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536A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536A
KR20140031536A KR1020120097529A KR20120097529A KR20140031536A KR 20140031536 A KR20140031536 A KR 20140031536A KR 1020120097529 A KR1020120097529 A KR 1020120097529A KR 20120097529 A KR20120097529 A KR 20120097529A KR 20140031536 A KR20140031536 A KR 2014003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ime
base station
communication path
pa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764B1 (ko
Inventor
채웅식
조성민
심영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U 및 RU 분리형 구조 및 프론드홀의 이중화 구조를 갖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DU 및 RU 간을 연결하는 통신경로가 선로 고장, 운영자의 조작 등의 이유에 따라 다른 통신경로로 전환되더라고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를 분리하여 구성되는 기지국장치에서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데이터 이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이 더 높은 시스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의 구성이 일체화된 기존의 기지국장치 구조에서 DU 및 RU를 분리하여 하나의 DU와 여러 개의 RU를 매칭시킨 기지국장치의 구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DU를 코어망에 연결을 위한 백홀(Backhaul)과 DU 및 RU 간 연결을 위한 프론트홀(Fronthaul)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DU 및 RU 간 연결을 위한 프론트홀은 통신경로로서 광선로를 채택한다.
더불어,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광선로 단절 등의 고장을 감안하여 DU 및 RU 간 연결을 위한 통신경로를 2 이상으로 구비하는 이중화 구조를 채택한다. 이에,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하나의 통신경로를 통해 DU 및 RU 간 연결된 상태에서 광선로 단절 등의 고장이 발생하면 다른 통신경로로 전환하게 된다.
헌데, 광선로는 길이에 따른 지연(Delay)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DU 및 RU 간 연결을 위한 통신경로가 전술과 같이 전환되면, 전환된 통신경로 간의 길이 차이로 인해 DU 및 RU 간 신호 전송에 있어서 역시 통신경로 전환 전/후의 전송소요시간이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를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에는 콜 드롭(Call Drop)이 발생할 수 있고, 아이들 상태인 단말에는 콜 셋업(Call Setup)이 불가능해지는 등 서비스 중단이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무선통신부;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1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기지국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부와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통신 경로 중 제2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2전송소요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전송소요시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는 각각 상이한 경로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가장 긴 경로길이를 갖는 기준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전송소요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소요시간은, 상기 통신경로를 통한 신호의 전송 개시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 및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전송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시간은 통신경로의 경로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 및 상기 제2통신경로의 경로길이 차이를 기초로 하는 지연시간변동치를 확인하고, 상기 지연시간변동치를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전송시간에 부가하여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기지국모듈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하도록 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1통신경로를 통해 무선통신부와 기지국모듈이 연결되는 연결단계;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기지국모듈 간에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2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환확인단계; 및 전환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2전송소요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는 각각 상이한 경로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가장 긴 경로길이를 갖는 기준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전송소요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소요시간은, 상기 통신경로를 통한 신호의 전송 개시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 및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는,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전송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는,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DU 및 RU 분리형 구조 및 프론드홀의 이중화 구조를 갖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통신경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하나의 기지국모듈(40) 및 다수의 무선통신부(10,20,3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하나의 기지국모듈(40) 및 하나의 무선통신부(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지국모듈(40)은,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 분리형 구조에서 DU에 해당하며, 무선통신부(10,20,30)는 RU(Remote Unit)에 해당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에는, 기지국모듈(40) 및 다수의 무선통신부(10,20,30)를 연결하기 위한 프론트홀로서 통신경로(1,2,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통신부(10)는, 접속되는 단말로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부이다.
즉, 무선통신부(10)는,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D/A 변환한 후 업-컨버팅 처리 및 증폭 처리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역으로 처리하여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모듈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0)는, ADC(Analog Digital convertor), 트랜시버, 증폭기, 안테나, RF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모듈(40)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즉, 기지국모듈(40)은, 백홀(backhaul)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되어, 자신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자신의 셀 영역에서 접속된 단말로 음성 및 데이터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모듈(40)은, 무선통신부에 포함된 RF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저대역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DU 및 RU 일체형 구조에서는, DU 및 RU 간 신호의 타이밍을 고려할 필요가 없었으나, DU 및 RU 분리형 구조에서는 DU 및 RU 간 광선로 길이에 따른 지연(Delay)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DU는 자신에 연결된 각 RU까지의 광선로 길이에 해당하는 지연만큼 신호의 전송시점을 보상함으로써 모든 RU의 신호 타이밍을 일치시키게 된다.
즉, 기지국모듈(40)은, 자신에 연결된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의 신호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해, 각 무선통신부(10,20,30) 별로 현재 연결된 통신경로의 길이를 고려한 지연시간을 결정하는 지연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된 각 무선통신부(10,20,30) 별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각 무선통신부(10,20,30)로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점을 보상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예를 들어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연결된 통신경로가 가장 길고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20) 간에 연결된 통신경로가 가장 짧은 경우, 기지국모듈(40)은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가장 먼저 무선통신부(20)로의 신호를 전송 개시하고 이후 무선통신부(30), 이후 무선통신부(10)의 순서로 신호를 전송 개시할 것이다.
여기서, 기지국모듈(40)이 각 무선통신부에 대하여 지연설정동작을 수행하여 결정한 전송시간은, 기지국모듈(40)이 지연설정동작을 재수행하기 전에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과 같은 기지국장치(100)에서 무선통신부(10)를 예로서 언급하여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통신경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 및 RU 분리형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통신경로 단절 등의 고장을 감안하여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통신경로를 2 이상 구비하는 이중화 구조를 채택한다.
도 2에서는 기지국장치(100)에서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제1통신경로(1b)와 제2통신경로(1a)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하향링크를 기준으로 기지국모듈(40)의 뒷단 및 무선통신부(10)의 앞단에는 프론트홀장비, 예컨대 전송장비(45,1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하나 예컨대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1통신경로(1b)의 단절 등의 고장 또는 운용자의 예고되지 않은 조작 등의 전환상황을 확인하게 되면 전송장비(45) 및 전송장치(15) 중 하나가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 연결을 제1통신경로(1b)에서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다른 하나 예컨대 제2통신경로(1a)로 전환하게 된다.
물론, 전송장비(45) 및 전송장치(15) 이외에도 기지국모듈(40) 또는 무선통신부(10)가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 연결되는 통신경로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전술의 도 2에서는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프론트홀 이중화 구조로서, P-to-P 토폴로지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 외에도 Star, Ring, Mesh 토폴로지 등 다양한 이중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무선통신부(10)와,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1통신경로를 통해 무선통신부(10)와 연결되는 기지국모듈(40)와, 무선통신부(10)와 기지국모듈(40)이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통신 경로 중 제2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2전송소요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은, 전술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연결을 지원하는 2 이상의 통신경로로서 제1통신경로(1b)와 제2통신경로(1a)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50')는, 무선통신부(10)와 기지국모듈(40)이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하나 예컨대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통신경로 예컨대 제2통신경로(1a)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모듈(40)은, 자신에 연결된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에 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경로의 길이를 고려한 지연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된 각 무선통신부(10,20,30) 별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각 무선통신부(10,20,30)로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점을 보상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기지국모듈(40)은, 각 무선통신부(10,20,30) 중 무선통신부(10)에 대해서는, 현재 연결된 제1통신경로(1b)를 고려한 지연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결정된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무선통신부(10)로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점을 보상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무선통신부(10)에 연결된 단말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이 때, 제1통신경로(1b)의 단절 등의 고장 또는 운용자의 예고되지 않은 조작 등의 전환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전술한 설명과 같이 프론트홀장비로서 구비된 전송장비(45) 및 전송장치(15) 중 하나에 의해 다른 통신경로 예컨대 제2통신경로(1a)로 연결이 전환될 것이다.
이에,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50')는, 전송장비(45) 및 전송장치(15) 중 하나에 의해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연결상태가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50')는,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는 것이 확인되면,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1전송소요시간 및 제2통신경로(1a)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2전송소요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2 이상의 통신경로, 즉 제1통신경로(1b) 및 제2통신경로(1a)는 각각 상이한 경로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1통신경로(1b) 및 제2통신경로(1a)는 광선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50')는,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가장 긴 경로길이를 갖는 기준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전송소요시간을 확인하고, 제1전송소요시간 및 제2전송소요시간이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송소요시간은, 통신경로를 통한 신호의 전송 개시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 및 통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송시간은, 통신경로의 경로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시간은, 통신경로의 경로길이 및 단위 길이에 따른 전송시간파라미터(예 : 5μsec/Km)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에, 제1전송소요시간은, 기지국모듈(40)이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연결된 상태의 제1통신경로(1b)를 고려하여 수행한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과,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기지국모듈(40)이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지연설정동작을 수행하여 결정한 전송시간은, 기지국모듈(40)이 지연설정동작을 재수행하기 전에는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기준전송소요시간은, 기지국모듈(40)이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기 수행한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과, 기준통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을 조절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 및 제2통신경로(1a)의 경로길이 차이를 기초로 하는 지연시간변동치를 확인하고, 상기 지연시간변동치를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에 부가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경로(1b)이 가장 긴 경로길이를 갖는 기준통신경로인 경우,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가 바로 제1통신경로(1b)의 경로길이일 것이다.
따라서,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는, 확인되는 지연시간변동치가 0값이기 때문에 지연시간변동치를 부가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기지국모듈(40)이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제1통신경로(1b)를 고려하여 수행한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 및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포함하는 제1전송소요시간이 바로 기준전송소요시간일 것이다.
한편,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전술과 같이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 연결상태가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면,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 및 제2통신경로(1a)의 경로길이 차이를 기초로 하는 지연시간변동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지연시간변동치는,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에서 제2통신경로(1a)의 경로길이를 뺀 차이길이 및 통신경로의 단위 길이에 따른 전송시간파라미터(예 : 5μsec/Km)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확인한 지연시간변동치를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에 부가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제2통신경로(1a)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전술의 확인한 지연시간변동치 만큼 버퍼링 처리한 후 전송하는 방식으로, 지연시간변동치를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에 부가할 수 있다. 물론,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이외에도 다양한 시간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지연시간변동치를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에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 제2전송소요시간은, 기지국모듈(40)이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기 수행한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과, 제2통신경로(1a)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과, 지연시간변동치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 연결상태가 제2통신경로(1a)에서 다시 제1통신경로(1b)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확인되는 지연시간변동치가 0값이기 때문에 지연시간변동치를 부가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제1통신경로(1b)를 고려하여 수행한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 및 제1통신경로(1b)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을 포함하는 제1전송소요시간이 바로 기준전송소요시간일 것이다.
여기서, 전술의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도 3에서는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와 별도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실시예일 뿐이며, 기지국모듈(40) 또는 무선통신부(10)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2의 프론트홀장비 즉 전송장비(45) 또는 전송장치(15)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2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기지국모듈(40)과의 연동을 통해 기지국모듈(40)이 제2전송소요시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도록 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는,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연결상태가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는 것과 관련된 상태전환정보를 기지국모듈(40)에 제공하여, 기지국모듈(40)이 제2전송소요시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가 도 2에 도시된 프론트홀장비 즉 전송장비(45) 또는 전송장치(15)에 포함되는 경우,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 및 기지국모듈(40) 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에,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 및 기지국모듈(40) 간의 별도의 통신채널 추가함으로써 이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가 상태전환정보를 기지국모듈(40)에 제공할 수 있고, 또는 기지국모듈(40)의 망장비(예 :EMS) 및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의 망장비(예 :EMS) 를 IP네트워크 상에서 연동함으로써 이 연동경로를 통해 전송소요시간제어부(50')가 상태전환정보를 기지국모듈(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기지국모듈(40)은, 수신되는 상태전환정보에 따라,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현재 연결된 상태의 제2통신경로(1a)를 고려하여 지연설정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2전송소요시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전술의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지연시간변동치 만큼 신호의 전송 개시를 추가로 늦출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따르면, DU 및 RU 분리형 구조 및 프론드홀의 이중화 구조를 갖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40)에서 자신에 연결된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의 신호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해, 각 무선통신부(10,20,30) 별로 현재 연결된 통신경로의 길이를 고려한 지연시간을 결정하는 지연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된 각 무선통신부(10,20,30) 별 지연시간을 설정한다(S1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40)에서 설정한 각 무선통신부(10,20,30) 별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각 무선통신부(10,20,30)로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시점을 보상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무선통신부(10,20,30)에 대하여 연결된 통신경로에서 다른 통신경로로 연결이 전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연결상태가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는 것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연결상태가 전환되는 것이 확인되면(S120),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을 조절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한다(S130,S14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 연결상태가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면,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 및 제2통신경로(1a)의 경로길이 차이를 기초로 하는 지연시간변동치를 확인한다(S13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확인한 지연시간변동치를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에 부가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에 제2통신경로(1a)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전술의 확인한 지연시간변동치 만큼 버퍼링 처리한 후 전송하는 방식으로, 지연시간변동치를 제2전송소요시간의 전송시간에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해 제어된 제2전송소요시간은, 기지국모듈(40)이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기 수행한 지연설정동작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과, 제2통신경로(1a)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과, 지연시간변동치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S100~S120단계와 동일하게 S200~S220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연결상태가 전환되는 것이 확인되면(S220), 기지국모듈(40)이 제2전송소요시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한다(S230,S240).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40) 및 무선통신부(10) 간의 연결상태가 제1통신경로(1b)에서 제2통신경로(1a)로 전환되는 것과 관련된 상태전환정보를 기지국모듈(40)에 제공한다(S230).
이에, 기지국모듈(40)은, 수신되는 상태전환정보에 따라, 무선통신부(10)에 대하여 현재 연결된 상태의 제2통신경로(1a)를 고려하여 지연설정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2전송소요시간의 지연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어 전술의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지연시간변동치 만큼 신호의 전송 개시를 추가로 늦출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S2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DU 및 RU 분리형 구조 및 프론드홀의 이중화 구조를 갖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 내에서 DU 및 RU 간 통신경로가 전환되더라고 항상 동일한 전송소요시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0 : 무선통신부 40 : 기지국모듈
50, 50' : 전송소요시간제어부

Claims (11)

  1. 무선통신부;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1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기지국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부와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통신 경로 중 제2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2전송소요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전송소요시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는 각각 상이한 경로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가장 긴 경로길이를 갖는 기준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전송소요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소요시간은,
    상기 통신경로를 통한 신호의 전송 개시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 및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전송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시간은 통신경로의 경로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기준통신경로의 경로길이 및 상기 제2통신경로의 경로길이 차이를 기초로 하는 지연시간변동치를 확인하고, 상기 지연시간변동치를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전송시간에 부가하여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부는,
    상기 기지국모듈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하도록 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1통신경로를 통해 무선통신부와 기지국모듈이 연결되는 연결단계;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기지국모듈 간에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제2통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환확인단계; 및
    전환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1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제2전송소요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는 각각 상이한 경로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통신경로 중 가장 긴 경로길이를 갖는 기준통신경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전송소요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제1전송소요시간 및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소요시간은,
    상기 통신경로를 통한 신호의 전송 개시를 지연시키는 지연시간 및 상기 통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소요되는 전송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는,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전송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소요시간제어단계는,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제2전송소요시간의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2전송소요시간이 상기 기준전송소요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097529A 2012-09-04 2012-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3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29A KR101936764B1 (ko) 2012-09-04 2012-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29A KR101936764B1 (ko) 2012-09-04 2012-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36A true KR20140031536A (ko) 2014-03-13
KR101936764B1 KR101936764B1 (ko) 2019-01-11

Family

ID=5064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29A KR101936764B1 (ko) 2012-09-04 2012-09-0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802A (ko) * 2015-02-10 2016-08-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415A (ko) * 2007-12-31 2009-07-0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동기 방법, 이를 위한기지국, 메인 유닛, 및 리모트 유닛
KR20100080267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기지국, 기지국의 링크 장애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415A (ko) * 2007-12-31 2009-07-0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동기 방법, 이를 위한기지국, 메인 유닛, 및 리모트 유닛
KR20100080267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기지국, 기지국의 링크 장애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802A (ko) * 2015-02-10 2016-08-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764B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8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service reliability and network virtualization system
US8768416B2 (en)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404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pagation dela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622794A (zh) 用于网络信号的时分双工放大器
JP5569339B2 (ja) 基地局、検出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検出方法
WO2010050529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無線通信方法、中継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US9848379B2 (en) Cascad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481428B1 (ko)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의 라우팅 방법 및 장치
US8897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ath between multiple digital units and multiple radio frequency uni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252497A (zh) Mesh数字微波通信系统架构及业务传递的方法
CN113498621B (zh) 多ue设备的故障恢复
KR10193676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78575B1 (ko) 프론트홀 망에서의 프로텍션 방법 및 시스템
JP6810016B2 (ja) 光通信機器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JP2010118970A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上でのデータ通信方法
WO2018012480A1 (ja) 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4125761A1 (ja) 無線伝送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障害制御方法
KR20150016840A (ko) 신호경로절체장치 및 신호경로절체장치의 동작 방법
CN111970290B (zh) 一种基于VoIP地空语音通信的多载波延时补偿方法
JP5636558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4053699A (ja)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60165509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 through heterogeneous networks by gateways and method thereof
US8737506B1 (en) Determination of transmit diversity transmission delays
US2018002743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462433B1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회선을 재설정하기 위한 회선 재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