므로, 스윕방식에 비해 정밀도가 다소 낮은 편이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이렇게 스펙트럼분석부(212)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는 발진검출부(213)에 의해 발진 여부가 검출된다.
발진검출부(213)에서 발진 여부를 검출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펙트럼분석부(212)에서 주파수영역으로 분석된 신호에 대하여 역푸리에변환을 수행한다. 이렇게 역푸리에변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7069011727-PAT00004
상기한 바와 같이, 역푸리에변환을 통하여 시간영역으로 표시를 하면 δ함수들의 합으로 나타나며, 그래프 상에서는 도 7과 같이 도시된다.
여기서, δ신호가 발생한 지점은 발진현상이 일어난 지점을 의미하며, ar은 그 지점, 즉 발진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신호의 진폭, 즉 신호의 세기를 의미한다.
한편, 각 δ신호가 나타나는 지점의 위치(시간)인 지연시간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연산된다.
Figure 112007069011727-PAT00005
여기서, nr은 몇 번째 δ신호의 지연시간을 나타내는지를 위한 수이고, N은 샘플링 수를 의미하며, f1 및 f2는 분석된 주파수 대역의 시작 및 종료 주파수를 의미한다.
이렇게, 각 δ신호가 나타나는 지점의 위치(시간) 및 그 지점에서의 진폭(ar)이 구해지면 격리도(Isolation)를 연산하여 발진이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격리도는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서 정하여진다.
격리도(dB) = 발진(Oscillation) 레벨 + 시스템 게인
여기서, 발진 레벨은 신호의 세기(ar)에 로그함수(log10)를 취한 값을 의미하지만, 정확한 값은 시스템의 특성에 띠라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정해진다.
발진레벨(dB) = 오프셋 - 스케일 × Log10(ar)
여기서, 오프셋은 레벨 오차 보정값이며, 스케일은 측정한 신호세기에 대한 레벨 크기 비율 적용값을 의미하는 값으로, 스펙트럼분석부(212)의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존적인 값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격리도 또는 발진레벨이 중계기의 허용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허용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발진인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진검출부(213) 구성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진검출부(213)는 버퍼(610), 역푸리에변환기(620), 진폭 및 델타 분석기(630), 격리도연산기(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펙트럼분석부(212)에서 출력된 신호는 버퍼(610)를 통해서 역푸리에변환기(620)에 입력되어 역푸리에변환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진폭및델타분석기(630)는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그래프 상에 생성되는 δ신호의 발생된 위치(시간) 및 진폭을 분석한다.
격리도연산기(640)는 진폭및델타분석기(630)에 의해 분석된 δ신호의 진폭 및 장비의 특성에 따라 수학식 6 및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격리도를 연산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제어부(214)는 연산된 격리도를 이용하여 발진여부를 결정하고, 격리도에 따라 업다운컨버터부(206)에 적용되는 시스템 게인, 즉 증폭 정도를 제어한다.
수학식 6를 역으로 생각하면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볼 수 있다.
시스템 게인 = 격리도 - 발진레벨
즉, 신호가 왜곡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되는 격리도가 설정되고, 발진레벨이 측정되면, 시스템 게인을 어느 정도로 해야 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격리도를 알고, 이 격리도에 따라 상기한 수학식 8을 만족하도록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면 어느 정도의 발진이 일어나더라도 정확한 신호를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게인을 제어할 때에는, 수학식 6에 의해 구해진 격리도가 정해진 격리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즉 발진이 일어나지 않았거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발진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제어할 필요가 없고, 신호를 왜곡시키거나 시스템의 열화현상을 초래할 정도의 발진이 일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발진 현상이 너무 심해서 시스템 게인이 대폭 축소되는 경우에는 출력된 신호가 이동단말기나 기지국 등으로 전송될 정도의 충분한 출력을 갖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제어부(214)에 의해 제어된 시스템 게인이 시스템 설계자가 설정한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소정의 경보 신호가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진레벨이 어느 정도 이상인 경우 그 사실이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게 할지 여부는 시스템 설계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4)는 δ신호가 나타나는 지연시간이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서, 진폭이 정해진 크기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 즉 지연시간과 그 지연시간에서의 신호의 세기, 발진파형에 관한 정보 등이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발진에 영향을 주는 신호는 0 ~ 20 μsec 정도의 지연시간을 갖는 신호이며, 이보다 지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그만큼 먼거리에 위치한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로, 상대적으로 신호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발진 현상에 그리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지연시간이 긴데도 불구하고 발진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진폭이 크다면, 이는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가 다시 피드백되어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시스템 자체적인 결함 등에 의해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빠른 시간 내에 그 결함 원인을 밝혀내어 그 원인이 치유되도록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에게 그 사실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커플링부(211, 215)는 중계기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한다(801).
스펙트럼분석부(212)는 커플링부(211)에서 추출된 신호를 주파수 기반으로 자료변환을 하고,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스펙트럼을 검출하여 분석한 다(802).
이 때,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주파수 대역의 스펙트럼을 검출하여 분석하는 방법은 스윕방식 또는 푸리에변환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종래에 스펙트럼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발진검출부(213)는 스펙트럼분석부(212)에서 분석된 신호를 역푸리에변환을 하여 시간영역의 신호로 변환한 후, δ 신호의 진폭을 이용하여 격리도를 연산한다(803).
제어부(214)는 산출된 격리도에 따라 발진 여부를 결정하고, 격리도에 따라 시스템 게인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14)는 발진 현상이 너무 심해서 시스템 게인이 대폭 축소되는 경우나, δ신호가 나타나는 지연시간이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서 진폭이 정해진 크기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 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펙트럼 분석 파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윕방식을 이용한 스펙트럼분석부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푸리에변환방식을 이용한 스펙트럼분석부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진검출부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발진신호의 역푸리에변환 파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9)

  1.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하는 커플링부;
    상기 커플링부에서 추출된 신호 중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스펙트럼분석부;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여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격리도(isolation)를 연산하는 발진검출부; 및
    상기 발진검출부에서 연산된 격리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검출부는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는 역푸리에변환부;
    상기 역푸리에변환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로부터 발진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진폭및델타분석부; 및
    상기 진폭및델타분석부로부터 출력된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로부터 격리도를 연산하기 위한 격리도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분석부는 스윕방식으로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펙트럼분석부는 푸리에변환 방식으로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검출부는 상기 발진이 발생되는 지점의 지연시간을 연산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연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이면서, 상기 지연시간에서의 진폭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시스템.
  7.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신호 중 검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분석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여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격리도(isolation)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격리도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시스템 게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분석된 신호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시간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로부터 발진이 발생한 지점에서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진이 발생한 지점의 신호의 세기로부터 격리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진처리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96917A 2007-09-21 2007-09-2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KR20090031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917A KR20090031080A (ko) 2007-09-21 2007-09-2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917A KR20090031080A (ko) 2007-09-21 2007-09-2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080A true KR20090031080A (ko) 2009-03-25

Family

ID=4069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917A KR20090031080A (ko) 2007-09-21 2007-09-2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1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764A (ko) 2012-09-07 2014-03-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764A (ko) 2012-09-07 2014-03-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통신 중계기에서의 발진 검출 방법 및 그 중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5968A1 (en) Method for compensating gain flatness of transceiver
US10371795B2 (en) Mono-bit multi-signals radar warning receiver
EP1413052B1 (en) Intermodulation product cancellation circuit
US68420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impedance mismatches in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91540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f signals capable of detecting jamming signals
CN101110617A (zh) 确定干扰信号功率的方法、cdma基站设备及方法
US701296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CDMA system
KR2009003108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CN106788813A (zh) 一种干扰信号检测、消除装置、方法以及移动终端
JP5831644B2 (ja) 無線送信装置、vswr判定装置およびvswr判定方法
CN110212998B (zh) 用于测试和确定测控应答机的转发噪声的方法和装置
KR20060111311A (ko) Rf 신호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자기 발진 방지 방법 및 그시스템
US7577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arrow bandwidth signal content to determine channel occupancy
CN109597033B (zh) 一种机场异物检测雷达中频泄漏信号的消除与校准方法及系统
CN113437985A (zh) 一种l波段机载接收机
KR100272007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디지틀셀룰라기지국에서수신전압정재파비측정방법
KR100480043B1 (ko) 송신 경로 점검 장치
KR101968528B1 (ko) 통신시스템의 수신이득 변화에 강인한 비콘 신호 처리 방법
KR101045788B1 (ko) Ics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KR101043789B1 (ko)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한 전력 측정기 및 그 전력 측정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592946B1 (ko) 기지국 수신단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 개선 방법 및 그수신기
KR100642449B1 (ko) 광대역무선가입자망의 송수신 출력값을 이용한거리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339642B1 (ko) 스웹트 헤테로다인 분석을 이용한 고주파 감시 시스템
KR20170059942A (ko) 디지털 입력 오버플로우 처리 장치
KR100951375B1 (ko)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