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335A -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335A
KR20140029335A KR1020130107981A KR20130107981A KR20140029335A KR 20140029335 A KR20140029335 A KR 20140029335A KR 1020130107981 A KR1020130107981 A KR 1020130107981A KR 20130107981 A KR20130107981 A KR 20130107981A KR 20140029335 A KR20140029335 A KR 2014002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door
safety device
rop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4002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3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creen safety device which comprises one or more screen doors to be vertically opened or closed, a pair of ascending and descending units with a driving part for controlling the ascent and the descent of the screen door, and a sensor for sensing objects i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screen door; and which i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the manual opening or closing of the screen door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sensed objects in the front or rear side whe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creen door is sensed.

Description

로프형 스크린 안전장치의 개폐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사람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크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린 안전장치의 수동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afety device for blocking movement of a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a screen safety device.

현대의 교통시스템에서는 교통수단의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공간과 교통수단 외부에 있는 사람을 위해 제공되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전동차 및 디젤 기관차와 같은 선로교통수단의 이동을 위해 마련된 선로는 승객이 대기할 수 있는 플랫폼과 분리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4륜차 또는 2륜차와 같은 도로교통수단의 이동을 위해 마련된 도로는 이 도로를 건너려고 하는 보행자 또는 버스를 이용하려는 승객이 대기하는 인도와 분리되어 있다. In the modern transportation system, the space provided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space provided for the person outside the transportation means may be separated. For example, a railway line for moving a railway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train or a diesel locomotive is separated from a platform on which passengers can wait. As another example, roads prepared for the transportation of road vehicles, such as four-wheeled vehicles or two-wheeled vehicles, are separated from those waiting for passengers to use the buses or pedestrians attempting to cross the roads.

이때 교통수단의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진입한 사람은 교통수단에 의한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도적으로는 도로교통 시스템에서는 사람과 도로교통수단의 운전자 사이의 도로이용규약이 마련되어 있으며, 안전설비로서 일부 지하철 역의 승객용 플랫폼에는 좌우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At this time, a person who enters the space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may have an accident caused by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a road use protocol between a person and a driver of a road traffic system is provided in a road traffic system. As a safety facility, a passenger platform for a subway station is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screen safety device.

상술한 좌우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에는 여러 개의 좌우개폐형 도어가 설치된다. 좌우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는 열차출입문과 스크린도어가 1:1로 대응되어 설계되어 있으며, 열차출입문이 열리면 스크린도어 및 그 사이에 존재하는 벽이 나타날 수 있다. 각 스크린도어 및/또는 상기 벽에는 비상열림을 위한 기계적인 락(lock)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열차 측 방향에서 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left and right opening type screen safety apparatus,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doors are installed. The left and right opening screen safety devices are designed to have a 1: 1 correspondence between the train door and the screen door. When the door of the train is opened, the screen door and the wall between the doors can appear. Each screen door and / or the wall may be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device for emergency opening, which can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by releasing it from the train side.

좌우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의 각 도어의 크기와 이 도어들 사이의 간격은 승객용 플랫폼 옆에 있는 선로에 정차하는 열차의 출입문의 크기와 이 출입문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된다. 따라서 출입문의 규격이 다른 여러종류의 열차가 하나의 선로에 정차하는 경우에 좌우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승객이 일부 타입의 열차에는 승하차할 수 있지만 다른 타입의 열차에는 승하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여러가지 타입의 열차를 동시에 지원하는 플랫폼에는 좌우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The size of each do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se doors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 screen safety devices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doors of trains that stop on the track next to the passenger platfor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se doors. Therefore, when various types of trains with different door sizes stop on one track, if the left and right screen safety devices are installed, passengers can get on and off some types of trains, but can not get on and off other types of trains May occur. Therefore, platforms that support different types of trains at the same time do not have left and right screen safety devices.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실용적으로 완성하기 위하여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첫째, 승하강하는 스크린도어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스크린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예컨대 비상시와 같은 원하는 상황에서는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vertical opening screen safety device, various problems must be solved. First, the descent should be able to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screen door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screen door. Second, it should be possible to prevent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reen door in unwanted situations. Third, the screen door must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in a desired situation, for example, in an emergency.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목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opening-and-closing type screen safety device capable of solving various problem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object.

본 발명에서는 실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means for providing a practically usable vertically openable screen safety device.

우선, 서로 다른 타입의 다양한 열차가 하나의 플랫폼에 모두 정차할 수 있도록, 승하강하는 스크린도어의 좌우 폭을 매우 넓게 구성한다. 예컨대 하나의 스크린도어의 폭을 약 20m로 설정하면, 9m의 길이를 가지며 4개의 출입문을 갖는 1량의 열차 뿐만 아니라 20m의 길이를 가지면 3개의 출입문을 갖는 1량의 열차에 대하여도 이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량의 열차의 길이가 20m가 아닌 경우에도 이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First of all, the width of the screen door is very wide so that various trains of different types can stop on one platform. For example, if the width of one screen door is set to about 20 m, not only one train having a length of 9 m and having four doors but also one train having three doors with a length of 20 m, Screen safety devices can be used. Also, even if the length of one train is not 20m, this vertical opening screen safety device can be used together.

위와 같이 하나의 스크린도어의 폭을 단순히 넓게 만들면 스크린도어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즉, 스크린도어의 형상유지를 위하여 그 구조를 견고하게 설계해야하며,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을 위한 구동장치의 출력이 높아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도어를 로프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스크린도어의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It is not practical to simply increase the width of one screen door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weight of the screen door increases.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screen door must be rigidly designed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creen door, and the output of the driving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creen door must be high.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screen door is reduced and the rigidity is secured by providing the screen door in the form of a rope.

위와 같이 스크린도어를 로프형으로 제공하게 되면 스크린도어를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플랫폼에 있는 사람이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승하강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수동개폐를 금지한 상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If the screen door is provided in a rope shape as above, the screen door can be held by hand. Therefore, a person on the platform may attempt to manually ascend and lower the screen door, which may lead to a safety accident. Therefore, 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operated to prohibit manual opening and closing.

그러나 비상시에는 로프형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을 허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스크린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체하는 기계장치를 제공해야 하는데, 위와 같이 스크린도어를 로프형으로 제공하는 경우 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예컨데 좌우 20m의 구간에 로프를 제외한 단단한 벽체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계장치를 설치할 장소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However, in an emergency,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rope-type screen door should be permitt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echanical device for disengaging the lock of the screen door. It may be very difficult to provide the mechanical device when the screen do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pe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for example, there is not a solid wall or structure except for the rope in the interval of 20m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place where the mechanical device is installed is not suitabl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플랫폼 쪽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의 출력과 선로 쪽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의 출력의 조합에 따라 스크린도어를 잠금(lock) 상태로 두거나 릴리즈(release) 상태로 두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스크린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기계적 구성요소는 로프형 스크린도어의 좌우에 설치된 로프-승하강수단 내에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door is locked (lock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n output of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xists on a platform side and an output of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xists on a line sid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putting it in a release state. Mechanical components for locking or opening the screen door can be provided in the rope-up and down mea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rope-type screen d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의 스크린도어 잠금 제어신호에 따라 스크린도어의 상하 이동을 막거나 허용하는 기계적 장치를 제공한다. 이 기계적 장치는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플랫폼의 사람이 스크린도어를 건드리지 않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정지해 있는 상황에서는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회전토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에 있는 사람이 수동으로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을 시도하게 되면, 사람에 의해 스크린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회전모터에 전달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려는 토크로 변환될 수 있다. 이 토크의 변화를 감지하여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회전토크가 발행하지 않도록 회전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토크의 감지는 예컨대 회전모터가 외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유도전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드시 회전모터의 토크변화를 감지할 필요가 없이, 스크린도어에 좌우길이방향으로 별도로 제공되는 레버의 조작을 감지함으로써 스크린도어에 외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스크린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cal device for preventing or all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creen door according to the above screen door lock control signal. This mechanical device includes a rotary moto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screen door. In the situation where the person of the platform does not touch the screen door and the screen door is stationary,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rotation torque does not occur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otor. At this time, when a person on the platform attempts to descend the screen door manually, the force applied to the screen door by the person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motor may be converted into a torque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otor. By detecting this change in torque, the rotation motor can be controlled so that a rotation torque is not issu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motor. At this time, the detection of the torque may be made by, for example, an induced voltag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motor rotating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detect the torque change of the rotating mot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creen door by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provided separately in the left and right length direction on the screen door. In addition,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whether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creen door may be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적용가능한 수직개폐형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도어의 무게를 줄이면서 강성을 확보한 실용적인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직개폐형 스크린 안전장치의 수동조작모드를 제어하는 잠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safety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latform in which a variety of train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stop.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actical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screen safety device that secures rigidity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screen doo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anual operation mode of a vertically openable screen safety devi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ffects.

도 1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e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한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내부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b는 도 2a를 오른쪽 옆에서부터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도 1a에 도시한 우측 로프-승하강수단의 내부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도 1a에 도시한 보조 로프-승하강수단의 내부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플랫폼 쪽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측면에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플랫폼 쪽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도 3c의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측면에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한 한 쌍의 로프-승하강수단 사이에 외측 와이어로프와 내측 와이어로프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이 상승하여 사람 등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이 설치된 플랫폼에 열차가 정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스크린 안전장치를 전면(즉, 예컨대 플랫폼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를 후면(즉, 예컨대 선로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를 A-A'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6d는 도 6a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를 A-A'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6e는 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 안전장치의 수동개폐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낸 센서구성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다.
도 8c 및 도 8d는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낸 센서구성을 변형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수직개폐 방식의 로프형 스크린도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shows a front view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1C shows a bottom view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1D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1E shows another use state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2A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shown in FIG. 1A.
FIG. 2B shows the structure of FIG. 2A viewed from the right side.
Fig. 2C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ght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shown in Fig. 1A.
FIG. 2D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shown in FIG. 1A.
FIG. 3A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eft rope-up / down 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platform side to a line. FIG. 3B is a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of FIG. 3A.
FIG. 3c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platform side to a line side. FIG. 3D is a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of FIG. 3c.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an outer wire rope and an inner wire rope ar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rope-lifting means shown in FIG. 1A.
FIG.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re raised to enable movement of a person or the like in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4A. FIG.
Figure 5a illustrates a screen safety dev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shows a state where a train stops on a platform in which the screen safety device system according to FIG. 5A is installed.
FIG. 6A shows a screen safety device having an object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i.e., on the platform side, for example).
Fig. 6B shows a view of 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6A viewed from the rear (i.e., on the track side).
FIG. 6C shows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6A in a left direction from A-A '.
FIG. 6D shows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6A in a rightward direction from A-A '.
FIG. 6E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rain arrives at a platform.
Figures 7A and 7B show examples of manual opening and closing scenarios of screen safeguard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and 8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ensor configuration shown in Figs. 6A to 6E is modified.
Figs. 8C and 8D show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or configuration shown in Figs. 6A to 6E.
Fig. 9 shows another example of a rope-type screen door of a vertical opening / closing typ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user.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도 1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e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shows a front view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1C shows a bottom view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1D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FIG. 1E shows another use state of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1A.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는 직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 사이에는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로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은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A to 1E, a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side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L and a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R installed upright . An upper screen door 11 and a lower screen door 1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each be formed of one or more ropes.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are capable of moving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up and down, respectively.

실시예에 따라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을 구성하는 로프가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 로프들이 아래로 쳐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 사이에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을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로프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opes constituting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may be elongat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is case, these ropes can be struck dow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A,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can be disposed between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By providing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pe from being stuck.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의 상부에 수평 프레임(100U)이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00U)은 스크린 안전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수평 프레임(100U)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빈 공간에는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 및/또는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의 내부에 설치된 기계적 구성요소 또는 전기전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각종 케이블 또는 벨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이 플랫폼에 직립한 형태를 나타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이 상부의 수평 프레임(100U)에 매달려 있을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100U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The horizontal frame 100U can enhanc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creen safety device. A hollow space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100U and the left rope-raising means 100L, the right rope-raising means 100R, and / or the auxiliary rope- A mechanical component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M or various cables or belts for connecting all the components to each other. In FIG. 1A,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is shown standing upright on the platform. In another embodiment,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may be suspended from the upper horizontal frame 100U.

도 1b는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에 의해 사람 등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d는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위쪽으로 상승하여 사람 등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 1b는 스크린 안전장치가 '닫힌' 상태로 표현하고, 도 1d는 스크린 안전장치가 '열린' 상태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d와 같이 스크린 안전장치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스크린 안전장치의 상부에서 서로 겹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서로 겹친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은 상부 스크린도어(11)의 승하강 거리(또는, 승하강 속도)가 하부 스크린도어(12)의 승하강 거리(또는, 승하강 속도)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서로 겹칠 수 있도록, 도 1c와 같이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a person or the like is blocked by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Figure 1D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are moved upward Indicates a state allowing movement of a person or the like. Hereinafter, FIG. 1B illustrates the screen saver in a 'closed' state, and FIG. 1D illustrates a screen saver in an 'open' state. 1D,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safety device. In order to make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overlap each other, the left rope-up / descent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 descending means 100R are provided on the upper screen door 11 (Or the ascending / descending speed) of the lower screen door 12 is smaller than the ascending / descending distance (or the ascending / descending speed) of the lower screen door 12. 1C,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overlap with each other.

도 1e와 같이 열차(701)가 플랫폼(500)에 도착한 경우,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상승한 상태가 되어야 승객이 자유롭게 열차(701)와 플랫폼(500) 사이를 통행할 수 있다.When the train 701 arrives at the platform 500 as shown in FIG. 1E,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ust be elevated so that the passenger can freely pass between the train 701 and the platform 500 can do.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도어를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스크린 안전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면 스크린 안전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크린도어를 위와 같이 상하 두 개 이상의 스크린도어들로 나누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크린 안전장치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하게 되지만, 도 1a 내지 도 1e와 같이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를 따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서 더 단순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1A to 1E, the screen door is divided into an upper screen door 11 and a lower screen door 12, and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1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overall height of the screen safety device can be reduc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the screen door can be configured without dividing the screen door into two or more upper and lower screen door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overall height of the screen safety device is increased. However, since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need not be separately controlled as shown in Figs. 1A to 1E, Lt; / RTI >

도 2a는 도 1a에 도시한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내부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b는 도 2a를 오른쪽 옆에서부터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도 1a에 도시한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의 내부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도 1a에 도시한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의 내부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2A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L shown in FIG. 1A. FIG. 2B shows the structure of FIG. 2A viewed from the right side. FIG. 2C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shown in FIG. 1A. FIG. 2D show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rope-ascending / descending means 100M shown in FIG. 1A.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은 체인(20)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스프로킷(14)과 하부 스프로킷(15)을 포함한다. 하부 스프로킷(15)에는, 예컨대 회전모터와 같은 구동장치(120)가 연결된다. 구동장치(120)는 상부 스프로킷(14)과 하부 스프로킷(15)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includes an upper sprocket 14 and a lower sprocket 15 connected by a chain 20. To the lower sprocket 15, a driving device 120 such as a rotary motor is connected. The driving device 120 can rotate the upper sprocket 14 and the lower sprocket 15 together.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에는 좌측상부블록(140L)과 좌측하부블록(130L)을 각각 안내하기 위한 두 개의 레일(111, 112)이 구비된다. 좌측상부블록(140L)과 좌측하부블록(130L)은 각각 제2 연결구(152)에 의해 상부 스프로킷(14)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상부블록(140L)에는 도 1a의 상부 스크린도어(11)가 연결될 수 있고, 좌측하부블록(130L)에는 도 1b의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연결될 수 있다.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is provided with two rails 111 and 112 for guiding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left lower block 130L, respectively.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left lower block 130L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upper sprocket 14 by a second connecting hole 152, respectively. The upper screen door 11 of FIG. 1A may be connected to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of FIG. 1B may be connected to the left lower block 130L.

상부 스프로킷(14)의 회전축에는 좌측상부블록(140L)과 좌측하부블록(130L)에 대응하는 무게를 갖는 균형추(121)가 연결될 수 있다. 균형추(121)에 의해 구동장치(120)에 가해지는 구동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A counterbalance 121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left lower block 130L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upper sprocket 14. [ The driving load applied to the driving device 120 by the weight balance 121 can be reduced.

도 4a(후술)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측상부블록(140L)에는 상부 스크린도어(11)의 외측 와이어로프(200H)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외측 회전풀리(43)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를 장착하기 위한 7개의 내측 회전풀리(42)가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하부블록(130L)에는 하부 스크린도어(12)의 외측 와이어로프(200L)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외측 회전풀리(33)와 내측 와이어로프(201L)를 장착하기 위한 7개의 내측 회전풀리(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풀리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o be described later), the left upper block 140L is provided with two outer rotation pulleys 43 for mounting the outer wire rope 200H of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inner wire ropes 201H The inner rotating pulleys 42 may include seven inner rotating pulleys 42 for mounting the inner rotating pulleys 42. [ Similarly, the left lower block 130L is provided with two outer rotating pulleys 33 for mounting the outer wire rope 200L of the lower screen door 12 and seven inner rotating ropes for mounting the inner wire rope 201L. (Not shown). The number of rotating pulley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활차(150) 및 제1 활차(15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 활차(151)는 상부 스프로킷(14)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제1 활차(150)는 제2 연결구(152)에 의해 좌측하부블록(130L)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활차(151)는 또 다른 제2 연결구(152)에 의해 좌측상부블록(140L)과 연결되어 있다. 균형추(121)는 제1 연결구(122)에 의해 상부 스프로킷(14)과 연결되어 있으며, 좌측상부블록(140L) 및 좌측하부블록(130L)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스프로킷(14)은 체인(20)에 의해 하부 스프로킷(15)에 연결되며, 하부 스프로킷(15)은 구동장치(120)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체인(20)은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 스프로킷(15)이 회전하면 체인(20)이 회전하게 되어 있고, 체인(20)의 회전에 따라 상부 스프로킷(14)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장치(120)는 제어부(59)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first pulley 150 and the second pulley 151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ulley 150 are configured to rotate about the same axis as the upper sprocket 14. The first pulley 150 is connected to the left lower block 130L by a second coupling 152 and the second pulley 151 is connected to the left upper block 140L by another second coupling 152 It is connected. The counterbalance 121 is connected to the upper sprocket 14 by the first connection port 122 and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left lower block 130L. The upper sprocket 14 is connected to the lower sprocket 15 by a chain 20 and the lower sprocket 15 i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120. The chain 20 is adapted to form a closed loop. When the lower sprocket 15 rotates, the chain 20 rotates, and the upper sprocket 14 rotates as the chain 20 rotates. The driving unit 12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9. [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은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에 대응하는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좌측상부블록(140L)과 우측상부블록(140R)이 와이어로프(200H, 200L, 201H, 201L)에 의해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측상부블록(140R)은 좌측상부블록(140L)으로부터 변형된 구조를 갖는다. 즉, 우측상부블록(140R)은 외측 와이어로프(200H)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외측 회전풀리(43)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를 장착하기 위한 6개의 내측 회전풀리(42)를 포함한다. 우측하부블록(130R)도 우측상부블록(140R)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2C,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R has an inter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L. However, since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right upper block 140R must be connected by the wire ropes 200H, 200L, 201H, 201L, the right upper block 140R is deformed from the left upper block 140L Structure. That is, the right upper block 140R includes two outer rotation pulleys 43 for mounting the outer wire rope 200H and six inner rotation pulleys 42 for mounting the inner wire rope 201H. The right lower block 130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right upper block 140R.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은 도 2b에 도시한 제1 활차(150), 제2 활차(151), 제1 연결구(122), 제2 연결구(152), 및 균형추(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측상부블록(140L) 및 우측상부블록(140R)에 대응하는 보조상부블록(140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하부블록(130L) 및 우측하부블록(130R)에 대응하는 보조하부블록(130M)을 포함할 수 있다. 2B,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includes the first pulley 150, the second pulley 151, the first coupling 122, the second coupling 152, And a counterbalance 121. As shown in FIG. Further, it may include a left upper block 140L and an auxiliary upper block 140M corresponding to the right upper block 140R. And an auxiliary sub-block 130M corresponding to the left lower block 130L and the right lower block 130R.

본 명세서에서는 스크린도어(11, 12)와 블록(140L, 140R, 130L, 130R)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두 개의 구분된 구성요소를 합하여 '스크린도어'라고 재정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Although the screen doors 11 and 12 and the blocks 140L, 140R, 130L, and 130R have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two divided components may be combined to redefine 'screen door'.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플랫폼 쪽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측면에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FIG. 3A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eft rope-up / down 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platform side to a line. FIG. 3B is a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of FIG. 3A.

도 3a는 도 2a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이고, 도 3b는 도 2b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이다. 따라서 도 3a와 도 3b에 의한 구조는 도 2a와 도 2b에 따른 구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 3A is a modified embodiment from FIG. 2A, and FIG. 3B is a modified embodiment from FIG. 2B. Therefore,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3A and FIG. 3B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2A and FIG. 2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상부에는 제1 상부-회전부재(14L)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하부에는 제1 하부-회전부재(15L)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하부-회전부재(15L)는 구동장치(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장치(120)와 결합되어 있다. 제1 상부-회전부재(14L)와 제1 하부-회전부재(15L)는 제1 폐로형 연결구(20L)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폐로형 연결구(20L)의 일 부분에 좌측 하부블록(130L)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3A and 3B, a first upper-rotation member 14L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And a rotary member 15L is provided.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is coupled to the driving device 120 so a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120. [ The first upper-rotatable member 14L and the first lower-rotatable member 15L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The left lower block 130L may be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port 20L.

이때, 제1 하부-회전부재(15L)는 제1 폐로형 연결구(20L)와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아래의 두 가지 체결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lower-rotary member 15L may be installed so as not to slip with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one of the following two fastening methods can be used.

체결방법 1: 제1 하부-회전부재(15L) 및 제1 폐로형 연결구(20L) 중 하나 이상은 매우 큰 마찰계수를 갖는 표면을 갖도록 하고, 제1 폐로형 연결구(20L)의 장력이 충분히 큰 값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하부-회전부재(15L)와 제1 폐로형 연결구(20L)가 충분히 큰 마찰력에 의해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하부-회전부재(15L)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된 상태로 된다. 왜냐하면 구동장치(120)의 회전축과 제1 하부-회전부재(15L)는 톱니바퀴 등을 통해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맞물려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제1 하부-회전부재(15L)가 회전하지 않게되면 상술한 마찰력에 의하여 제1 폐로형 연결구(20L)도 회전하기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폐로형 연결구(20L)에 고정되어 결합된 좌측 하부블록(130L) 및 스크린도어(12)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Fastening Method 1 : At least one of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20L has a surface with a very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tension of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20L is sufficiently large Valu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from sliding with each other by a sufficiently large frictional force. As a result, when the driving device 120 is maintained in the stopped state,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is in a fixed state in which it does not rotate. This is because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device 120 and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can be engaged and coupled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slip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oothed wheels or the like. As a result, when the first lower-rotatable member 15L is not rotated,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is kept in a fixed state without rotating due to the frictional force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left lower block 130L and the screen door 12, which ar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port 20L, do not move up and down.

체결방법 2: 제1 하부-회전부재(15L)는 스프로킷으로 구성되고 제1 폐로형 연결구(20L)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위의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면 스크린도어(12)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Fastening Method 2 : The first lower -rotation member 15L is constituted by a sprocket and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is constituted by a chain. In this case,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screen door 12 does not move up and down when the driving device 120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as in the first case.

위의 체결방법 1과 체결방법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불과하다. 즉, 좌측 하부블록(130L)이 제1 폐로형 연결구(20L)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제1 폐로형 연결구(20L)가 구동장치(120)의 회전축 표면에 대해서 미끄러지지 않는 결합구조를 임의의 기계적 구조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가 제공되는 경우,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면 스크린도어(12)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The above fastening method 1 and fastening method 2 are merely illustrativ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left lower block 130L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port 20L, and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port 20L does not slip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surface of the driving device 120, Structu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f such an engagement structure is provided, the screen door 12 can remain stationary without moving up and down if the drive device 120 remains stationary.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상부에는 제2 상부-회전부재(14S)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하부에는 제2 하부-회전부재(15S)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하부-회전부재(15S)는 구동장치(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장치(120)와 결합되어 있다. 제2 상부-회전부재(14S)와 제2 하부-회전부재(15S)는 제2 폐로형 연결구(20S)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2 폐로형 연결구(20S)의 일 부분에 좌측 상부블록(140L)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3A and 3B, a second upper-rotation member 14S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ower- - rotating member 15S is provided. The second lower-rotatable member 15S is coupled to the driving device 120 so a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120. [ The second upper-rotatable member 14S and the second lower-rotatable member 15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losed type coupling 20S. The left upper block 140L may be fixedly coupled to a part of the second closed type coupling port 20S.

제2 상부-회전부재(14S), 제2 하부-회전부재(15S), 제2 폐로형 연결구(20S), 좌측 상부블록(140L), 및 구동장치(120)의 상호 결합에 의한 작용은, 상술한 제1 상부-회전부재(14L), 제1 하부-회전부재(15L), 제1 폐로형 연결구(20L), 좌측 하부블록(130L), 및 구동장치(120)의 상호 결합에 의한 작용과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The action of the mutual coupling of the second upper-rotating member 14S, the second lower-rotating member 15S, the second closed type connecting port 20S, the upper left block 140L and the driving device 120, The operation by the mutual coupling of the first upper-rotation member 14L, the first lower-rotary member 15L,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the lower left block 130L, As shown in FIG.

한편, 제1 하부-회전부재(15L)의 지름을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지름을 서로 다르게 만들 수 있다. 이때, 구동장치(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하부-회전부재(15L)의 외주의 선속도가 구동장치(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외주의 선속도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하부-회전부재(15L)에 결합된 제1 폐로형 연결구(20L)의 회전 선속도는 제2 하부-회전부재(15S)에 결합된 제2 폐로형 연결구(20S)의 회전 선속도보다 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폐로형 연결구(20L)에 고정결합된 좌측 하부블록(130L)의 승하강 속도는 제2 폐로형 연결구(20S)에 고정결합된 좌측 상부블록(140L)의 승하강 속도보다 크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s of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inear velocity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ower-rotary member 15L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120 is higher than the linear velocity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lower-rotary member 15S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120 Can be set large. As a result, the rotational linear velocity of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or 20L coupled to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is smaller than the rotational linear velocity of the second closed type connector 20S coupled to the second lower- It can be made larger than the linear velocity. Therefore, the ascending / descending speed of the left lower block 130L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ing port 20L becomes larger than the ascending / descending speed of the left upper block 140L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closed type connecting port 20S .

구동장치(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하부-회전부재(15L)의 선속도가 구동장치(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선속도보다 크게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계결합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부-회전부재(15L), 제2 하부-회전부재(15S), 및 구동장치(120)의 회전중심을 일치시켜 결합하고, 제1 하부-회전부재(15L)가 제2 하부-회전부재(15S)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set the linear velocity of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120 to be larger than the linear velocity of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120, A coupling structure can be used. For example,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and the driving device 120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lower- -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rotary member 15S.

그러나 제1 하부-회전부재(15L)의 선속도가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선속도보다 크게 설정하기 위하여, 제1 하부-회전부재(15L)가 제2 하부-회전부재(15S)보다 반드시 더 큰 지름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하부-회전부재(15L) 및 제2 하부-회전부재(15S)를 기어 형태로 제공하고, 구동장치(120)의 회전축에 제1 하부-회전부재(15L)에 맞물리는 제1 기어와 제2 하부-회전부재(15S)에 맞물리는 제2 기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 제2 기어, 제1 하부-회전부재(15L), 및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제1 하부-회전부재(15L)의 선속도가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선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폐로형 연결구(20L)와 제2 폐로형 연결구(20S)의 선속도 조정을 위한 기계적 결합구조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한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제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set the linear velocity of the first lower -rotation member 15L to be larger than the linear velocity of the second lower -rotation member 15S, the first lower -rotation member 15L is rotated by the second lower-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have a larger diameter. For example,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are provided in a gear form, and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is engaged with the first lower- And a second gear engaged with the gear and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gear ratio of the first gear, the second gear,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the linear velocity of the first lower- The linear velocity of the lower-rotational member 15S can be adjusted. That is, it is understood that the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inear velocity of the first closed type coupling port 20L and the second closed type coupling port 20S may be presented in a method other than the method exemplified in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thod.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1 하부-회전부재(15L)와 제2 하부-회전부재(15S)가 모두 하나의 구동장치(120)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각각 서로 다른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구동장치(120)가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상부-회전부재(14L)와 제2 상부-회전부재(14S)를 직접 구동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스크린 안전장치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게 된다.In FIGS. 3A and 3B,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are all driven by one driving device 120, . ≪ / RTI > 3A and 3B, the driving device 120 is disposed below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L. However,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20 is disposed above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100L So that the first upper-rotation member 14L and the second upper-rotation member 14S may be directly driven. At this time, the screen safety device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도 3a에 도시한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은 도 2a에 도시한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임을 이해할 수 있다. 비록 도 2c에 의한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로서 도 3a에 도시한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에 대응하는 구조를 제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이러한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shown in Fig. 3A is a modified embodiment from the left rope-ascending descending means 100L shown in Fig. 2A. Although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left-side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shown in Fig. 3A is not shown as a modified embodiment from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according to Fig. 2C, It can be easily grasped.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구동장치(120)가 회전형 모터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120)가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선형모터일 수 있다. In FIGS. 3A and 3B, the driving device 120 is a rotary motor. However, in a modified embodiment,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a linear motor as shown in FIGS. 3C and 3D.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플랫폼 쪽으로부터 선로 쪽으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도 3c의 좌측 로프-승하강수단의 구조를 측면에서 투시한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FIG. 3c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platform side to a line side. FIG. 3D is a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left-side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of FIG. 3c.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도 3a 및 도 3b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이므로, 이하, 도 3c 및 도 3d에 의한 구조는 도 3a 및 도 3b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S. 3C and 3D are modified embodiments from FIGS. 3A and 3B,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S. 3C and 3D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FIGS. 3A and 3B.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에 결합된 선형모터(120, 즉, 구동장치)는 고정부(120_2)와 가동부(120_1)로 구성되는데, 가동부(120_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동부(120_1)에는, 예컨대 제1 폐로형 연결부(20L)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가동부(120_1)가 수직으로 이동하면 제1 폐로형 연결부(20L)는 이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제1 폐로형 연결부(20L)에 결합된 제1 하부-회전부재(15L)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회전부재(15L)와 회전축을 공유하는 제2 하부-회전부재(15S)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제2 하부-회전부재(15S)에 결합된 제2 폐로형 연결부(20S)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부-회전부재(15L)와 제2 하부-회전부재(15S)의 지름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제1 폐로형 연결부(20L)와 제2 폐로형 연결부(20S)의 선속도를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3C and 3D, the linear motor 120 (i.e., the driving device) coupled to the left rope-ascending lowering means 100L is composed of a fixed portion 120_2 and a movable portion 120_1, 120_1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ing portion 20L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portion 120_1. When the movable part 120_1 moves vertically,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ing part 20L rotates accordingly, and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coupled to the first closed type connecting part 20L can rotate together . At this time,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which shares the rotational axis with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is also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closed-type connecting portion 15C coupled to the second lower- 20S can also rotate together. Accordingly, the linear velocity of the first closed-type connecting portion 20L and the second closed-type connecting portion 20S can be relatively reduced by adjusting the diameter ratio of the first lower-rotational member 15L and the second lower-rotational member 15S Can be adjusted.

도 3c 및 도 3d의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에 대응하는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설명들로부터 그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Although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corresponding to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in Figs. 3C and 3D is not shown, the structure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above explanations.

상술한 폐로형 연결구(체인(20)), 상기 폐로형 연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5S, 15L, 14S, 14L), 및 상기 회전부재(15S, 15L, 14S, 14L)를 회전시키는 모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을 구동부라고 지칭할 수 있다.And a motor 120 for rotating the rotary member 15S, 15L, 14S, 14L. The rotary member 15S, 15L, 14S, 14L rotates the closed type connector, ) Can be referred to as a driving portion.

도 4a는 도 1a에 도시한 한 쌍의 로프-승하강수단(100R, 100L) 사이에 외측 와이어로프(200H, 200L)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 201L)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는 상부블록(140L, 140R)과 하부블록(130L, 130R)이 하강하여 사람 등의 이동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er wire ropes 200H and 200L and the inner wire ropes 201H and 201L ar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and 100L shown in Fig. 1A.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blocks 140L and 140R and the lower blocks 130L and 130R descend to block movement of a person or the like.

좌측상부블록(140L)과 우측상부블록(140R) 사이에는 외측 와이어로프(200H)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의 두 종류의 와이어로프가 장착될 수 있다. 외측 와이어로프(200H)는 총 4개의 외측 회전풀리(43)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체결구(61)에 의해 그 양단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내측 와이어로프(201H)는 총 13개의 내측 회전풀리(42)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체결구(62)에 의해 그 양단이 고정결합될 수 있다. 외측 와이어로프(200H)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에 의해 상술한 '상부 스크린도어(11)'가 형성될 수 있다.Two kinds of wire ropes, the outer wire rope 200H and the inner wire rope 201H, can be mounted between the left upper block 140L and the right upper block 140R. The outer wire rope 200H is supported by a total of four outer rotating pulleys 43, and both ends of the outer wire rope 200H can be fixedly coupled by a first fastener 61. [ The inner wire rope 201H is supported by a total of thirteen inner rotating pulleys 42 and both ends of the inner wire rope 201H can be fixedly coupled by the second fastening hole 62. [ The above-described 'upper screen door 11' can be formed by the outer wire rope 200H and the inner wire rope 201H.

마찬가지 방식으로, 좌측하부블록(130L)과 우측하부블록(130R) 사이에도 외측 와이어로프(200L)와 내측 와이어로프(201L)의 두 종류의 와이어로프가 장착된다. 외측 와이어로프(200L)와 내측 와이어로프(201L)에 의해 상술한 '하부 스크린도어(1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ame manner, two types of wire ropes, the outer wire rope 200L and the inner wire rope 201L, are mounted between the left lower block 130L and the right lower block 130R. The above-described 'lower screen door 12' can be formed by the outer wire rope 200L and the inner wire rope 201L.

외측 와이어로프(200H, 200L)는 내측 와이어로프(201H, 201L)보다 바깥쪽에 배치되며, 내측 와이어로프(201H, 201L)보다 잘 휘지 않도록 또는 더 강한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외측 와이어로프(200H, 200L)는 내측 와이어로프(201H, 201L)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되, 더 두꺼운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외측 와이어로프(200H, 200L)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 201L)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외측 와이어로프(200H, 200L)와 내측 와이어로프(201H, 201L)는 서로 다른 종류의 와이어로프일 수 있다. The outer wire ropes 200H and 200L may be disposed outwardly of the inner wire ropes 201H and 201L and may be designed so as not to warp or to have a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inner wire ropes 201H and 201L. At this time, the outer wire ropes 200H and 200L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wire ropes 201H and 201L, but may be provided using a thicker wire. Alternatively, the outer wire ropes 200H and 200L and the inner wire ropes 201H and 201L may be made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That is, the outer wire ropes 200H and 200L and the inner wire ropes 201H and 201L may be different kinds of wire ropes.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부블록(140L, 140R)과 하부블록(130L, 130R)이 상승하여 사람 등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부블록(140L, 140R)과 하부블록(130L, 130R)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균형추(121)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이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은 생략될 수도 있다.FIG.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blocks 140L and 140R and the lower blocks 130L and 130R are raised to enable movement of a person or the like in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4A. In the state of FIG. 4B, the upper blocks 140L and 140R and the lower blocks 130L and 130R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nd the balance weight 121 is moved downward.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as shown in Fig. 4B, - Up / down means 100M may be omitted.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이 설치된 플랫폼에 열차가 정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5a illustrates a screen safety dev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shows a state where a train stops on a platform in which the screen safety device system according to FIG. 5A is installed.

도 5a에 도시된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은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이 생략된 형태)를 연속으로 6개(1001~1006) 설치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6량(701~706)짜리 열차를 위한 플랫폼의 안전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b의 경우에 있어서, 한 개의 스크린 안전장치의 좌우 길이는 1량의 열차의 좌우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The screen safety device system shown in Fig. 5A is a set of six screens (1001 to 1006) in which the screen safety device (the auxiliary rope-up and descending means 100M is omitted) shown in Fig. This system can be used as a safety device for a platform for a total of six (701 to 706) trai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B. In the case of Fig. 5B,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one screen safety device can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one train.

한편, 도 5b와는 달리, 1량의 열차의 좌우 길이가 한 개의 스크린 안전장치의 좌우 길이보다 짧거나 길은 열차가 이 플랫폼에 정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열차의 정차 위치를 적절히 조절한다면 도 5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에 의해 플랫폼에 위치한 승객의 안전뿐 아니라 이 열차에 설치된 출입문을 통한 승객의 출입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FIG. 5B, a train may stop on this platform when the length of one train is shorter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one screen safety device. In this case, it is understood that by properly adjusting the stop position of the train,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placed on the platform by the screen safety system shown in FIG. 5A, as well as the passengers' access through the doors installed on the train can be completely controlled .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스크린 안전장치를 전면(즉, 예컨대 플랫폼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를 후면(즉, 예컨대 선로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를 A-A'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6d는 도 6a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를 A-A'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6e는 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FIG. 6A shows a screen safety device having an object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i.e., on the platform side, for example). Fig. 6B shows a view of 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6A viewed from the rear (i.e., on the track side). FIG. 6C shows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6A in the left direction from A-A ', and FIG. 6D shows the screen safety device shown in FIG. 6A in the right direction from A-A'. FIG. 6E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rain arrives at a platform.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1001)는 도 1a에 도시한 스크린 안전장치에 송신용 전방센서(TX_FS), 수신용 전방센서(RX_FS), 송신용 후방센서(TX_BS), 및 수신용 후방센서(RX_BS)가 더 구비된 형태이다. 여기서 '전면'은 플랫폼 쪽을 나타내며, '후면'은 선로 쪽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의 보조 로프-승하강수단(100M)이 생략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위쪽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었다. The screen safety device 1001 shown in Figs. 6A and 6B includes a front safety sensor TX_FS, a front safety sensor RX_FS, a rear sensor TX_BS, And a rear sensor RX_BS. Here, 'front' represents the platform side, and 'rear' represents the line side. 6A and 6B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xiliary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M of FIG. 1A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are opened upward Respectively.

송신용 전방센서(TX_FS)와 수신용 전방센서(RX_FS)는 각각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용 후방센서(TX_BS)와 수신용 후방센서(RX_BS)는 각각 좌측 로프-승하강수단(100L)과 우측 로프-승하강수단(100R)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송신용 전방센서(TX_FS)가 예컨대 적외선 등과 같은 물체 검출신호(df1)를 송신하면 수신용 전방센서(RX_FS)는 이 물체 검출신호(df1)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수신용 전방센서(RX_FS)가 이 물체 검출신호(df1)를 검출하지 못한다면 송신용 전방센서(TX_FS)와 수신용 전방센서(RX_FS) 사이에, 즉 스크린 안전장치의 전면 쪽에 사람과 같은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front sensor TX_FS and the reception front sensor RX_FS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respectively. The transmission rear sensor TX_BS and the reception rear sensor RX_BS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ef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the right rope-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R, respectively. When the transmission front sensor TX_FS transmits an object detection signal df1 such as infrared rays, the reception front sensor RX_FS can receive the object detection signal df1. If the receiving front sensor RX_FS can not detect the object detection signal df1,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such as a person on the front side of the transmission safety sensor (TX_FS) and the reception front sensor (RX_FS) Can be judged to exist.

마찬가지 방식으로 송신용 후방센서(TX_BS)와 수신용 후방센서(RX_BS)는 물체 검출신호(db1)를 이용하여 스크린 안전장치의 후면 쪽에 사람과 같은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imilarly, the transmission rear sensor TX_BS and the reception rear sensor RX_BS can determine whether an object such as a person is present on the rear side of the screen safety device using the object detection signal db1.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안전장치의 전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송신용 전방센서(TX_FS)와 수신용 전방센서(RX_FS)를 이용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송신용 센서와 수신용 센서로 나누어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체온을 가진 사람을 구별해낼 수 있다. 이는 스크린 안전장치의 후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센서의 구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ransmission front sensor (TX_FS) and the reception front sensor (RX_FS) are used to monitor whether or not an object exis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safety apparatus.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an infrared image sensor may be used . In the case of using an infrared image senso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a sensor for transmitting and a sensor for receiving, an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person having body temperature. This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an object exis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safety device. 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form of th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n object exist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creen door.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1001)는, 예컨대 도 5a에 나타낸 스크린 안전장치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creen safety apparatus 1001 shown in Figs. 6A and 6B can be used, for example, as a component of the screen safety apparatus system shown in Fig. 5A.

도 1a 내지 도 6e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스크린 안전장치의 좌우방향 길이는 수 m 이상(예컨대 20m)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의 좌우방향 길이가 수 m 이상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의 무게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를 로프형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 중 하나 이상이 플레이트 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The length of each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6E may be more than several meters (for example, 20 meter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length of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can be more than several meter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be provided in a rope shape as described above but the structure of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That is, in other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be provided in a plate form.

그런데 예컨대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가 로프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플랫폼에 위치한 사람이 아래쪽으로 닫혀있는 상부 스크린도어(11) 또는 하부 스크린도어(12)의 로프를 잡고 수동으로 위쪽으로 들어 올리려고 시도할 수 있다. 즉, 스크린 안전장치를 플랫폼 쪽에서 수동으로 개폐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허용된 상황이 아니라면 이러한 시도가 성공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플랫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스크린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허용된 상황은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도 7a 또는 7b에 나타낸 시나리오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pe, for example, the upper screen door 11 or the lower screen door 12, in which a person located on the platform is closed down, You can try to lift it upwards. That is, you can attempt to open and close the screen safeguard manually on the platform side. At this time, platform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making these attempts unsuccessful unless it is allowed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screen safety devices. The circumstances in which it is permissible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screen safeguard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cenario. For example, as shown in the scenario shown in Fig. 7A or 7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 안전장치의 수동개폐 시나리오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s 7A and 7B show examples of manual opening and closing scenarios of screen safeguard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와 도 7b에 나타낸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에서는 플랫폼쪽과 선로쪽에 각각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네 가지 조합으로 나타내었다. 플랫폼쪽 물체는 상술한 송신용 전방센서(TX_FS)와 수신용 전방센서(RX_FS)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선로쪽 물체는 상술한 송신용 후방센서(TX_BS)와 수신용 후방센서(RX_BS)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 센서들에 의하여 사람과 같은 물체가 감지된 경우 '감지'라고 표시하고, 감지되지 않은 경우 '미감지'라고 표시하였다. In Scenario 1 and Scenario 2 shown in FIGS. 7A and 7B,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on the platform side and the line side are represented by four combinations. The platform side object can be sensed by the transmission front sensor TX_FS and the reception front sensor RX_FS described above and the line side object can be detected by the transmission rear sensor TX_BS and the reception rear sensor RX_BS Lt; / RTI > When the sensor detects an object such as a human being, it is indicated as 'detected', and when it is not detected, it is indicated as 'not detected'.

도 7a과 도 7b의 '경우 2'와 '경우 4'에서는 선로쪽에 물체가 감지된 상태이다. 선로쪽에 정차한 열차에서 승객들이 비상탈출하고자 하거나, 선로에 떨어진 사람이 플랫폼 쪽으로 피신하고자 하는 상황은 '경우 2'와 '경우 4'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플랫폼쪽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스크린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따라서 '경우 2'와 '경우 4'와 같이 감지된 경우 스크린 안전장치를 릴리즈(release) 또는 언락(unlock) 상태로 둘 수 있다. 여기서 릴리즈 상태라고 하는 것은, 예컨대 도 3b에서 설명한 구동장치(120)의 회전축이 전력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안전장치를 릴리즈 상태로 둔다는 표현은, 스크린 안전장치를 구동하는 상술한 구동부가 릴리즈 상태로 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case 2 and case 4 of FIGS. 7A and 7B, an object is detected on the line side. A situation where passengers want to escape from a train on a railway line or a person who falls on a railway line wants to escape to the platform may correspond to 'case 2' and 'case 4'. In this case, therefore, the screen safety device must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whether or not an object is present on the platform side. Thus, if detected as 'case 2' and 'case 4', the screen safety device can be released or unlocked. Here, the releas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apparatus 120 described in FIG. 3B is not controlled by electric power but can be freely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expression of leaving the screen safety device in the released state here may mean that the above-mentioned driving portion for driving the screen safety device is placed in the released state.

'경우 1'에서는 선로쪽에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플랫폼쪽에는 물체가 감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스크린 안전장치의 수동개폐를 허용하여 스크린 안전장치가 수동으로 열리게 된다면, 플랫폼쪽에 위치한 사람이 선로쪽으로 떨어져 사고를 당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 1'에는 스크린 안전장치가 수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 안전장치를 잠금(lock) 상태로 둘 수 있다. In Case 1, the object is not detected on the track side, but the object side is detected on the platform side. In this case, if the screen safety device is opened manually by allowing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reen safety device, the person located on the platform side may fall to the line and be accidents. Therefore, 'Case 1' may not allow the screen safety device to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thus leaving the screen safety device locked.

도 7a의 시나리오 1의 '경우 3'과 도 7b의 시나리오 2의 '경우 3'은 모두 플랫폼쪽과 선로쪽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스크린 안전장치를 수동으로 개폐하고자 하는 사람이 스크린 안전장치 근처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우 3'에서는 스크린 안전장치를 잠금 또는 릴리즈(언락) 상태 중 임의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Case 3' of Scenario 1 of FIG. 7A and 'Case 3' of Scenario 2 of FIG. 7B both show cases where no object is detected on the platform side and the line side. In this case, it can be judged that the person who wants to open or close the screen safety device manually is not present near the screen safety device, so in case 3, the screen safety device is set to any of the locked or unlocked states .

상술한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와 다른 시나리오, 또는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의 조건에 다른 조건을 부가하여 더 구체화한 다른 시나리오가 제시될 수도 있다.The scenarios 1 and 2 described above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other scenarios may be presented that are further specified by adding other conditions to the scenarios or the conditions of the scenarios 1 and 2.

또한, 구체적인 시나리오에 따란 스크린 안전장치를 락 또는 언락 상태로 두기 위하여 상술한 형태의 제1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크린 안전장치를 잠금 또는 릴리즈 상태로 두기 위한 제2의 구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의 제1 구조와 제2 구조 사이에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cond structure for putting the screen safety device in a locked or released state while providing a first structur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to place the screen safety device in a locked or unlocked state according to a specific scenario . At this time, priority can be set between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실시예 1>&Lt; Example 1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를 도 1a, 도 3a~3d, 도 4a, 및 도 6a~6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3A to 3d, 4A, and 6A to 6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는, 상하로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도어(11, 12), 스크린도어(11, 12)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한 쌍의 승하강수단(100L, 100R), 스크린도어(11, 12)의 전방공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크린도어(11, 12)의 후방공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 스크린 안전장치는, 승하강수단(100L, 100R)은 스크린도어(11, 12)의 수동개폐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공간에 물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후방공간에 물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의 조합에 따라 스크린도어(11, 12)의 수동개폐 허용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creen door 11 that is opened and closed vertically and a pair of 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100L and 100R that control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 And a sensor adapted to sense objects in the front space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and adapted to sense objects in the rear space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 At this time, in this screen safety device,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100L and 100R are adapted to allow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n object is detected in the front space, Whether or not the screen doors 11 and 12 are allowed to be manually opened or closed.

이때, 스크린도어(11, 12)는 일 열(one row) 이상의 로프(200H, 201H, 200L, 201L)로 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reen doors 11 and 12 may be ropes 200H, 201H, 200L, and 201L of one row or more.

이때, 상기 센서는, 승하강수단(100L, 100R)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공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전방센서(TX_FS, RX_FS) 및 승하강수단(100L, 100R)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공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후방센서(TX_RS, RX _R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센서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여러 개의 센서 요소(TX_FS, RX_FS, TX_RS, RX _RS)들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센서는 전방센서(FS)와 후방센서(BS)의 두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는 도 8c 및 도 8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하나의 센서(IS)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100L and 100R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nsors TX_FS and RX_FS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100L and 100R, And a rear sensor (TX_RS, RX_RS) adapted to sense an object in the rear space. That is, the above-described sensor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ensor elements TX_FS, RX_FS, TX_RS, and RX_RS as shown in FIGS. 5A to 5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sensor may be composed of two components, a front sensor FS and a rear sensor BS. Alternatively, the sensor may be composed of one sensor (IS) capable of detecting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as shown in Figs. 8C and 8D.

도 8a 및 도 8b는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낸 센서구성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다. 스크린 안전장치(1001)의 상부 프레임(100U)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방센서(FS)와 후방센서(BS)가 설치될 수 있다. 전방센서(FS)는 스크린 안전장치(1001)를 기준으로 플랫폼 쪽(범위 θ°)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후방센서(BS)는 스크린 안전장치(1001)를 기준으로 선로 쪽(범위 θ°)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 전방센서(FS)는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지만, 예컨대 전방센서(FS)가 적외선 센서와 같은 광학센서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 전방센서(FS)로부터 출력된 색온도를 이용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 실현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후방센서(BS)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Figs. 8A and 8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ensor configuration shown in Figs. 6A to 6E is modified. A front sensor FS and a rear sensor BS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frame 100U of the screen safety device 1001, respectively. The front sensor FS can sense an object on the platform side (range?) With respect to the screen safety device 1001 and the rear sensor BS can sense objects on the line side (range? °) can be detected. 8A and 8B, the front sensor FS is not divided in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However, when the front sensor FS is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for example, It can be understood that such a configuration can be realized becaus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erson exists. This also applies to the rear sensor BS.

도 8c 및 도 8d는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낸 센서구성을 변형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스크린 안전장치(1001)의 상부 프레임(100U)의 아래쪽에는 하나의 센서(IS)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IS)는 스크린 안전장치(1001)를 기준으로 플랫폼과 선로 쪽(범위 2θ°)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c 및 도 8d에서 센서(IS)는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을뿐만 아니라, 전방용과 후방용으로도 구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예컨대, 센서(IS)가 적외선 센서와 같은 광학센서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 센서(IS)로부터 출력된 색온도를 이용하여 전방과 후방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 실현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Figs. 8C and 8D show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or configuration shown in Figs. 6A to 6E. One sensor IS may be installed below the upper frame 100U of the screen safety device 1001. [ The sensor IS can sense an object on the platform and the line side (range 2 [Theta] [deg.]) Based on the screen safety device 1001. [ In Fig. 8C and Fig. 8D, the sensor IS is not divided in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s not divided into forward and reverse.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ensor IS is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exist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sing the color temperature output from the sensor IS,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is possible.

도 6a 내지 도 6e,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센서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밖에 현존하는 다양한 센서 또는 센서 시스템 중, 스크린 안전장치를 기준으로 플래폼 쪽 공간의 물체와 선로 쪽 공간의 물체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Figs. 6A to 6E and Figs. 8A to 8D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at various sensor configurations can b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ny of various sensors or sensor systems exis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objects in the space on the platform side and objects in the space on the platform side based on the screen safety device, Can be achieved.

이때, 위의 스크린 안전장치는, 상기 후방공간에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수동개폐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creen safety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if it is detected that an object exists in the rear space.

또는, 상기 전방공간에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감지되고, 상기 후방공간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동개폐를 금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Alternatively, if it is detected that an object exists in the front space, and if it is detected that no object exists in the rear space,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may be prohibited.

이때, 각각의 승하강수단(100L, 100R)은, 스크린도어(11, 12)에 고정결합되어 스크린도어(11, 12)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폐로형 연결구(20L, 20S), 폐로형 연결구(20L, 20S)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4L, 14S, 15L, 15S), 회전부재(14L, 14S, 15L, 15S)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0), 및 구동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9)를 포함하며, 제어부(59)는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구동장치(120)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한 경우에, 구동장치(120)가 상기 외력에 저항하도록 구동장치(12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each lifting means 100L, 100R includes closed type connecting ports 20L, 20S fixedly coupled to the screen doors 11, 12 to adjust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screen doors 11, 12, (14L, 14S, 15L, 15S) for rotating the rotary members (20L, 20S), a drive unit (120) for rotating the rotary members (14L, 14S, 15L, 15S) And the control unit 59 controls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driving unit 120 is able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when the driving unit 120 detect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when the driving unit 120 is in the stopped state.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device 120 to operate.

이때,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스크린도어(11, 12)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승하강장치(100L) 구조에 의해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may not be changed when the driving apparatus 120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This resul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the rope-ascending device 100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A to 3D.

이때, 구동장치(120)는 회전모터일 수 있고, 상기 외력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가해지는 외부토크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a rotary motor, and the external force may be an external torque appli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motor.

이때, 구동장치(120)는 선형모터일 수 있고, 상기 외력은 상기 선형모터의 가동부에 가해지는 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a linear motor, and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applied to the moving part of the linear motor.

이때, 제어부(59)는 상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장치(120)의 유도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구동장치(120)가 회전모터인 경우 회전모터에 감긴 권선에 전압을 가하면 회전모터의 회전자가 회전할 수 있다. 그 반대로 회전모터의 회전자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상기 권선에 유도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회전모터가 발전기로 전용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선형모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120)의 가동부(또는 회전자)에 대해 외력이 가해지면, 구동장치(120)에 감긴 권선에 유도전압이 발생한다는 것을 전기기술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9 may be able to sense the induced voltage of the driving unit 120 generated by the exter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device 120 is a rotating motor,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winding wound around the rotating motor, the rotor of the rotating motor can rotate. Conversely, if the rotor of the rotary motor is forcibly rotated, an induced voltage may be generated in the winding. That is, the rotary motor can be dedicated to the generator. The same applies to the linear motor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an induced voltage is generated in the winding wound on the driving device 1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part (or rotor) of the driving device 120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이때, 제어부(59)는, 스크린도어(11, 12)를 승하강시키는 모드에서는 구동장치(120)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고, 스크린도어(11, 12)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모드에서 상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장치(120)의 구동을 릴리즈(release)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크린도어(11, 12)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모드에서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구동장치(120)가 상기 외력에 저항하도록 구동장치(12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릴리즈'한다는 것은 구동장치(120)의 가동부(또는 회전자)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9 drives the drive unit 120 in the mod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screen doors 11 and 12. In the mode in which the screen doors 11 and 12 are kept stationary,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mode of keeping the screen doors 11 and 12 in a stopped state, the driving device 120 is operated to release the driving of the driving device 120, And may be adapted to control the driving device 120 to resist an external force. Here, 'releasing' may mean that no power is consumed to operate the moving part (or rotor) of the driving device 120.

이때, 회전부재(14L, 14S) 중 하나 이상은 스프로킷일 수 있다. 만일 회전부재(14L)만이 스프로킷이라면 회전부재(14S)도 스프로킷일 수 있다. 그리고 폐로형 연결구(20L, 20S)는 체인일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rotary members 14L and 14S may be a sprocket. If only the rotating member 14L is a sprocket, the rotating member 14S may also be a sprocket. The closed type connectors 20L and 20S may be chains.

<실시예 2><Example 2>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를 도 1a, 도 3a~3d, 및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3A to 3D, and 4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는, 상하로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도어(11, 12) 및 스크린도어(11, 12)의 좌우에 설치되어 스크린도어(11, 12)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한 쌍의 승하강수단(100L, 100R)을 포함하는 스크린 안전장치로서, 각각의 승하강수단(100L, 100R)은, 스크린도어(11, 12)에 고정결합되어 스크린도어(11, 12)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폐로형 연결구(20L, 20S), 폐로형 연결구(20L, 20S)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4L, 14S, 15L, 15S), 회전부재(14L, 14S, 15L, 15S)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0), 및 구동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9)를 포함하며, 제어부(59)는,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 구동장치(120)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한 경우에, 구동장치(120)가 상기 외력에 저항하도록 구동장치(12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creen doors 11 and 12 which are vertically opened and closed and the left and right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to move the screen doors 11 and 12 up and down Descending means 100L and 100R are fixedly coupled to the screen doors 11 and 12 so that the screen doors 11 and 12 14L, 14S, 15L, 15S for rotating the closed type connecting ports 20L, 20S, the rotating members 14L, 14S, 15L, 15S for rotating the closing type connecting ports 20L, 20S, And a control unit 59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59 controls the driving unit 120 when the driving unit 120 is in the stopped state,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device 120 so as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이때, 구동장치(120)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스크린도어(11, 12)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may not be changed when the driving apparatus 120 is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이때, 구동장치(120)는 회전모터이며, 상기 외력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가해지는 외부토크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120 is a rotary motor, and the external force may be an external torque appli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motor.

이때, 구동장치(120)는 선형모터일 수 있고, 상기 외력은 상기 선형모터의 가동부에 가해지는 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120 may be a linear motor, and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applied to the moving part of the linear motor.

이때, 제어부(59)는 상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장치(120)의 유도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9 may be able to sense the induced voltage of the driving unit 120 generated by the external force.

그 밖에, 상술한 실시예 1 및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실시예 2의 스크린 안전장치와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and other ele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screen safety apparatus of Embodiment 2. [

<실시예 3>&Lt; Example 3 >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안전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 안전장치는, 상하로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도어(11, 12), 스크린도어(11, 12)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구동부(59, 120, 20L, 20S, 14L, 14S, 15L, 15S)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승하강수단(100L, 100R), 및 스크린도어(11, 12)의 전방공간의 물체 또는 후방공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RX_FS, RX_BS, TX_FS, TX_BS, FS, BS, IS)를 포함한다. 이때, 스크린도어(11, 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이 감지되었을 때에 상기 전방공간 또는 상기 후방공간의 물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스크린도어(11, 12)의 수동개폐 허용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있다.This safety device comprises one or more screen doors 11 and 12 which are vertically opened and closed and drive units 59, 120, 20L, 20S, 14L, 14S, 15L and 15S for controll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screen doors 11 and 12, And a sensor RX_FS, RX_BS, TX_FS, TX_BS, FS, RX, RX, and RX that are adapted to detect objects in the front space of the screen doors 11, 12 or objects in the rear space, BS, IS). 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and 12 is sensed, whether or not an object in the front space or the rear space is sensed is determined whether the screen doors 11 and 12 can be manually opened or closed .

이때, 스크린도어의 상태는 정지모드와 운동모드로 나눌 수 있다. 스크린도어의 개폐상태를 바꾸기 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를 운동모드라고 지칭하며, 스크린도어가 이미 상승 완료된 상태 또는 이미 하강 완료된 상태를 정지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screen door can be divided into a stop mode and a motion mode. The case in which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is performed to change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screen door is referred to as a motion mod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creen door has already been raised or already completed is referred to as the stop mode.

스크린도어(11, 12)가 상기 정지모드에 있는 경우에, a) 상기 구동부는 기본적으로 잠금(lock) 상태에 있으며, 이때, b) 스크린도어(11, 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공간의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를 잠금 상태에서 릴리즈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동개폐를 허용하는 모드를 갖도록 되어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지모드는 스크린도어가 이미 하강 완료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screen doors 11 and 12 are in the stop mode, a) the drive is basically in a locked state, b) when i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and 12 And when the object in the rear space is sensed, the driving unit may be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to allow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mode. At this time, the stop mode may indicate that the screen door has already been lowered.

여기서 상술한 잠금 상태란, 예컨대 상기 구동부가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능동적으로 회전모터를 제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구동부가 선형모터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상기 선형모터의 가동부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능동적으로 제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locked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tating motor, the rotating motor is actively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does not rotat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otor. If the driving unit includes a linear motor, it may mean that the moving unit is actively controlling the moving unit so that the moving unit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stationary unit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unit.

여기서 릴리즈 상태란, 상술한 잠금 상태와는 반대의 상태를 말한다. 예컨대, 회전모터의 경우 회전축에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축이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선행모터의 경우 가동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하여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할 수 있다. Here, the release state refers to a state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locked st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otary motor,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ry shaft, the rotary shaft can freely rotate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case of the preceding motor,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able portion, .

이와 달리, 이 실시예에서, 스크린도어(11, 12)가 정지모드에 있는 경우에, a) 상기 구동부는 기본적으로 릴리즈 상태에 있으며, b) 스크린도어(11, 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공간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를 릴리즈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동개폐를 금지하는 모드를 갖도록 되어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creen doors 11, 12 are in the stop mode, a) the drive is basically in a released state, and b)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And if the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ear spac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rohibit manual opening and closing by switching the driving unit from the relea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또한, 이 실시예에서, 스크린도어(11, 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구동부는 스크린도어(11, 12)가 적어도 하강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river sense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and 12, the driver may control the screen doors 11 and 12 so as not to descend at least.

이 실시예에서, 스크린도어(11, 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부(회전축)이 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and 12 can be performed by sensing the induced voltag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unit by the external force.

다르게는, 스크린도어(11, 12)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은, 스크린도어(11, 12)에 설치된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sens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12 can be done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levers provided on the screen doors 11, 12.

이러한 레버의 예는 도 9에 도시된 또 다른 스크린 안전장치의 예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상부 스크린도어(11)와 하부 스크린도어(12)는 도 4a에 도시한 로프형의 스크린도어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스크린도어(12)에는 레버(31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레버(310)의 양단에는 센서가 포함된 가동부(3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람이 레버(310)를 위로 당기면 가동부(320)가 움직이게 되며, 가동부(320)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스크린도어에 외력이 가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감지신호는 상술한 구동부에 전달될 수 있다. 위의 센서는 전기적 접점을 갖는 스위치이거나 또는 형상의 변형에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An example of such a lever can be seen from another screen safety device example shown in Fig. The upper screen door 11 and the lower screen door 12 of Fig. 9 may be the rope-shaped screen doors shown in Fig. 4A. Further, the lower screen door 12 may further include a lever 310. At both ends of the lever 310, a movable part 320 including a sensor may be formed. When the person pulls the lever 310 upward, the movable portion 320 is moved, and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creen door by the sensor included in the movable portion 320 can be generated. The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described above. The above sensor may be a switch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or may be formed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a deformation of the shape.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도어(11, 12)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감지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s 11 and 12,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a specific sensing method.

종래기술에 따른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에서는, 비상시에 선로측에서 사람이 조작가능한 기계적 레버등이 제공되어 이 레버를 조작하면 스크린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는 선로측과 플랫폼측이 스크린도어에 의해 서로 분리된 밀폐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의 기계적 레버는 선로측에 있는 사람만이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비상시에만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In the conventional left and right opening type screen doors, a mechanical lever or the like that can be operated by a person is provided on the line side in an emergency, so that the screen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lever is operated. At this time, since the left and right opening type screen doors have a sealed structure in which the line side and the platform sid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screen door, the above mechanical lever can be operated only by a person on the rail side, .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로프형 스크린도어에서는 스크린도어의 양측 공간이 서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로측에 있는 사람만이 조작할 수 있는 기계적 레버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이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체감지센서와 알고리듬을 이용하면 비상시에 수동개폐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However, in the rope-type screen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sides of the screen door are open to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mechanical lever which can be operated only by a person on the line side. Accordingly, by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nd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entering into the manual opening / closing mode in an emergenc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 안전장치는 열차 플랫폼에서 선로와 플랫폼 사이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자동차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에서 사람 등의 통행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스크린 안전장치의 적용은 상술한 예 이외의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 screen safety devic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selectively block the line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 in a train platform or to selectively pass As shown in FIG.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is screen safety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situation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exampl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 상부 스크린도어 12: 하부 스크린도어
14: 제1 회전부재, 스프로킷
14L: 제1 상부-회전부재 14S: 제2 상부-회전부재
15: 제2 회전부재, 스프로킷
15L: 제1 하부-회전부재 15S: 제2 하부-회전부재
20: 폐로형 연결구, 체인
20L: 제1 폐로형 연결구 20S: 제2 폐로형 연결구
59: 제어부
100L: 좌측 로프-승하강수단 100R: 우측 로프-승하강수단
120: 구동장치(회전모터, 선형모터)
150: 제1 활차 151: 제2 활차
200H, 200L: 외측 와이어로프 201H, 201L: 내측 와이어로프
TX_FS: 송신용 전방센서 RX_FS: 수신용 전방센서
TX_BS: 송신용 후방센서 RX_BS: 수신용 후방센서
FS: 전방센서 BS: 후방센서
IS: 센서
11: upper screen door 12: lower screen door
14: first rotating member, sprocket
14L: first upper-rotating member 14S: second upper-rotating member
15: second rotating member, sprocket
15L: first lower -rotational member 15S: second lower -rotational member
20: Closed connector, chain
20L: first closed type connecting port 20S: second closed type connecting port
59:
100L: left rope-ascending / descending means 100R: right rope-ascending / descending means
120: Driving device (rotary motor, linear motor)
150: first pulley 151: second pulley
200H, 200L: outer wire rope 201H, 201L: inner wire rope
TX_FS: forward sensor for transmission RX_FS: forward sensor for reception
TX_BS: Rear sensor for transmission RX_BS: Rear sensor for reception
FS: Front sensor BS: Rear sensor
IS: Sensor

Claims (8)

상하로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도어;
상기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승하강수단; 및
상기 스크린도어의 전방공간의 물체 또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후방공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이 감지되었을 때에 상기 전방공간 또는 상기 후방공간의 물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도어의 수동개폐 허용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 안전장치.
One or more screen doors opened and clos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pair of elevating means including a driving par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f the screen door; And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object in the front space of the screen door or an object in the rear space of the screen door
Lt; / RTI &gt;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 is detected, whether to allow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creen door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in the front space or the rear space is detected,
Screen safet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는 하나 이상의 로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안전장치.The screen safet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door comprises one or more rop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가 정지모드에 있는 경우에,
a) 상기 구동부는 기본적으로 잠금(lock) 상태에 있으며,
b)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공간의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를 잠금 상태에서 릴리즈(release)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동개폐를 허용하는 모드를 갖도록 되어있는,
스크린 안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f the screen door is in the stop mode,
a) the driving unit is basically in a locked state,
b) has a mode for allowing manual opening and closing by switching the driving unit from a locked state to a released state when an object in the rear space is detected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 is detected.
Screen safety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가 정지모드에 있는 경우에,
a) 상기 구동부는 기본적으로 릴리즈(release) 상태에 있으며,
b)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후방공간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를 상기 릴리즈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동개폐를 금지하는 모드를 갖도록 되어있는,
스크린 안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f the screen door is in the stop mode,
a) the drive unit is basically in a released state,
b) has a mode for prohibiting manual opening and closing by switching the driving unit from the release state to the locked state when an object is not detected in the rear space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 is detected.
Screen safety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도어가 하강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 안전장치.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driver sense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 the driving unit controls the screen door so as not to desc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도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폐로형 연결구, 상기 폐로형 연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스크린 안전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the closed coupling is connected to the screen door to adjus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creen door, a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closed coupling,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Screen safeguard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구동장치의 유도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스크린 안전장치.7. 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ensing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 is performed by sensing an induced voltage of the driving device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스크린도어에 설치된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스크린 안전장치.





7. The screen safety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ensing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creen door is made by detecting movement of a lever provided on the screen door.





KR1020130107981A 2012-08-31 2013-09-09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KR2014002933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49 2012-08-31
KR20120096449 2012-08-31
KR20120110705 2012-10-05
KR1020120110705 2012-10-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621A Division KR101406019B1 (en) 2012-08-31 2012-12-04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335A true KR20140029335A (en) 2014-03-10

Family

ID=50642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621A KR101406019B1 (en) 2012-08-31 2012-12-04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KR1020130107981A KR20140029335A (en) 2012-08-31 2013-09-09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621A KR101406019B1 (en) 2012-08-31 2012-12-04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4060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93B1 (en) * 2014-05-20 2016-03-02 (주)소명 Safety device for locking door of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984B2 (en) * 2003-04-24 2009-06-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Platform simple movable fence
KR100601112B1 (en)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KR100925749B1 (en) * 2008-01-30 2009-11-11 곽병철 Entrance door of multistairs folding type
JP2012214196A (en) 2011-03-29 2012-11-08 Mikami Kakozai Kk Platform gate apparatus, and safety f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019B1 (en) 2014-06-11
KR20140029087A (en)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694B2 (en) Platform screen door open / close control method
JP2015520062A (en) Platform screen door open / close control method
JP5827347B2 (en) Electric vehicle platform safety device
JP5940220B2 (en) Elevator car door lock device
CN1414921A (en) Inspection opening in elevator car
JP2009220904A (en) Elevator system
KR20150140520A (en) Open and Close controlling method for platfor screen door
KR101547650B1 (en)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KR20150013410A (en) Apparatus for elevating screen doors of vertical open-close type
CN102465661B (en) Door device
US20090081010A1 (en) Inclined Conveyance for Multi-storied Automotive Parking
JP5616195B2 (en) Elevator equipment
KR20140134887A (en) Apparatus for elevating screen doors of vertical open-close type
CN204173703U (en) Door-opened elevator slips terraced anti-locking apparatus
KR101345027B1 (en)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KR101406019B1 (en) Rope-type screen safety apparatus
KR100942560B1 (en) Elevator with cage operated by power source loaded on it
CN104909235B (en) A kind of passageway lift control method
KR101048348B1 (en) Lowering device of canvas door
KR200406013Y1 (en) Appratus for vertical movement
KR101531701B1 (en) Articulated Platform Screendoor
KR101306648B1 (en) Rope platform safety apparatus with injury preventing device
KR101471545B1 (en)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with two-type rope engagement method
JP5683900B2 (en) Elevator equipment
CN210505182U (en) Elevator layer door un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