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375B1 -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375B1
KR100951375B1 KR1020070140372A KR20070140372A KR100951375B1 KR 100951375 B1 KR100951375 B1 KR 100951375B1 KR 1020070140372 A KR1020070140372 A KR 1020070140372A KR 20070140372 A KR20070140372 A KR 20070140372A KR 100951375 B1 KR100951375 B1 KR 10095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reverse
repeat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304A (ko
Inventor
양경일
Original Assignee
(주) 기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기산텔레콤 filed Critical (주) 기산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14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37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04B17/401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with selective localization
    • H04B17/402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with selective localization using different frequencies
    • H04B17/403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with selective localization using different frequencies generated by local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04B1/0007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wherein the AD/DA conversion occurs at radiofrequency or intermediate frequency s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파형 분석과, 궤환신호의 크기 검출 기능을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순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순방량 링크와, 역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역방향 링크를 갖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와 역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주파수 성분 분석 및 신호 크기 측정이 가능한 신호 형태로 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를 통해 신호가 변환된 순방향 및 역방향 RF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주파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wling Detection of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RF 중계기에서 궤환되는 신호전력의 크기에 따라 중계기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신호품질을 보장해 줄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가입자가 보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RF 신호를 통신하는 말단의 기지국이 커버할 수 있는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어려운 음영 지역이 존재하게 되는 바, 이러한 음영지역의 해소를 위해, 종래에는 해당 음영 지역 내에 별도의 중계기 장치를 설치하여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RF 신호를 중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2세대 또는 3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된 중계기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 및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로 분리되어 운용되는 바, 이러한 종래의 중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계기는 도너 안테나(2)와, 도너 듀플렉 서(4), 순방향 송수신부(6), 서비스 듀플렉서(8), 서비스 안테나(10), 역방향 송수신부(12), 로컬 주파수 발생기(14), 순방향 감쇠기(16), 순방향 믹서(18), 순방향 협대역 통과 필터(20), 순방향 파워 검출기(22), 역방향 감쇠기(24), 역방향 믹서(26), 역방향 협대역 통과 필터(28), 역방향 파워 검출기(3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32), 로컬 주파수 발생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중계기에서, 순방향 송수신부(6)는 도너 안테나(2)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RF 신호가 도너 듀플렉서(4)를 통해 실제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만이 통과되면, 해당 신호를 중간주파수 변환 및 필터링 등의 신호 처리를 거쳐서 서비스 듀플렉서(8)와 서비스 안테나(10)를 통해 무선 전송되도록 한다.
역방향 송수신부(12)의 경우에도 서비스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가 서비스 듀플렉서(8)를 통해 실제 서비스를 위한 수파수 대역만이 통과되면, 해당 신호를 중간주파수 변환 및 필터링 등의 신호 처리를 거쳐서 도너 듀플렉서(4)와 도너 안테나(2)를 통해 무선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중계기에서는 순방향 및 역방향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각각 분석하여 정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순방향 송수신부(6)에서 출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커플링하여 순방향 감쇠기(16), 순방향 믹서(18), 순방향 협대역 통과 필터(20), 순방향 파워 검출기(22)를 통해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분석된 순방향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32)에 제공하고, 역방향 송수신부(12)로부터의 역방향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커플링된 신호를 역방향 감쇠기(24), 역방향 믹서(26), 역방향 협대역 통과 필터(28), 역방향 파워 검출기(30)를 통해 역방향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 성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32)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계기는 순방향 신호 및 역방향 신호로부터 분석되느 주파수 성분에 따라 출력신호의 파형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의 소형 또는 초소형 RF 무선 중계기의 경우에는 설치 환경에 따라서 송신단과 수신단 간의 격리도가 부족하면 통화품질에 악영향을 주게 되지만, 중계기의 초기 설치시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격리도를 측정하여 적정한 격리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 과정에서 격리도가 통신 방식에 따라 시스템의 이득보다 15∼20㏈ 이상이 확보되지 않으면 통화 품질에 막대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 중계기의 경우에는 순방향 신호 및 역방향 신호에 대한 최종 출력신호의 파형 분석을 위해 감쇠기, 믹서, 협대역 통과 필터, 파워 검출기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추가에 따른 제조 단가의 상승과 더불어 중계기의 크기를 소형, 경량화하는데 걸림돌로 작용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기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FT) 방식에 의한 주파수 성분 분석과 피드백 신호 검출(FSD) 기능을 통한 궤환신호의 크기를 검출에 의해 중 계기의 출력 조절을 수행하거나 최적의 격리도가 확보될 수 있는 중계기의 설치위치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계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파형 분석과, 궤환신호의 크기 검출 기능을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순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순방량 링크와, 역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역방향 링크를 갖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와 역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주파수 성분 분석 및 신호 크기 측정이 가능한 신호 형태로 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를 통해 신호가 변환된 순방향 및 역방향 RF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주파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순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순방량 링크와, 역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역방향 링크를 갖춘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와 역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주파수 성분 분석 및 신호 크기 측정이 가능한 신호 형태로 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단계와, 디지털신호 처리부(DSP)에서 상기 신호가 변환된 순방향 및 역방향 RF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주파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중계기에서 순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신호나 역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디지털신호 처리부(DSP)를 통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 알고리즘에 따라 고속 푸리에 변환(FFT) 방식에 의해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고, 궤환되는 신호의 상관성을 검출하여 궤환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에 따라 중계기의 이득 조절 및 중계기의 초기 설치시 설치장소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주파수 성분 분석 및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하드웨어로의 구성에 비해 제조 단가가 크게 절감되고, 중계기의 소형, 경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은, 도너 안테나(2)와, 도너 듀플렉서(4), 순방향 송수신부, 서비스 듀플렉서(8), 서비스 안테나(10), 역방향 송수신부(12), 로컬 주파수 발생기(14), RF 스위치(76), 믹서(Mixer)(78), 대역 통과 필터(80), 신호 증폭기(8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84),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86),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Micro Controller Unit; MCU)(88)로 구성된다.
상기 순방향 송수신부는 상기 도너 듀플렉서(4)를 통한 RF 신호에서 최소의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여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40)와, 로컬 주파수 발생기(14)로부터의 로컬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42),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 증폭기(44), 중간주파 증폭된 신호에서 여타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표면 탄성파 필터(Surface Acoustic Wave Filter)(46),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신호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48), 증폭된 신호를 출력신호의 레벨로 조정하기 위해 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기(50), 중간주파수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52), 상기 RF 신호에서 믹서(52)를 통해 혼합된 여타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54), 상기 RF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서비스 듀플렉서(8)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역방향 송수신부는 상기 도너 듀플렉서(4)를 통한 RF 신호에서 최소의 노이즈 성분을 포함하여 신호를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40)와, 로컬 주파수 발생기(14)로부터의 로컬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42),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주파 증폭기(44), 중간주파 증폭된 신호에서 여타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표면 탄성파 필터(Surface Acoustic Wave Filter)(46),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신호 증폭하는 신호 증폭기(48), 증폭된 신호를 출력신호의 레벨로 조정하기 위해 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기(50), 중간주파수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52), 상기 RF 신호에서 믹서(52)를 통해 혼합된 여타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통과 필터(54), 상기 RF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서비스 듀플렉서(8)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스위치(76)는 순방향 링크의 전력 증폭기(56)로부터의 최종 출력신호와 역방향 링크의 전력 증폭기(74)로부터의 최종 출력신호를 각각 커플링하고서, 스위칭 조작에 따라 순방향 출력신호 또는 역방향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게 된다.
상기 믹서(78)는 상기 RF 스위치(78)를 통해 선택적으로 입력받은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RF 출력신호를 로컬 주파수 발생기(14)로부터의 로컬 주파수 신호에 의해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80)는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에서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신호 증폭기(82)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신호 변환이 적합한 크기의 신호로 만들기 위해 신호 증폭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84)는 상기 신호 증폭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6)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한 기능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이용하여 주파수 성분을 검출함에 의해 스펙트럼 분석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의 상관성(Correlation) 연산에 의해 궤환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88)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8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 알고리즘에 따라 스펙트럼 분석부(Spectrum Analyzer; SA)(90)와, 궤환신호 검출부(Feedback Signal Detector; FSD)(92), 인터페이스 모듈(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펙트럼 분석부(90)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에 따라 로컬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로컬 주파수 발생 모듈(96)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84)로부터 디지털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와 로컬 주파수 발생 모듈(96)로부터의 로컬 주파수 신호를 믹싱하여 두신호의 주파수 차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믹서 모듈(98), 상기 주파수 믹서 모듈(98)을 통한 주파수 신호에서 협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협대역 통과 필터 모듈(100), 상기 협대역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는 파워 검출 모듈(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펙트럼 분석부(90)에서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의해 로컬 주파수 발생 모듈(96)의 로컬 주파수를 변환하여 상기 주파수 믹서 모듈(98)에 입력하게 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형태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중간주파수 신호에 대한 주파 수 성분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궤환신호 검출부(92)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84)로부터의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에서 궤환되는 입력신호의 상관성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관성 관계식에 의하여 궤환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신호 상관 검출 모듈(1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신호 상관 검출 모듈(104)의 상관성 관계식은 하기한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112007094564717-pat00001
단, 상기 n은 디지털 데이터의 몇번째 샘플인지를 나타내는 시간적인 개념의 변수이고, M은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샘플의 총 갯수를 의미하며, k는 원 신호와의 시간차를 나타내는 임의의 양의 정수를 의미하는 바, 이는 상관성의 특성상 어느 특정 지점에서의 시간차를 두고 상관성이 어느정도인지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94)은 상기 스펙트럼 분석부(90)로부터 분석된 주파수 성분의 신호와 상기 궤환 신호 검출부(92)로부터 측정된 궤환신호의 크기를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88)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88)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6)에서 분석된 주파수 성분과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를 제공받아 해당 중계기의 이득을 조절하거나 해당 중계기의 초기 설치시 설치 위치의 적합성을 통보하는 제어를 수행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88)에서는 해당 중계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면서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해당 중계기의 상태를 통보해주는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6)로부터의 주파수 성분 분석치와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에 따라 해당 중계기의 이득을 조절하거나, 상기 주파수 성분 분석치 및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를 기지국에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니트(88)에서 진행하는 이득 조절은 상기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에 따른 격리도를 해당 중계기의 초기 설치시에 미리 설정된 최소 격리도와 비교하여, 그 최소 격리도보다 낮아지게 되면 해당 중계기의 이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중계기의 이득을 조절한 이후에도 격리도에 이상이 계속발생되면 해당 중계기의 격리도 이상에 대한 경고 알람을 생성하여 기지국에 통보함으로써 중계기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중계기가 순방향 신호 및 역방향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진행하는 상태에서(단계 S10), RF 스위치(76)의 스위칭에 의해 순방향 링크 측의 전력 증폭기(56)에 커플링된 순방향 출력신호 또는 역방향 링크 측의 전력 증폭기(74)에 커플링된 역방향 출력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단계 S11).
믹서(78)에서는 상기 RF 스위치(76)를 통한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RF 출력신호를 로컬 주파수 발생기(14)로부터의 로컬 주파수 신호와 믹싱하여 중간주파수 신 호로 변환하게 되고, 대역 통과 필터(80)에서 중간주파수 신호의 특정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함과 더불어, 신호 증폭부(82)를 통해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가 신호 증폭된다(단계 S1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84)는 상기 신호 증폭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단계 S13), 디지털신호 처리부(86)의 스펙트럼 분석부(90)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기능 알고리즘에 따라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이용하여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게 되는 바, 로컬 주파수 발생 모듈(96)로부터의 로컬 주파수를 변경하여 주파수 믹서 모듈(98)에 제공하여 줌으로써, 주파수 믹서 모듈(98)을 통한 중간주파수 신호와 로컬 주파수 신호와의 주파수 차이가 협대역 통과 필터 모듈(100)을 통한 필터링과 파워 검출 모듈(102)을 통한 협대역 신호의 파워 측정에 의해 주파수 성분의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S14).
또한,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86)는 궤환신호 검출부(92)의 신호 상관 검출 모듈(104)에 의해 궤환되는 중간주파수 신호의 상관성을 계산하여 궤환 신호의 크기를 측정한다(단계 S15).
그 다음에, 상기 스펙트럼 분석부(90)로부터 분석된 주파수 성분의 분석치와, 상기 궤환 신호 검출부(92)로부터 측정된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가 인터페이스 모듈(94)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88)에 전달된다(단계 S16).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88)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 신호에 대한 주파수 성분의 분석치와 궤환신호의 크기 측정치를 근거로 하여 중계기의 격리도가 낮은지를 판단하여 중계기의 이득 조절이나, 해당 중계기를 초기 설치하는 경우에 설 치장소의 적합성 여부를 통보해 줄수 있게 된다(단계 S17).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신호 처리부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구성을 논리 블럭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6:RF 스위치, 78:믹서,
80:대역통과 필터, 82:신호 증폭기,
84: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86: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88: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MCU).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순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순방량 링크와, 역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역방향 링크를 갖춘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와 역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RF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주파수 성분 분석 및 신호 크기 측정이 가능한 신호 형태로 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측과 역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측을 각각 커플링하여 순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출력신호 또는 역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부에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스위칭되는 RF 스위치 및, 상기 신호 변환부를 통해 신호가 변환된 순방향 및 역방향 RF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주파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는,
    로컬 주파수를 변경하여 발생하는 로컬 주파수 발생 모듈과;
    상기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상기 로컬 주파수 발생 모듈의 로컬 주파수와 믹싱하여 두신호의 주파수 차신호를 발생하는 믹서;
    두신호의 주파수 차신호에서 필요한 협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협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협대역 통과 필터링된 주파수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여 주파수 성분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워 검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는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에서 궤환되는 신호의 상관성을 검출하기 위해,
    Figure 112009063799423-pat00002
    의 상관성 관계식을 이용하여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순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순방량 링크와, 역방향 신호를 중계하는 역방향 링크를 갖춘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측과 역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측에 각각 커플링되어 있는 RF 스위치의 선택적인 스위칭에 의해 순방향 링크로부터의 최종 출력신호 또는 역방향 링크의 최종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주파수 성분 분석 및 신호 크기 측정이 가능한 신호 형태로 신호를 변환 처리하는 제1단계와, 디지털신호 처리부(DSP)에서 상기 신호가 변환된 순방향 및 역방향 RF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주파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는 로컬 주파수를 변경하여 발생함에 의해, 변경되는 로컬 주파수마다 상기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를 믹싱하여 두 신호의 주파수 차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두신호의 주파수 차신호에서 필요한 협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협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협대역 통과 필터링된 주파수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여 주파수 성분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에서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의 궤환되는 신호의 상관성을 검출하기 위해,
    Figure 112009063799423-pat00003
    의 상관성 관계식을 이용하여 궤환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방법.
KR1020070140372A 2007-12-28 2007-12-28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72A KR100951375B1 (ko) 2007-12-28 2007-12-28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72A KR100951375B1 (ko) 2007-12-28 2007-12-28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304A KR20090072304A (ko) 2009-07-02
KR100951375B1 true KR100951375B1 (ko) 2010-04-08

Family

ID=4132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372A KR100951375B1 (ko) 2007-12-28 2007-12-28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3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52A (ko) * 2001-06-04 2001-11-08 이상문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신호의 파형을조절하는 장치
KR20040097683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간섭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52A (ko) * 2001-06-04 2001-11-08 이상문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신호의 파형을조절하는 장치
KR20040097683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간섭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중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304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98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easuring uplink traffic in signal repeating systems
CN104756414A (zh) 自身优化分布式天线系统的系统与方法
US10567093B1 (en) Combined parallel processing of spectral information for a radio frequency environment
CN102761382A (zh) 一种确定天线隔离度的方法、系统及相关装置
KR101361678B1 (ko)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위치 검출 방법
KR100542491B1 (ko)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KR100951375B1 (ko)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0330A (ko) 이동통신 및 휴대인터넷용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및 감시장치
KR101942492B1 (ko) 이동통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시스템
US20150230116A1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vswr determination device, and vswr determination method
KR20040108468A (ko) 시분할 이중화 시스템에서 기지국 신호로부터 송수신스위칭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517299A (zh) 一种基站互调信号检测方法及系统
KR100374024B1 (ko) 다중 주파수 할당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KR100683860B1 (ko) 이동통신용 중계기의 이득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416338B1 (ko) 전계강도 측정형 중계기 감시장치
KR100985950B1 (ko) 통신 중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신 중계 시스템
KR100268362B1 (ko) 수신안테나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0500876B1 (ko) 송신 궤환 신호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100985960B1 (ko) 통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53967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리피터의 전압 정재파비 측정장치 및그 방법
KR1008399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용 다운컨버터
KR2009003108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의발진처리시스템 및 발진처리방법
KR20040008692A (ko) 디지털 빔 포밍 시스템
KR100988767B1 (ko) 중계기의 열화 감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8300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신호를 이용한 경보 검출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