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904A -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904A
KR20140026904A KR1020120092677A KR20120092677A KR20140026904A KR 20140026904 A KR20140026904 A KR 20140026904A KR 1020120092677 A KR1020120092677 A KR 1020120092677A KR 20120092677 A KR20120092677 A KR 20120092677A KR 20140026904 A KR20140026904 A KR 2014002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ear
rod
shaft member
turbo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9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904A/ko
Publication of KR2014002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Supercharger (AREA)

Abstract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보차저 내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로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 및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동력변환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와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기어열과 기어물림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단일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도록 상기 축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축부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및 호 운동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축부재와 함께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Electronic actuator for turbo charger}
본 발명은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보차저의 배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를 개폐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차저는 연비 효율 향상 및 배기 가스 저감을 위해 엔진 배기가스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 임펠러를 돌림으로써 흡입 공기를 압축시켜 엔진 연소실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배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터보차저의 배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배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바, 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3489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공개특허에 따르면, 터보차저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복수의 기어를 통해 감속하여 출력기어 및 출력기어에 설치된 출력축에 전달한다. 이때, 출력기어와 출력축은 일체형으로써 출력축과 연결된 출력레버가 출력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출력레버에 설치되는 로드가 원호 방향으로 이동하며 로드의 끝단에 연결된 터보차저의 밸브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를 개폐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밸브레버를 회전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출력기어, 출력축 및 출력레버가 용접, 압입, 인서트 몰딩의 공정을 통하여 일체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부품의 제조가 어렵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며 기계적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힘의 전달을 위한 로드와 출력레버가 힌지 방식의 체결 구조를 갖춤으로써 힌지 방식으로 체결되는 로드를 지지할 수 없어 엔진 진동에 의한 로드의 힌지 축 방향으로의 진동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출력레버와 로드는 액추에이터의 하우징 외부에서 체결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소음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3489호 (공개일자 : 2012. 04. 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 저감을 실현하며 소음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보차저 내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로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 및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동력변환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와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기어열과 기어물림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단일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도록 상기 축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축부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및 호 운동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축부재와 함께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상기 축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보차저 내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로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 및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동력변환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와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기어열과 기어물림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단일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도록 상기 축부재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축부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및 호 운동하고, 상기 축부재 및 로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상기 축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는, 상가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출력기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출력축; 및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춘 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출력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직선 슬롯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상기 가이드부재는 양측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bar)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으로 축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물림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출력기어와 기어물림되는 연결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기어열 및 상기 동력변환유닛을 보호하도록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종래 기술과 같이 출력축, 출력기어, 출력레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지 않으므로 고정된 출력축에 출력기어가 단순히 삽입가능하고, 또한 종래의 출력레버를 출력축에 고정하기 위한 압입, 용접 등의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며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변환유닛은 하우징 내에서 배열되어 설치됨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원이 배제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부재인 출력레버 없이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출력축을 이격시키는 구조만으로 변환운동이 이루어짐으로 종래에 비하여 전체적인 액추에이터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100)는 터보차저(미도시) 내에 마련된 밸브(미도시)를 개폐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110), 모터(120), 기어열(130), 동력변환유닛(140), 및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밸브레버(101)와 연결된 로드(15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전자식 액추에이터(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2)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110) 내부에는 모터(120), 기어열(130), 동력변환유닛(140) 등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되며, 로드(150)는 하우징(110) 내에서 상부 케이스(111)를 관통하여 터보차저의 밸브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후술할 동력변환유닛(140)의 축부재(142)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며, 이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120)는 터보차저에 대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10)의 하부 케이스(112)에 설치되며, 도시된 것처럼 모터(120)의 회전축(121)이 위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회전축(121)에 설치된 구동기어(131)를 갖는 기어열(130)을 통해 회전력을 감속시키며, 기어열(130)의 말단에 연결된 동력변환유닛(140)으로 감속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기어열(130)은 모터(120)의 회전력을 동력변환유닛(14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모터(120)의 회전축(121)에 결합된 구동기어(131)와, 구동기어(131)와 기어물림되는 종동기어(132) 및 종동기어(132)와 함께 회전하며 동력변환유닛(140)의 출력기어(141)와 기어물림되는 연결기어(1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기어(134)는 종동기어(132)의 중심축(133)과 동일한 중심축(133)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어(134)는 종동기어(132)의 상단에 장착되어 종동기어(132)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모터(120)에 대한 회전력을 감속하여 출력기어(141)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종동기어(132)와 연결기어(134)가 동일 중심축(13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동기어(132)와 연결기어(134)가 기어물림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종동기어(132)와 연결기어(134) 이외에 감속비를 증가시키도록 복수의 기어들이 더 배열될 수도 있다.
동력변환유닛(140)은 상기와 같은 기어열(130)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로드(150)를 직선운동시킴으로써 터보차저의 밸브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변환유닛(140)은, 기어열(130)과 기어물림되는 출력기어(141)와, 출력기어(141)에 설치되어 로드(150)와 결합되는 축부재(142), 및 직선운동 하도록 축부재(142)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15,116)를 구비한다.
출력기어(141)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어열(130)의 연결기어(134)와 기어물림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 출력기어(141)에 설치되는 축부재(142)는 출력기어(14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출력기어(141)는 축부재(142)에 의하여 자전하며 연결기어(134)의 중심축(133)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선회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출력기어(141)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축부재(142)는 출력기어(14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출력기어(141)를 관통하여 설치된 출력축(143), 및 출력축(143)에 설치되어 로드(150)와 결합되는 결합부(145)를 갖춘 몸체부(144)를 구비한다. 또한 몸체부(144)는 선택적으로 가이드홀(147)이 형성된 지지부(146)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지지부(146)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축부재(142)는 가이드부재(115,116)에 의하여 일측 또는 양측이 지지되어 직선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라 축부재(142)가 가이드부재(115,116))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출력축(143)은 출력기어(141)를 관통하여 하측이 하우징(11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의 일 실시예인 직선 슬롯(115)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직선 슬롯(115)은 터보차저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몸체부(144)의 결합부에는 로드(150)가 일체로 결합되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101)가 로드(150)의 끝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로드(15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110)의 상부 케이스(111)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며, 로드(150)는 하우징(110)의 관통된 부분에 의하여 그 끝단부로부터 반경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은 출력기어(141)가 회전하게 되고, 또 출력기어(141)는 출력축(143)이 직선 슬롯(115)에 의해 단일 방향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연결기어(134)의 중심축(133)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정역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축부재(142) 및 이와 일체로 결합된 로드(150)는 터보차저의 밸브를 향하여 직선왕복 운동하게 된다.
한편, 출력축(143)의 상측에 결합된 몸체부(144)는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116)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 몸체부(144)는 로드(150)가 결합되는 결합부(145)와, 가이드바(116)가 결합되는 지지부(146)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부(145)와 지지부(146)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이 몸체부(144)에는 로드(150)와 가이드바(116)가 겹쳐지지 않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즉, 로드(150)와 가이드바(116)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로드(150)와 가이드바(116)의 길이방향은 로드(150)가 이동되어 밸브를 개폐시키는 방향인 것은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로드(150)는 결합부(145)에 힌지 결합되며, 이에 로드(150)는 힌지축(15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움직임이 허용된다. 지지부(146)에는 가이드바(116)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가이드홀(147)이 형성된다. 이에, 가이드바(116)에 의해 축부재(142)가 지지됨과 동시에 가이드바(116)의 길이방향인 가이드방향으로 축부재(142)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즉, 출력기어(141)는 축부재(142)가 가이드바(116)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연결기어(134)의 중심축(133)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정역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부재(142)와 로드(150)는 가이드바(116)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직선왕복 이동하며 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변환유닛(140)의 축부재(142)가 양측으로 지지되어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축부재(142)의 일측이 지지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축부재(142)의 하측만 즉, 출력축(143)이 직선 슬롯(115)에 지지되어 직선운동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축부재(142)의 상측만 즉, 몸체부(144)가 가이드바(116)에 의해 지지되어 직선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축부재(142)의 출력축(143)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몸체부(144)가 설치되고, 각 몸체부(144)를 가이드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가이드바(116)를 설치하여 축부재(142)가 직선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는 전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축부재(142)와 가이드부재(115,116)의 구조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로드(150)를 직선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100)는 종래 기술과 같이 출력축, 출력기어, 출력레버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지 않으므로 고정된 출력축에 출력기어가 단순히 삽입가능하고, 또한 종래의 출력레버를 출력축에 고정하기 위한 압입, 용접 등의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며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동력변환유닛(140)은 하우징(110) 내에서 배열되어 설치됨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원이 배제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이 발생하여 회전축(121)이 회전하면,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121)에 장착된 구동기어(131)와 기어물림된 종동기어(132)가 회전하고, 종동기어(132)와 동일한 중심축(133)을 갖는 연결기어(134)가 회전하여 출력기어(141)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출력기어(141)는 출력기어(14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축부재(142)가 하우징(110)에 형성된 직선 슬롯(115) 및/또는 하우징(110)에 고정된 가이드바(116)에 의하여 단일 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자전함과 동시에 연결기어(134)의 중심축(133)을 중심으로 호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즉, 모터(1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출력기어(141)의 회전운동을 가이드부재(115,116)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로드(150)의 끝단에 연결된 밸브레버(101)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드(15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동작 즉, 밸브가 폐쇄되는 동작은 위에서 설명된 모터(120)의 회전력을 시계방향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출력기어(14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140)에 의해 출력기어(141) 및 축부재(142)가 밸브의 개폐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하우징(110) 내에 배치됨에 따라 차량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원이 배제되어 진동에 따른 소음 문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로드(150)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일단이 축부재(142)의 몸체부(144)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이 터보차저 내의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레버(101)와 연결되는데, 로드(150)는 하우징(110)에 의하여 로드(150)의 반경 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으며, 또는 로드(150)의 일단이 축부재(142)와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152)으로부터 방경방향으로 미세한 움직임이 허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자식 액추에이터 110 : 하우징
115 : 직선 슬롯 116 : 가이드바
120 : 모터 130 : 기어열
140 : 동력변환유닛 141 : 출력기어
142 : 축부재 150 : 로드

Claims (9)

  1. 터보차저 내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 및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동력변환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와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기어열과 기어물림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단일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도록 상기 축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축부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및 호 운동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축부재와 함께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2. 터보차저 내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 및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동력변환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레버와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기어열과 기어물림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축부재, 및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단일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도록 상기 축부재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축부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기어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및 호 운동하고, 상기 축부재 및 로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축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축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움직임이 허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가 출력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출력기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출력축; 및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춘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출력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직선 슬롯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양측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bar)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바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으로 축부재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물림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출력기어와 기어물림되는 연결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기어열 및 상기 동력변환유닛을 보호하도록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KR1020120092677A 2012-08-24 2012-08-24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KR20140026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677A KR20140026904A (ko) 2012-08-24 2012-08-24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677A KR20140026904A (ko) 2012-08-24 2012-08-24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904A true KR20140026904A (ko) 2014-03-06

Family

ID=5064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677A KR20140026904A (ko) 2012-08-24 2012-08-24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8557A (zh) * 2018-10-11 2018-12-21 锋宏海力汽车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电子执行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8557A (zh) * 2018-10-11 2018-12-21 锋宏海力汽车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电子执行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919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KR101150884B1 (ko) 차량용 액추에이터
KR101254232B1 (ko) 터보차저의 전기식 웨이스트 게이트 엑츄에이터
CN109416056A (zh) 具有可变压缩机入口的压缩机
EP2371603A1 (en) Movable grille shutter for vehicle
JP4713934B2 (ja) 電動弁
WO2016203734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WO2012023160A1 (ja) 電制アクチュエータ
JP5994152B2 (ja) ドア開閉装置
US11085507B2 (en)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JP2006292009A (ja) 弁駆動装置
KR20170143442A (ko) 제1 선택된 기어 및 제2 선택된 기어 중 하나를 가지는 기어 구동 조립체 및 그 생산 방법
KR20140026904A (ko) 터보차저용 전자식 액추에이터
WO2013061357A1 (ja) ターボ用アクチュエータ
JP2013509524A (ja) 作動機構のための作動装置
KR101299108B1 (ko) 전기식 액추에이터
JP5446969B2 (ja) 圧縮機
US9771898B2 (en) Mixing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214003B1 (ko) 전자식 터보차져 액츄에이터
CN212109155U (zh) 风门装置以及冰箱
KR20170041069A (ko) 유성기어를 포함하는 이지알 밸브
KR101343672B1 (ko) 터보 차저용 액추에이터
JP2014214733A (ja) バルブ駆動装置
JP2020041517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KR101313889B1 (ko) 전동식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