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082A -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082A
KR20140025082A KR1020120091226A KR20120091226A KR20140025082A KR 20140025082 A KR20140025082 A KR 20140025082A KR 1020120091226 A KR1020120091226 A KR 1020120091226A KR 20120091226 A KR20120091226 A KR 20120091226A KR 20140025082 A KR20140025082 A KR 2014002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book
audiobook
digital audiobook
s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욱
Original Assignee
엠플레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플레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플레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5082A/ko
Publication of KR2014002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레코딩부; 상기 음성 녹음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책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오디오 및 텍스트를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제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SN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AUDIO BOO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SNS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책(electronic book)은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가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자책은 E-Book 이라 통칭되며, 서적의 화상이 표시되는 전용의 리더기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마련된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구현된다. 또한, 상기 전자책은 그 기술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읽는 형태에서 벗어나 서적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의 학습효과, 치매노인의 예방과 치료, 유아, 어린이 등이 서적과 친숙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전술한 전자책은 구매자의 입장에서 종이책에 비해 저렴한 가격, 온라인 구매(전자책 출판사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통한 시간절약, 필요한 부분의 별도구매는 물론, 독서를 하면서 동영상 자료를 보거나 배경음악을 들을 수도 있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출판사의 입장에서는 인쇄나 제본 등의 제작비와 유통비 절약, 적은 재고 부담과 책 내용의 손쉬운 업데이트 등에 의해 영업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자책 중 내용을 청취할 수 있도록 구현된 오디오북을 제작하고자 할 경우, 성우를 채용하여 전용의 스튜디오에서 출판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과도한 제작 경비를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유아를 위한 오디오북의 경우 부모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로 제작되기 때문에 엄마/아빠가 아이를 위해 책을 읽어줄 때의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60040호(발명의 명칭: 대화형디지털오디오북 제작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공개일자: 2009년 6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통해 아이에게 엄마나 아빠의 목소리로 책을 더욱 생동감 있게 읽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큐(IQ), 이큐(EQ)의 향상과 문제 해결력, 학교생활 및 성적 등 교육적으로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으며, 나아가 아이의 정서적 안정 및 자신감을 고양시키고 감성과 상상 주머니를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레코딩부; 상기 음성 녹음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책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오디오 및 텍스트를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제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은 복수의 책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각 책의 내용과 관련한 키워드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책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는 상기 책의 페이지당 1개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의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은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목 및 저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목 및 저자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으로 출판하는 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은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의 판매 수익을,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에서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오디오북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배하는 수익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레코딩부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생성부에서, 상기 음성 녹음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제작부에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책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오디오 및 텍스트를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저장부에서, 복수의 책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각 책의 내용과 관련한 키워드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검색부에서, 상기 책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공유부에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의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저장부에서,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출판부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목 및 저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목 및 저자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으로 출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오디오북을 통해 아이에게 엄마나 아빠의 목소리로 책을 더욱 생동감 있게 읽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큐(IQ), 이큐(EQ)의 향상과 문제 해결력, 학교생활 및 성적 등 교육적으로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으며, 나아가 아이의 정서적 안정 및 자신감을 고양시키고 감성과 상상 주머니를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NS 디지털 오디오북을 출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은 레코딩부(110), 생성부(120), 저장부(130), 검색부(140), 제작부(150), 출판부(160), 수익 분배부(170), 공유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코딩부(110)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Audio Recorder)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어린 아이를 둔 부모, 즉 엄마나 아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책은 상기 엄마나 아빠가 상기 어린 아이에게 읽어주고자 하는 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앱스토어(App Store)나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과 같은 모바일 컨텐츠 마켓(Mobile Contents Market)과 스마트TV, IPTV에 접속하여 구매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및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데스크 탑 PC와 같은 고정 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생성부(120)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생성부(120)는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파일의 포맷은 MP3, WMA, WAV, OGG, M4A, AA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포맷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상에서의 옵션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생성부(120)는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생성 시, 상기 책의 페이지당 1개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생성부(120)는 상기 책의 페이지가 20쪽인 경우 20개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오디오북의 제작 시 상기 책의 페이지별로 각 오디오 파일을 매칭(Matching)시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별로 관리하기 용이하게끔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저장부(130)는 복수의 책에 대한 텍스트 파일(Text File)을 각 책의 내용과 관련한 키워드(Keyword)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설공주에 관한 책인 경우,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백설공주에 관한 책의 텍스트 파일을, "백설공주", "일곱 난쟁이" 등의 키워드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140)는 상기 책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앞선 예에서와 같이, 상기 검색부(140)는 백설공주에 관한 책인 경우, "백설공주"이나 "일곱 난쟁이" 와 같은 핵심 키워드를 책의 내용을 토대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핵심 키워드, 즉 상기 "백설공주"이나 상기 "일곱 난쟁이"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텍스트 파일에는 페이지 정보 등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색부(140)는 상기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텍스트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작부(150)는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책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파일(즉, 상기 검색부(140)에 의해 검색된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오디오 및 텍스트를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은 상기 저장부(130)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출판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목 및 저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목 및 저자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출판부(160)는 상기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으로 출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판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작자, 즉 각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의 출판과 관련한 허락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상기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출판부(160)는 상기 허락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출판부(16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분석 및 확인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 모두에 허락 관련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출판할 수 있다.
상기 수익 분배부(170)는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의 판매 수익을,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에서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오디오북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익 분배부(170)는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의 전체 페이지 중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오디오북이 차지하는 페이지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익 분배부(170)는 상기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 수익을 차등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공유부(180)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의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다른 사람이 제작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 또한 상기 사용자가 제작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 즉 상기 레코딩부(110), 상기 생성부(120), 상기 저장부(130), 상기 검색부(140), 상기 제작부(150), 상기 출판부(160), 상기 수익 분배부(170), 상기 공유부(18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은 상기 레코딩부(110)에 의한 녹음 기능 실행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촬영 옵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촬영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파일 및 텍스트 파일과 함께 결합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은 상기 저장부(130)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에 적용함으로써, 특히 상기 사용자가 엄마나 아빠인 경우 아이가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시청할 때 상기 엄마나 아빠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엄마나 아빠가 아이에게 책을 더욱 생동감 있게 읽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큐(IQ), 이큐(EQ)의 향상과 문제 해결력, 학교생활 및 성적 등 교육적으로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으며, 나아가 아이의 정서적 안정 및 자신감을 고양시키고 감성과 상상 주머니를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 상기 오디오 파일에 텍스트 파일의 동기신호를 삽입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재생 시 상기 오디오 파일에서 상기 동기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면서 해당 텍스트 파일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파일의 각 프레임은 오디오 컨텐츠가 저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의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동기신호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영역 및 동기신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의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의 제3 영역의 시작 위치 및 크기를 판정하며, 상기 제3 영역으로 상기 동기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영역에서의 동기신호 삽입 공간과 동기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동기신호 삽입 공간이 상기 동기신호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기신호 삽입 공간과 동일한 크기만큼의 상기 동기신호의 부분을 상기 제3 영역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프레임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텍스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의 재생 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영역의 시작 위치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3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동기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동기신호의 존재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동기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획득된 동기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동기신호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동기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후속하는 프레임의 동기신호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기신호의 부존재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단계(22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레코딩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 녹음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단계(23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생성부(120)는 상기 생성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24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생성부(120)는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25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검색부(140)는 상기 책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단계(26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검색부(14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27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제작부(150)는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검색된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단계(28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공유부(180)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의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북을 출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저장부(130)는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32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출판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목 및 저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목 및 저자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단계(330)에서 상기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100)의 출판부(160)는 상기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으로 출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레코딩부
120: 생성부
130: 저장부
140: 검색부
150: 제작부
160: 출판부
170: 수익 분배부
180: 공유부
190: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레코딩부;
    상기 음성 녹음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책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오디오 및 텍스트를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제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책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각 책의 내용과 관련한 키워드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책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는 검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책의 페이지당 1개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의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유하는 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목 및 저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목 및 저자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으로 출판하는 출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의 판매 수익을, 상기 출판된 디지털 오디오북에서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오디오북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배하는 수익 분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7.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레코딩부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오디오 레코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책의 내용과 관련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 데이터에 대한 녹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생성부에서, 상기 음성 녹음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음성 녹음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녹음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의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제작부에서,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상기 책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파일과 결합하여 오디오 및 텍스트를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저장부에서, 복수의 책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각 책의 내용과 관련한 키워드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검색부에서, 상기 책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핵심 키워드와 매칭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공유부에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의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저장부에서, 상기 제작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의 출판부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북 각각의 제목 및 저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목 및 저자가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 오디오북을 페이지 순서에 따라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디지털 오디오북으로 출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방법.
KR1020120091226A 2012-08-21 2012-08-21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5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26A KR20140025082A (ko) 2012-08-21 2012-08-21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26A KR20140025082A (ko) 2012-08-21 2012-08-21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82A true KR20140025082A (ko) 2014-03-04

Family

ID=5064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226A KR20140025082A (ko) 2012-08-21 2012-08-21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508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17A1 (ko) * 2017-09-07 2019-03-14 엠플레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북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90027648A (ko) 2017-09-07 2019-03-15 엠플레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북 제작 장치
KR20190027645A (ko) 2017-09-07 2019-03-15 엠플레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북 제작 방법
CN110032355A (zh) * 2018-12-24 2019-07-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语音播放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065318A (zh) * 2021-03-23 2021-07-02 上海匠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点读读物制作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376723B1 (ko) 2021-03-03 2022-03-21 주식회사 힐러스 사용자참여기반 오디오북 제작, 경연 및 보상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사용자참여기반 오디오북 제작, 경연 및 보상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17A1 (ko) * 2017-09-07 2019-03-14 엠플레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북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90027648A (ko) 2017-09-07 2019-03-15 엠플레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북 제작 장치
KR20190027645A (ko) 2017-09-07 2019-03-15 엠플레어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북 제작 방법
CN110032355A (zh) * 2018-12-24 2019-07-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语音播放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032355B (zh) * 2018-12-24 2022-05-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语音播放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376723B1 (ko) 2021-03-03 2022-03-21 주식회사 힐러스 사용자참여기반 오디오북 제작, 경연 및 보상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사용자참여기반 오디오북 제작, 경연 및 보상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N113065318A (zh) * 2021-03-23 2021-07-02 上海匠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点读读物制作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065318B (zh) * 2021-03-23 2024-03-22 上海匠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点读读物制作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4027B1 (en) Method for live remote narration of a digital book
CN106790120B (zh) 终端设备及视频流关联信息直播控制、交互方法
CN107517323B (zh) 一种信息分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40025082A (ko) Sns 디지털 오디오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2007164078A (ja) 楽曲再生装置および楽曲情報配信サーバ
JP6019285B2 (ja) 電子書籍再生装置、履歴取得装置、電子書籍生成装置、電子書籍提供システム、電子書籍再生方法、履歴取得方法、電子書籍生成方法、電子書籍再生プログラム、履歴取得プログラム、電子書籍生成プログラム
JP20101135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99896A (ko) 콘텐츠 저작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982221B1 (ko) 웹 기반 디지털 콘텐츠 편집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26780A1 (en) Enabling digital media content to be downloaded to and used on multiple types of computing device
US20220391440A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9289244A (ja) 音楽再生端末、および位置対応リスト作成システム
KR2009000074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 녹음방식의 소리책 제작 시스템 및방법
CN106657255A (zh) 文件共享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119684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007619A1 (en) Chapter creating device, chapter cre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US20200195987A1 (en) Method of providing a complex content including an advertisement content and a portable storage medium therefor
US20160224317A1 (en) Audible photos & voice comments in digital social interactions
Shakhovskoy et al. Future Music Formats: Evaluating the “Album App”
Briain “Happy to Be Born Hmong” The Implications of a Transnational Musical Network for the Vietnamese-Hmong People
KR20190129643A (ko) 음원 커뮤니티 시스템
US20220391441A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Alleyne “Real Situation”: The Mainstream Marketing of Bob Marley
JP447194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5009650B2 (ja) 合成装置、合成システム、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