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893A -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893A
KR20140030893A KR1020120097625A KR20120097625A KR20140030893A KR 20140030893 A KR20140030893 A KR 20140030893A KR 1020120097625 A KR1020120097625 A KR 1020120097625A KR 20120097625 A KR20120097625 A KR 20120097625A KR 20140030893 A KR20140030893 A KR 2014003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 tube
volume expansion
unit
cylinder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188B1 (ko
Inventor
박석준
윤형학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1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77Doors or covers for launch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관 내부의 온도, 압력, 체적 등을 조절하는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율 운동체가 내장된 발사관; 발사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측정부; 및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발사관의 내부에 있는 기체의 체적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내부 상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습기가 발사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주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고 발사관 내부 압력이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Apparatus and system for regulating internal state of launching tube}
본 발명은 발사관 내부의 상태를 조절하는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사관 내부의 온도, 압력, 체적 등을 조절하는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사관은 미사일을 발사할 때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평소에는 내장된 미사일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미사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발사관은 보통 야전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발사관 내부는 외부와 평형 상태를 이루려 하기 때문에 낮과 밤의 변화, 날씨의 변화,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주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래서 발사관 내부는 주변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온도나 압력이 변화된다. 이는 강도가 약한 발사관 덮개에 지속적으로 피로를 발생시키게 하여, 결국 피로 현상으로 덮개가 파괴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덮개의 강도를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키우는 방법(이하 방법 A), 발사관에 브래스 밸브를 적용하는 방법(이하 방법 B), 발사관에 체크 밸브를 적용하는 방법(이하 방법 C) 등이 대안으로 제안되었으나, 각각의 대안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동일 압력이라도 발사관 직경이 커질 경우 덮개도 발사관 직경만큼 커지기 때문에 덮개가 받는 힘은 직경에 비례하여 점점 커지게 된다. 방법 A의 경우, 덮개의 강도를 증가시키기에 한계가 있어 소형 발사관에만 적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사일 탄 내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탄의 상태를 점검할 때에 대기압 외에 온도에 의해 발생된 압력도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브래스 밸브는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만 통과시키는 반투막 기능이 있는 밸브이다. 방법 B는 발사관 표면의 위치에 구멍을 뚫어 브래스 밸브로 막음으로써 덮개가 쉽게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방법 B는 브래스 밸브를 통해 외부 습기가 발사관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습제의 교환 주기가 가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사관이 해안 근처에 배치될 경우 염분으로 인해 반투막의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브래스 밸브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다.
체크 밸브는 보통의 대기압 상태에서는 닫혀 있다가 특정압(밸브 선택 기준이며, 양압이나 음압을 별도로 선정하기도 함)에서 열리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예컨대, 미사일을 발사관에 최초 장입하여 덮개 등의 조립이 완료되어 밀폐된 시점의 온도를 최초 온도로 정의할 때, 아침/저녁, 겨울/여름 등의 온도가 최초 온도에 대비할 때 높으면 양압이 형성되고 낮으면 음압이 형성되며, 특정압 도달시 밸브가 열리게 되며, 열리는 시점의 온도가 다시 발사관의 최초 온도로 바뀌게 된다. 방법 C는 발사관 표면의 위치에 구멍을 뚫어 체크 밸브로 막음으로써 덮개가 쉽게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방법 C는 방법 B와 마찬가지로 밀폐된 상태와 비교할 때 제습제의 교환 주기가 빨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법 C는 방법 B와 마찬가지로 미사일 보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발사관 내부 기체로 질소 등의 특수 가스를 공기 대신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사관 내부와 연결되어 발사관 내부의 온도, 압력, 체적 등을 조절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율 운동체가 내장된 발사관; 상기 발사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측정부; 및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있는 기체의 체적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내부 상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상태 조절부는, 통 형상의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내장되어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 막대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 및 상기 결과를 기초로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를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밀거나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당기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의 일표면에 눈금들이 숫자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는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에 형성된 눈금들 중에서 상기 실린더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얻은 직선과 만나는 눈금이 상기 결과에 부합하도록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를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밀거나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당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는 상기 직선으로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의 삽입을 위해 상기 실린더부에 형성된 구멍에 대한 접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은 상기 발사관 내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사관 내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 사이에서 출입되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체 흐름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며, 이때의 내부 상태 조절부는, 통 형상의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내장되어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 막대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 및 상기 기체의 체적을 수축시킬 때에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를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미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상태 조절부는 기준 압력과 상기 측정된 내부 온도의 곱을 기준 온도로 나눈 값을 상기 결과로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관은, 내부에 상기 자율 운동체의 내장을 위한 빈 공간이 구비되는 발사관 몸체; 상기 자율 운동체의 내장이 가능하게 상기 발사관 몸체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부; 및 상기 공간에 접하는 상기 발사관 몸체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된 홈에 탑재되며 상기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제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율 운동체가 내장된 발사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측정부; 및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있는 기체의 체적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내부 상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발사관 내부와 연결되어 발사관 내부의 온도, 압력, 체적 등을 조절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외부로부터 습기가 발사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기존 대안들(방법 B와 방법 C)보다 제습제의 교환 시기가 연장된다. 세째, 발사관 내부 기체로 공기 대신 질소 등의 특수 가스를 이용할 수 있어 미사일 등 자율 운동체의 보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째, 주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고 발사관 내부 압력이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상태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사관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미사일이 탑재된 발사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발사관과 체적 팽창/수축 장치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적 팽창/수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체적 팽창/수축 장치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100)은 발사관(110), 및 내부 온도 측정부(120)와 내부 상태 조절부(130) 및 주제어부(140)를 구비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160)를 포함한다.
발사관(110)은 자율 운동체가 내장된 것이다. 자율 운동체에는 예컨대 미사일이 있다.
발사관(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관 몸체(111), 덮개부(112) 및 습기 제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사관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발사관 몸체(111)는 내부에 자율 운동체의 내장을 위한 빈 공간이 구비되는 것이다.
덮개부(112)는 자율 운동체의 내장이 가능하게 발사관 몸체(111)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습기 제거부(113)는 상기 공간에 접하는 발사관 몸체(111)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된 홈에 탑재되며 상기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온도 측정부(120)는 발사관(1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 상태 조절부(130)는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발사관(110) 내부에 있는 기체의 체적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 상태 조절부(130)는 기준 압력과 측정된 내부 온도의 곱을 기준 온도로 나눈 값을 상기 결과로 이용할 수 있다.
내부 상태 조절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131), 피스톤부(132),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 및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상태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린더부(131)는 통 형상의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것이다.
피스톤부(132)는 실린더부(131)에 내장되어 실린더부(131) 내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것이다.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는 막대 형상의 것으로서 실린더부(131)를 관통하여 피스톤부(132)의 일측에 결합된다.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134)는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를 실린더부(131) 내부로 밀거나 실린더부(132) 외부로 당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의 일표면에는 눈금들이 숫자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134)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에 형성된 눈금들 중에서 실린더부(131)의 일표면으로부터 얻은 직선과 만나는 눈금이 상기 결과에 부합하도록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를 실린더부(131) 내부로 밀거나 실린더부(131) 외부로 당길 수 있다.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134)는 상기 직선으로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의 삽입을 위해 실린더부(131)에 형성된 구멍에 대한 접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눈금들은 예컨대 온도값을 표시하는 것들일 수 있다.
주제어부(140)는 내부 온도 측정부(120)와 내부 상태 조절부(13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100)은 기체 흐름 제어부(15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기체 흐름 제어부(150)는 발사관(110) 내부와 실린더부(131)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발사관(110) 내부와 실린더부(131) 내부 사이에서 출입되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기체 흐름 제어부(150)는 연결관 일측에 형성된 개폐 밸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100)이 기체 흐름 제어부(150)를 더욱 포함할 경우,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134)는 발사관(110) 내부 기체의 체적을 수축시킬 때에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를 실린더부(131) 내부로 미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발사관(110) 내부 기체의 체적을 팽창시키려 할 때에는 발사관(110) 내부의 온도나 압력이 주변의 온도나 압력보다 큰 상태이다. 그래서 연결관 상의 개폐 밸브를 개방시킬 경우 발사관(110) 내부 기체가 연결관을 통해 실린더부(131)로 유입되어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가 실린더부(131) 외부로 자연적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134)가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133)를 실린더부(131) 외부로 당겨지도록 제어하는 기능은 연결관 상의 개폐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으로도 달성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미사일이 탑재된 발사관의 구조도이다. 도 4에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발사관(400)은 미사일(410), 덮개(420), 공기층(430) 및 제습제(440)를 포함한다.
덮개(420)는 발사관(400)의 전방 또는 전/후방에 위치하며, 평소 발사관(400)의 기밀 유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덮개(420)는 미사일(410) 발사시 발사관(400) 내 미사일(410) 폭발 추진압에 의해 파괴되며, 이 폭발 추진압에 의해 미사일(410)은 발사관(400) 밖으로 이탈된다. 이런 기능적 특성으로 덮개(420)는 보통 비금속 재질의 크지 않은 강도를 가지는 구조로 제작된다.
발사관(400)은 미사일(410) 발사시 가이드 역할을 하며, 평소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미사일(4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전자 부품이 많은 미사일(410)을 외부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제습제(440)는 발사관(400) 내 포함된 공기층(430)의 수분을 흡수하여 발사관(400) 내부의 공기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제습제(440)는 미사일(410)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사관(400) 내에 설치되며, 필요시(ex. 제습제 성능 저하시) 기능 유지를 위해 새 것으로 교체된다.
발사관(400) 내부에는 미사일(410)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인 공기층(430)이 존재한다. 이 공기층(430)은 발사관(400)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그 체적이 팽창/수축하려 하며, 팽창/수축이 불가한 밀폐된 상태라면 압력이 증가/감소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체적 팽창/수축 불가능시 : P2 = (P1 × T2) ÷ T1
체적 팽창/수축 가능시 : V2 = (V1 × T2) ÷ T1
상기에서 P1은 초기 압력을 의미하고 P2는 변화 후 압력을 의미한다. T1은 초기 온도를 의미하고 T2는 변화 후 온도를 의미한다. V1은 초기 체적을 의미하고 V2는 변화 후 체적을 의미한다. 초기 압력, 초기 온도, 초기 체적은 예컨대 미사일(410)을 발사관(400)에 최초 장입하여 덮개(420) 등의 조립이 완료되어 밀폐된 시점의 압력, 온도, 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발사관과 체적 팽창/수축 장치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의 체적 팽창/수축 장치(500)는 도 1의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16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도 5와 같은 연결 구성을 통해 외부 습기를 완전 차단하며, 외부 온도 변화에 연동되어 발사관(400) 내부 공기층의 체적 팽창/수축이 가능해진다. 도 5와 같은 연결 구성을 숨쉬는 발사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적 팽창/수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에서 (a)는 측단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한다.
체적 팽창/수축 장치(500)는 실린더(510), 실린더 덮개(520), 피스톤(530), 눈금 막대(540), 피스톤 O링(550), 외부 개폐 밸브(560) 및 고정용 다리(570)로 구성된다. 눈금 막대(540)에는 발사관(400)의 운영 온도를 포함하는 눈금이 막대에 각인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적 팽창/수축 장치(500)는 연결 호스(580)와 플러그(590)를 통해 발사관(400)에 연결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체적 팽창/수축 장치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발사관에 최초 온도가 24℃에서 미사일 장입이 작업된 경우, 외부 개폐 밸브(560)를 개방한 후 눈금 막대(540)를 도 7과 같이 24℃ 눈금으로 세팅한 후 다시 외부 개폐 밸브(560)를 막아서 최종 작업을 완료한다.
이후 발사관이 -17℃의 온도가 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면 도 8과 같이 체적 팽창/수축 장치(500)가 수축이 되며, 다시 발사관이 42.5℃의 온도가 되었을 때의 상태는 도 9와 같이 체적 팽창/수축 장치(500)가 팽창이 된다. 이와 같은 원리는 V2 = (V1 × T2) ÷ T1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제작 방법
전술한 발사관 내부 상태식 중 체적 팽창/수축 가능한 경우의 식 V2 = (V1 × T2) ÷ T1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의 최대 체적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미사일이 장입된 발사관의 야전 운영 가능 온도가 -20 ~ 44℃라면, 위의 식 중 T1과 T2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T1 (min) : 상온 -20℃ + 273
T2 (max) : 운영가능온도 44℃ + 273
각 부위의 체적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Vc : 발사관 내의 공기의 체적
Vh : 연결 호스의 공기의 체적
Vs : 체적 팽창/수축 장치 내의 체적
발사관의 온도가 44℃가 될 때의 체적량 V2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V2 = (V1 × T2)/T1
V2 = ((Vc + Vh) × T2)/T1
계산된 V2를 이용하여 다시 체적 팽창/수축 장치가 필요로 하는 최대 체적 Vs를 아래와 같이 얻게 된다.
Vs = V2 - Vc - Vh
또한 눈금 막대에 Vs(0%) ~ Vs(100%)의 해당되는 온도를 도 7의 "온도 읽는 위치"를 기준으로 표시(각인)한다.
- 사용 방법
1. 최초 미사일 생산시
먼저, 미사일을 발사관에 장입한 후 덮개를 닫는다. 이후, 외부 개폐 밸브를 연다. 이후, 작업장 온도를 계측한다. 이후, "온도 읽는 위치"에 눈금 막대의 온도를 작업장 계측 온도로 맞춘다. 이후, 외부 개폐 밸브를 닫는다.
2. 야전 정비시(덮개나 제습제 등 수선 교체시)
먼저, 정비를 마친다. 덮개를 닫고, 외부 개폐 밸브를 연다. 이후, 외기 온도를 계측한다. 이후, "온도 읽는 위치"에 눈금 막대의 온도를 계측된 온도로 맞춘다. 이후, 외부 개폐 밸브를 닫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110 : 발사관
111 : 발사관 몸체 112 : 덮개부
113 : 습기 제거부 120 : 내부 온도 측정부
130 : 내부 상태 조절부 131 : 실린더부
132 : 피스톤부 133 :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
134 :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 150 : 기체 흐름 제어부
160 :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Claims (8)

  1. 자율 운동체가 내장된 발사관;
    상기 발사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측정부; 및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있는 기체의 체적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내부 상태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절부는,
    통 형상의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내장되어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
    막대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 및
    상기 결과를 기초로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를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밀거나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당기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의 일표면에 눈금들이 숫자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는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에 형성된 눈금들 중에서 상기 실린더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얻은 직선과 만나는 눈금이 상기 결과에 부합하도록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를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밀거나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는 상기 직선으로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의 삽입을 위해 상기 실린더부에 형성된 구멍에 대한 접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 내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사관 내부와 상기 실린더부 내부 사이에서 출입되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체 흐름 제어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내부 상태 조절부는,
    통 형상의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내장되어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
    막대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 및
    상기 기체의 체적을 수축시킬 때에 상기 체적 팽창/수축 조절부를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미는 체적 팽창/수축 조절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조절부는 기준 압력과 상기 측정된 내부 온도의 곱을 기준 온도로 나눈 값을 상기 결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은,
    내부에 상기 자율 운동체의 내장을 위한 빈 공간이 구비되는 발사관 몸체;
    상기 자율 운동체의 내장이 가능하게 상기 발사관 몸체의 일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부; 및
    상기 공간에 접하는 상기 발사관 몸체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된 홈에 탑재되며 상기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제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시스템.
  8. 자율 운동체가 내장된 발사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측정부; 및
    측정된 내부 온도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사관의 내부에 있는 기체의 체적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내부 상태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KR1020120097625A 2012-09-04 2012-09-04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KR10138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25A KR101388188B1 (ko) 2012-09-04 2012-09-04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25A KR101388188B1 (ko) 2012-09-04 2012-09-04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93A true KR20140030893A (ko) 2014-03-12
KR101388188B1 KR101388188B1 (ko) 2014-04-23

Family

ID=5064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25A KR101388188B1 (ko) 2012-09-04 2012-09-04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1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4246A (zh) * 2017-03-28 2017-08-04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半潜式无人探测船气象探空火箭决策和发射系统及方法
CN107228599A (zh) * 2017-07-11 2017-10-03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加热保温贮运发射箱
CN111595199A (zh) * 2020-05-14 2020-08-28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发射箱加热控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538B1 (ko) 2022-12-16 2023-07-1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발사관의 가스 누출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06A (ja) * 1991-07-31 1994-02-04 Tosoh Corp 体積測定方法及び装置
JPH06215956A (ja) * 1993-01-18 1994-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油タンク
FR2767914B1 (fr) 1997-08-28 1999-10-22 France Etat Conteneur de stockage et de lancement d'une arme du type torpille
KR100805928B1 (ko) * 2006-08-08 2008-02-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부피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4246A (zh) * 2017-03-28 2017-08-04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半潜式无人探测船气象探空火箭决策和发射系统及方法
CN107228599A (zh) * 2017-07-11 2017-10-03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加热保温贮运发射箱
CN111595199A (zh) * 2020-05-14 2020-08-28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发射箱加热控制装置
CN111595199B (zh) * 2020-05-14 2022-12-23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发射箱加热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188B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188B1 (ko) 발사관 내부 상태 조절 장치 및 시스템
ES2402140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de posición de pistón de acumulador
KR102427571B1 (ko) 양궁 활용 모니터링 시스템,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US95468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on of propellant transfer in an ion propulsion system
WO2015011437A3 (en) Air cannon and associated launch canister for a line-fouling system
KR20120010339A (ko) 초고속 튜브 트레인 아진공 열차주행 시험 장치
KR102113887B1 (ko) 어뢰 발사 테스트 장치
US8151639B2 (en) Quick test tool and method of aircraft airspeed indicator
JP6866063B2 (ja) 圧縮流体を使用して発射体を発射するための装置
KR101960000B1 (ko) 수중 이동체의 자동 출발 발사 시스템으로 구성된 수중 엔진
US20140102551A1 (en) Equipment comprising at least one hydropneumatic accumulator with automated maintenance
KR101951263B1 (ko) 수중 이동체의 발사 시스템으로 구성된 수중 엔진
KR101564552B1 (ko) 초고속 밸브를 적용한 공압식 열차 모형 주행 시험 장치
JP2006047131A (ja) ヘイルインパクト試験装置、及び方法
KR200493241Y1 (ko) 무장의 수평발사관 해수유입부 개폐장치
KR101156129B1 (ko) 피드백 제어를 이용한 발사시험용 공압생성장치, 이를 구비한 발사시험 시스템 및 발사시험용 공압생성 방법
KR20150049870A (ko) 워터 램 방식 기반의 압력 제어를 위한 어뢰 발사관 피스톤 구조
RU2011152887A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мотанной/оставшейся длины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в катуш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й, в частности, в подводном боевом средстве
KR101165754B1 (ko) 예비압력선도를 이용한 발사시험용 공압생성장치, 이를 구비한 발사시험 시스템 및 발사시험용 공압생성 방법
EP1895264B1 (en) Torpedo
KR20200030931A (ko) 선박 배관체계 손상모사 시험시스템
RU2253095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расходны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дренажных устройств отсек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013139531A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стойкости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действию замерзающей воды в защитном полимерном трубопроводе
RU2402465C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й на ресурс гидроаккумулятора системы терморегулирования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Zuo et al. Modeling and enhancement of Mckibben pneumatic muscle actu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