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890A - 채혈장치 - Google Patents

채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890A
KR20140026890A KR1020120092615A KR20120092615A KR20140026890A KR 20140026890 A KR20140026890 A KR 20140026890A KR 1020120092615 A KR1020120092615 A KR 1020120092615A KR 20120092615 A KR20120092615 A KR 20120092615A KR 20140026890 A KR20140026890 A KR 20140026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rame
pressing
subjec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993B1 (ko
Inventor
박윤곤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946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the speed or time of blood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프레임 및 중공 원통 형상의 커프와, 상기 커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쪽 피부정맥(Basilic Vein)과 노쪽 피부정맥(Cephalic Vein)을 가압하는 압박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압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압박수단은, 채혈(採血)에 필요한 30mmHg 내지 50mmHg의 압력을 상기 자쪽 피부정맥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혈장치 {BLOOD-GATH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채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혈 시 채혈대상자의신체 부위를 채혈에 적합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채혈에 적합한 크기로 마련되어 채혈 부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채혈할 수 있는 채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혈관을 따라 신체 내부 곳곳에 전달되어 산소 및 영양분, 호르몬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을 신체 각 기관에 전달해주고, 신체 각 기관으로부터 생성된 노폐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전해질 및 수분의 양을 조절하여 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체온 조절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을 분석함으로써 신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혈액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을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채혈 시에는 정맥혈을 채혈하며, 이때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압력을 가해 정맥이 팽창되도록 하여 채혈을 할 수 있다.
정맥이 팽창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는 고무줄을 사용하고 있다. 적은 수의 환자에서 채혈을 시행하는 경우 이의 사용에 큰 불편은 없으나 신체검사나 대형병원에서와 같이 채혈환자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매번 고무줄을 묶었다 풀었다하며 채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이로 인한 간호사 혹은 임상병리사와 같은 의료진들의 피로가 누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의료과실의 발생 위험도 존재할 수 있다. 간호사 혹은 임상병리사따라서 자동으로 채혈에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 등록 실용신안 제20-0226025호가 있다.
도 1에는 몸체(1), 전원 스위치(5), 압박부(10), 고정후드(11), 개폐후드(12), 압박대(13) 및 표시부(5)를 포함하는 자동 혈압구혈대가 개시되어 있다.
자동 혈압구혈대는 혈압계를 이용하여 혈압 측정 시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혈관을 팽창시킴으로써, 혈압 측정과 동시에 채혈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다만, 채혈은 정맥에서 이루어지는데 반해 혈압 측정은 동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압하여야 하는 범위는 서로 다르다.
즉, 동맥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수축기압이 200mmHg에 해당하는 동맥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해야 하며, 수축 및 이완 기능이 없는 정맥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수축 및 이완 없이 최대 15mmHg의 압력을 갖는 정맥압보다 높은 압력만 가하면 되기 때문에, 필요한 압력의 범위가 10배 정도의 차이가 난다.
물론 혈압 측정에 필요한 높은 압력을 가하여 정맥혈을 채혈할 수도 있으나 이 압력은 팔에 강한 압박 통증을 느끼게 하여 궂이 환자가 불편을 느끼면서까지 채혈을 받을 이유가 없다.
또한 채혈대상자의 팔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 혈압 측정용 커프는 채혈대상자의 상박의 대부분을 감쌀 정도로 넓은 폭(W1)을 가져야 하는데 반해서, 채혈용 커프는 채혈대상자의 상박 일부만을 감쌀 정도면 충분하다. 성인을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에서의 혈압 측정용 커프는 폭이 14cm로 감았을 경우 커프의 끝이 팔목 관절부위에 근접하므로 이때 팔목관절 부위에서의 채혈은 곤란하다.
따라서 자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를 가압할 수 있으며, 혈압 측정과는 별개로 채혈에 필요한 적정 범위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채혈에 적합한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된 커프가 마련되는 채혈장치가 필요하다.
등록 실용신안 제20-02260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프의 폭을 설정하여,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충분히 가압하여 팔목 관절 부위에서의 채혈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채혈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팽창될 수 있으나 채혈대상자가 신체적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 적정 범위의 압력을 가하는 압박수단이 마련되는 채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프레임 및 중공 원통 형상의 커프와, 상기 커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쪽 피부정맥(Basilic Vein) 과 노쪽 피부정맥(Cephalic Vein)을 가압하는 압박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압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압박수단은, 채혈(採血)에 필요한 30mmHg 내지 50mmHg의 압력을 상기 자쪽 피부정맥 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때 상기 커프의 폭은 3Cm 내지 8C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자쪽 피부정맥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을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채혈시에만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자쪽 피부정맥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프에 대하여 상기 가압수단을 상대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채혈대상자의 상박(Upper Arm) 하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채혈대상자의 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작동수단의 구동시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채혈대상자의 상박 상측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는 채혈 진행상태를 의료진이 알 수 있도록 채혈대상자에 대하여 대향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정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압박수단의 가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 상기 압박수단이 가압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압력 표시등, 상기 압박수단을 온(on)시키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압박수단을 오프(off)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의료진이 발을 사용하여 상기 압박수단을 간편하게 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모듈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압박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프의 폭을 설정하여,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충분히 가압하여 팔목 관절 부위에서의 채혈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채혈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팽창되면서 채혈대상자가 커프의 압박에 의한 신체적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 적정 범위의 압력을 가하는 압박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는 자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채혈 시 수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고무줄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매번 손으로 둘러 묶어 가압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한 채혈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채혈 시마다 수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해야 하는 의료진들의 육체적 피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로 누적에 의한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풋 스위치를 마련하여 발로도 채혈장치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어, 채혈이 종료된 직후 채혈 정보를 손쉽게 기록하거나, 혈액응고 방지제와 같은 약품의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채혈된 혈액이 서로 맞바뀌거나 응고되는 사고 역시 방지될 수 있는 채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혈압구혈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체의 팔 부분의 정맥 분포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를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채혈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채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인체의 팔 부분의 정맥 분포를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를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및 압박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0)은 제2 프레임(200)과 연결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100)은 지면에 배치되어 채혈장치(10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 세라믹,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외에도 채혈장치(100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이면 전술한 재질과 대체될 수 있을 것이며, 제1 프레임(100)의 재질과 관련해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설명한 제1 프레임(100)의 형상과 관련해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 역시 마찬가지이다.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의 일측에서 상단부가 제1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제1 프레임(100)과 함께 'ㄴ'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박모듈(300)은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을 할 수 있도록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모듈(300)은 제2 프레임(20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200) 및 압박모듈(300)은 연결 프레임(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400)은 제2 프레임(20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2 프레임(20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압박모듈(300)을 제2 프레임(200)과 연결해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모듈(300)은 일 예로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때 보다 용이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커프(310) 및 압박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프(310)는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프(310)는 일 예로 채혈대상자의 팔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프(310)는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하기에 적절한 폭(W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3Cm 내지 8Cm의 폭(W2)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3C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경우에는 커프(310)의 폭이 지나치게 작아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채혈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압박수단(320)이 결합될 수 없다.
반면에 8Cm를 초과하는 폭을 가지는 경우에는 커프(310)의 폭이 지나치게 크므로 이에 결합된 압박수단(320)이 채혈대상자의 상박 대부분을 감싸게 되기 때문에, 팔목 관절 부위로부터의 채혈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3Cm 내지 8Cm 범위의 폭(W2)을 가지는 커프(310)를 제공할 수 있다.
압박수단(320)은 커프(3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신호의 입력에 따라 채혈대상자의 팔에서 자쪽 피부정맥(Basilic Vein, a)과 노쪽 피부정맥(Cephalic Vein, b) 모두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수단(320)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됨에 따라 점차 부피가 팽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압박수단(320)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박수단(320)은 공기를 충전시켜 일 예에 따라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할 수 있으며, 유동적인 유체를 이용하여 가압을 실시하기 때문에 채혈대상자의 신체 구조 및 부위에 관계없이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모듈(300)은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원활하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모듈(300)은 각각 원호 형상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각 원호의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타측이 분리되도록 회동됨으로써 압박모듈(300)을 개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분리된 압박모듈(300)의 일부분이 회동에 의하여 개방되면, 채혈대상자는 다른 일부분의 압박모듈(300)에 신체 부위를 배치시킬 수 있다.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배치되고 나면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할 수 있기 위해서, 신체 부위의 외곽을 따라 링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일부분의 압박모듈(300)이 다른 일부분의 압박모듈(3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박모듈(300)이 절개되는 경우에는 채혈을 마친 후 채혈대상자가 알코올솜으로 채혈 부위를 지혈하는 동시에 채혈장치(1000)로부터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제거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유리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모듈(300)은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풋 스위치(219)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후 풋 스위치(219)와 관련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수단(320)은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채혈에 필요한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채혈대상자의 팔로부터 채혈을 하기 위한 것으로, 채혈대상자의 팔 부위로부터 채혈하는 경우에 필요한 적정 압력인 30mmHg 내지 50mmHg의 압력을 채혈대상자에게 가할 수 있다.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 시에는 일반적으로 정맥혈을 채혈하게 되며, 정맥혈의 경우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 차가 없이 최대치가 15mmHg 정도의 압력을 가진다.
따라서 15mmHg와 큰 차이를 가지는 지나치게 높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 30mmHg 내지 50mmHg의 압력만을 가하더라도 충분히 채혈이 가능할 정도로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팽창될 수 있다.
반면에 30mmHg 미만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압력이 너무 낮아 채혈이 가능할 정도로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팽창될 수 없으며, 50mmHg를 초과하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팽창될 수 있다 하더라도 지나치게 높은 압력으로 인해 채혈대상자가 고통을 호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혈장치(1000)는 변형예에 따라 가압수단(322) 및 작동수단(328)을 포함하는 압박수단(32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수단(322)은 자쪽 피부정맥(a)과 노쪽 피부정맥(b)을 가압하는 부분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가압수단(322)은 지지부(324) 및 가압부(326)를 포함한다.
지지부(324)는 일 예에 따라 채혈대상자의 팔이 커프(310)의 중공에 삽입되면 채혈대상자의 상박 하측을 감싸도록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며, 채혈대상자의 상박 하측을 감쌈으로써 채혈대상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가압부(326)는 지지부(324)와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며, 지지부(324)와 맞물려 단면이 원형인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하는 부분으로, 작동수단(328)의 구동 시 지지부(324)와 맞물리도록 지지부(3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채혈대상자의 상박 상측을 감싸면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326)가 지지부(324)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서, 지지부(324)의 반경이 가압부(326)의 반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지지부(324)의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지는 가압부(326)가 지지부(324)의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가압이 가능하다.
작동수단(328)은 가압수단(322)을 상대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채혈시에만 가압수단(322)이 자쪽 피부정맥(a)과 노쪽 피부정맥(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커프(310)에 대하여 가압수단(322)을 상대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채혈대상자의 팔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프(310)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따라 마련되어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지지부(324)와 가압부(326)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채혈대상자의 팔이 삽입되면, 전원이 연결되어 작동수단(328)에 의해 가압부(326)가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하기 위하여 채혈대상자의 팔이 배치되어 지지되고 있는 지지부(324)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본 변형예에서는 작동수단(328)에 의하여 가압부(326)가 이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작동수단(328)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것은 가압부(326)뿐만 아니라 지지부(324) 역시 가능하다.
즉, 작동수단(328)에 의해 가압부(326)와 지지부(324)가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그 변형예에 따른 제2 프레임(200)의 배면 쪽에는 채혈대상자가 배치되며, 제2 프레임(200)의 정면 쪽에는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을 하는 의료진이 배치되어 채혈장치(10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의료진이 배치되는 제2 프레임(200)의 정면 쪽에는 채혈장치(100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을 하는 의료진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1000)를 조작하기에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압력 게이지(212), 압력 표시등(214), 제1 스위치(216) 및 제2 스위치(218)를 포함한다.
압력 게이지(212)는 압박모듈(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압박모듈(300)에 의해 서서히 증가되는 압력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게이지(212)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바늘이 회전하여 해당 압력을 가리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디지털로 표시되는 숫자일 수 있으며, 압력 게이지(212)의 표시 방법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압력 표시등(214)은 압박모듈(300)에 의해 채혈대상자의 채혈 부위가 가압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압박모듈(300)에 의해 채혈 부위가 가압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등을 점등할 수 있다.
이때 압력 표시등(214)은 일반 램프, 엘이디 모듈과 같이 국소 부위를 점등시키는 소형 조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압력 표시등(214)의 점등 및 소등과 함께 음성 또는 알림음과 같은 소리로 이를 채혈대상자 및 의료진에게 압박모듈(300)이 가압상태에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제1 스위치(216)는 압박수단(320)에 전원을 연결하여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이다.
제2 스위치(218)는 압박수단(320)에 연결된 전원을 차단하여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치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10)는 풋 스위치(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풋 스위치(219)는 의료진이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을 마친 뒤, 발을 사용하여 압박수단(320)에 연결된 전원을 간편하게 오프시킬 수 있도록 제2 스위치(2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스위치이다.
채혈을 마친 뒤, 의료진은 채혈대상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을 운반하거나 채혈 정보를 기록하는 것과 같이 별도로 손을 쓸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손을 쓸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간편하게 발을 이용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본 실시에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제2 스위치(2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풋 스위치(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풋 스위치(219)는 페달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되어, 밟으면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진이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방식의 풋 스위치(219)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풋 스위치(219)는 압박모듈(300)이 복수의 원호 형상으로 분리된 경우, 원호 형상으로 분리된 압박모듈(300) 중 어느 하나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압박모듈(300)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것과 같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그 변형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작동예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동예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작동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동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압박모듈(300)을 포함하는 채혈장치(1000)를 사이에 두고 채혈장치(1000)의 정면 쪽에는 의료진이, 채혈장치(1000)의 배면 쪽에는 채혈대상자가 마주하여 앉는다.
본 작동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채혈대상자의 팔로부터 채혈을 할 수 있으며, 채혈대상자는 팔로부터 채혈이 가능하도록 커프(310)에 마련된 중공에 팔을 삽입하여 관통시킬 수 있다.
이때 커프(310)는 채혈대상자의 팔을 충분히 가압하는 한편, 팔목 관절 부위에서의 채혈 역시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3Cm 내지 8Cm의 폭(W2)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채혈대상자의 팔이 압박모듈(300)의 압박수단(320)에 배치되면 의료진은 채혈장치(1000)의 정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210)의 제1 스위치(216)를 눌러 압박수단(320)에 전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치(216)에 의해 압박수단(320)에 전원이 연결되면, 커프(310)에 결합된 압박수단(320)이 채혈대상자의 팔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는 압박수단(320)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며, 이에 따라 압박수단(320)이 부풀어 올라 채혈대상자의 팔을 30mmHg 내지 50mmHg의 범위의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경우에는 작동수단(328)에 의해 채혈대상자의 상박 하측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지지부(324) 및 상박 상측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가압부(326)가 상대 이동됨으로써 채혈대상자의 팔을 30mmHg 내지 50mmHg의 범위의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216)에 의해 압박수단(320)에 전원이 연결되어 채혈대상자의 팔이 가압상태가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0)의 압력 게이지(212)는 점차 증가되는 압력을 눈금 또는 디지털 숫자로 표시할 수 있으며, 압력 표시등(214)은 현재 채혈대상자의 팔이 가압상태에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점등될 수 있다.
압박수단(320)에 의해 채혈대상자의 팔이 가압됨으로써 팔의 자쪽 피부정맥(a)과 노쪽 피부정맥(b)이 가압될 수 있으며, 가압된 정맥은 팽창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의료진은 노출된 정맥으로부터 채혈을 실시한다. 채혈이 종료된 후에는 제2 스위치(218)를 눌러 압박수단(320)에 연결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위치(218)는 풋 스위치(2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의료진은 채혈이 마쳐짐에 따라 채혈된 혈액을 운반하거나 채혈 정보를 기록하는 것과 동시에 풋 스위치(219)를 눌러 압박수단(320)에 연결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채혈대상자의 팔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가압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압력 표시등(214)은 점등을 마치고 소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채혈장치(10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커프(310)의 폭(W2)을 설정하여,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으며 팔목 관절 부위에서의 채혈까지 가능하게 하였으며, 채혈대상자의 정맥이 채혈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팽창될 수 있으나 채혈대상자가 신체적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 적정 범위의 압력을 가하는 압박수단(320)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채혈장치(1000)는 자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채혈 시 수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고무줄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한 채혈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채혈 시마다 수동으로 채혈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가압해야 하는 간호사 혹은 임상병리사와 같은 의료진들의 육체적 피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로 누적에 의한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풋 스위치(219)를 마련하여 발로도 채혈장치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어 채혈을 끝낸 후 의료진이 한 손으로는 바늘을 빼면서 동시에 다른 손으로는 지혈을 위해 알코올 솜으로 채혈 부위를 누를 때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218)를 손으로 작동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프레임
200: 제2 프레임
210: 디스플레이부
212: 압력 게이지
214: 압력 표시등
216: 제1 스위치
218: 제2 스위치
219: 풋 스위치
300: 압박모듈
310: 커프
320: 압박수단
322: 가압수단
324: 지지부
326: 가압부
328: 작동수단
400: 연결 프레임
a: 자쪽 피부정맥(Basilic Vein)
b: 노쪽 피부정맥(Cephalic Vein)

Claims (8)

  1.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프레임; 및
    중공 원통 형상의 커프와, 상기 커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신호의 입력에 따라 자쪽 피부정맥(Basilic Vein)과 노쪽 피부정맥(Cephalic Vein)을 가압하는 압박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압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압박수단은,
    채혈(採血)에 필요한 10mmHg 내지 20mmHg의 압력을 상기 자쪽 피부정맥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의 폭은 3Cm 내지 8Cm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자쪽 피부정맥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을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채혈시에만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자쪽 피부정맥과 상기 노쪽 피부정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프에 대하여 상기 가압수단을 상대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채혈대상자의 상박(Upper Arm) 하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채혈대상자의 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작동수단의 구동시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채혈대상자의 상박 상측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채혈 진행상태를 의료진이 알 수 있도록 채혈대상자에 대하여 대향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정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압박수단의 가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
    상기 압박수단이 가압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압력 표시등;
    상기 압박수단을 온(on)시키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압박수단을 오프(off)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의료진이 발을 사용하여 상기 압박수단을 간편하게 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풋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압박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장치.

KR1020120092615A 2012-08-23 2012-08-23 채혈장치 KR10138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615A KR101389993B1 (ko) 2012-08-23 2012-08-23 채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615A KR101389993B1 (ko) 2012-08-23 2012-08-23 채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890A true KR20140026890A (ko) 2014-03-06
KR101389993B1 KR101389993B1 (ko) 2014-05-07

Family

ID=5064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615A KR101389993B1 (ko) 2012-08-23 2012-08-23 채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943A (zh) * 2018-01-05 2018-06-29 陈新涛 一种检验科临床用应急处理装置
CN109875634A (zh) * 2019-03-22 2019-06-14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采血用自动压脉装置
CN111528966A (zh) * 2020-06-04 2020-08-14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智能压脉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025Y1 (ko) * 2000-12-15 2001-06-01 정성수 자동 혈압구혈대
JP2004230078A (ja) * 2003-01-31 2004-08-19 Otsuka Denki Kk 血液検査補助装置
JP2005211189A (ja) * 2004-01-28 2005-08-11 Advance Co Ltd 採血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943A (zh) * 2018-01-05 2018-06-29 陈新涛 一种检验科临床用应急处理装置
CN109875634A (zh) * 2019-03-22 2019-06-14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采血用自动压脉装置
CN111528966A (zh) * 2020-06-04 2020-08-14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智能压脉带
CN111528966B (zh) * 2020-06-04 2020-12-08 常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智能压脉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93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9444A9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rsatile nirs sensors
US20210038138A1 (en) Methods, Devices, Systems, and Kits for Automated Blood Collection by Fingerstick
CN105919646B (zh) 一种加压包扎止血及监测自动报警装置
US20220047175A1 (e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skin perfusion pressure
JP2020522292A (ja) 創傷分析装置および方法
KR101601421B1 (ko) 자동 채혈방법
KR20080110752A (ko) 동물 신체의 말단 부분으로의 혈액 공급을 감시하는 것
CN105193472A (zh) 一种多功能股动脉穿刺压迫止血装置和控制方法
CA28546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rsatile nirs sensors
KR101389993B1 (ko) 채혈장치
CN103536281A (zh) 一种基于指尖温度变化的血管内皮功能检测装置
CN111281400B (zh) 借助于非接触式血管可视化设备的辅助操作装置及方法
CN207666642U (zh) 一种桡动脉压迫止血带
CN209347131U (zh) 一种桡动脉压迫止血器
CN206597041U (zh) 动静脉穿刺止血带
JP2004230078A (ja) 血液検査補助装置
CN213430351U (zh) 一种外周血管介入治疗用穿刺点压迫装置
CN204863345U (zh) 自动报警功能动脉压迫止血带
CN204863225U (zh) 一种采血辅助机器人
CN217014592U (zh) 一种便于桡动脉血气穿刺及压迫止血的垫枕
CN209691073U (zh) 一种下肢制动报警器
CN208243590U (zh) 桡动脉血管加压型止血器
CN215227678U (zh) 一种便于桡动脉采血以及止血的装置
CN216060643U (zh) 一种基于人体解剖形态的桡动脉压迫止血器
CN209347127U (zh) 一种桡动脉穿刺加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