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694A - 코골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694A
KR20140027694A KR1020120093576A KR20120093576A KR20140027694A KR 20140027694 A KR20140027694 A KR 20140027694A KR 1020120093576 A KR1020120093576 A KR 1020120093576A KR 20120093576 A KR20120093576 A KR 20120093576A KR 20140027694 A KR20140027694 A KR 2014002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p
connecting line
teeth
snoring
snor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011B1 (ko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이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재 filed Critical 이상재
Priority to KR102012009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11B1/ko
Priority to PCT/KR2013/002935 priority patent/WO2014035024A1/ko
Publication of KR2014002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 상기 상부걸쇠와 하부걸쇠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로 구성하여 기존의 장치에 비해 하악운동이 보다 자유스러운 코골이 방지기구이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기구{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 상기 상부걸쇠와 하부걸쇠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로 구성하여 기존의 장치에 비해 하악운동이 보다 자유스러운 코골이 방지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 방지기구는 환자의 아래턱을 상대적으로 위턱에 비해 전방으로 끌어내어 기도공간을 확보하도록 설계된 기구이다.
이러한 코골이 방지기구의 일례의 하나는 특허등록 제0787188호 공보된 것처럼 사용자의 윗니들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에 설치되는 상부걸림턱; 아랫니들에 지지되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의 앞면에 걸릴 수 있는 하부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또 다른 일례의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80463호에 공보된 것처럼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의 양측 바깥면에 고정핀을 복수개 고정하여 고정핀의 일측이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고정핀의 일측에 가이드롤러를 고정하며, 고정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에 신축수단을 연결하되, 신축수단의 탄력으로 하부 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맞닿는 접면 부위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단턱의 위치에 의하여 하부 몸체의 후퇴 최대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되, 상기 하부 몸체의 단턱에 후퇴 단턱을 추가로 설치하고, 이러한 후퇴 단턱이 하부 몸체의 단턱과 2개의 가이드에 의하여 연결, 안내되어 습동될 수 있도록 하며, 하부 몸체의 단턱에 형성된 나사홈에 통공이 구비된 조정스크류의 일단이 끼워지고 조정 스크류의 타단이 후퇴 단턱에 매설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대체로 윗니가 수용되는 상부몸체 및 아랫니가 수용되는 하부몸체 간의 고정을 함에 있어서 유연성이 배제된 재질로 구성되거나 단단한 결속력으로 인해 착용자의 하악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착용시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윗니가 수용되는 상부몸체와 아랫니가 수용되는 하부몸체 간의 결속을 줄의 형태로서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장치에 비해 하악운동이 보다 자유스러운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여 착용하는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 상기 상부걸쇠와 하부걸쇠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윗니가 수용되는 상부몸체와 아랫니가 수용되는 하부몸체를 각각 연결줄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걸쇠에 의해 고정되는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보다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는 심리적 및 기질적 불편함을 매우 감소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특히, 연결줄을 다양한 재질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효과를 발휘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기구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기구의 하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줄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12),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22), 상기 상부걸쇠(12)와 하부걸쇠(22)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4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연결줄(40)은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줄이나 체인형태의 나일론 또는 스테인리스 줄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연결줄(40)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30)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조절장치(30)는 상하로 직립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31)와, 상기 너트부(31)의 상하로 각각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32)와, 상기 조절나사(3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걸쇠(12) 및 하부걸쇠(22)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줄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12),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22), 상기 상부걸쇠(12)와 하부걸쇠(22)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는 상하로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며, 도면부호 h1은 상부몸체(10)에서 윗니가 안착되는 홈을 나타내며, h2는 하부몸체(20)에서 아랫니가 안착되는 홈을 나타낸 부호이다.
상기 연결줄(40)은 기본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줄로 사용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체인형태의 나일론 또는 스테인리스 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줄(40)의 양단부를 상부걸쇠(12)와 하부걸쇠(22)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본적인 고무줄에서 나일론 또는 스테인리스 줄로 쉽게 대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연결줄(40)의 탈부착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도면에서는 상세한 도시를 하지 않았다.
일 실시 예로서 연결줄(40)의 양단부에 핸드폰이나 USB의 고리처럼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구조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몸체(10)의 전면부에 홈(11)을 형성하여 상기 홈(11)에 전면부 방향으로 상부걸쇠(12)가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하부몸체(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몸체(20)의 후면부에 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홈(21)에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하부걸쇠(22)를 형성함으로써 구강내에서 상부걸쇠(12)와 하부걸쇠(22)가 돌출되어 나오는 느낌을 최소화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최대한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부걸쇠(12)와 하부걸쇠(22) 간에 연결된 연결줄(40)은 후술한 조절장치(30)에 의해 길이조절이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줄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절장치(30)는 상하로 직립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31)와, 상기 너트부(31)의 상하로 각각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32)와, 상기 조절나사(3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걸쇠(12) 및 하부걸쇠(22)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줄(4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즉, 너트부(31)의 상하에 나사체결된 각각의 조절나사(32)를 회전시켜 조절나사(32)가 너트부(31)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연결줄(40)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조절나사(32)를 회전시켜 너트부(31)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연결줄(40)은 느슨해지기 때문에 구강구조에 따라 연결줄(40)의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연결줄(40)의 끝단을 상부걸쇠(12) 및 하부걸쇠(22)에 체결함에 있어서 연결줄(40)의 일단이 상부걸쇠(12) 및 하부걸쇠(22)에 고정되어 있으면 조절나사(32)의 회전에 의해 연결줄(40)이 꼬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줄(40)의 단부 측에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볼조인트(42)와 볼조인트(42)를 수용하는 하우징(41)이 구성된다면 조절나사(32)에 의한 회전에 의해서 연결줄(40)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볼조인트(42)를 하우징(41)의 상하측에 각각 결합하거나, 또는 볼조인트(42)를 조절나사(32)측에도 구성한다면 더욱 자유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 제시된 조절장치(30)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로서 조절나사(32)에 의해 연결줄(40)을 당기거나 푸는 구조를 가지도록 동일개념과 동일목적을 가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윗니가 수용되는 상부몸체(10)와 아랫니가 수용되는 하부몸체(20) 간의 결속을 연결줄(40)의 형태로서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장치에 비해 하악운동이 보다 자유스러운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여 착용하는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10. 상부몸체 11. 상부 홈 12. 상부걸쇠
20. 하부몸체 21. 하부 홈 22. 하부걸쇠
30. 조절장치 31. 너트부 32. 조절나사
40. 연결줄 41. 하우징 42. 볼조인트

Claims (4)

  1. 코골이 방지기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어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걸쇠(12);
    하부가 개구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몸체(20);
    상기 하부몸체(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걸쇠(22);
    상기 상부걸쇠(12)와 하부걸쇠(22) 간에 연결되는 연결줄(4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코골이 방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40)은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줄이나 체인형태의 나일론 또는 스테인리스 줄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인 코골이 방지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40)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30)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코골이 방지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30)는 상하로 직립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31)와, 상기 너트부(31)의 상하로 각각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32)와, 상기 조절나사(3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걸쇠(12) 및 하부걸쇠(22)에 각각 체결되는 연결줄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코골이 방지기구.
KR1020120093576A 2012-08-27 2012-08-27 코골이 방지기구 KR10137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576A KR101374011B1 (ko) 2012-08-27 2012-08-27 코골이 방지기구
PCT/KR2013/002935 WO2014035024A1 (ko) 2012-08-27 2013-04-09 코골이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576A KR101374011B1 (ko) 2012-08-27 2012-08-27 코골이 방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694A true KR20140027694A (ko) 2014-03-07
KR101374011B1 KR101374011B1 (ko) 2014-03-12

Family

ID=5018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576A KR101374011B1 (ko) 2012-08-27 2012-08-27 코골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4011B1 (ko)
WO (1) WO201403502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106A1 (ko) * 2014-04-16 2015-10-2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KR20180118434A (ko) * 2017-04-21 2018-10-31 남관우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20220099077A (ko) * 2021-01-05 2022-07-12 김정경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KR20220164904A (ko) 2021-06-07 2022-12-14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코골이 방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7117A (en) * 1993-09-29 1995-06-27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during sleep
KR100715760B1 (ko) 2005-08-10 2007-05-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완화용구
WO2008048649A2 (en) 2006-10-18 2008-04-24 Sheri Katz Mouth-closing device for sleep disorder treatments
KR100856672B1 (ko) 2007-03-16 2008-09-04 홍이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JP4936061B2 (ja) * 2007-07-24 2012-05-23 晃 北村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0463B1 (ko) * 2008-12-04 2011-11-04 정진우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106A1 (ko) * 2014-04-16 2015-10-2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KR20180118434A (ko) * 2017-04-21 2018-10-31 남관우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20220099077A (ko) * 2021-01-05 2022-07-12 김정경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KR20220164904A (ko) 2021-06-07 2022-12-14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코골이 방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024A1 (ko) 2014-03-06
KR101374011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011B1 (ko) 코골이 방지기구
US9744070B2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US9241542B2 (en) Buckle
EP2000168A1 (en) Breathing nose mask system, and connecting/disconnecting means usable for the system
KR10205398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MX2012004694A (es) Dispositivo intra-oral de avance mandibular regulable, aplicable para evitar el ronquido y la apnea del sueño.
MX2010006314A (es) Respirador con paneles elasticos.
CN101548918A (zh) 阳物运动器具
IN2014DN10199A (ko)
KR102066677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KR100884486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20080092203A (ko) 혁대의 자동신축장치
US20120031411A1 (en) Oral appliance
CN211461301U (zh) 口腔导管位置可调节固定装置
KR101352200B1 (ko) 하악 전진 장치
KR101176203B1 (ko) 형상기억와이어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CN208435832U (zh) 一种正畸口腔开口器
CN107320834A (zh) 一种鼻氧管
WO2018194430A1 (ko)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101235995B1 (ko) 개량된 하악 전진 장치
KR20120024234A (ko) 좌우균형 자동조절 및 견인정도 조절이 가능한 하악 견인장치
KR200464664Y1 (ko) 하악 전진 장치
CN214966356U (zh) 用于治疗三叉神经痛的带辅助导向管的面罩
CN210672107U (zh) 一种可调节松紧度的塑身衣
CN209548127U (zh) 一种可调挡舌板的口腔支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