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848A - 드럼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848A
KR20140023848A KR1020130012550A KR20130012550A KR20140023848A KR 20140023848 A KR20140023848 A KR 20140023848A KR 1020130012550 A KR1020130012550 A KR 1020130012550A KR 20130012550 A KR20130012550 A KR 20130012550A KR 20140023848 A KR20140023848 A KR 2014002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tub
washing machine
drum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256B1 (ko
Inventor
임형섭
이용석
강민희
김진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80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98468B1/en
Priority to US13/966,858 priority patent/US9695541B2/en
Priority to CN201310359030.7A priority patent/CN103590216B/zh
Publication of KR2014002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의 내측에 린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 덕트의 구조를 개선한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 안착부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린트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럼 세탁기는 건조 장치와 건조 장치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린트를 포집하여 효율적으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장치 내측에 린트가 누적되어 건조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Drum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 덕트의 내측에 린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 덕트의 구조를 개선한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기능을 가지는 드럼 세탁기는 건조 히터에 의한 열기를 세탁물이 수용된 수용 공간 내에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건조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세탁 기능과 연계하여 탈수 완료 후 건조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건조 장치는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공기를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탁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응축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진행하면 린트(보푸라기, 보풀)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린트는 송풍팬에 건조 장치 내의 송풍팬에 부착되거나 히터에 부착되어 부품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드럼 세탁기 내측에 린트가 발생하여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조 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브에서 건조 덕트로 린트가 유입되어 건조 덕트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건조 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건조 덕트 내의 린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린트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터브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서 상기 안착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의 길이는 각각 다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 중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센터린트포집부의 길이는 양 외측에 위치하는 제1외측린트포집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의 일측과 상기 터브의 일측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에는 린트를 포집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린트포집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린트포집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린트포집부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터브 외측의 건조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게 파인 오목면에 의해 상기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내측에 위치하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터브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린트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린트포집부는 상기 건조장치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1린트포집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린트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에서 상기 터브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의 외곽에서 상기 안착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린트포집부는 복수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벽의 원주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터브 외측의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게 파인 오목면에 의해 상기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터브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린트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 세탁기는 건조 장치와 건조 장치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린트를 포집하여 효율적으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장치 내측에 린트가 누적되어 건조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의 구조 개선으로 인해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다습한 공기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린트포집부에 린트가 포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린트포집부가 급수에 의해 린트가 씻겨져 내려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작동 행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작동 행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1)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구동시키는 모터(7)를 구비한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측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터브(21)와, 제1터브(21)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제2터브(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터브(21)는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판을 포함한다. 제2터브(22)는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판을 포함한다. 제1터브(21)의 원통부와 제2터브(22)의 원통부가 결합되어 터브(20)를 구성한다.
캐비닛(10)은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프레임들은 각각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 및 하면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다. 투입구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에 설치된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9)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9)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급수관(13)이 설치된다. 제1급수관(15)은 건조 덕트(40)의 일측에 연결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급수관(13)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제2급수관(13)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2)와 연결된다. 또한, 터브(20)의 상측에는 터브(20)로 응축수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주입구(미도시)에는 응축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주입구(미도시)는 제2터브(22)의 원통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건조 장치가 캐비닛(10) 내측의 후방에 마련되기 때문이다.
세제공급장치(12)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제2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12)는 연결관(16)을 통해 제1터브(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세제공급장치(12)가 캐비닛(10) 내측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터브(20)는 댐퍼(6)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6)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6)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6) 또는 스프링(19)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18)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17)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터브(22)의 후면판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터브(22)를 사출 성형할 때 제2터브(22)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5)가 마련된다.
응축수는 주입구(미도시)를 통과하여 터브(20)로 공급된다. 주입구(미도시)를 통과하여 노즐(미도시)에 의해 터브(20)로 공급될 수도 있다. 터브(20)로 공급된 응축수는 터브(20)의 내측 후면을 따라 흘러 내린 후, 터브(20) 하측의 배수펌프(4)와 배수호스(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터브(20)에는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건조시킨 후 다시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 장치(40)가 장착된다. 건조 장치(40)는 터브(20)의 내측에서 응축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 장치(40)는 제2터브(2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터브(22)와 건조 장치(40)의 사이에는 건조 장치(40)의 일단과 제2터브(22)의 일단의 결합을 매개하기 위한 연결부재(5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50)는 터브(20)로부터 건조 장치(40)로 공기가 유입되는 건조 장치(40)의 일단과 터브(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건조 장치(40)와 터브(20)의 사이에는 터브(20)의 공기가 건조 장치(40)로 유입되어 다시 터브(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순환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팬(44)이 위치한다. 건조 장치(40)에는 그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60)가 내장된다. 건조 장치(40)와 터브(20)의 사이에는 건조 장치(40)의 일단과 터브(20)의 결합을 매개하기 위한 연결부재(50)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 장치(40)의 하측에는 송풍팬(44)이 안착되는 안착부(45)가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45)의 일측에는 건조 장치(40)를 안착부(45)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45a)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45a)의 일측과 건조 장치(40)의 일측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건조 장치(40)와 지지부(45a)를 결합시킬 수 있다.
건조 장치(4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통공(42a)은 제1터브(2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 패널(21a)과 결합한다. 이에 따라 공기는 터브(20)와 건조 장치(40) 사이를 순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40)는 상판(41)과 하판(42)을 포함한다. 건조 장치(40)의 내측에는 히터(60)가 마련된다. 건조 장치(40)의 상판(41)과 하판(42)에는 송풍팬(44)이 안착되기 위해 각각 안착홀(41c, 42c)이 마련된다.
또한, 송풍팬(44)을 안착시키기 위해 내측이 함몰된 안착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45)는 하판(42)의 하측에 결합된다. 즉, 연결부재(50)와 하판(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45)의 일 측에는 송풍팬(44)과 건조 장치(40)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급수관 연결부(46)가 위치한다. 급수관 연결부(46)는 안착부(45)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판(41)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43)가 결합되어 송풍팬(44)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건조 장치(40)의 내측에는 히터가(60) 위치하며 건조 장치(40)에는 히터(6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유닛(70)이 결합될 수 있다.
히터(7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히터(70)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히터(70)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와, 단자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장착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와, 단자부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발열부를 포함한다. 발열부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된다.
히터(60)를 건조 장치(40) 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판(41)과 하판(42)의 외측에 고정 유닛(70)이 결합된다. 단자부의 일부가 상판(41)과 하판(42)의 외측에 위치하고 실링 부재가 상판(41)과 하판(42) 후방에 위치한다. 건조 장치(40)의 외측에서 고정 유닛(70)이 단자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고정 유닛(70)은 절연성 있는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고정 유닛(70)에는 히터(60)의 열이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체는 사용될 수 없다. 히터(60)에서 발생하는 열을 견디기 위하여 내열성이 높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고정 유닛(70)으로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P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60)를 건조 장치(40)의 외측에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린트가 건조 장치(4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린트가 누적되어 히터(60)의 열에 의해 린트에 불이 붙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5)의 일측에는 송풍팬(44)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린트포집부(4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린트포집부(47)는 안착부(45)에서 터브(2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린트포집부(47)는 세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린트포집부(47)의 각각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린트포집부(47) 중 중앙에 위치한 제1린트포집부를 제1센터린트포집부(48)라 정의하고, 제1센터린트포집부(48)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린트포집부를 제1외측린트포집부(49)라 정의한다. 제1센터린트포집부(48)의 길이는 제1외측린트포집부(49)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송풍팬(44)에 의해 건조 장치(40)의 중심부로 린트가 유입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포집하기 위함이다.
제1린트포집부(47)는 안착부(45)에서 연장될수록 그 폭이 좁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린트포집부(47)는 쐐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린트포집부(47)의 단부가 폭이 좁게 마련되기 때문에 린트가 포집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팬(44)이 위치하는 안착부(45)에 제1린트포집부(47)가 위치하기 때문에 송풍팬(44) 방향으로 유입되는 린트가 제1린트포집부(47)에 걸려 린트가 송풍팬(4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린트포집부(147)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린트포집부(147)는 안착부(145)의 외곽에서 안착부(145)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로 방향으로 제1린트포집부(147)가 위치하기 때문에 안착부(145)에서 제1린트포집부(147)가 차지하는 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송풍팬(144)으로 유입되는 린트를 더 효율적으로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안착부(245)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전의 도면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45)의 적어도 일면에는 연통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연통부(250)는 안착부(245)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부(245)의 하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오목면(2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연통부(250)가하나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연통부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통부(250)는 슬릿, 홀과 같은 다양한 구졸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245) 내측의 송풍팬(144)의 작동으로 인하여 터브(20) 외측의 공기가 연통부(250)을 통해 안착부(245)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공기 흐름을 설명한다.
세탁물은 드럼(30, 도 1 참고)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터브(2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30, 도 1 참고) 내부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연결부재(50)를 통해 안착부(245)를 거쳐 건조 장치(40)로 유입된다.
안착부(245)의 송풍팬(144)의 작동으로 인하여 터브(20) 외측의 건조한 공기는 연통부(250)를 통해 안착부(245)로 유입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응축수에 의해 열교환이 일어나서 응축될 수도 있으나, 터브(20)외측에서 유입되는 건조한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일어나서 응축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안착부(245)에 연통부(250)가 마련되는 경우, 응축수에 의한 건조와 건조한 공기에 의한 응축이 일어날 수 있어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응축수 또는 건조한 공기에 의해 응축된 공기는 건조장치(40)를 지나면서 건조장치(40) 내측의 히터(60, 도 2 참고)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건조 장치(40)의 연통공(42a)과 제1터브(2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 패널(21a)을 거쳐 터브(20)로 유입되고 드럼(30, 도 1 참고) 내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순환 반복하여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세탁물을 건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린트포집부에 린트가 포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린트포집부가 급수에 의해 린트가 씻겨져 내려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의 내측에는 린트를 포집하기 위해 연결부재(5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린트포집부(55)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린트포집부(55)는 연결부재(5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연결부재(50)는 건조 장치(40)에 결합되는 건조 장치 결합부(53)와, 터브(20)에 결합되는 터브 결합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장치 결합부(53)와 터브 결합부(51)의 사이에는 터브(20)와 건조 장치(40)에서 발생하는 진동, 충격의 흡수를 위해 주름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부(54)는 외측으로 돌출된 산형(54a)과, 함몰된 곡형(54b)이 교대로 배치된다. 주름부(54)로 인해 연결부재(50)는 어느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터브(20)와 건조 장치(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건조 장치 결합부(53)와 터브 결합부(51) 사이에는 터브(20)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절곡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52)는 연결부재(50)를 터브(20)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절곡부(52)로 인해 연결부재(50)가 결합되는 홀(24)이 건조 장치(4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계의 유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조립도 용이하다.
연결부재(50)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이는 연결부재(50)의 유연한 형상 변형을 통해 터브(20)와 건조 장치(4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함이다. 연결부재(50)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O.(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A.E.(Thermoplastic polyamide),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등의 높은 진동, 소음 절연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M-class)등의 고무 재질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린트포집부(55)는 연결부재(5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린트포집부(55) 또한 유연한 재질로 마련된다. 건조 장치(40)의 내측으로 세척수가 급수되는 경우에 각각의 제2린트포집부(55)는 세척수가 흐르는 중력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 12와 같이 제2린트포집부(55)에 감겨 있던 린트(L)들이 세척수에 의해 씻겨져 내려간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린트포집부(155)와는 별도의 부재로 연결부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린트포집부(155)는 연결부재(15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합부(156)와, 결합부(156)로부터 연장되어 제2린트포집부(155)의 내벽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하며, 연결부재(150)의 중심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기부(157)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세제공급장치(12)는 연결관(16, 도 1 참고)을 통해 터브(20, 도 1 참고)와 연결된다. 제2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2)를 통해 세제와 함께 터브(20, 도 1 참고)의 내부로 공급된다. 제2급수관(13)은 급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2급수개폐밸브(14)와 연결될 수 있다. 건조 장치(40)의 일측에 마련되는 급수관 연결부(46)를 통해 건조 장치(40) 내측으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세척수가 건조 장치(40) 내측으로 주입됨에 따라 건조 장치(40) 내측의 제1린트포집부(47)나 연결부재(50) 내측의 제2린트포집부(55)에 포집된 린트가 씻겨져 나갈 수 있다. 캐비닛(20)의 상측에는 지지를 위한 지지패널(21)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40)의 급수관 연결부(46)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급수하는 제1급수관(15)은 세제공급장치(12)에 연결된 제2급수관(13)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척수가 터브(20)를 통해 드럼(35)에 급수되는 경우에, 건조 장치(40)에도 세척수가 급수된다. 따라서 수시로 건조 장치(40) 내측의 린트가 씻겨져 나가기 때문에 린트가 누적되어 드럼 세탁기(1)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작동 행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장치(40)의 급수관 연결부(46)에 결합되는 제1급수관(115)은 별도의 외부 급수원(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급수관(115)에 급수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1급수개폐밸브(116)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드럼(30)에 공급되는 세척수와는 별개로 건조 장치(40)에 급수되는 세척수의 양과 급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6에 도시된 제1급수관이 별도의 외부 급수원(미도시)에 결합되어 건조 덕트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조절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 헹굼, 탈수, 건조, 쿨링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세탁 행정이 시작되면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세척수가 세제공급장치를 통과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 및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S300).
세척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터브의 외측 후면에 설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한다(S300).
세탁 행정(3200)이 종료되면 세척수가 터브로 공급되어 헹굼 행정이 시작된다(S310). 헹굼 행정(S310) 종료 후, 탈수 행정을 수행한다(S320).
탈수 행정(S320)이 종료된 후, 건조 행정을 수행한다(S330).
건조 행정(S330)이 시작되고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까지 남은 시간(t1)이 설정된 시간(T1)보다 적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까지 남은 시간(t1)이 설정된 시간(T1)보다 적은 경우에는 쿨링 행정이 시작된다(S350). 쿨링 행정은, 히터를 오프하고 주기적으로 송풍팬을 온오프하는 행정이다. 이는 사용자가 드럼 세탁기의 건조 행정이 종료된 후,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도어에서 과도하게 방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쿨링 행정은 건조 행정의 종료 시점까지 남은 시간(t1)이 대략 5분 내지 10분 인 경우에 시작될 수 있다.
송풍팬은 적어도 5초 이상 오프된 후 온 될 수 있다. 이는 송풍팬이 완전히 오프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쿨링 행정시에 송풍팬은 20초 온되고 10초 오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쿨링 행정이 시작되면(S350) 제1급수관으로부터 건조 덕트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행정이 진행된다(S360). 분사 행정은 건조 행정이나 쿨링 행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진행될 수 있다.
분사 행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건조 덕트 내에 린트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쿨링 행정시에 분사 행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송풍팬이 주기적으로 오프되기 때문에 린트가 터브에서 건조 덕트로 유입되어 송풍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분사 행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건조 덕트 내의 린트는 씻겨져 내려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작동 행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행정은 탈수 행정이 진행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S430). 이러한 경우, 분사 행정이 수행되고(S430) 건조 행정이 시작되기 (S440) 때문에 탈수 행정 과정에서 생성된 린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가 오프되고 주기적으로 송풍팬이 온/오프 되는 쿨링 행정이 시작되고(S460), 분사 행정이 별도로 수행(S470)된다. 따라서 건조 행정 진행 중에 건조 덕트 내에 누적되는 린트가 쿨링 행정 시의 분사 행정(S470)으로 씻겨지기 때문에 린트가 건조 덕트 내에 누적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드럼 세탁기 15, 115: 제1급수관
20: 터브 40: 건조 장치
45, 145, 245: 안착부 46, 146: 급수관 연결부
47, 147: 제1린트포집부 50, 150: 연결부재
54, 154: 주름부 55, 155: 제2린트포집부
250: 연통부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린트포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터브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서 상기 안착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의 길이는 각각 다르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 중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센터린트포집부의 길이는 양 외측에 위치하는 제1외측린트포집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의 일측과 상기 터브의 일측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면에는 린트를 포집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린트포집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린트포집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린트포집부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터브 외측의 건조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게 파인 오목면에 의해 상기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3.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내측에 위치하는 건조장치;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터브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린트포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포집부는 상기 건조장치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1린트포집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린트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에서 상기 터브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린트포집부는 상기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의 외곽에서 상기 안착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린트포집부는 복수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내벽의 원주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8.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터브 외측의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게 파인 오목면에 의해 상기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터브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와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린트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KR1020130012550A 2012-08-16 2013-02-04 드럼 세탁기 KR10210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0001.3A EP2698468B1 (en) 2012-08-16 2013-08-09 Drum washing and drying machine with lint collection parts
US13/966,858 US9695541B2 (en) 2012-08-16 2013-08-14 Drum washing machine
CN201310359030.7A CN103590216B (zh) 2012-08-16 2013-08-16 滚筒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753 2012-08-16
KR1020120089753 2012-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848A true KR20140023848A (ko) 2014-02-27
KR102100256B1 KR102100256B1 (ko) 2020-04-16

Family

ID=5026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550A KR102100256B1 (ko) 2012-08-16 2013-02-04 드럼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2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7513A1 (en) * 2010-05-11 2011-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US20120090189A1 (en) * 2009-05-28 2012-04-19 Kwon Ig Geun 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0189A1 (en) * 2009-05-28 2012-04-19 Kwon Ig Geun 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US20110277513A1 (en) * 2010-05-11 2011-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256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541B2 (en) Drum washing machine
US1142795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596463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34984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JP5226780B2 (ja) 洗濯機と乾燥器
KR100716353B1 (ko) 의류 건조 장치
US20130263630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040103697A1 (en)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being improved duct structure thereof
JP6037500B2 (ja) 洗濯乾燥機
EP214006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5304987A (ja) 衣類乾燥装置
JP6353005B2 (ja) 洗濯乾燥機
JP4671917B2 (ja) 洗濯乾燥機
KR101962454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4685588B2 (ja) 洗濯乾燥機
KR101949188B1 (ko) 드럼 세탁기
KR20140023848A (ko) 드럼 세탁기
JP4286847B2 (ja) 洗濯乾燥機
KR20150039480A (ko) 드럼 세탁기
CN100503956C (zh) 滚筒洗衣机的烘干管道
JP4682092B2 (ja) 洗濯乾燥機
JP5457719B2 (ja) 衣類乾燥機
KR20140132801A (ko) 드럼 세탁기
RU27749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ее модуль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JP4616151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