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675A -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675A
KR20140025675A KR1020120091594A KR20120091594A KR20140025675A KR 20140025675 A KR20140025675 A KR 20140025675A KR 1020120091594 A KR1020120091594 A KR 1020120091594A KR 20120091594 A KR20120091594 A KR 20120091594A KR 20140025675 A KR20140025675 A KR 2014002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touch
infrared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287B1 (ko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287B1/ko
Priority to US13/688,090 priority patent/US20140055414A1/en
Priority to DE102012222014.3A priority patent/DE102012222014A1/de
Priority to CN201210536307.4A priority patent/CN103631448B/zh
Publication of KR2014002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 상기 탄력층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OUCHING OF TOUCH SCREEN BY INFRARED LIGH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기술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곡면 디스플레이와 곡면 터치 인식을 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인식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터치를 인식하는 기술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터치 인식 방식의 대표적인 터치스크린 장치로 LCD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하면서, LCD 위에 터치인식센서를 장착하거나, 혹은 LCD 패널 내부에 터치인식 전극을 두어 터치를 인식한다.
그러나, 상기한 터치인식 방식은 모두 일반적인 평면 터치스크린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된 기술로서, 차량 내장재와 같은 곡면 디자인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불어,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역시 평면 공정으로 제작되어 곡면으로 휘는 구조로써 임의의 곡면을 형성하는 데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한 터치 인식 방식 외에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멀티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기존의 방식들은 외란광에 의한 외부의 노이즈에 대하여 취약하고 터치인식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임의의 곡면 디스플레이와 곡면 터치 인식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인식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판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 상기 탄력층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력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패턴층에 형성된 패턴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 상기 탄력층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 상기 후면투사층 측에 마련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시 적외선패턴층에 형성된 패턴의 선명도 변화를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 및 상기 후면투사층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적외선패턴층에 형성된 패턴을 적외선카메라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카메라와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적외선패턴층의 패턴 선명도 변화를 분석하여 터치스크린의 터치 여부와 함께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인식부는, 상기 적외선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기준 선명도값이 설정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라 탄력층이 눌려져 적외선패턴층과 후면투사층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력층에 의해 눌려지는 패턴 부분이 후면투사층 측에서 선명하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패턴 선명도값이 터치되지 않은 부분의 기준 선명도값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을 검출하여 터치 조작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패턴의 선명도값이 높아진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판단부에는 해당 패턴의 형상과, 상기 패턴 형상에 대한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패턴의 선명도가 향상된 부분의 좌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후면투사층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프로젝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탄력층의 표면에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마련되며, 후면투사층의 후면에서 적외선카메라를 통해 상기 패턴을 촬영하는 패턴 촬영단계; 상기 적외선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기준 선명도값을 설정하는 기준선명도 설정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라 탄력층이 눌려져 패턴과 후면투사층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력층에 의해 눌려지는 패턴 부분이 후면투사층 측에서 선명하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패턴 선명도값이 기준 선명도값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을 검출하여 터치 조작을 판단하는 터치판단단계; 및 상기 패턴의 선명도값이 높아진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적외선패턴층과 후면투사층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적외선패턴층에 형성된 패턴의 선명도가 높게 변화하고, 이를 촬영 및 분석하여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게 되는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작계는 물론,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곡면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에 설계시 인간공학적으로 클러스터 및 센터페시아를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터치시 눌려지는 압력에 의해 터치를 인식하는 감압식의 방식으로, 비단 손가락뿐 아니라 볼펜, 장갑 낀 손 등 다양한 물체 및 물건을 통한 터치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스크린을 터치한 부분은 외부광이 차단되면서 터치 부분의 패턴을 카메라로 검출하므로 외란광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층별 분리 구조와 함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터치 조작에 따른 적외선패턴의 선명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간격 증감 정도에 따른 선명도 변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적외선패턴층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 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은, 기판(10)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12); 상기 탄력층(12)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14); 및 상기 기판(10)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력층(1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을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은 터치 검출을 위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패턴의 형상은 라인, 포인트, 바코드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기판(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투사층(16)은 재질 특성상 광 확산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프로젝터(24)에서 주사되는 영상을 터치스크린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는 역할과 동시에,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 터치시, 상기한 확산작용을 통해 터치된 부분과 터치되지 않은 부분이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선명도가 다르게 보여지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패턴은 확산기능을 갖는 후면투사층(16)과 가까울수록 상기 후면투사층(16)의 후면에서는 그 패턴 이미지가 선명하게 보이고, 반대로 멀어질수록 그 패턴 이미지가 흐릿하게 보여지게 되는바,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선명도값이 달라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적외선패턴층(14)과 탄력층(12) 및 후면투사층(16)은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는, 기판(10)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12); 상기 탄력층(12)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14); 상기 기판(10)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16); 상기 후면투사층(16) 측에 마련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시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의 선명도값 변화를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20); 및 상기 후면투사층(16)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을 적외선카메라(20)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조명(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조명(22)은 적외선LED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투사층(16)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프로젝터(24)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24)는 상기 후면투사층(16)에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24)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의 터치시, 탄력층(12)이 후면투사층(16)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면서 탄력층(12)에 형성된 적외선패턴층(14)이 후면투사층(16)과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적외선카메라(20)가 후면투사층(16)을 투과하여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을 촬영하게 되는데,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이 후면투사층(16)과 가까워지는바, 패턴의 선명도값이 변화되어 촬영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조명(22)은 상기 후면투사층(16)을 투과하여 적외선패턴층(14)에 투사됨으로써, 상기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패턴의 선명도 변화를 확실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는 구조로서, 상기 적외선카메라(20)와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적외선패턴층(14)의 패턴 선명도를 분석하여 터치스크린의 터치 여부와 함께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인식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인식부(30)는, 상기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기준 선명도값이 설정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라 탄력층(12)이 눌려져 적외선패턴층(14)과 후면투사층(1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력층(12)에 의해 눌려지는 패턴 부분이 후면투사층(16) 측에서 선명하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패턴 선명도값이 터치되지 않은 부분의 기준 선명도값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터치 조작을 판단하는 터치판단부(32); 및 상기 패턴의 선명도값이 높아진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조작과 함께, 탄력층(12)에 의해 적외선패턴층(14)이 후면투사층(16)과 가까워지게 되면, 후면투사층(16) 측에서 촬영되는 패턴의 영상은 터치된 부분이 터치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비해 더욱 선명하게 촬영된다. 따라서, 기준 선명도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명도값이 높아지는 패턴 부분이 촬영되면, 이를 통해 터치스크린이 터치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선명도값이 향상된 패턴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조작이 발생된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위치판단부(34)에는 해당 패턴의 형상과, 상기 패턴 형상에 대한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패턴의 선명도가 향상된 부분의 좌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은 앞서 설명된 것처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과 함께, 상기 패턴 형상의 각 부분별로 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따라서, 패턴의 일부에서 선명도값이 향상되는 경우, 선명도값이 향상된 패턴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인식방법은, 탄력층(12)의 표면에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마련되며, 후면투사층(16)의 후면에서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상기 패턴을 촬영하는 패턴 촬영단계; 상기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기준 선명도값을 설정하는 기준선명도 설정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라 탄력층(12)이 눌려져 패턴과 후면투사층(1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력층(12)에 의해 눌려지는 패턴 부분이 후면투사층(16) 측에서 선명하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패턴 선명도값이 기준 선명도값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터치 조작을 판단하는 터치판단단계; 및 상기 패턴의 선명도값이 높아진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터치 인식방법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과 후면투사층(16)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의 선명도가 기준 선명도값에 비해 높게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게 되는바,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작계는 물론,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곡면으로 설계 및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에 설계시 인간공학적으로 클러스터 및 센터페시아를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시 눌려지는 압력에 의해 터치를 인식하는 감압식의 방식으로, 비단 손가락뿐 아니라 볼펜, 장갑 낀 손 등 다양한 물체 및 물건을 통한 터치조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스크린을 터치한 부분은 외부광이 차단되면서 터치 부분의 패턴을 카메라로 검출하므로 외란광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기판 12 : 탄력층
14 : 적외선패턴층 16 : 후면투사층
20 : 적외선카메라 22 : 적외선조명
24 : 프로젝터 30 : 터치인식부
32 : 터치판단부 34 : 위치판단부

Claims (9)

  1. 기판(10)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12);
    상기 탄력층(12)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14); 및
    상기 기판(10)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16);을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력층(12)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4. 기판(10)의 일면에 마련되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가압시 눌려지고, 가압 해제시 눌려진 형상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탄력층(12);
    상기 탄력층(12)의 표면에 마련되며,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적외선패턴층(14);
    상기 기판(10)의 타면에 마련되며, 광을 확산시키는 후면투사층(16);
    상기 후면투사층(16) 측에 마련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시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의 선명도 변화를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20); 및
    상기 후면투사층(16)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적외선패턴층(14)에 형성된 패턴을 적외선카메라(20)에 의해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조명(22);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카메라(20)와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적외선패턴층(14)의 패턴 선명도 변화를 분석하여 터치스크린의 터치 여부와 함께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인식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터치인식부(30)는,
    상기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기준 선명도값이 설정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라 탄력층(12)이 눌려져 패턴과 후면투사층(1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력층(12)에 의해 눌려지는 패턴 부분이 후면투사층(16) 측에서 선명하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패턴 선명도값이 기준 선명도값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을 검출하여 터치 조작을 판단하는 터치판단부(32); 및
    상기 패턴의 선명도값이 높아진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부(34)에는 해당 패턴의 형상과, 상기 패턴 형상에 대한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패턴의 선명도값이 향상된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면투사층(16)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프로젝터(24)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9. 탄력층(12)의 표면에 적외선에 의해 반응하는 패턴이 마련되며, 후면투사층(16)의 후면에서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상기 패턴을 촬영하는 패턴 촬영단계;
    상기 적외선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되는 패턴의 기준 선명도값을 설정하는 기준선명도 설정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라 탄력층(12)이 눌려져 패턴과 후면투사층(1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탄력층(12)에 의해 눌려지는 패턴 부분이 후면투사층(16) 측에서 선명하게 보여지게 됨으로써, 터치된 부분의 패턴 선명도값이 기준 선명도값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을 검출하여 터치 조작을 판단하는 터치판단단계; 및
    상기 패턴의 선명도값이 높아진 부분의 좌표를 분석하여 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방법.
KR1020120091594A 2012-08-22 2012-08-22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38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94A KR101382287B1 (ko) 2012-08-22 2012-08-22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US13/688,090 US20140055414A1 (en) 2012-08-22 2012-11-28 Touch screen using infrared ray, and touch recognition apparatus and touch recognition method for touch screen
DE102012222014.3A DE102012222014A1 (de) 2012-08-22 2012-11-30 Berührungsempfindlicher Bildschirm, der einen Infrarotstrahl einsetzt und Vorrichtung für die Berührungserkennung und Verfahren für die Berührungserkennung für einen berührungsempfindlichen Bildschirm
CN201210536307.4A CN103631448B (zh) 2012-08-22 2012-12-12 利用红外线的触摸屏及其触摸识别装置和触摸识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94A KR101382287B1 (ko) 2012-08-22 2012-08-22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75A true KR20140025675A (ko) 2014-03-05
KR101382287B1 KR101382287B1 (ko) 2014-04-08

Family

ID=5006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594A KR101382287B1 (ko) 2012-08-22 2012-08-22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55414A1 (ko)
KR (1) KR101382287B1 (ko)
CN (1) CN103631448B (ko)
DE (1) DE102012222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9825B2 (ja) * 2014-08-22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CN105526999B (zh) * 2015-12-31 2017-12-19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电子皮带秤称重仪表触摸按钮
TR201606363A2 (tr) 2016-05-13 2017-11-21 Sensobright Ind Llc Çok işlevli bir algılama sistemi.
KR101808714B1 (ko) 2017-03-16 2018-01-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의 깊이 정보와 가상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자동차 센터페시아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4003C (zh) * 2000-08-31 2006-07-12 株式会社东京大学Tlo 光学式触觉传感器
US20050122308A1 (en) * 2002-05-28 2005-06-09 Matthew Bell Self-contained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CN101231450B (zh) * 2008-02-25 2010-12-22 陈伟山 多点及物体触摸屏装置及多点触摸的定位方法
KR20090092878A (ko) * 2008-02-28 2009-09-02 (주)디지텍시스템스 적외선 터치스크린
KR100947283B1 (ko) 2008-02-28 2010-03-16 (주)디지텍시스템스 3차원 조작이 가능한 적외선 터치스크린
US20090219253A1 (en) * 2008-02-29 2009-09-03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Surface Computer with Switchable Diffuser
US20100103140A1 (en) * 2008-10-27 2010-04-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ouch sensitive device using optical gratings
US9176628B2 (en) * 2009-07-23 2015-1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an optical sensor
US8682030B2 (en) * 2010-09-24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display
CN102541359A (zh) * 2010-12-31 2012-07-04 东友科技股份有限公司 指示光点的定位系统、定位设备及座标定位方法
US8823639B2 (en) * 2011-05-27 2014-09-02 Disney Enterprises, Inc. Elastomeric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31448B (zh) 2018-10-19
DE102012222014A1 (de) 2014-02-27
CN103631448A (zh) 2014-03-12
KR101382287B1 (ko) 2014-04-08
US20140055414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7892B2 (en) Optical sensing mechanisms for input devices
US10275096B2 (en) Apparatus for contactlessly detecting indicated position on reproduced image
US10534436B2 (en) Multi-modal gesture based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using one single sensing system
US20090267919A1 (en) Multi-touch position tracking apparatus and interactive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3744542B (zh) 混合式指向装置
US20080259050A1 (en) Optical 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38120A (ko) 펜 추적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터치스크린
KR20110038121A (ko) 펜 추적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터치스크린
US8775958B2 (en) Assigning Z-order to user interface elements
TW201040850A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interactive input system employing same
TW201032105A (en) Optical sensing screen and panel sensing method
AU2013212629B2 (en) User interface for a touch screen
KR101382287B1 (ko)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장치 및 방법
CN101776971B (zh) 一种多点触摸屏装置及定位方法
KR101371736B1 (ko) 터치스크린의 터치 인식방법
US20070146320A1 (en) Information input system
CN106662923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20140111478A1 (en) Optical Touch Control Apparatus
TWI463375B (zh) 光學觸控系統、光學感測模組及其運作方法
CN112955898A (zh) 用于控制移动输入设备的方法和装置
TWI479363B (zh) 具有指向功能的可攜式電腦及指向系統
KR20100116267A (ko) 터치 패널 및 그를 가지는 터치 표시 장치
TWI534688B (zh) 光學觸控系統、光學感測模組及其運作方法
US20180074648A1 (en) Tapping detecting device, tapping detecting method and smart projec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131768B1 (ko) 고속 샘플링이 가능한 멀티 터치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