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294A - Fluid cu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luid cut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294A
KR20140030294A KR1020140018827A KR20140018827A KR20140030294A KR 20140030294 A KR20140030294 A KR 20140030294A KR 1020140018827 A KR1020140018827 A KR 1020140018827A KR 20140018827 A KR20140018827 A KR 20140018827A KR 20140030294 A KR20140030294 A KR 20140030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holes
tube
fluid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949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02025A/en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ublication of KR2014003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294A/en
Priority to PCT/KR2014/0120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882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cutter, wherein a plurality of balls, a roller, a ball plunger, a valve piece, an elastic piece, a sliding piece or a seesaw piece are interposed as an opening or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n an inner tube that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n the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 outer tube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s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one of either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is a rotator and the other a fixture; and one of either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is connected to a fluid supply source which supplies a fluid that becomes a bubble or a drop.

Description

유체절단기{fluid cutting apparatus}Fluid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체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체, 액체, 또는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태인 유체를 미세한 버블 또는 방울로 절단하는 유체절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cutt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cutting machine for cutting a gas, a liquid, or a fluid between a solid and a liquid into fine bubbles or drops.

버블은 액체에 존재하는 기체의 주머니, 즉 기포를 뜻하고, 방울은 기체에 존재하는 액체의 주머니를 뜻한다.Bubble refers to a bag of gas, or bubble, present in a liquid, and a bubble refers to a bag of liquid present in a gas.

버블 또는 방울 직경이 100 ㎛ 정도인 작은 버블 또는 방울은 마이크로 버블 또는 방울이라고 불리고, 통상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에 비하여 체적 표면적이 크며, 액체 또는 기체 중의 체류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액 계면에서의 물량 수송이나 화학 반응,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여러가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Small bubbles or droplets having a bubble or droplet diameter of about 100 μm are called microbubbles or droplets, and have a large volume surface area and a long residence time in a liquid or gas as compared to bubbles or droplets of a diameter, and thus transport the quantity at the gas-liquid interface. However, various applications using chemical reactions,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properties are expected.

또한, 상기 마이크로 방울은 상기 방울과 다른 재질의 액체 중에 혼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icro drop may be incorporated into a liqui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drop.

일반적으로, 유체를 절단하여 마이크로 버블 또는 방울을 발생시키는 유체절단기에서는, 다공질체를 통해 액체에 기체를 불어넣거나 액체 또는 기체에 액체를 불어넣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a fluid cutter which cuts a fluid to generate micro bubbles or drops, a method of blowing a gas into a liquid or a liquid or a gas into a liquid through a porous body is used.

특히 유체절단기로서는, 압축기 등의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물이 흐르는 관에 다공질체를 통해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있다.In particular, the fluid cutting machine may generate fine bubbles by supplying gas through a porous body to a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s from a gas supply device such as a compressor.

또한, 최근 개발된 유체절단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여 버블을 잘게 나누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In addition, in the recently developed fluid cutting machine, a method of dividing the bubble finely by applying a shear force to the bubble surface is often used.

이러한 유체절단기로서는, 원추형의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공간의 내벽 원주면의 일부에 그 접선 방향으로 개구된 가압 액체 도입구와, 상기 원추형 공간의 바닥부에 개구된 기체 도입 구멍과, 상기 원추형 공간의 꼭대기부에 개구된 선회 기액 도출 구멍으로 구성된 선회식 유체절단기가 있다.As such a fluid cutting machine,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body having a conical space, a pressurized liquid inlet opening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a part of the inner wall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 a gas introduction hole open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conical space, and the conical shape. There is a swivel fluid cutter which consists of a vortex gas-liquid extraction hole opened at the top of the space.

하지만, 다공질체를 이용한 유체절단기에서는, 다공질체로부터 버블이 잘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버블이 다공질체의 구멍 직경보다 커져,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없는 것이 큰 문제가 되어 왔다. However, in a fluid cutting machine using a porous body, since bubbles do not easily escape from the porous body, the generated bubbles become larger than the pore diameter of the porous body, and a small problem has not been generated.

또한, 다공질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회전의 영향이 작은 회전축 중심 부근으로부터 큰 버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적의 조건에서도 발생하는 버블의 직경은 0.4 ㎜ 정도가 한계였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rotating the porous body, large bubbles are generated from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in which the influence of rotation is small, so that the diameter of the bubbles generated under optimum conditions is limited to about 0.4 mm.

이와 관련하여, 선회식 유체절단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기 때문에,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액체에 선회류를 강제적으로 부여하기 위해, 원추형의 용기 본체에 기체를 가압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커지며, 다공질체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체 중의 버블의 비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것이 문제로 남아 있었다.In this regard, in the swiveling fluid cutter, since a shear force is applied to the bubble surface, small bubbles can be generated. However, in order to forcibly impart swirling flow to the liquid, since the gas is pressurized and supplied to the conical container body, the pressure loss is increased, and the ratio of bubbles in the liquid is lower than in the case of using a porous body. Remained a probl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조 외측에 배치된 모터의 축력축에 풀리를 개재하여 구동적으로 회전하는 기체공급관의 토출구를 수조 내에 배치하고 그 토출구에 기체주입구를 유통가능하게 접속시켜 정체되어 있는 수조 내의 물과 회전하고 있는 버블 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된 전단력에 의해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안이 한국등록특허 제10-1157719호에 제안되고 있지만, 상기 방안의 유체절단기에서는 기체주입구에서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전단력에 의해서만 절단하게 되어, 발생된 버블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버블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ater tank which is stagnant by arranging a discharge port of a gas supply pipe that is driven to rotate in a water tank via a pulley on a shaft axis of a motor disposed outside the tank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in a flowable manner. Although a method for generating fine bubbles by the shear force generated by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water inside and the rotating bubbl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57719, in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above method, bubbles are ejected from the gas inlet. Since only the shear force is cut, the size of the generated bubble is not constant, and the size of the bubble cannot be freely adjus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체절단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제10-1231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A fluid cutting machin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31689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상기 개시된 유체절단기는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에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을 외접시킨 상태에서 내관을 회전시켜 내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출되는 기포를 강제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버블을 대량 발생시킴과 동시에 내관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내관에 외관이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어서, 내관과 외관 간의 마찰열로 인하여 내관 또는 외관이 변형되어 제대로 내관이 회전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The disclosed fluid cutting machine rotates the inner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on the inn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reby forcibly cutting the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inner tube. While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of a certain size and at the same time can adjust the size of the bubbl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ner tube, the outer tube is closely circumscribed, the inner tube or outer appearance is deformed due to the frictional heat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The problem arises that the inner tube cannot be rotated.

본 발명은,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서 복수개의 볼, 롤러, 볼플런저, 밸브편, 탄성편, 미끄럼편 또는 시소편을 개재하여,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이 외접되어 있고, 내관과 외관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고정체이며, 내관과 외관 중 어느 하나가 버블 또는 방울로 될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an inn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rough a plurality of balls, rollers, ball plungers, valve pieces, elastic pieces, sliding pieces or seesaw pieces. Th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n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one is a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a fixed body, and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one is a fluid supplying a fluid to be a bubble or a drop.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providing an apparatus connected to a supply source.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갖고서 개폐수단에 의해, 내관 또는 외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액체 또는 기체 속으로 빠져나가는 기체 또는 액체의 기포 또는 방울을 미세하게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발생된 기포 또는 방울의 크기가 일정하게 하면서도,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미세 기포 또는 방울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having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inely cut the bubbles or droplets of the gas or liquid exiting into the liquid or gas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inner tube or the exterior, While the size of the bubbles or droplets generated is constant, it can be freely adjusted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or droplets more stably than before.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제1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제2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제3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9 및 도 8은 제2 또는 제3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 및 도 12는 제4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3 내지 도 18은 도 11의 유성기어를 자전시킬 수 있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19 및 도 20은 제4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1은 제5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2는 도 21의 볼플런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6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4는 제7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5은 제8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6은 제9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7은 제10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제11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9 및 도 30은 제12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1 및 도 32은 제13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3 및 도 34는 제14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5 및 도 36은 제15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7 및 도 38은 제19실시예의 유체절단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9는 제20실시예의 액체를 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및
도 40은 제21실시예의 액체를 유체에 혼입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1 and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luid cutter of the first embodiment,
3 and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luid cutter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5 and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luid cutter of the second embodiment,
7 and 8 are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luid cutter of a third embodiment,
9 and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luid cutter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11 and 12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fluid cutter of the fourth embodiment;
13 to 18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capable of rotating the planetary gear of FIG. 11;
19 and 20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fluid cutter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ourth embodiment;
2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fifth embodiment;
FIG. 22 shows the ball plunger of FIG. 21;
2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sixth embodiment;
2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seventh embodiment;
2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eighth embodiment;
2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ninth embodiment;
27 shows a fluid cutter of a tenth embodiment;
2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eleventh embodiment;
29 and 30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twelfth embodiment;
31 and 32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fluid cutter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33 and 34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fluid cutter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35 and 36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fluid cutter of the fifteenth embodiment;
37 and 38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fluid cutter of the nineteenth embodiment;
3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 liquid of a twentieth embodiment into a fluid; and
4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 liquid of the twenty-first embodiment into a flui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는 제1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fluid cutter of a first embodiment.

회전체인 내관(2)의 기단부는 유체공급원(5)에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상기 내관(2) 밖으로 방출된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of the rotating chain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via a swivel joint 4,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ne holes, and the gas is separated from the minute hole. It is released out of the inner tube (2).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ner tube 2 has a tubular portion with its tip close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tube 2 in an axial direction a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모터(80)의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fixedly inscribed in the tubular rotor (83) of the motor (80) fixed to the bracket provided in the base to be rotatably mounted via a bearing on the case (81) of the motor (80) It is.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고정체인 복수개의 리테이너(30)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의 선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A plurality of retainers 30, which are fixed bodies, are circumscribed through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It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aid plurality of retainers 30 is fixed to the base.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의 관통구멍 마다에 배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have a ring shape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every through-hole in an axial direction so that the hole 12 may be covered.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When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s of the inner tube 2, as illustrated in FIG. 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inner tube ( A plurality of ring-shaped recesses 6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ip end portion 2), and the inner tube 2 is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contac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balls 7a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inner tube 2. 1 shows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re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

또한,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2, the inner tube (the inner tub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 ring-shaped recess 6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2) is formed,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 the recess 6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ese rollers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eated on the recessed portion 6 at regular interval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formed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inner tube 2.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passed through.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모터(80)를 가동하여 내관(2)을 회전시키면서,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유체가 내관(2)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While operating the motor 80 to rotate the inner tube 2, while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5 to the inner tube 2,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The interposed plural balls 7a or plural rollers 7b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rotating plural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s the inner tube ( 2) the bubbles or bubbles, which are fluid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re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t will be cut | disconnected by the 7a or the some roller 7b, and will have the particle | grains of the bubble of small diame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변경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는 제1태양의 제1실시예의 변경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fluid cutter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고정체인 내관(2)의 기단부는 유체공급원(5)에 접속되어 있고,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유체는,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유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내관(2) 밖으로 방출된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which is a fixed body,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and the fluid sent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5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ne holes are drilled in the tip por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fluid is discharged out of the inner tube 2 from the minute holes.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ner tube 2 has a tubular portion with its tip close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tube 2 in an axial direction a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fixed to a bracket provided in the base.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회전체인 복수개의 리테이너(30)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retainers 30, which are rotating bodies, are circumscribed via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 각각은 회전체로서 작용하기 위해, 외주면에 기어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부(31)에는 모터(M)의 구동축(32)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복수개의 구동기어(33)가 치합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has a gear portion 3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ct as a rotating body, and the plurality of gear portions 31 are fixed to the drive shaft 32 of the motor M. The plurality of drive gears 33 circumscribed with each other are engaged.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있도록 축선방향의 관통구멍 마다에 배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have a ring shape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every through-hole in an axial direction so that the hole 12 may be covered.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리테이너(30)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When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s of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3,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inner tube ( A plurality of ring-shaped recesses 6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ip end portion 2), and the inner tube 2 is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contac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balls 7a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retainer 30. 3 shows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re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또한,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리테이너(30)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4, the inner tube (the inner tub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 ring-shaped recess 6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2) is formed,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 the recess 6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ese rollers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eated on the recess portion 6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rotated when the retainer 30 rotate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passed through.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변경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모터(M)를 가동하여 리테이너(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된다.While supplying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5 to the inner tube 2, the motor M is operated to rotate the retainer 30,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s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balls 7a are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by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Or by a plurality of rollers 7b to have particles of bubbles or droplets of a constant small diame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에는 제2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 fluid cutter of a second embodiment.

고정체인 내관(2)의 기단부는 유체공급원(5)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원(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유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내관(2) 밖으로 방출된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which is a fixed body,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and the gas sent from the gas supply source 5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ne holes are drilled in the tip por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fluid is discharged out of the inner tube 2 from the minute holes.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ner tube 2 has a tubular portion with its tip close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tube 2 in an axial direction a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관(2)의 기단부에는 베이스 또는 액체저장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회전체인 외관(3)의 기단부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선단이 막혀있다.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3, which is a rotatable body fixedly attached to the tubular rotor 83 of the motor 80 fixed to the base or the bracket provided in the liquid reservoir, Possibly circumscribed and fleet blocked.

상기 외관(3)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다.The exterior part 3 uses the tubular part by which the tip was blocked.

상기 모터(80)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있다.The motor 80 includes a stator 82 inscribed in the case 81 and a tubular rotor 83 which is inscribed inside the stator 82 with a predetermined gap radially inward.

상기 외관(3)의 기단부는 상기 내관(2)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상기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outer tube 3 is rotatably circumscribed by the inner tube 2 via a bearing and fixedly inserted in the tubular rotor 83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case 81 via a bearing have.

상기 외관(3)의 선단부는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distal end of the outer shell 3 is rotatably circumferential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via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 Ar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내관(2) 또는 외관(3)의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외관(3)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5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When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asing 3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5,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asing 3 and the inner tube 2 are shown. A plurality of ring-shaped recesses 6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so as to seat the plurality of balls 7a.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2 Or circumferentially contact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6 of the outer shell 3 or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when the plurality of balls 7a rotate in the outer shell 3. It is supposed to pass by). FIG. 5 shows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re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볼을 채용한 유체절단기는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0)를 가동하여 외관(3)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외관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The fluid cutting machine employing the plurality of ball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tor 80 is rotated by rotating the exterior 3 while supplying the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5 to the inner tube 2, the front end of the exterior 3 And a plurality of balls 7a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is rotated in appearance. Passing through the two through-holes 12,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re cut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and bubbles having a constant small diameter Alternatively, the particles have droplets to be discharged out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또한,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관형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및/또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관형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6에는 상기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exterior 3 and the front end of the inner tube 2,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xterior 3 and the inner tube as shown in FIG.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2) is provided with a tubular recess 6 that is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tubular recess 6 has an axial direction and an axial line of the inner tube 2. Direc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 o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formed in the tubular reces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ollers 7b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by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6 shows that the recessed part 6 is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를 채용한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ing machine employing the plurality of rollers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0)를 가동하여 외관(3)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외관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While supplying fluid to the inner tube 2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5, the motor 80 is operated to rotate the outer tube 3,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3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rotating plurality of rollers 7b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t the time of appearance rotation.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re cut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o have particles of bubbles or droplets of a constant small diameter, and thu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t is released out through (13).

상기 제2실시예에서,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내관(2)에 유체공급원(5)이 접속되어 있고,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상기 내관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실시예의 변경실시예로서, 내관(2)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된 외관(3)에 스위블조인트를 개재하여 유체공급원에 접속되어 있고,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상기 외관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luid supply source 5 is connected to the inner tube 2 hav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a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Although described as passing through the two through holes 1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not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3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uid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via a swivel joint, and a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are provided. It may be implemented to pass across the through hole 1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에는 제3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Fig. 7 shows the fluid cutter of the third embodiment.

회전체인 내관(2)의 기단부는 유체공급원(5)에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유체가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유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내관(2) 밖으로 방출된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of the rotating body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via the swivel joint 4 so that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ne holes are drilled in the tip por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fluid is discharged out of the inner tube 2 from the minute holes.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ner tube 2 has a tubular portion with its tip close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tube 2 in an axial direction a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모터(80)의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fixedly inscribed in the tubular rotor (83) of the motor (80) fixed to the bracket provided in the base to be rotatably mounted via a bearing on the case (81) of the motor (80) It is.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고정체인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의 선단부가 상기 외관(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기단부는 상기 모터(80)의 케이스(81)에 고정되어 있다.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circumscrib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such th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3, and the proximal end of the outer tube 3 is the motor. It is fixed to the case 81 of 80.

상기 외관(3)의 선단은 막혀있고, 그 선단부 둘레면에도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tip of the exterior 3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also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상기 모터(80)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있다.The motor 80 includes a stator 82 inscribed in the case 81 and a tubular rotor 83 which is inscribed inside the stator 82 with a predetermined gap radially inward.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내관(2) 또는 외관(3)의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외관(3)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7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When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asing 3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7,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casing 3 and the inner tube 2 are shown. A plurality of ring-shaped recesses 6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so as to seat the plurality of balls 7a.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2 Or circumferentially contact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6 of the outer shell 3 or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when the plurality of balls 7a rotate in the outer shell 3. It is supposed to pass by). 7 shows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re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또한,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관형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및/또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관형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8에는 상기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exterior 3 and the front end of the inner tube 2,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exterior 3 and the inner tube as shown in FIG.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2) is provided with a tubular recess 6 that is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tubular recess 6 has an axial direction and an axial line of the inner tube 2. Direc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 o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formed in the tubular reces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ollers 7b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by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8 shows that the recessed part 6 is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thir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모터(80)를 가동하여 내관(2)을 회전시키면서,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유체가 내관(2)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내관의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게 되고, 또는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내관의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서,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되어, 상기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이 일정한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While operating the motor 80 to rotate the inner tube 2, while the fluid is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5 to the inner tube 2,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3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The interposed plural balls 7a or plural rollers 7b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rotating plural balls 7a selectively radially crosses each other when the inner tube rotates. I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acing each other, so that bubbles or droplets that are fluid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re cut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7b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which are selectively faced to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inner tube, so that the plurality of rollers of the inner tube 2 Ejected from the through-hole 12 The chain bubbles or droplets are cut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o have particles of bubbles or droplets of small diameter, so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in the state where the bubbles or droplets of small diameter have a constant diameter. It will be released out through.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3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볼(7a)이 안착될 수 있는 링형상의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스프링(75)이 개재되어 있다.Further, in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a plurality of ring-shaped partition wall portions 71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facing the plurality of balls 7a. 9 may be formed, and a ring-shaped recess in which a plurality of balls 7a may be seated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71. A ring-shaped spring 75 is inter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71 to elastically press the balls 7a radially inwardly.

또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와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가, 그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스프링(75)이 개재되어 있다.Further, even when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 and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10,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 A plurality of ring-shaped partition wall portions 71 in rolling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and elastically press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radially inward. To this end, a ring-shaped spring 75 is inter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71.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은 방사방향 안쪽으로 수축하는 성질을 가진 스프링이며,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 방사방향 안쪽으로 개구된 홈에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을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하되 상기 개구가 상기 스프링(75)의 단면 직경의 절반보다 작게 되어 있다.The ring-shaped spring 75 is a spring having a property of shrinking radially inwardly, and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radially inwardly. The ring-shaped spring 75 is resiliently inserted into the groove that is radially inwardly open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71 so that the opening is smaller than half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pring 75.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은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막는 작용에 조력한다.The ring-shaped spring 75 elastically presses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to assist in block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탄성을 가지고 있다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기밀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f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rollers 7b have elasticity,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eal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n an airtight manner.

상기 제3실시예에서,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된 내관(2)에 유체공급원(5)이 접속되어 있고,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상기 내관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실시예의 변경실시예로서, 내관(2)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된 외관(3)에 유체공급원에 접속되어 있고,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상기 외관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luid supply source 5 is connected to the inner tube 2 hav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a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Although described as passing through the two through holes 1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third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not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n the non-state state, the fluid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ppearance 3 in whic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a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the external appearance. It may be implemented to pass across.

상기 제2 내지 제 3실시예들에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요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가 밀접하여 또는 이격되어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the recess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 ball or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may be closely or spaced apa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상기 제4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기본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외치기어(2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치기어(21)의 복수개의 골부에 외치기어(21)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내관(2); 상기 내관(21)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접되어 있고, 내주면에 내치기어(31)가 마련된 외관(3); 및 상기 외치기어(21)와 상기 내치기어(31)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치합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4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four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outer gear 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gear 21 in the plurality of valleys of the outer gear 21. An inner tube 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therein; An exterior (3)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to the inner tube (21) and having an internal gear (31)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gear 21 and the inner gear 31 and engaged with the outer gear 21.

상기 외관(3)의 내치기어(31)의 복수개의 골부에도 상기 내치기어(31)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은 막혀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ternal gear 31 are also formed in the plurality of valleys of the internal gear 31 of the exterior 3. The downstream end of the exterior 3 and the inner tube 2 is blocked.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산부가 선택적으로 마주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공급원(5)에 접속된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에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유성기어(40)들이 선택적으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축(41)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외접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공급원(5)에 접속된 상기 내관(2)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산부가 선택적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치기어(31)와 상기 외치기어(21)의 축선상의 길이 전장에 걸쳐서 뻗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축(41)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외접되어 있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peaks of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selectively fac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n the state of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ranged in a lin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optionally and the inner tube (2) Between the exterior 3 is circumscribed rotatably or fixedly and non-movably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shown in FIG. A stat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o that peaks of the planetary gears 40 selectively fac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connected to the inner tube 2. In the internal gear 31 and the outer tooth The axial length of the gear 21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and may optionally be circumscrib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so as to be rotatable or fixed and not axially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have.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는, 제1경우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될 수 있고, 제2경우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들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함께 자전가능하게 내접된 축(41)들에 결합된 캐리어(42)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될 수도 있고, 제3경우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될 수 있고, 제4경우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들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함께 자전가능하게 내접된 축(41)들에 결합된 캐리어(42)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될 수도 있고, 제5경우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4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내관(2)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없이 자전될 수도 있고, 제6경우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42)와 상기 외관(3)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in the first cas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inner tube 2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rior 3 is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Two planetary gears 40 can be rotated and rotated, and in a second case, as shown in FIG. 14,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n a state where the outer surface 3 is fixed. When the planetary gears 40 are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the carriers 42 coupled to the inclined shafts 41 rotatably or rotatably together,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idle and rotated. As a third cas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outer tube 3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tube 2 is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rotated. ) Can be idled and rotated, and as the fourth case, as shown in FIG. A carrier coupled to the shafts 41 in which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rotatably or rotatably rotated together with the inner tube 2 fixed; When 42 is rotated by a drive source (not shown),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may be rotated and rotated. As a fifth case, as shown in FIG. 17, the carrier 42 is fixed. In the case where the outer surface 3 or the inner tube 2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may rotate without rotation, and as a sixth case, as shown in FIG. 18. When the inner tube 2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carrier 42 and the exterior 3 are not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may be rotated and rotated.

이와 같은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자전운동, 또는 자전 및 공전운동은 공지된 유성기어, 선기어 및 링기어를 이용한 자동변속기의 기본원리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Since the rotational motion, or the rotational and revolving motion of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is similar 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known planetary gears, sun gears and ring gear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또한, 상기 내관(2)에 관통구멍(12)이 없고 상기 외관(3)에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외관(2)이 유체공급원(5)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의 하류단과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이 막혀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축성방향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과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어야 하고, 그리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과 마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은 어느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formed only in the outer tube 3 and the through tube 12 is not formed in the inner tube 2, the outer tube 2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 tube 3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are blocked, and in this state,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having short lengths in the axial direction are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n the case of being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as shown in FIG. 19,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when the outer tube 3 or the inner tube 2 rotates.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ranged in an ax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surfac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ositions must be position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s not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roups Sinc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can fac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outer tube 3 or the inner tube 2 at any posi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positioned at any position. It is good to b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는 상기 제1 내지 제6경우에 의해 자전하게 되며, 상기 유성기어(40)가 자전함에 따라 내관(2) 및 외관(3) 중 적어도 하나는 자전하게 되어, 상기 유성기어(40)에 의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거나 상기 외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개폐하게 되어서, 내관이 회전하면서 내관(2)이 유체공급원(5)에 접속되어 있으면, 유체가 내관(2)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외관(3) 내로 토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에 의해 차단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이 발생된 다음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존재하는 유체 속에 혼입되어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밖으로 토출될 수 있고, 내관(2)에 관통구멍이 없고 외관이 회전하면서 외관(3)이 기체공급원(5)에 접속되어 있으면, 기체가 내관(3)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에 의해 차단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이 발생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rotate by the first to sixth cases, and at least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exterior 3 rotates as the planetary gear 40 rotates. The planetary gear 40 opens or close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or opens and close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the outer tube 2 so that the inner tube 2 rotates while the inner tube rotates. When the fluid supply source 5 is connected,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discharged into the exterior 3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while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 Blocked by the planetary gear 40 to generate fine bubbles or drops and then mixed into the fluid existing between the outer shell 3 and the inner tube 2 and out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the outer shell 3. It can be discharged, the inner tube (2) has no through hole and the exterior rotates while When (3) is connected to the gas supply source 5,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the exterior 3, in the state where the gas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3, Blocked by the planetary gear 40 may generate fine bubbles or drop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1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내관(2)과 리테이너(30)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대신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구비하고 있는 점만 제1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instead of a plurality of balls 7a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retainer 3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Base ends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fixed to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When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s illustrated in FIG. 21,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elastically by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during the rotation of 2).

상기 볼플런저(7)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어 있는 몸체(a), 상기 몸체(a)의 선단에 상기 내관(2)을 향하여 개구된 보어(b), 상기 보어(b)에 내장된 스프링(c) 및 상기 보어(b)의 개구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볼(7a)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ball plunger 7 has a proximal end fixed to the retainer 30 and a proximal end extending radially inwardly of the inner tube 2, the body a. A bore (b) opened toward the inner tube (2) at its tip, a spring (c) embedded in the bore (b) and a ball (7a) retracta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ore (b); Doing.

또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스프링(c)에 의해 상기 볼(7a)을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c)과 상기 볼(7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어(b)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는 가압판(d)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all plunger 7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c and the ball 7a to reliably and elastically press the ball 7a by the spring c and the bore b.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plate (d)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또한, 상기 볼 플런저(7)에서는 상기 볼(7a)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을 포함한 모든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7a)과 상기 가압판(d) 사이에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볼(f)이 개재될 수도 있다. Further, in the ball plunger 7, the ball 7a is freely rotated between the ball 7a and the pressure plate d so that the ball 7a can freely rotate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the opening of the bore b. A plurality of balls f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s 7a may be interposed.

상기 개구의 구경은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볼(7a)은 절반이상 부위가 상기 보어(b)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볼(7a)은 상기 보어(b)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c)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출몰하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된다.The aperture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7a. More than half of the ball 7a is inserted into the bore b so that the ball 7a falls out of the bore b. It is elastically pressurized by the spring (c) in the state that can not come out to pr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while emerging from the opening of the bore (b)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stably Do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제1실시예와 같이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fif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balls 7a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straigh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disposed thereon are reliably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 so that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surely cut by the ball 7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3에 도시된 제6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대신에 제5실시예의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구비하고 있는 점만 제2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2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of the fifth embodiment instead of the plurality of balls 7a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exterior 3.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The base ends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exterior 3.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채용한 제6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제2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인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sixth embodiment employing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s described above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balls 7a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reliably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 so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bubble which is the gas blown out from the said nozzle is surely cut | disconnected by the said some ball 7a.

상기 제6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상기 제6실시예의 변경 실시예로서, 제2실시예의 변경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게 된다.When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sixth embodiment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ixth embodiment, and is applied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roximal ends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It will be fixed.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채용한 제6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제2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sixth embodiment employing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in particular,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The plurality of balls 7a reliably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 so that the plurality of the outer surfaces 3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bubbles or drops, which are fluids ejected from the two through holes 13, are reliably cut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4에 도시된 제7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대신에 제5실시예의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구비하고 있는 점만 제3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2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of the fifth embodiment instead of the plurality of balls 7a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exterior 3.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The base ends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exterior 3.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채용한 제7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제3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된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seventh embodiment employing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balls 7a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reliably opened and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 so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 bubble or droplet which is a fluid ejected from the above is preferable in view of being reliably cut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또한, 상기 제7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외관(3)에 고정되어 내관(2)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실시예로서,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2)에 고정되어 외관(3)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와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상기 요부(6)가 형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eventh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described as being fixed to the exterior 3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may be fixed to the inner tube 2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s 13 of the exterior 3, in this case facing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The recessed portion 6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and the recessed portion 6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

또한, 제7실시예들의 변경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2)에 고정되어 외관(3)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 관통구멍(12)이 배제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이 유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유체가 외관(3) 내로 유입되어 외관(3)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외관(3) 밖으로 버블 또는 방울이 토출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venth embodiment, when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fixed to the inner tube 2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13 of the outer tube 3,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tube 2 The outer shell 3 may be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hole 12 is exclude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as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rotated by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3, fluid flows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5 into the outer tube 3 so that the through holes 13 of the outer tube 3 are provided. Bubbles or droplets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exterior 3 through).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8실시예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when the plurality of rollers 7b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s an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5, a plurality of elastic resistant pieces 7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may be pivotal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external elastic pieces 7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the exterior 3 may be pivotal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을 상기 내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2a)을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2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7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선단을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The structure for attaching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7 to the inner tube 2 includes a plurality of slot grooves 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e plurality of slots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adially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ds 77a, which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fitted to the plurality of slot grooves 2a in a dovetailed manner. One end of the elastic resistant pieces 77 is fixed, and the front ends of the plurality of elastic resistant pieces 77 extend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f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s blocked and not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may be elastically restored to be spac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Do.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을 상기 외관(3)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3a)을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3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8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선단을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The structure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outer elastic pieces 78 to the outer surface 3 includes a plurality of slot grooves 3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And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adially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ds 78a which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and can be fitted to the plurality of slot grooves 3a in a dovetail manner. One end of each of the outer elastic pieces 78 is fixed, and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outer elastic pieces 78 are extended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3 so as to be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f it is block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nd is not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t is realized by elastically restored to be spaced radially inwar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It is possible.

상기 내/외탄성편(77, 78)은, 본 발명의 유체절단기가 이물질이 많은 액체저장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유체절단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 위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The internal / external elastic pieces 77 and 78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en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iquid storage tank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12 and 13, it is possible to reliably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13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hereby providing a preferable function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intrusion of foreign matter. Done.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 3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에 내/외탄성편(77, 78)이 적용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내접된 축(7c)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13 are disposed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surface 3.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external elastic pieces 77 and 78 are applied, both ends of the shaft 7c inscribed in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s shown in Fig. 25, on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2; The plurality of rollers 7b may be elastically pressed by the ring-shaped springs 75 and 75 by being fixed or slid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ing-shaped springs 75 and 75.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체절단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내/외탄성편(77, 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확실하게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상기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The fluid cutt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rollers 7b rotating and rotating as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3 rotates to continuously press the inner / outer elastic pieces 77 and 78.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continuously closed and opened, and the bubbles or droplets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2 are reliably cut, and thus the fine bubbles or A droplet can be released out of the appearance 3.

상기 제8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대신에 복수개의 축(7c)에 복수개의 볼이 외접될 수도 있다.In the eighth embodiment, a plurality of balls may be circumscribed on the plurality of shafts 7c instead of the plurality of rollers.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 3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없이 상기 외관(3)에만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 외탄성편(78)이 적용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내접된 축(7c)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의 외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하고, 내관(2)에서 외관(3)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존재하지 않은 관계로, 외관(3)이 유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은 상기 복수개의 롤러(7b)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Further, in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inner tube 2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outer elastic piece 78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formed only in the outer surface 3 without 12), as shown in FIG. 26,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provided. Both ends of the inscribed shaft 7c are fixed or slid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ing-shaped springs 75 and 75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2, and the ring-shaped springs 75 and 75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elastically pressurized and there are no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supplying fluid from the inner tube 2 to the exterior 3, the exterior 3 is the fluid supply source 5. May be circulated in circulation. At this time, the ring-shaped springs 75 and 75 elastically press the plurality of rollers 7b radially out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9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외탄성편(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26에는 내관이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ni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rollers 7b rotating or rotating with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3 to continuously press the outer elastic piece 78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continuously closed and opened, and the bubbles or droplets, which are fluids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3, are cut, thereby releasing the fine bubbles out of the exterior 3. Can be. In Fig. 26, the inner tube is shown to rotate.

상기 제9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대신에 복수개의 축(7c)에 복수개의 볼이 외접될 수도 있다.In the ninth embodiment, a plurality of balls may be circumscribed on the plurality of shafts 7c instead of the plurality of rollers.

또한, 상기 8 및 제 9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이 복수개의 축(7c)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스프링이 복수개의 축(7c) 각각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ring-shaped springs 75 and 75 are described as elastically press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hafts 7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plurality of springs may press each of the plurality of shafts 7c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제6 내지 제 9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볼(7a)이나 복수개의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와 내/외탄성편(77, 78)이 배제된 경우에는, 제10실시예로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인 내관이 유체공급원(5)과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내관 및 외관의 둘레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고, 회전체인 내관이 유체공급원(5)과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내관 및 외관의 둘레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체인 외관이 유체공급원(5)과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외관에만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In the sixth to ninth embodiments,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or a plurality of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surface 3 are provided. In the case where the two rollers 7b and the inner / outer elastic pieces 77 and 78 are excluded, as shown in FIG. 27, the inner tube of the rotating chain is circulated with the fluid supply source 5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whe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in the connected stat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t may be elastically pivotally slidably contact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while the inner tube of the rotating body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or the fluid source of the rotating body. Appearance (3) in the case where through-holes are formed only in the appearance in a state in which it is circulatingly connected with (5). A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may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so as to be able to swing elastically.

도 27에는 회전체인 내관이 유체공급원(5)과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내관 및 외관의 둘레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FIG. 27 shows a case wher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tube which is the rotating body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in a flowable manner.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미끄럼접촉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밸브편(177)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상기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양측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선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거나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선접촉하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개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A structure for elastically sliding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the inner tube 2. A proximal end of one inner valve piece 17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in each of a plurality of shafts (177a) fixed in the outer surface (3)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to each other Springs 175 and 175 rotatably circumscrib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or the exterior 3 press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adially inn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urvature of the inner tube 2 or the inner tube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Can be implemented by allowing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은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at can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8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밸브편(178)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축(178a) 또는 상기 내관(2)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양측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선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거나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선접촉하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탄성적으로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개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Moreover, the structure for slidingly contacting the said outer valve piece 178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exterior 3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aid inner tube 2 and the said exterior 3, and both ends are the length of the said inner pipe 2 A proximal end of one outer valve piece 17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is rotatabl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8a that extend in the direction and are fixed to the inner tube 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Externally, and the springs 175 and 175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8a or the inner tube 2 pressurize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adial ou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e outer valve piece 178 is elastically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은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appearance 3 that can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that ar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appearance 3.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 또는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의 기단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을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내주면과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의 양측에 접촉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 또는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의 기단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을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내주면과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the tenth embodiment, the springs 175 and 175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and 178a or to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2 and the exterior 3, and the plurality of inner / outer valve pieces 177 178 is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and 178a, and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re provided with the inner / outer valve pieces 177 and 178. Although the springs 175 and 175 are described as being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inner and outer valve pieces 177 and 178 so as to be urged toward the 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177a, 178a) or the said inner pipe (2) and the exterior (3), and the base ends of the plurality of inner and outer valve pieces (177, 178) are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178a). And a plurality of internal / externally fixed externally, and the springs 175 and 175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and 178a. May be fix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2) and outer (3) wherein the valve piece (177, 178) the inner tube (2) and exterior (3)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pres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이 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은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개폐할 수 있게 여러 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ner / outer valve pieces 177 and 178 may be separated into various parts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13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0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으로 하여금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 또는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The fluid cut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inner / outer valve pieces 177 and 178 to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s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3 rotates. 13 is continuously closed and the opening is repeated to cut bubbles or droplets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r the through hole 13, so that the fine bubbles or drops can be discharged out of the appearance 3.

상기 제10실시예에서,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상기 외밸브편(178)의 선단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에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내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외밸브편(178)의 선단에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외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내롤러로 하여금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건너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하고, 상기 외롤러로 하여금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건너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함으로써, 미세 버블을 만들게 할 수 있다.In the tenth embodiment, the front end of the inner valve piece 177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front end of the outer valve piece 178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rotatably mounts an inner roller (not shown) which rotates with a center of rota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at the tip of the inner valve piece 177, At the tip of the outer valve piece 178 is rotatably mounted a non-illustrated outer roller which rotates with a center of rota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thereby allowing the inner roller to move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 To cut the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to cause the outer roller to cros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while rolling. And the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cut off, so that fine bubbles can be formed.

상기 제2 내지 제 3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 또는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11실시예로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s an el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8, a plurality of endoscope pieces 277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outer seesaw pieces 278 having a V-shaped cross-section, which may be pivotally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which open and clos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the outer appearance 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appearance 3. It may also be pivotally fixed.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을 상기 내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내관(2)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7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거나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양단부들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마주하는 내관(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3)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내관의 방사방향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덮을 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4)를 형성시킴으로써 구현 가능하다.The structure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endoscope pieces 277 to the inner tube 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nd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t is possible to rotate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277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hafts 277a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hafts 277a fixed at the inner tube 2. The outer end of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end of the inner tube 2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heet portions 203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facing the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277 so that a radial step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does not occur. One end of the endoscope piece 277 is the plurality of balls The plurality of endoscope pieces so as to reliably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wh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pressed by the roller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o cove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by forming a projection 204 that can be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to be inserted into the radially inner surface of one end of (277).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을 상기 외관(3)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외관(3)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8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거나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양단부들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과 마주하는 외관(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5)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외관의 방사방향 안쪽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덮을 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6)를 형성시킴으로서 구현 가능하다.The structure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outer seesaw pieces 278 to the outer tube 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nd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Rotatabl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seesaw pieces 278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hafts 278a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hafts 278a fixed at the outer surface 3. And externally rotatably circumscribe the intermediate portion of one outer seesaw piece 278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outer seesaw pieces 278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heet portions 205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2 facing the plurality of outer seesaw pieces 278 so that a radial step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does not occur. One end of the small size piece 278 is the plurality of balls ( 7a) or the plurality of external seesaw pieces (10) so as to reliably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when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o cove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appearance. It can be implemented by forming a projection 206 that can be fitted and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in the radially outer surface of one end of 278.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1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 또는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In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elev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3 rotates,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rotate and rotate with each other. , 278 is continuously pressurized and released,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continuously closed and opened, and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2 or the through holes 13. The bubbles or drops to be cut may be released to release the fine bubbles or drops out of the appearance 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29 및 3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twel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9 and 30.

도 29에는 본 제12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29 shows a fluid cutter of the twelfth embodiment.

상기 유체절단기는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체인 내관(2)을 포함하고 있다. The fluid cutter includes an inner tube (2) fixed to the base.

상기 내관(2)의 상류단은 유체공급원(5)에 접속되어 있다.The up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상기 내관(2)은 하류단이 막혀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pipe (2) is closed at its downstream en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penetr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관(2)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인 외관(3)이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은 축경되어 개구되어 있다. The inner tube 2 is rotatable via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tube 3 as a rotating body rotated by a drive source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 tube 3 is opened with a reduced diameter.

상기 외관(3)의 상류단은 선택적으로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상기 유체공급원(5)의 유체와 동일한 또는 다른 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원(9)에 접속되어 있다.The upstream end of the outer casing 3 is connected to a second fluid supply 9 which supplies the same or different fluid as that of the fluid supply 5 via a swivel joint 4.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다. 도 29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tube 3 and the inner tube 2, as illustrated in FIG. 29, at least on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ring-shaped recesses 6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nd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seated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recesse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G. 29 shows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re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요부(6)와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 각각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축선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볼(7a)이 안착될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ring-shaped partition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fac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wall portion 21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29,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an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recesses may be formed on which the plurality of balls 7a can be seated.

또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다. 도 30에는 상기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 and the inner tube 2, as illustrated in FIG. 3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and the inner tube 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ring-shaped recess 6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recess 6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eated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reces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30 shows that the recessed part 6 is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와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 각각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축선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ring-shaped partition wall portions 21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1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2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Embodiment 12 configured as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고 제2유체공급원(9)으로부터 외관(3)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외관(3)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연속적으로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둘레방향에서 절단되고, 상기 회전하고 있는 외관(3)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21)의 복수개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들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는 유체의, 즉 상기 외관(3)에 공급된 유체의 축선방향 흐름력에 의해 상기 둘레방향으로 절단된 버블 또는 방울이 여러번 축선방향과 둘레방향에서 파쇄되게 되어, 더 더욱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의 하류단에 축경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제2유체공급원(9)의 유체와 함께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When the exterior 3 is rotated while supplying fluid from the fluid supply 5 to the inner tube 2 and supplying fluid from the second fluid source 9 to the exterior 3, the exterior 3 and the inner tube ( 2)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nterposed therebetween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s rotated. The fluid passe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fluid is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formed in the rotating appearance 3 are cu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22)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plurality Bubbles or drops cu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axial flow forc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rollers 7b, ie, the fluid supplied to the exterior 3, are broken up several times in the ax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And with the fluid of the second fluid source 9 to be discharged to the bubble or droplet supply target portion through the opening formed by being reduced in diameter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 shell 3 in the state of having particles of bubbles or droplets of smaller diameter. Can b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3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31 및 3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31에는 본 제13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Fig. 31 shows a fluid cutter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상기 유체절단기는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체인 내관(2)을 포함하고 있다. The fluid cutter includes an inner tube (2) fixed to the base.

상기 내관(2)의 상류단은 선택적으로 유체공급원(5)의 유체와 동일한 또는 다른 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원(9)에 접속되어 있다.The up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is optionally connected to a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which supplies the same or different fluid as the fluid of the fluid supply source 5.

상기 내관(2)은 상류단이 축경되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pipe (2) is opened at its upstream end with a reduced diameter,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penetr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내관(2)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인 외관(3)이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도 31에 도시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도 32에 도시된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은 막혀 있다. The inner tube 2 has a plurality of balls 7a shown in FIG. 31 or a plurality of balls shown in FIG. 32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body 3 which is a rotating body which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It is rotatably circumscribed through the two rollers 7b,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said exterior 3 is blocked.

상기 외관(3)의 상류단은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유체공급원(5)에 접속되어 있다.The upstream end of the exterior 3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via the swivel joint 4.

제13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1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welfth embodi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3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제2유체공급원(9)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고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외관(3)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외관(3)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연속적으로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는 상태에서,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외관(3)에서 내관(2)으로 분출되는 기체인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둘레방향에서 절단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 채로 상기 내관(2)의 하류단에 축경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제2유체공급원(9)의 유체와 함께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When the exterior 3 is rotated while supplying fluid from the second fluid source 9 to the inner tube 2 and supplying fluid from the fluid source 5 to the exterior 3, the exterior 3 and the inner tube ( 2)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nterposed therebetween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s rotated. Passe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A bubble, which is a gas ejected from the outer tube 3 to the inner tube 2, is cu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nd the inner tube has particles of small diameter bubbles. The fluid of the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through an opening formed at a downstream end of the It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bubble or droplet supply target por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4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3 and 34.

도 33에는 제14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33 shows the fluid cutter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상기 유체절단기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인 내관(2)을 포함하고 있다. The fluid cutter includes an inner tube 2 that is a rotating body that is rotated by a drive source (not shown).

상기 내관(2)의 상류단은 선택적으로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상기 유체공급원(5)의 유체와 동일한 또는 다른 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원(9)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은 축경되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멍(12)이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An up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is connected to a second fluid source 9 which supplies a fluid which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luid source 5 via a swivel joint 4. The downstream end of 2) is reduced in diameter and opene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through hole (12) penetr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내관(2)에는 고정체인 외관(3)이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상기 내관(2)이 회전가능하도록 외접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은 막혀 있고, 상기 외관(3)의 상류단은 유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inner tube 2 is circumscribed so that the inner tube 2 is rotatable via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in a state where the outer body 3, which is a fixed body, is fixed to the base. The downstream end of the facade 3 is blocked, and the upstream end of the facade 3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so as to be circulated.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다. 도 33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When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tube 3 and the inner tube 2, as illustrated in FIG. 33, at least on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ring-shaped recesses 6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nd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wo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seated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recesse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33 shows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s 6 are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요부(6)와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 각각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축선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볼(7a)이 안착될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ring-shaped partition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fac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wall portion 21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33, in which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an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recesses may be formed on which the plurality of balls 7a can be seated.

또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다. 도 34에는 상기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 and the inner tube 2, as shown in FIG. 3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re provided. Ring-shaped recesses 6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nner tubes 2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ecesses 6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s 2 and in the axial direction. Two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7b are seated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recess 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34 shows that the recessed part 6 is formed only in the inner tube 2.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와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 각각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축선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ring-shaped partition wall portions 21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s shown in FIG. 34.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4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제2유체공급원(9)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고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외관(3)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내관(2)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연속적으로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상기 외관(3)에 유입된 유체가 외관(3)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21)의 복수개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들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경유하여 상기 내관(2) 내로 분출되는 유체인 버블 또는 방울이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어서, 더 더욱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하류단에 축경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제2유체공급원(9)의 유체와 함께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When the inner tube 2 is rotated while supplying fluid to the inner tube 2 from the second fluid source 9 and supplying fluid from the fluid source 5 to the outer tube 3, the outer tube 3 and the inner tube (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s of 2)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rotated. Each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continuous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outer tube 3 passes through the outer tube 3. The inner tube 2 rotating while passing through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formed therein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Fluid injected into the inner tube (2) via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Bubbles or droplets are cut by the rotating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to be reduced in diameter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in the form of particles of smaller diameters of bubbles or droplets. It may be discharged to the bubble or drop supply target portion along with the fluid of the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through the formed open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5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fif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5 and 36.

도 35 및 도 36에는 제15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도시되어 있다.35 and 36 show the fluid cutter of the fifteenth embodiment.

상기 유체절단기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인 내관(2)을 포함하고 있다. The fluid cutter includes an inner tube 2 that is a rotating body that is rotated by a drive source (not shown).

상기 내관(2)의 상류단은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유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은 막혀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An up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via a swivel joint 4 so that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is blocked and a cavity 11 is formed therein.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penetr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내관(2)에는 고정체인 외관(3)이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를 개재하여 상기 내관(2)이 회전가능하도록 외접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은 축경되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상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공급원(5)의 유체와 동일한 또는 다른 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원(9)에 접속되어 있다.The inner tube 2 is circumscribed so that the inner tube 2 is rotatable via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7b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body 3 is fixed to the base. A downstream end of the facade 3 is reduced in diameter and is opened, and an upstream end of the facade 3 selectively connects to a second fluid supply 9 which supplies the same or different fluid as the fluid of the fluid supply 5. Connected.

상기 제15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4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een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5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fifte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제2유체공급원(9)으로부터 외관(3)에 유체를 공급하고 유체공급원(5)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내관(2)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연속적으로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상기 내관(2)에 유입된 기체가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상기 외관(3)으로 분출되어 버블 또는 방울이 되어서, 외관(3)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21)의 복수개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들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어서, 더 더욱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를 갖게 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의 하류단에 축경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제2유체공급원(9)의 유체와 함께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When the inner tube 2 is rotated while supplying a fluid from the second fluid source 9 to the outer tube 3 and supplying a fluid from the fluid source 5 to the inner tube 2, the outer tube 3 and the inner tube ( A plurality of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s of 2) ar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alls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are rotated. Each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o that the gas introduced into the inner tube 2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tube 2.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22 and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22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21 formed in the outer surface 3 are blown into the outer surface 3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to form bubbles or drops. When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t is cut by the rotating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which are rotated, and reduc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er shell 3 in a state of having smaller diameter bubbles or droplets. It may be discharged to the bubble or drop supply target portion along with the fluid of the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through the formed opening.

상기 제12 내지 제15실시예들에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요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가 밀접하여 또는 이격되어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the twelfth to fifteenth embodiments, the recess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 ball or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may be closely or spaced apa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또한, 상기 제12실시예 내지 제15실시예들의 유체절단기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가 개재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제6 내지 제11실시예들의 상기 내탄성편(77) 또는 상기 내시소편(277)이,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에 의해 유체절단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또는 단독으로 상기 내밸브편(177)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유체절단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a plurality of balls or rollers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surface in the fluid cutting machines of the twelfth to fifteenth embodiments, the elastic members 77 or the sixth to eleventh embodiments When the endoscope piece 277 is selectively positioned by a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in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can be closed when the fluid cutter is stopped. Alternatively, when the inner valve piece 177 or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can be closed when the fluid cutter is stoppe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t is possible to reliably close the hole 12, thereby making a desirable function in view of preventing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6실시예의 유체절단기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fluid cutter of the sixte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16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4실시예의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유체절단기에서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배제하는 대신에 내관(2)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형성시키고, 내관(2)의 상류단에 선택적으로 유체공급원(5)의 유체와 동일한 또는 다른 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원(9)을 접속시키고, 내관(2)의 하류단을 개방시키고 외관(3)의 상류단을 유체공급원(5)에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유통가능하게 접속시키고, 외관(3)이 회전체가 되고 내관(2)이 고정체가 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luid cutter of the sixteenth embodiment is not shown, in the fluid cutter shown in FIGS. 19 and 20 of the fourth embodiment, instead of ex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3 of the outer enclosure 3, the inner tube 2 is provid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and a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for supplying the same or different fluid as that of the fluid supply source 5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 upstream end of the inner pipe 2, and the inner pipe 2 ) And the upstream end of the outer casing (3)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so as to be circulated through the swivel joint (4), and the outer casing (3) becomes the rotating body and the inner pipe (2) It may be configured to be stagna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6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The fluid cutter of the sixte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제2유체공급원(9)으로부터 내관(2)에 유체를 공급하고 기체공급원(5)으로부터 외관(3)에 유체를 공급하면서, 외관(3)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유성기어(40)는 자전하게 되며, 상기 유성기어(40)가 자전과 공전함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40)에 의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되어서,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외관(3)에서 내관(2)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에 의해 차단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이 발생된 다음 상기 내관(2) 사이에 존재하는 제2유체공급원(9)의 유체 속에 유입되어 내관(2)의 하류단의 개구를 통하여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Rotating the exterior 3 while supplying fluid from the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to the inner tube 2 and supplying fluid from the gas supply source 5 to the exterior 3, as the exterior 3 rotates, The planetary gears 40 rotate, and as the planetary gears 40 rotate and rotate, the planetary gears 40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exterior 3 to the inner tube 2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is blocked by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to generate fine bubbles or drops, and then the inner tube. It can flow into the fluid of the second fluid supply source 9 existing between (2)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bubble or drop supply target portion through the opening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상기 제 1 내지 제 16실시예 중 유성기어를 채용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내관이 외관 또는 리테이너에 내접되어 이들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또 다른 변경 실시예로서, 내관이 외관 또는 리테이너에 내접된 상태에서 이들중 어느 하나가 진동수단에 의해 직선적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의 관통구멍이 반복적으로 개폐되게 하여도 된다.In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planetary gear is not employed in the first to sixteenth embodiments, the inner tube is inscribed in the outer tube or the retainer, and either one of them is rot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shown However, in another modified embodiment, any one of them may be linearly reciprocated by the vibrat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tube is inscribed in the outer tube or the retainer, so that the inner tube or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tube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

이때에는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또는 상기 리테이너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상기 진동수단은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의 일종인 공지된 레버크랭크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or the retainer should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the vibration means may be a known lever crank mechanism, which is a kind of link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상기 실시예들의 유체절단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버블 또는 방울의 입자 크기는 상기 내관(2)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게 되고, 그리고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3)의 회전수가 감소함에 따라 커지게 된다.The particle size of the bubbles or droplets produced by the fluid cutters of the embodiments decreases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ner tube 2 increases, and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appearance 3 decreases. It becomes bigger.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2)의 관통구멍(12)의 직경은 유체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으면, 관통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 of the inner tube 2 is preferably small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penetrates, so that the diameter of the bubble or droplet ejected from the through hole can be reduced. Do.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축선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원통형 롤러가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회전하는 내관 또는 외관에 의해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구름운동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면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변경 실시예로서, 내관과 외관 사이에서 복수개의 축이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내관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서 내관 또는 외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 중 하나가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변경 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설계적으로 확실하게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2) 또는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시간차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axially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are roll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y the inner tube or the outer rotating body. Although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hile being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 plurality of axes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so that the inner tube or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rotatably or fixedly mounted, one of the plurality of rollers 7b may be fixedly or rotatably circumscrib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xes without being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is modified embodiment is designed and reliab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set the time difference which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12 or the through-hole 13.

또한, 상기 변경 실시예에서는 축선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원통형 롤러 대신에 주판알처럼 축선상의 길이가 직경보다 작은 복수개의 롤러를 축선방향으로 이격시켜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실시예들의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축의 양단이 상기 내관의 양측에 배치된 링형상의 스프링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nstead of the cylindrical roller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rollers having an axial length smaller than the diameter, such as abacus balls, ar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so as not to be movabl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xes in the axial direction. May be fixedly or rotatably circumscribed, or fixedly or rotatably circumscribed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balls 7a of the embodiments are not axially movabl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xes.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hafts may be fixed or sliding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ing-shaped spr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to elastically press the plurality of balls or rollers by the ring-shaped spring. .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개재된 상기 복수개의 볼(7) 또는 롤러(7b)가 고정체인 상기 외관 또는 상기 내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자전가능하고, 회전체인 상기 외관 또는 상기 내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공전 및 자전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개재된 상기 복수개의 볼(7) 또는 롤러(7b)가 회전체인 상기 외관 또는 내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면, 공전만 가능하게 되어 회전체에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s, if the plurality of balls 7 or rollers 7b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tube 3 and the inner tube 2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tube or the inner tube which is a stationary body, Although, rotatab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tube or the inner tube are described as being rotatable and rota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tube 3 and the inner tube 2 are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plurality of balls 7 or rollers 7b interposed therebetween ar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tube or the inner tube which is the rotating body, only the revolutions can be made and may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2)과 리테이너(30) 또는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고정체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관(2)과 리테이너(30) 또는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타방향 회전체가 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관(2)과 리테이너(30) 또는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내관(2)과 리테이너(30) 또는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축에 기어결합된 기어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내관(2)과 리테이너(30) 또는 외관(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실시예들에서 보다 내관(2)과 리테이너(30) 간에 상대속도를 크게 발생시킬 수가 있어서, 상기 실시예들의 내관(2), 외관(3) 또는 리테이너(30)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내관(2), 외관(3) 또는 리테이너(30)를 회전시켜도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described that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retainer 30 or the exterior 3 is a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a stationary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ner tube 2 ) And the retainer 30 or the exterior 3 may be a rotating body and the other may be a rotating body in the other direction, in which case the inner tube 2 and the retainer 30 or the exterior 3 are not shown. Is driven by the first motor, the other is driven by the second motor, or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retainer (30) or the exterior (3) is driven by the first motor; The other may be driven by a gear group gear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motor, in which case the inner tube 2 and the retainer 30 or the exterior 3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Relative velocity between inner tube 2 and retainer 30 is greater than in embodiments. The microbubbles may be generated even if the inner tube 2, the outer casing 3 or the retainer 30 is rotated at a lower rotational speed than the inner tube 2, outer casing 3 or the retainer 30 in the above embodiments. Or from the viewpoint of generating droplets.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에 리테이너 또는 외관이 외접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실시예로서, 리테이너 또는 외관이 배제된 상태에서 회전체이고 선단이 막힌 내관의 둘레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에 인접하여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에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내관의 회전방향으로 가로질러 뻗은 도시되지 않은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retainer or the outer tube is circumscribed in the inner tube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inner tube may be a rotator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or outer tube is excluded,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the base end is fixed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Not shown) each extending across the inner tub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nner tube.

상기 변경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회전하고 있는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내관(2) 밖으로 토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하는 리테이너 또는 외관이 배제한 상태에서도 내관의 회전 만에 의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만들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luid cutter of the modified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cut by the plurality of blades bubbles or droplets discharged out of the inner tube 2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that are rotating,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fine bubbles or droplets can be produced only by the rotation of the inner tube even in the state in which the retainer or the appearance that complicates the structure is excluded.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유체절단기가 이물질이 많은 액체저장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유체절단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embodiments is applied to a liquid storage tank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the inner / outer elastic pieces (77, 78), the inner / outer seesaw pieces (277, 278), the inner / outer valve pieces (177) 178, a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or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in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13 can be closed when the fluid cutter is in operation When it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clos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13, and thus, it has a desirable function in view of preventing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내관에만 유체공급원이 접속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관에 관통구멍이 없이 외관에만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태에서, 외관이 유체공급원(5)에 접속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fluid supply source is connected only to the inner tub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the state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ly in the outer tube without the through hole in the inner tube, the outer body is connected to the fluid source 5. May be connected.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3)에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축선방향에서 복수개의 줄로 그리고 둘레방향에서 복수개의 줄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관(2)에 둘레방향으로만 이격되어 한 줄의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거나, 상기 외관(3)에 둘레방향으로만 이격되어 한 줄로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복수개의 볼을 가이드 하는 요부가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내관(2)에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줄의 타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거나, 상기 외관(3)에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줄의 타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ranged in a plurality of lin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a plurality of lin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surface 3 ( 12 and 13 ar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ranged in a row in a circle are spaced in the inner tube 2 on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In the case of the outer tube 3,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d in a row in a circle may be formed, or when recesses for guiding the plurality of balls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are arranged in the inner tube 2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rranged in a row of ovals, or in the outer tube 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ranged in the oval of the spaced apart lines can be formed.

이때에는 상기 실시예들의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 또는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한 줄로 배열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internal / external elastic pieces 77 and 78, the internal and external seesaw pieces 277 and 278,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ve pieces 177 and 178, a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of the embodiments 7b), or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상기 제 1 내지 제 17실시예에서, 외관 또는 내관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또 다른 변경 실시예로서, 선단이 막힌 상태에서 유체중에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또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내관(2)의 선단부에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고, 상기 내관(2)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또는 상기 외관(3)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의 직경이 연직방향에서 아래로 갈수록 크게 되어 있으면, 상기 작은 직경의 버블 또는 방울이 일정한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상기 외관(3)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first to seventeenth embodiments, the outer tube or the inner tube is described a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shown, but 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the fluid in a state where the tip is blocke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uter shell 3 is circumscrib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in an inclined state,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r the outer shell 3 of the inner tube 2 When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in the upper side incre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he appearance (3)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in the state that the bubbles or droplets of the small diameter have a constant diameter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it can be released outside.

상기 제18실시예에서,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내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관의 둘레면에도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제19실시예로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의 선단부를 디스크통(2')으로 만들고,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외디스크판(3')을 미끄럼 면접촉시키고, 상기 디스크통(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마주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상기 외디스크판(3')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eighteenth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which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also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but as a nineteenth embodiment, in FIG. As shown, the front end of the inner tube 2 is made into a disk cylinder 2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formed in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disk cylinder 2', and the disk cylinder 2 The outer disk plate 3 'is brought into sliding contact with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fac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disk cylinder 2 ' It may be formed in the disk plate 3 '.

이때에도,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통(2')이 회전체가 되고, 외디스크판(3')이 베이스에 브래킷(3a)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고정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통(2')이 고정체가 될 수 있고, 외디스크판(3')에 원통형 외치기어(3a)를 고정적으로 외접시키고, 상기 외치기어(3a)에 모터(M)의 출력축(32)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출력기어(33)를 치합시켜서, 상기 외디스크판(3')이 회전체가 되게 할 수도 있다.Also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7, the disk cylinder 2 'may be a rotating body, and the outer disk plate 3' may be fixed to the base via a bracket 3a to become a fixed bod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8, the disk cylinder 2 'may be a fixed body, and the cylindrical outer gear 3a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outer disk plate 3', and the outer gear 3a is fixed. The output disk 33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output shaft 32 of the motor M is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uter disk plate 3 'becomes a rotating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9실시예의 유체절단기는 디스크통(2') 또는 외디스크판(3')이 회전하면, 디스크통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상기 외디스크판(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주기적으로 서로 유통되어있다가 비유통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유체가 상기 외디스크판(3')에 의해 절단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로 되게 되고, 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위치가 동일한 유체깊이에 위치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된다.The fluid cutting machine of the ninete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and the outer disk plate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disk cylinder when the disk cylinder 2 'or the outer disk plate 3' is rotate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of 3 'are periodically distributed to each other and are in a non-flowing state, and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s cut by the outer disk plate 3'. They become fine bubbles or droplets, and the fine bubbles or droplets have the same diameter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re positioned at the same fluid depth.

상기 제19실시예의 상기 외디스크판(3')이 제20실시예로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통(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디스크통(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로 대체될 수 있다.The outer disk plate 3 'of the nineteenth embodiment is the twentie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39,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k barrel 2'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k barrel 2 '. It may be replaced by a plurality of blades 3 "spac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미끄럼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크통(2')과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 중 어느 하나는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이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절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blades 3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disk cylinder 2 'by an elastic pressing means (not shown), and the disk cylinder 2' and the plurality of blades 3 ar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One of the ") is a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a stationary body, so that the plurality of blades 3 " cut the bubbles or droplet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inner tube 2. Done.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예를 들면,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14-0015135호에 개시된 탄성가압수단이 될 수 있다.The elastic pressing means may be, for example, the elastic pressing mean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15135 by the inventor.

상기 제19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이 미끄럼 면접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제21실시예로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제1 내지 제 3실시예와 같이 가로질러 지나가게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개재될 수도 있다.In the nineteenth embodiment, the front end face 2a of the disc cylinder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are in sliding contact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disk cylinder 2 'i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in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disk cylinder 2'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 And a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disk plate 3 '.

도 40에는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40 shows that a plurality of balls 7a ar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end face 2a of the disc cylinder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제21실시예서는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디스크판(3')에 반드시 버블 또는 방울이 토출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없어도 되며, 상기 외디스크판(3')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관통구멍(13)과 상기 관통구멍(12)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할 필요는 없다. In the twenty-first embodiment, since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disk cylinder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bubbles or droplets must be discharged to the outer disk plate 3 '. Two through holes 13 may be omitted, and wh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formed in the outer disk plate 3 ', the through holes 13 and the through holes 1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re is no.

외디스크판(3')에 관통구멍(13)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외디스크판(3')이 브래킷(3a)에 고정되지 않고 유체저장조 바닥을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외관(3)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선택적으로 외관(3)이 유체공급원에 접속되고 내관(2)의 선단면(2a)에 관통구멍(12)이 배제되어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에 의해 상기 외디스크판(3')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절단할 수도 있다.When the through-hole 13 is formed in the outer disk plate 3 ', the outer disk plate 3' is not fixed to the bracket 3a, and the outer disk plate 3 'is rotatably or fixedly penetrated through the bottom of the fluid reservoir. 3) may be fixedly inscribed, in which case the exterior 3 is optionally connected to a fluid supply and the through hole 12 is excluded in the front end face 2a of the inner tube 2 such that the plurality of balls or Bubbles or droplet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formed in the outer disk plate 3 'may be cut by the rollers.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 및 상기 외디스크판(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해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disk barrel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 to guide the plurality of balls or rollers as in the above embodiments. have.

또한, 제21실시예에서는, 제6 내지 제 11실시예와 같이,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볼 또는 롤러,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 또는 외디크판(3')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으면, 안정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twenty-first embodiment, as in the sixth to eleventh embodiments, the inner / external elastic pieces 77 and 78, the inner and outer seesaw pieces 277 and 278, and the inner and outer valve pieces 177, 178 or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interposed between the distal end surface 2a of the disc cylinder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so that they are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disc cylinder 2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2a) may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ball or roller, the inner / external elastic pieces 77 and 78, the inner and outer seesaw pieces 277 and 278, and the inner and outer valves When the pieces 177 and 178 elastically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face 2a of the disc cylinder 2 or the inner disk 3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13 are stably opened. It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opening and closing reliably.

아울러,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3)에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방향으로 하나의 관통구멍(12, 13)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and 13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e through hole 12, 13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2; 내관, 3; 외관2; Inner tube, 3; Exterior

Claims (31)

내관(2)과 상기 내관(2)에 외접된 외관(3) 또는 리테이너(30)를 포함하고 있는 유체절단기로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는 회전체 또는 왕복운동체이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 또는 왕복운동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둘레면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중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하류단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터(30) 중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이 막힌 상태에서 상류단이 유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 또는 왕복운동체의 운동시에 상기 내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에 형성된 상기 하나의 군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A fluid cutter comprising an inner tube (2) and an outer tube (3) or retainer (30) circumscribed by the inner tube (2),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or the one or more retainers 30 are rotatable bodies or reciprocating bodie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or one or more One of the retainers 30 is a unidirectional rotating body or reciprocating body and the other is a fixed body,
At least on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surface (3) or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on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in the axial direction,
The downstream end of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exterior 3 or the up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tube 2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is blocke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The inner tube between the outer tube 3 or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inner tube 2 elastically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during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or the reciprocating body. Or means for passing 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s of the one group or the plurality of groups formed in the exteri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은,
복수개의 볼(7a), 복수개의 롤러(7b),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탄성편, 복수개의 밸브편, 또는 복수개의 시소편이거나, 또는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마련된 외치기어(21),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마련된 내치기어(31); 및 상기 외치기어(21)와 상기 내치기어(31)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치합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4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치기어(21)의 복수개의 골부와 상기 내치기어(31)의 복수개의 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ns for passing or opening /
A plurality of balls 7a, a plurality of rollers 7b,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a plurality of valve pieces, or a plurality of seesaw pieces, or
An external gear 21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nd an internal gear 31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And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interposed between the external gear (21) and the internal gear (31) and meshing with the internal gear (3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one portions of the external gear 21 and the plurality of bone portions of the internal gear 31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in 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luid cut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과 리테이너가 유체 중에 배치되거나,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이 유체 중에 배치되거나,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하류단이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에 접속되거나,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어느 하나는 제2유체공급원에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어느 하나는 제2유체공급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하류단이 버블 또는 방울 공급대상부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tube and the retainer are disposed in the fluid,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re arranged in a fluid, or
The downstream end of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is connected to a bubble or drop supply target;
The other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is connected to a second fluid supply source, or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is connected to a second fluid supply source, and a downstream end of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is a bubble or droplet supply target. A fluid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하나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하나의 군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ring-shaped concave portions 6 spac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The ring-shaped concave portions 6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Respectively,
One or a plurality of recesses 6 of the inner tube 2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group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e fluid cu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balls 7a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re seated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recesses 6.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elongated ring-shaped concave portion 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n the elongated ring-shaped recessed part 6, one group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in the axial direction.
And said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eated in contact with said recessed portion (6) or spaced apa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에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링형상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Ring-shaped recesses 6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the plurality of balls (7a) are seated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recesses (6) or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하나의 링형상의 요부(6) 또는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의 볼(7a)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ring-shaped concave portion 6 or a plurality of ring-shaped concave portions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tube 2 6 are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balls 7a of the plurality of ball plungers are circumferentially contacted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one or more recesses 6,
At least on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2 is formed with a ring-shaped recess 6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o that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formed. A fluid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ed ring-shaped recessed portion (6) is seated in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spaced apa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하나의 군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상기 요부(6)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recesses 6 of the inner tube 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of the one group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or
In the ring-shaped recess 6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fluid cutters in the axial direction.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내관과 외관 사이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내관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서 내관 또는 외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축 각각에,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so that both ends are rotatably or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A fluid cutter, wherein the fluid cutter is externally fixed or rotatably circumscribed on each of the two ax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내관과 외관 사이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내관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서 내관 또는 외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 중 하나가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so that both ends are rotatably or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tube or the outer tube. A fluid cu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wo shafts is axially spaced apart or fixedly or rotatably circumscribed, or one of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s fixedly or rotatably circumscrib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와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하나의 칸막이 벽부(71) 또는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8. The method of claim 7,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appearance 3, a ring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one of the partition walls 71 or a ring-shaped partition wall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A fluid cutt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71 having a shap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탄성부재가 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 elastic member is inscrib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 portions 71 so as to elastically press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radially inwardly. .
제 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축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탄성부재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hafts are fixed or slid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2 so that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are elastically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Fluid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에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산부가 선택적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또는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축(41)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외접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상기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에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산부가 선택적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치기어(31)와 상기 외치기어(21)의 축선상의 길이 전장에 걸쳐서 뻗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축(41)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uch that the peaks of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selectively face the one or the plurality of groups of through holes 12. In a closed state o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rotatably or stationarily on a plurality of shafts 41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nd circumscribed so as not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uch that peaks of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selectively face the through holes 12 of the plurality of groups. In which the internal gear 31 and the external gear 21 extend axial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ternal gear 31 and rotatably or stationarily on a plurality of shafts 41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shell 3. And circumscribed so as not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는,
상기 외관(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이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되고,
상기 외관(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들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함께 자전가능하게 내접된 복수개의 축(41)들에 결합된 캐리어(42)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되고,
상기 내관(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이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되고,
상기 내관(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들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함께 자전가능하게 내접된 복수개의 축(41)들에 결합된 캐리어(42)가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되고,
상기 캐리어(4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내관(2)이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없이 자전되고, 또는
상기 캐리어(42)와 상기 외관(3)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이 구동원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When the inner tube 2 i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3 is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rotated and rotat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while the outer surface 3 is fixed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hafts 41 which are inscribed rotatably or rotatably together. When the carrier 42 i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rotated and rotated,
When the exterior 3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while the inner tube 2 is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rotated and rotat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while the inner tube 2 is fixed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hafts 41 which are inscribed rotatably or rotationally together. When the carrier 42 i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are rotated and rotated,
When the outer tube 3 or the inner tube 2 i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in a state where the carrier 42 is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rotate without revolving, or
When the inner tube (2) is rotated by the drive source in the state that the carrier (42) and the outer surface (3) is not fixed,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40) is rotated and rot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cutt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리테이너(30),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3)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의 반경 방향 뻗어 있는 몸체(a),
상기 몸체(a)의 선단에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을 향하여 개구된 보어(b),
상기 보어(b)에 내장된 스프링(c) 및
상기 보어(b)의 개구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볼(7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ll plunger 7 is,
A body (a) whose base is fixed to the retainer 30,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surface (3) and the tip is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 bore (b) opened toward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tube at the tip of the body (a)
A spring (c) embedded in the bore (b) and
And a ball (7a) retracta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ore (b).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스프링(c)에 의해 상기 볼(7a)을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c)과 상기 볼(7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어(b)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는 가압판(d)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all plunger 7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c and the ball 7a to reliably and elastically pressurize the ball 7a by the spring c to form an inner wall of the bore b. And a pressure plate (d) which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luid cutting machin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에서는 상기 볼(7a)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7a)과 상기 가압판(d) 사이에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볼(f)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ball plunger 7, the ball 7a is freely rotated between the ball 7a and the pressing plate d so that the ball 7a can freely rotate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the opening of the bore b. And a plurality of balls (f)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7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편은 상기 내관(2)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을,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에 의해 개폐하기 위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내탄성편(77) 및 상기 외관(3)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을,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에 의해 개폐하기 위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외탄성편(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piec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to open or close the through holes 12 of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e inner tube 2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elastic resistant pieces 77 and the through holes 13 of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e exterior 3 that are pivotally fixed to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rollers 7b.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ly elastic pieces (78) rotatably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내탄성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2a)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2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7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하나의 내탄성편(77)의 일단이 또는 상기 복수개의 쫄대(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일단이 고정되고;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선단이 내관(2)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 각각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고, 또는
상기 외탄성편에 있어서,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3a)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3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8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하나의 외탄성편(78)의 일단이 또는 상기 복수개의 쫄대(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일단이 고정되고;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선단이 외관(3)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 각각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elastic resilient piece,
A plurality of slot grooves (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e end of one elastic-resistant piece 77 or a plurality of rods 77a on a radially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ds 77a that can be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slot grooves 2a in a dovetail manner. One end of the plurality of elastic resistant pieces 77 is fix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ip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77 extends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so that the one or more groups of through holes ( If it blocks one of the 12) and is not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it is elastically restored to be spaced radially outwardly in each of the one or more groups of through holes 12, or
In the outer elastic piece,
A plurality of slot grooves 3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One end of one outer elastic piece 78 or one end of the plurality of ribs 78a may be provided on a radially inner surface of a plurality of ribs 78a that can be fitted to the plurality of slot grooves 3a in a he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outer elastic pieces (78) is fix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ip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outer elastic pieces 78 extends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3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so that the one or more groups of through holes ( If it blocks one of the 13 and is not press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7b),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astically restored to be spaced radially inwardly in each of the one o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Fluid cutt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편은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내관(2)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밸브편(177) 및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외관(3)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밸브편(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alve pie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2) in a sliding contact with a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s 12 of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e inner pipe (2) and And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that are elastically pivotally slidably contac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3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s 13 of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e outer shell 3. Fluid cu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밸브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밸브편(177)이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양측에 고정된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나의 내밸브편(177)의 양측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하나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이 개폐되게 되어 있고; 및 상기 하나의 내밸브편(177)은 하나의 군의 관통구멍(12) 또는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또는
상기 외밸브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8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밸브편(178)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8a) 또는 상기 내관(2)의 양측에 고정된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나의 외밸브편(178)의 양측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외밸브편(178)이 탄성적으로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하나의 외밸브편(178)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이 개폐되게 되어 있고; 및 상기 하나개의 외밸브편(178)은 하나의 군의 관통구멍(13) 또는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In the inner valve part,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or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so that both end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o that the outer tube 3 or the one or plurality of retainers ( A single inner valve piece 177 extending rotatab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is rotatably circumscrib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fixed to 3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 elastic member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or the outer tube 3 or the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presses the one inner valve piece 177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nd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one inner valve piece (177); The one inner valve piece 177 is resiliently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so that the one inner valve piece 177 opens and closes the one or 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12 ; And the one inner valve piece 177 are provided with the inner tube 2 capable of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 group of through holes 12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rough holes 12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outer valve piece,
A plurality of shaft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so that both ends thereof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are fixed to the inner tube 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 base end of one outer valve piece 17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each of the two ends 178a; An elastic member fix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8a or the inner tube 2 presses the one outer valve piece 178 to press the one outer valve piece 178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 [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frame; The one outer valve piece 178 is resiliently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 and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13 of the one or more group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one outer valve piece 178 ; And the outer valve piece 178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opening / closing one group of through holes 13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rough holes 13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ior 3. Fluid cu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밸브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의 양측에 고정된 탄성부재가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외관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고; 및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이 개폐되게 되어 있고, 또는
상기 외밸브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8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8a)의 양측에 고정된 탄성부재가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내관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고; 및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탄성적으로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이 개폐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In the inner valve part,
The outer tube (3) or the one or more retainers (30)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or the one or more retainers (30) and both end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re fixedly circumscribed to each of a plurality of shafts 177a which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shaft 17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Elastic members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7a)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exterior so as to press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are resiliently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2), and the plurality of inner valve pieces (177) Or
In the outer valve piece,
A plurality of shafts arranged between the inner pipe 2 and the outer pipe 3 and having opposite en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2 and fixed to the inner pipe 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The base ends of a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re fixedly circumscrib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a; An elastic member fix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shafts 178a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tube so as to press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 And the one or more groups of through holes 13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while the plurality of outer valve pieces 178 are elastically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3. A fluid cu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에는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또는
상기 외밸브편(178)의 선단에는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외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An inner roller that rotates with a rotation center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inner tub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ip of the inner valve piece 177,
And an outer roller rotatably mounted at a distal end of the outer valve piece 178 having a rotation center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상기 내관(2)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시소편(277) 및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상기 외관(3)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시소편(2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277 and the plurality of balls pressed by the plurality of balls 7a or the plurality of rollers 7b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s 12 of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e inner tube 2. 7a) or a plurality of rollers 7b, which are pressed by a plurality of rollers 7b, and compris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seesaw pieces 278 that open and close one or a plurality of groups of through holes 13 of the exterior 3. cutter.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은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And the plurality of endothelial pieces (277)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pieces (278) have a V-shaped cross-sectional shape.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소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내관(2)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7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거나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양단부들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마주하는 내관(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3)가 형성되고; 및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2)들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시소편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외관(3)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8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거나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양단부들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과 마주하는 외관(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5)가 형성되고; 및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13)들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In the above flame retardant piece,
A plurality of en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or one or the plurality of retainers 30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ner tube 2;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277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hafts 277a on each of the shafts 277a is rotatably circumscribed or on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ndoscope piece 277 is rotatably circumscribed; Whe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277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the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277 and the plurality of endoscopic pieces do not occur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A plurality of sheet portions 203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facing each other; And protrusions (20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2) of the one or more groups are formed on the radially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plurality of endoscope pieces (277)
In the external appearance piece,
A plurality of shafts 278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etween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tube 3 and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fixed to the outer tube 3 at both ends thereof, An intermediate portion of a plurality of outer sheath pieces 278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tub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heath 278a is rotatably circumscribed or an intermediate portion of one outer sheath piece 278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heath is rotated Possibly circumscribed; When the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pieces 278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and the plurality of the outer plate pieces 278 so that the radial step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3) does not occur A plurality of sheet portions 205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cing exterior 2; And a projection 206 formed at a radially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plurality of outer seesaw pieces 278 to be fit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3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groups. Fluid cutter.
선단면(2a)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고, 유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내관(2);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미끄럼 접촉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2)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내관(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관(2)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3")의 회전시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An inner tube 2 having one o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in the front end face 2a an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in a flowable manner; And
A plurality of blades 3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front end face 2a of the inner tube and in sliding contact;
Either of the inner tube 2 or the plurality of blades 3 "is a one-way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a fixed body or another rotating body,
The plurality of blades 3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nd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when the inner tube 2 or the plurality of blades 3" rotate, A fluid cutter, characterized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
선단면(2a)을 가진 내관(2);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마주하여 이격된 외디스크판(3')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절단기로서,
상기 내관(2) 또는 외디스크판(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내관(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스크판(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디스크판(3') 중 어느 하나에는 유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의 선단면(2a)과 외디스크판(3')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의 운동시에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디스크판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An inner tube 2 having a tip end face 2a; And
A fluid cutting machine including an outer disk plate 3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face 2a of the inner tube,
Any one of the inner tube (2) or the outer disk plate (3 ') is a one-way rotating body and the other is a fixed body or the other direction rotating bod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surface 2a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
Any one of the inner tube 2 and the outer disk plate 3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5 so as to be circulate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face 2a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disk plate 3 'by elastically contacting the inner tube or the outer disk plate during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Fluid cut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for passing or opening and closing across them.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은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절단기.
30. The method of claim 29,
And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은,
복수개의 볼(7a), 복수개의 롤러(7b),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탄성편, 복수개의 밸브편, 또는 복수개의 시소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절단기.
30. The method of claim 29,
The means for passing or opening /
And a plurality of balls (7a), a plurality of rollers (7b), a plurality of ball plungers (7),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a plurality of valve pieces, or a plurality of seesaw pieces.
KR1020140018827A 2013-08-22 2014-02-19 Fluid cutting apparatus KR201400302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2037 WO2015088215A1 (en) 2013-12-10 2014-12-09 Apparatus for mixing first fluid into second fl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97A KR20130102025A (en) 2013-08-22 2013-08-22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30099497 2013-08-22
KR1020130105031 2013-09-02
KR20130105031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294A true KR20140030294A (en) 2014-03-11

Family

ID=50642807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49A KR101410756B1 (en) 2012-11-15 2013-09-30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30152973A KR20150022619A (en) 2013-08-22 2013-12-10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30152969A KR20150022618A (en) 2013-08-22 2013-12-10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30162619A KR20150022621A (en) 2013-08-22 2013-12-24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40002279A KR101529978B1 (en) 2013-08-22 2014-01-08 apparatus for mixing liquid into fluid
KR20140002276A KR20150022625A (en) 2013-08-22 2014-01-08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40015135A KR101620392B1 (en) 2013-08-22 2014-02-10 apparatus for mixing liquid into fluid
KR1020140018827A KR20140030294A (en) 2013-08-22 2014-02-19 Fluid cutting apparatus
KR20140024219A KR20150022631A (en) 2013-08-22 2014-02-28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40025510A KR101631613B1 (en) 2013-08-22 2014-03-04 bubble gener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49A KR101410756B1 (en) 2012-11-15 2013-09-30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30152973A KR20150022619A (en) 2013-08-22 2013-12-10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30152969A KR20150022618A (en) 2013-08-22 2013-12-10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30162619A KR20150022621A (en) 2013-08-22 2013-12-24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40002279A KR101529978B1 (en) 2013-08-22 2014-01-08 apparatus for mixing liquid into fluid
KR20140002276A KR20150022625A (en) 2013-08-22 2014-01-08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40015135A KR101620392B1 (en) 2013-08-22 2014-02-10 apparatus for mixing liquid into fluid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4219A KR20150022631A (en) 2013-08-22 2014-02-28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20140025510A KR101631613B1 (en) 2013-08-22 2014-03-04 bubble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14107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4B1 (en) 2016-06-22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 Mixing apparatus for sintering and mix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13721B1 (en) * 2018-08-03 2020-06-02 주식회사 에이런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0090569B (en) * 2019-06-06 2021-08-20 南京擅水科技有限公司 Piston typ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12Y1 (en) * 2000-09-25 2001-04-16 주식회사기가씨앤이 Multi-Stage Mixer for Emulsion Fuel Oil Producing Facility
JP3912683B2 (en) 2004-06-15 2007-05-09 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Underwater-driven gas-liquid mixing / dissolution device
KR100589788B1 (en) * 2004-11-08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ter washing type air cleaner
KR100650113B1 (en) * 2005-03-26 2006-11-27 (주)엔지에스티 Micro bubble producing device
MY149295A (en) * 2006-07-17 2013-08-30 Nestec Sa Cylindrical membrane apparatus for forming foam
JP5000583B2 (en) * 2008-05-16 2012-08-15 株式会社バイコム Micro / nano bubbl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icro / nano bubble water generation apparatus
JP4982450B2 (en) * 2008-08-26 2012-07-25 株式会社東芝 Microbubble generator
JP2011020096A (en) * 2009-07-17 2011-02-03 Sakura Color Products Corp Bubble generator
KR101137050B1 (en) * 2009-09-16 2012-04-19 오종환 Micro Bubble Generator
KR20110064750A (en) * 2009-12-08 2011-06-15 손종철 Multi-purpose faucet device for electricity generating, display of water temperature, and bubble generating
KR101224227B1 (en) * 2011-08-18 2013-01-21 이대진 Liquid fertilizer and air mixing device
KR101201693B1 (en) 2012-06-28 2012-11-15 이춘우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1231689B1 (en) * 2012-11-16 2013-02-08 이춘우 Bubble supplying apparatus
KR101231690B1 (en) * 2013-01-10 2013-02-08 이춘우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32A (en) 2015-03-04
KR101631613B1 (en) 2016-06-20
KR20150022619A (en) 2015-03-04
KR101620392B1 (en) 2016-05-12
KR20150022618A (en) 2015-03-04
KR20150022621A (en) 2015-03-04
KR101410756B1 (en) 2014-06-24
KR20150022627A (en) 2015-03-04
KR20150022631A (en) 2015-03-04
KR20150022626A (en) 2015-03-04
KR20150022625A (en) 2015-03-04
KR101529978B1 (en)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014B1 (en) Fluid delivery apparatus
KR20140030294A (en) Fluid cutting apparatus
KR101795907B1 (en) Nano bubble generator using a perforated plate
JPH0442068B2 (en)
JPS60257865A (en) Spray chip
KR101231689B1 (en) Bubble supplying apparatus
KR102553634B1 (en) Pumps and methods for pumping fluids
JPH05111647A (en) Generator for periodically moving jets
CN112868356A (en) Drip irrigation dilution liquid preparation system
RU170648U1 (en) Device for cleaning tubing
KR100478342B1 (en) Coolant feeding device of machine tool
KR20130102025A (en) Bubble generating apparatus
US20090116952A1 (en) Rolling Fluid Machine Especially With a Liquid Spraying at the Output
KR101591049B1 (en) apparatus for mixing second fluid into first fluid
RU2334564C1 (en) Device for cleaning of internal pipeline cavity (versions)
KR102337120B1 (en) Steam separator
KR101437513B1 (en) bubble generating apparatus
JP6347505B2 (en) Mist generator
KR20190005220A (en) Dust stop device of a closed type kneader
CN107825490A (en) A kind of plastic pipe cutting machine cutting mechanism
KR20150042635A (en) 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150046472A (en) bubble generating apparatus
JP6395559B2 (en) Mousse generator
JP3419619B2 (en) Nozzle device and injection device
KR20160059639A (en) apparatus for mixing second fluid into first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