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348A -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348A
KR20140021348A KR1020120087711A KR20120087711A KR20140021348A KR 20140021348 A KR20140021348 A KR 20140021348A KR 1020120087711 A KR1020120087711 A KR 1020120087711A KR 20120087711 A KR20120087711 A KR 20120087711A KR 20140021348 A KR20140021348 A KR 20140021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mart device
application
manager
atten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193B1 (ko
Inventor
최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193B1/ko
Priority to PCT/KR2013/007230 priority patent/WO2014025240A1/ko
Publication of KR2014002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having a variable access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system having a variable access-code, e.g. varied as a function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의 Wi-Fi를 AP(access point) 모드, 직접연결(direct), 또는 테더링(tethering)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들과 직접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구성원들(학생, 유치원생, 단체관광객 등)의 출석체크를 위한 목적으로 관리자(교수, 교사, 인솔자 등)의 무선 Wi-Fi가 탑재된 임베디드 시스템(스마트폰, AP 등)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Wi-Fi에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로 접속하는 상황을 체크/유지/저장하여, 구성원에 대한 실시간 관리/인솔 및 출결체크/점수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MANAGEMENT USING WIRELESS FIDELITY}
본 발명은 출결 상태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에 포함된 Wi-Fi 기술을 활용하여 출결상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출결 관리에 있어, 가장 전통적인 방식이 이름을 호명하는 방식이며, 최근 RF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결관리 시스템이 이루어지고 있다.
출결 관리를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국내공개특허 제2001-94565호(공개일 2001.11.01.)의 전자 출석체크 시스템, 국내공개특허 제2011-8895호(공개일 2011.01.27.)의 전자 교육관리 시스템, 국내공개특허 제2006-122487호(공개일 2006.11.30.)의 출석 관리 시스템 및 출석체크 단말기의 운용방법,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257337호(공개일 2007.10.04.)의 출석체크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을 이용한 것이 아니므로, 기술의 보급 및 활용 측면에서 많은 제약을 가진다.
그 밖에도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출석체크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로는 Attendance Tracker, 출석, Attendance Roster, K12 Attendance, Attendance App, iAttendance, Safety Attendance -Evaluation 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출석정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이며, 출석관리 및 통계/점수 산출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능 위주로 된 애플리케이션들이다.
한편, 최근 보급되고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중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은 예를 들어 강의실 전부(60m2 ~ 100m2) 영역을 커버하기에는 부족하다. 이러한 송수신 커버리지(coverage)의 제약사항은 NFC, 블루투스 기술이 현재까지에도 자동 출석체크 등의 용도로 활용되지 못한 주된 이유 중의 하나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4565호(공개일 2001.11.0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895호(공개일 2011.01.27.)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2487호(공개일 2006.11.30.)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57337호(공개일 2007.10.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리지(coverage)가 예를 들어 강의실 전체를 커버하기에 충분한 스마트 기기의 Wi-Fi 802.11xx 기술을 활용하여 출결상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성원들(학생 등)의 출석체크를 위한 목적으로 관리자의 무선 Wi-Fi가 탑재된 임베디드 시스템(스마트폰, AP 등)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Wi-Fi AP에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으로 접속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Wi-Fi를 AP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혹은,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Wi-Fi를 테더링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등을 통한 방법으로 관리자와 구성원 중간에 별도의 Wi-Fi AP(access point)를 거치지 않고, 구성원들이 직접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또는 (b)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Wi-Fi Direct(직접연결) 기능을 활용하여 각 구성원들이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Wi-Fi 출결관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를 테더링 모드, AP모드, 직접연결 모드 중에서 테더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구성원들이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의 3G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외부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이 각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접속(connection)의 게이트웨이(Gateway) 또는 도메인네임서버(DNS)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이러한 제약을 실현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게이트웨이(Gateway) 정보를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는 방법, 또는 (b) 도메인네임서버(DNS) 정보를 별도의 관리자용 스마트 내 동작하는 제3의 도메인네임서버로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원들이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상호작용(구성원 정보 입력 등)하기 위해서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Web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도록 HTT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HTTP 프로토콜의 포트(예를들면, 80번 포트) 접속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원들의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방법, 또는 (b)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HTTP 프로토콜의 포트(예를들면, 80번 포트) 접속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성원들의 요청에 응답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는 구성원들에게 AP mode Wi-Fi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의 출결상황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에는 반드시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은 구성원들의 경우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부가기능(자신의 출석상황 확인 등의 목적)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다운로드 하면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 관리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스마트 기기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야 하지만, 구성원들의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심지어 무료로 제공되는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조차 반드시 설치해야 할 필요는 없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구성원들(학생 등)의 스마트 기기가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에 항상 접속되어 있으므로 구성원들(학생 등)이 정해진 시간동안 관리자와 가까운 공간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구두 출석체크에 비해 본 발명은 구성원들(학생 등)이 대리출석하거나, 출석체크 호명에 응답한 후 강의실을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b) 나이가 어린 구성원들(유치원생,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등) 들이 단체로 외부활동 중에 인솔자(교수자/교사 등)와 정해진 거리내에 있음을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c) 다수의 구성원들이 단체로 이동(관광, 출장 등의 목적)하는 경우에, 단체 이동수단(전세버스 등)에 구성원들이 모두 탑승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해진 거리내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과 학생의 스마트 기기는 주기적인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초, 60초 등)마다 서로 주기적으로 신호(signal), alive 메시지 또는 패킷(packet)을 주고 받으며 통신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체이동(여행, 관광, 출장 등의 목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단체 이동수단(버스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성원들이 이동하는 경우 이동수단이 이동중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정차 후 다시 출발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자동적으로 구성원들이 모두 이동수단에 탑승하였는지의 여부를 매우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탑승하지 않은 구성원의 리스트와 연락처를 즉시 인솔자의 스마트폰에 표시함으로써 신속하게 연락을 취하도록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성원들(학생 등)이 관리자(인솔자, 교수, 교사 등)의 스마트폰에 초기(처음) 접속시에는 화면에 개인정보 입력 양식(form)이 나타나록 하여 구성원의 개인정보(학번, 학년, 이름, 주소, 휴대폰, 이메일 등)를 입력받도록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성원은 자신의 출결상황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으로 Wi-Fi를 통하여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함으로써 자신의 출결정보를 얻어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때, 현재 출결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추후 자신의 출결에 대한 알림/경고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동작하는 쓰레드에 의해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송하는 메시지/신호/패킷(휴강/보강 정보, 강의시간 변경, 모임시간 변경, 모임장소 변경 등)를 수신하고 구성원용 스마트폰에 알람(alarm)할 수 있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쓰레드는 백그라운드에서 항시 실행되지만 구성원용 스마트폰에서 최소의 자원을 소모하도록 메시지/신호/패킷의 체크 주기 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관리자(인솔자, 교사, 교수 등)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IP가 현재 관리자의 것임을 알리기 위해서 1 홉(hop)내 다른 접속자들에 비하여 특별히 구별되는 메시지(속성 값 등)를 추가하여 다른 접속자(예를들면, 학생들의 스마트폰)에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관리자용 IP 주소(address)가 필요하지 않으며, 내부 IP 주소를 사용하므로 외부 인터넷과 별개로 동작하며, 1 hop내에서 구성원 스마트 애플리케이션들은 자동적으로 관리자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파악/선출함으로써 별도의 환경설정(configuration) 없이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따르면, 구성원들(학생, 유치원생, 단체관광객 등)의 출석체크를 위한 목적으로 관리자(교수, 교사, 인솔자 등)의 무선 Wi-Fi가 탑재된 임베디드 시스템(스마트폰, AP 등)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Wi-Fi를 통해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로 접속하는 상황을 체크/유지/저장하여, 구성원에 대한 실시간 관리/인솔 및 출결체크/출결점수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체이동(여행, 관광, 출장 등의 목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단체 이동수단(버스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성원들이 이동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구성원들이 모두 이동수단에 탑승하였는지의 여부를 매우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탑승하지 않은 구성원의 리스트와 연락처를 즉시 관리자(인솔자)의 스마트폰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신속하게 연락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Wi-Fi 기반 자동 출결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이다. 즉, 구성원 스마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자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간 메시지/신호/패킷 교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다수의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1, 1', 1")와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2)가 Wi-Fi를 통해 주기적으로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1, 1', 1")는 학생, 유치원생, 단체관광객 등이 보유하는 스마트 기기를 의미하며,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2)는 교수, 교사, 인솔자 등이 보유하는 스마트 기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1, 1', 1")와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2)가 학교에서 이용되는 출결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기로 한다. 그리고,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2)에는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성원들이 관리자와 정해진 거리내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과 구성원들의 스마트 기기는 주기적인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초, 60초 등)마다 서로 주기적으로 신호(signal), alive 메시지 또는 패킷(packet)을 주고 받으며 통신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 강의실에서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를 강의실 앞부분에 비치하고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를 교실 내에서 거리를 이동하며 신호세기(signal strength, RSSI)를 측정한 것이다. 기존의 Bluetooth, 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은 커버리지(coverage)가 협소하여 본 발명 목적(50meter 이상 대형 강의실을 커버)에 적합하지 않은 반면, 본 발명에서 채택한 Wi-Fi AP모드/테더링 모드/직접연결 모드 등은 강의실 전체를 커버할 만큼의 커버리지를 갖고 있어야 함을 보여준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를 초기화한 후(S1),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에서는 Wi-Fi 동작 모드 중(S2) 애드혹 모드(adhoc mode)는 사용하지 않으며, AP(access point) 모드만 사용한다.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Wi-Fi를 테더링(tethering), Wi-Fi 직접연결(direct), 또는 AP(access point) 모드로 전환하여 구성원들로부터 접속을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한다(S3).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임을 알리기 위해서, 특별한 메시지(특정 필드의 정보를 세팅하여 전달함으로써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들에게 자신이 교수자용 버전임을 알림)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이때, 구성원들이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의 3G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인터넷에 접속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게이트웨이(Gateway) 설정 혹은 도메인네임서버(DNS) 설정을 변경한다. 이러한 기능은 구성원들이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의 3G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교수자에게 데이터 요금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그리고, 구성원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이와 같이 수신한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요청을 보냄으로써(S4), 자신이 교수자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린다. 이 때,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Wi-Fi 게이트웨이가 변경되어 세팅된다(S5).
한편,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의 네트워크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출결이 확인되면(S6),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DB)에 구성원이 접속한 해당 날짜/시간/출석유지시간 등 정보를 기록한다(S7). 이 때, 구성원이 본인의 출결기록이 잘 남겨졌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이 정보는 주기적으로 체크 및 저장된다(S8).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데, 구성원의 스마트 기기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는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는 구성원의 정보를 알람으로써 표시하여 경보한다(S9).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를 초기화한 후(S21), Wi-Fi 동작 모드로 세팅하고(S22), 구성원은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함으로써, 현재 본인이 교수자와 근거리에 있음(출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S23).
이러한 작업은 구성원이 직접 스마트 기기의 Wi-Fi 네트워크 설정 메뉴를 통해 접속할 AP(access point)를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이 발신하는 네트워크 AP명으로 직접 선택함으로써 출석을 알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구성원들이 번거롭게 네트워크 AP를 찾아서 선택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자신의 출석상태를 반복적으로 체크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S24 ~ S25). 이러한 기능은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가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에 지속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구성원들이 정해진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관리자와 가까운 공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 교수자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탈하는 경우를 손쉽게 찾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만약, 구성원이 본인의 출결기록이 교수자에게 잘 남겨졌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어올 수 있는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가능하다.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이를 위해서, 자신이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임을 알리는 메시지(특정 필드의 정보를 세팅하여 전달함으로써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들에게 자신이 교수자용 버전임을 알림)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따라서, 구성원은 자신이 수신한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의 IP 어드레스에 접속하여 출결정보를 질의(query)하고,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구성원의 질의에 응답한다.
이와 같이, 구성원들이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상호작용(구성원 정보 입력 등)하기 위해서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Web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도록 HTT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HTTP 프로토콜의 포트(예를들면, 80번 포트) 접속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원들의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방법, 또는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HTTP 프로토콜의 포트(예를들면, 80번 포트) 접속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성원들의 요청에 응답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Wi-Fi 기반 자동 출결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에 구성되는 Wi-Fi 기반 자동 출결관리 시스템은, 크게 스마트 기기의 전체 운영을 담당하는 스마트 기기 운영 시스템(10)과, 출결관리에 관한 운영을 담당하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20)과, Wi-Fi MAC(30), 블루투스(40), NFC 모듈(50)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 운영 시스템(10)은 스마트 기기의 전체 운영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 및 실행한다. 즉,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20)의 실행 및 Wi-Fi MAC(30), 블루투스(40), NFC 모듈(50)의 실행에 관한 전체 운영을 수행한다.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20)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출결관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이 출결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있어, 교수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Wi-Fi 접속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Wi-Fi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결관리부(201)와, 네트워크 접속 구성부(202), 임베디드 DNS 서버(203), 임베디드 웹 서버(204)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원이 다수일 경우 출결상황을 체크하기 위한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수자와 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50~60명 구성원의 출결상황을 1인의 교수자가 관리하는 경우 이들을 각각 호명하는 방식으로 체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분~10분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각 구성원들이 능동적으로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에 접속요청을 보내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출결상황을 체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러한 출결상황정보는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에 저장(데이터베이스 등)되므로, 각 개인에 대한 출석데이터를 산출하는데 용이하며, 교수자가 추후 구성원의 출석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교수자는 본인이 운영하는 클래스(class)의 출결상황 및 강의정보(휴강, 보강, 수강생 수, 결강 등)가 본인(교수자)의 스마트 기기에만 저장되므로 외부 시스템에 유출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수자들은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 상당수의 대학 강의실에 설치된 전자출결시스템의 사용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강의에 대한 각종 정보(휴강, 보강, 수강생수 등)가 외부에 알려질 것을 걱정하기 때문인데, 본 발명은 교수자용 스마트 기기에만 정보가 저장되므로 교수자들이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0 : 스마트 기기 운영 시스템 20 :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
201 : 출결관리부 202 : 네트워크 접속 구성부
203 : 임베디드 DNS 서버 204 : 임베디드 웹 서버
30 : Wi-Fi MAC 40 : 블루투스
50 : NFC 모듈

Claims (6)

  1.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의 Wi-Fi를 AP(access point) 모드, 직접연결(direct) 모드, 또는 테더링(tethering)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들과 직접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와 접속하는 단계에서,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이 테더링 모드를 사용할 경우 구성원의 외부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기 위하여 각 구성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접속(connection)의 게이트웨이(Gateway) 또는 도메인네임서버(DNS)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와 접속하는 단계 이후에,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이 1 홉(hop)내 다른 접속자들에 비하여 다른 속성값을 갖는 메시지/신호/패킷을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해당 IP 주소(address)가 현재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의 것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HTT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웹(web) 서비스를 통해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장은 설정시간동안 지속되도록 하여 추후 출결통계 등의 정보를 요약/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저장된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의 정보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관리자용 스마트 기기에 구성원의 이탈상황을 표시(알람)하거나,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원용 스마트 기기는,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동작하는 쓰레드에 의해 관리자용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송하는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관리자와 구성원이 서로 메시지를 전달 또는 알람(alarm)하거나, 구성원과 관리자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질의응답하거나, 관리자가 구성원들로부터 설문조사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KR1020120087711A 2012-08-10 2012-08-10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KR101408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11A KR101408193B1 (ko) 2012-08-10 2012-08-10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PCT/KR2013/007230 WO2014025240A1 (ko) 2012-08-10 2013-08-12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11A KR101408193B1 (ko) 2012-08-10 2012-08-10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48A true KR20140021348A (ko) 2014-02-20
KR101408193B1 KR101408193B1 (ko) 2014-06-16

Family

ID=5026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711A KR101408193B1 (ko) 2012-08-10 2012-08-10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1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087B1 (ko) * 2013-02-06 2014-08-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한 자동출결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4971A (ko) * 2014-03-07 2015-09-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의 와이파이 테더링 기능을 이용한 출결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25799A3 (ko) * 2015-08-10 2017-05-04 주식회사 푸른밤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515343B1 (en) 2019-06-03 2019-12-24 Blue Nigh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and monitoring location-related activities of mobil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67B1 (ko) 2019-06-14 2021-12-17 아바드(주)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54B1 (ko) * 2005-01-1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방법
KR20100066083A (ko) * 2008-12-09 2010-06-17 김동우 무선랜을 이용한 3g 스마트폰의 화상전화 구현 알고리즘
KR20110006202A (ko) * 2009-07-13 2011-01-20 (주)와토시스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학사 행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8895A (ko) * 2009-07-21 2011-01-27 주식회사 리버트론 전자 교육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087B1 (ko) * 2013-02-06 2014-08-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한 자동출결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4971A (ko) * 2014-03-07 2015-09-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의 와이파이 테더링 기능을 이용한 출결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25799A3 (ko) * 2015-08-10 2017-05-04 주식회사 푸른밤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312A (ko) * 2015-08-10 2018-08-17 주식회사 푸른밤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346808B2 (en) 2015-08-10 2019-07-09 Blue Nigh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and monitoring location-related activities of mobile devices
US10515343B1 (en) 2019-06-03 2019-12-24 Blue Nigh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and monitoring location-related activities of mobile devices
US11257043B2 (en) 2019-06-03 2022-02-22 Newplo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and monitoring location-related activities of mobile devices
US11727360B2 (en) 2019-06-03 2023-08-15 Newplo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and monitoring location-related activities of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193B1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2490B2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US9881484B1 (en) Location-based warning notification using wireless devices
KR101408193B1 (ko)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US20150289088A1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operated on a bluetooth low energy network
US20150120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lass attendance
CN102137105A (zh) 机器通信的私密性保护方法、系统和机器通信业务管理实体及相关设备
KR20170053712A (ko)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단말 장치 및 시스템, 컴퓨터 저장매체
US2009032553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wireless multicasting systems to distribute an alarm indication to a dynamically configured coverage area
KR20170023701A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기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09032251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both wireless multicasting systems and alarm systems to distribute an alarm indication to a dynamically configured coverage area
KR2012003264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CN107172719B (zh) 建立通信连接的方法
KR20180014919A (ko) 안드로이드 기반 하에서 사설 와이파이 무선공유기(ap)의 기능과 gps 기능을 이용한 특정 위치 출입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ap 의 다자간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49707B1 (ko) 동시 접속 제약 없이 와이파이를 활용하는 자동 출결관리 시스템
KR20150094921A (ko) Xidstory 앱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한 출석 체크 방법
JP201406826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4025240A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947755B1 (ko) 원스톱 실시간 경호제공 시스템 및 경호제공 방법
CN105338510B (zh) 近距离场景下的设备发现方法及系统
KR101410359B1 (ko) Wi-Fi를 이용한 근거리 mVoIP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4086A (ko) 소규모 스타트업 및 pc 부재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폰 기반 근태관리 서비스
KR101536979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101590864B1 (ko) 중간 브리지를 활용한 스마트 출석체크 시스템 및 스마트 출석체크 방법
CN219740624U (zh) 信息管理设备、服务器及用户信息管理系统
KR20150086776A (ko) 동시 접속 제약 없이 와이파이를 활용하는 자동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