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220A -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220A
KR20140028220A KR1020120094004A KR20120094004A KR20140028220A KR 20140028220 A KR20140028220 A KR 20140028220A KR 1020120094004 A KR1020120094004 A KR 1020120094004A KR 20120094004 A KR20120094004 A KR 20120094004A KR 20140028220 A KR20140028220 A KR 2014002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urse
driving
scoot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178B1 (ko
Inventor
한경열
Original Assignee
한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열 filed Critical 한경열
Priority to KR102012009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1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4Traffic procedures, e.g. traffic reg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4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providing simulation in a re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전동 휠체어의 교통안전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제반 법규와 규칙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인성교육은 물론 휠체어 안전운전교육 실습장에서 각종 형태의 코스, 횡단보도, 신호등 장애물구간, 요철구간, 경사로 구간 등을 주행하면서 교통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한 교통안전 교육의 중요성을 높이고 나아가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Educational System for Safety of Drive}
본 발명은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전동 휠체어의 교통안전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제반 법규와 규칙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인성교육은 물론 휠체어 안전운전교육 실습장에서 각종 형태의 코스, 횡단보도, 신호등 장애물구간, 요철구간, 경사로 구간 등을 주행하면서 교통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한 교통안전 교육의 중요성을 높이고 나아가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장애인과 노인분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가 많이 보급되고 있음은 물론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는 교통법규상 보행자로 분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용자가 통행이 불편한 인도를 피해 차도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장애인들이나 노인분들이 전동 휠체어 또는 스쿠터를 타고 가까운 거리를 외출할 때에 인도로 이용하는 것이 불편하여 차도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유형은 횡단보도, 무단횡단, 법규를 지키지 않는 차량 등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도를 이용하면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는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몸이 불편하거나 나이 드신 분들이 타고다니는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 운행시의 차도로 통행하여 발생되는 교통사고나 법규를 지키지 않는 차량 등에 의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하여 교통안전에 대한 교육이 매우 절실하며,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위한 교통안전 교육시설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보행하는데 있어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나이 드신 노인분들이 사용하는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전에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애인이나 노인분들에게 안전 운전 교육실습장에서 교통사전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사고 예방과 인식 개선 사업교육을 실시하여 모범 운전자증을 수여하여 이용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안전하고 모법적인 교통질서 유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 사용자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사고율을 낮추고 사고발생시 대처방법 등을 교육하여 제2의 피해예방과 휠체어, 스쿠터 이용자의 자신감획득 및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도로교통사고의 미연에 방지효과와 숙련된 휠체어와 스쿠터의 운전으로 인간의 생명존중 의식 향상에 이바지하는데 목적을 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의 안전운전 교육 실습장의 주행코스(100)는 출발구간(10)에서 시작하여 형성되는 기능코스(20)에 90도 회전하는 ㄹ자형 크랭크코스(21)와 S자 코스(22)를 형성하고, S자 코스(22)를 주행한 후에는 교통신호의 준수를 위해 형성되는 횡단보도(30)와, 상기 횡단보도(30)를 지나 장애물에 대한 감각을 익히기 위해 형성되는 장애물구간(40)과, 장애물구간(40)을 거쳐 형성되는 횡단보도(51)가 형성된 경사로 구간(50)과, 상기 경사로 구간(50)을 지나 형성되는 요철구간(60)과, 상기 요철구간(60)을 지나 형성되는 돌발구간(70)과, 상기 돌발구간(70)을 지나 형성되는 주차구간(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행코스(100)의 출발구간(10)에서 시작하여 주차하는 주차구간을 A코스(110)로 형성하고, 상기 출발구간(10)과 주차구간(80)의 일측에 각각 주차구간(80')과 출발구간(10')이 형성된 B코스(120)를 형성하여, 상기 A코스(110)와 B코스(120)를 2열로 형성하여 A코스(110)의 출발구간(10)과 반대편 B코스(120)의 출발구간(10')에서 동시에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행코스(100)의 후방에 감독관실(90)을 두어 주행 후 모범 운전자증을 발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나이 드신 노인분들이 요즈음 많이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는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 사용시 사전에 안전운전 교육실습장에서 주행하면서 교통법규와 규칙을 정확하고 올바르게 인식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한 교통안전 교육의 중요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가 보행자임을 인식하게 하여 차도를 주행하지 않고 인도로 주행하게 하여 교통질서의 확립과 교통문화의 질을 향상시켜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범 운전자증을 부여함으로써, 장애인이나 노인분들이 자긍심을 갖고 안전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운전 연습장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안전운전 연습장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몸이 불편한 장애인과 나이 드신 노인 분들이 이동의 편의를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는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의 안전 운행을 위해 실시하는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체어나 스쿠터를 운전하는 몸이 불편한 장애인과 나이 드신 노인분들에게 전동 휠체어와 스쿠터의 안전운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안전운전교육 실습장은 가로가 20m이고, 세로가 30m로 형성하고, 상기 안전운전 교육 실습장에 형성된 주행코스(100)의 일측에 감독관실(90)을 형성한다.
그리고 감독관실(90)의 전방에 휠체어나 스쿠터를 주행하여 모범운전자증을 부여하기 위한 주행코스(100)가 형성된다.
상기 주행코스(100)는 장애인이나 노인분들이 안전 운전에 대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코스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를 운전하기 위해 대기자들이 대기하는 대기실(130)이 출발구간(10) 옆에 형성된다.
따라서 감독관실(90)에서 주행지시의 명령이 떨어지면 대기자는 출발구간(10)으로 가서 전동휠체어나 스쿠터에 착석하여 주행준비를 한다.
상기와 같이 주행코스의 출발점과 연결하여 형성된 기능코스(20)는 90도 회전을 할 수 있는 크랭크코스(21)가 형성되고 이어서 S자 코스(22)가 연결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노인분은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를 출발점에서 시동을 걸어 주행할 때, 직선으로 주행하다 크랭크코스(21)에 도달하여 90도 회전을 ㄹ자 형태로 반복하여 주행한다. 이때 크랭크코스(21)를 무난하게 통과하게 되면 감독관은 깃발을 들어 합격을 알려 다음 기능코스인 S자 코스(22)로 주행한다.
이 역시 S자 코스(22)를 무난하게 주행하게 되면 감독관은 깃발을 들어 합격을 확인시켜서 다음 코스로 주행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크랭크코스(21)와 S자코스(22)로 형성된 기능코스(20)를 주행한 다음에는 신호를 준수하기 위한 횡단보도(30)가 형성된다.
즉, 주행자는 주행하면서 신호등에 빨강신호가 나타날 때 횡단보도(30) 앞에서 잘 멈추었는지를 확인하여, 교통신호에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감독관은 깃발을 들어서 합격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횡단보도(30)를 거친 주행자는 장애물 구간(40)에 도달하여 도로에 설치된 장애물을 잘 피하여 주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장애물 구간(40)은 순간 판단력을 연습하기 위한 코스이다.
상기 장애물 구간(40)을 무사히 통과하게 되면 감독관은 다시 깃발을 들어 합격 여부를 판단하여 주행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장애물 구간(40)을 통과한 주행자는 다시 경사로 구간(50)을 타고 오르면서 횡단보도(51) 앞에 정확하게 정차하는지를 판단하여 감독관은 합격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경사로 구간(50) 통과시 합격 여부의 판단에 따라 주행자는 다시 요철구간(60)을 주행하게 된다. 상기 요철구간(60)은 운전자의 균형감각을 판단하여 잘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스이다.
상기 요철구간(60)도 감독관의 합격 여부에 의해 무사히 통과하게 되면, 돌발구간(70)을 주행하게 된다. 상기 돌발 구간(70) 역시 주행자의 순간 판단력을 시험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스이다.
상기 돌발구간(70) 통과시 돌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주행자는 이를 잘 대처하여 주행하는지의 여부를 감독관이 판단하여 합격 여부를 결정하여 주차구간(80)에 도달하여 주차하면 주행연습은 완료된다.
그리고 주행자가 안전운전 교육실습장에서 무사히 주행이 완료되면, 감독관실(90)에서는 주행자에게 합격 여부를 확인한 후, 주행자에게 모법 운전자증을 발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전운전 교육 실습장은 작은 규모이기 때문에, 빠른시간 내에 많은 사람이 주행코스(100)를 주행하여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출발구간(10)에서 주차구간(80)까지 A코스(110)로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주차구간(80)에서 출발구간(10)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출발구간(10)의 옆에 주차구간(80')을 형성하고, 주차구간(80)의 옆에는 출발구간(10')을 형성하는 B코스(120)를 A코스(110)의 일측에 2열로 형성하여 A코스(110)와 B코스(120)에서 동시에 안전 운전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B코스(120)는 A코스(110)와 반대로 기능코스(20)를 먼저 주행하지 않고 돌발구간(70)부터 주행하여 기능코스(20)를 마지막으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B코스(120)의 출발구간 옆에는 대기실(130')이 형성된다.
그뿐만 아니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주행코스(100')를 2열로 형성하여 주행자가 출발구간(10)(10')에서 동시에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출발구간(10)(10')을 지나 기능코스(20')인 크랭크코스(21')와 S자코스(22')를 형성하고, 기능코스(20')인 크랭크코스(21')와 S자 코스(22') 사이에 경사로 구간(30')을 형성하고 경사로 구간에는 횡단보도(40')를 설치하여 기능과 경사로에서의 주행감각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기능코스(20')인 크랭크코스(21')를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S자 코스(22')를 W로 형성하여 커브길에서의 감각능력을 심어주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가능코스인 S자코스(22')를 지나 장애물 구간(50')을 형성하고, 장애물구간(50')을 지나 형성되는 요철구간(60')과의 사이의 길은 크랭크코스(21')를 지나가도록 구성하였다. 또 상기 요철구간(60')을 지나 돌발구간(70')을 형성하고, 돌발 구간(70')을 무사히 통과하게 되면 도착구간(80)(80')에 주차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출발구간(10)(10')의 일측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대기실(13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2열로 형성된 주행코스(100')는 출발구간(10)(10')에서 기능코스(20')로 먼저 주행할 수 있고, 또 반대측인 주차구간(80)(80')에서 시작하여 돌발구간(70')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쪽에서 주행하든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장애인이나 노인분들이 교통법규상 보행자로 분류되어 있는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를 안전운전 교육 연습장에서 실습하여 주행자에게 모범운전자증을 발급하여 주행자에게 자긍심을 심어주어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10'. 출발구간 20. 기능코스
21. 크랭크코스 22. S자코스
30. 횡단보도 40. 장애물 구간
50. 경사로 구간 51. 횡단보도
60. 요철구간 70. 도발구간
80, 80'. 주차구간 90. 감독관실
100. 주행코스 110. A코스
120. B코스 130, 130'. 대기실

Claims (5)

  1. 전동 휠체어나 스쿠터의 안전운전 교육 실습장의 주행코스(100)는 출발구간(10)에서 시작하여 형성되는 기능코스(20)에 90도 회전하는 ㄹ자형 크랭크코스(21)와 S자 코스(22)를 형성하고, S자 코스(22)를 주행한 후에는 교통신호의 준수를 위해 형성되는 횡단보도(30)와, 상기 횡단보도(30)를 지나 장애물에 대한 감각을 익히기 위해 형성되는 장애물구간(40)과, 장애물구간(40)을 거쳐 형성되는 횡단보도(51)가 형성된 경사로 구간(50)과, 상기 경사로 구간(50)을 지나 형성되는 요철구간(60)과, 상기 요철구간(60)을 지나 형성되는 돌발구간(70)과, 상기 돌발구간(70)을 지나 형성되는 주차구간(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코스(100)의 출발구간(10)에서 시작하여 주차하는 주차구간을 A코스(110)로 형성하고, 상기 출발구간(10)과 주차구간(80)의 일측에 각각 주차구간(80')과 출발구간(10')이 형성된 B코스(120)를 형성하여, 상기 A코스(110)와 B코스(120)를 2열로 형성하여 A코스(110)의 출발구간(10)과 반대편 B코스(120)의 출발구간(10')에서 동시에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코스(100)의 후방에 감독관실(90)을 두어 주행 후 모범 운전자증을 발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4. 주행코스(100')를 2열로 형성하여 주행자가 출발구간(10)(10')에서 동시에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출발구간(10)(10')을 지나 기능코스(20')인 크랭크코스(21')와 S자코스(22')를 형성하고, 기능코스(20')인 크랭크코스(21')와 S자 코스(22') 사이에 경사로 구간(30')을 형성하고 경사로 구간(30')에는 횡단보도(40')를 설치하고, 기능코스인 S자코스(22')를 지나 장애물 구간(50')을 형성하고, 장애물구간(50')을 지나 형성되는 요철구간(60')과의 사이의 길은 크랭크코스(21')를 지나가도록 형성하고, 상기 요철구간(60')을 지나 돌발구간(70')을 형성하고, 돌발 구간(70')을 무사히 통과하게 되면 도착구간(80)(80')에 주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코스(20')인 크랭크코스(21')를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S자 코스(22')를 W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KR1020120094004A 2012-08-28 2012-08-28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KR101382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004A KR101382178B1 (ko) 2012-08-28 2012-08-28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004A KR101382178B1 (ko) 2012-08-28 2012-08-28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20A true KR20140028220A (ko) 2014-03-10
KR101382178B1 KR101382178B1 (ko) 2014-04-04

Family

ID=5064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004A KR101382178B1 (ko) 2012-08-28 2012-08-28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1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3570A (zh) * 2019-06-12 2019-09-10 广州壹学车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驾驶理论训练系统及其学习方法
CN112037636A (zh) * 2020-09-07 2020-12-04 合肥清雅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交叉路口道路结构
CN113811927A (zh) * 2019-05-24 2021-12-17 3M创新有限公司 基于操作者熟练度的基础设施制品
WO2022149734A1 (ko) * 2021-01-06 2022-07-1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전동이동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24B1 (ko) * 1993-04-12 1995-09-22 강철동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4834A (ko) * 2001-03-22 2002-10-04 (주)금강오토텍 자동차 운전놀이 시설을 통한 교통안전 교육시스템
KR200304483Y1 (ko) * 2002-11-15 2003-02-15 김용호 오프로딩 차량의 훈련용 장애물 시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1927A (zh) * 2019-05-24 2021-12-17 3M创新有限公司 基于操作者熟练度的基础设施制品
CN110223570A (zh) * 2019-06-12 2019-09-10 广州壹学车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驾驶理论训练系统及其学习方法
CN112037636A (zh) * 2020-09-07 2020-12-04 合肥清雅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交叉路口道路结构
WO2022149734A1 (ko) * 2021-01-06 2022-07-1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전동이동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178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azi et al. Outdoor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 group of visually impaired Iranian people
Sze et al. Access to urban transportation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Guth et al. Blind and sighted pedestrians' judgments of gaps in traffic at roundabouts
Bennett et al. A comparison of gateway in‐street sign configuration to other driver prompts to increase yielding to pedestrians at crosswalks
Mori et al. Characteristics of older road users and their effect on road safety
Chandler et al. Signalized intersections informational guide
KR101382178B1 (ko)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Domenichini et al. Virtual testing of speed reduction schemes on urban collector roads
Abir et al. A study on mobility problem of disabled people in Dhaka city
Porter et al. Effect of auditory road safety alerts on brake response times of younger and older male drivers: A simulator study
Mathey Attitudes and behavior of elderly pedestrians
Wall et al. Roundabouts: Problems of and strategies for access
Apardian et al. Methods of crossing at roundabouts for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review of literature
KR20220068002A (ko) 스마트 보행자 안전시스템
Zegeer et al. Providing safer urban streets for elderly and handicapped pedestrians
Suraweera et al. Challenges of Mobility and Access to Transport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n Exploratory Study
Narayanan Pedestrian safety in Chennai
Bruneau et al. A legal status for personal mobility devices
HO et al. Road safety
Dileep et al. Study on driver yielding to pedestrians at unsignalized crosswalks
Daigavane et al. Analysis of selective parameters contributing to road accidents on highways for establishing suggestive precautionary strategies
Bates Briefing: Retaining blind access in town streets and shared spaces
Sharma et al. Evaluation of disable friendliness of road transport facility in ludhiana city of Punjab (India)
Mitchell et al. Improving Accessibility in Penang State, Malaysia
Hoa The Right to Access and Participation in Transport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Vietn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