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610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610A
KR20140020610A KR1020120087650A KR20120087650A KR20140020610A KR 20140020610 A KR20140020610 A KR 20140020610A KR 1020120087650 A KR1020120087650 A KR 1020120087650A KR 20120087650 A KR20120087650 A KR 20120087650A KR 20140020610 A KR20140020610 A KR 2014002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tting
displaying
external inpu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일
김종서
신정훈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610A/ko
Priority to EP13173434.5A priority patent/EP2696576A1/en
Priority to JP2013145244A priority patent/JP2014039244A/ja
Priority to US13/953,038 priority patent/US20140047474A1/en
Priority to CN201310346562.7A priority patent/CN103581597A/zh
Publication of KR2014002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에 수신되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며, 신호가 영상에 대응하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접속부에 대해 사용자가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하고,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접속부가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설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각각의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입력에 따른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도록 수신 및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네트워크 접속 등과 같은 외부입력환경에 대한 영상처리장치의 접속을 설정하는 구조를 개선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영상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및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경우가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지 않은 영상처리장치는, 처리한 영상신호가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해당 영상신호를 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바, 예를 들면 셋탑박스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영상처리장치는, 처리한 영상신호를 자체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TV 또는 모니터가 이에 해당한다.
영상처리장치가 동일한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각 사용자가 해당 영상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사용환경은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가 해당 장치를 구매한 이후에 처음 사용할 때에, 각 사용환경에 따라서 영상처리장치에 마련된 기능을 최초 설정하는 초기 설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초기 설정 서비스로는 UI(user interface) 영상을 통한 단계별 설정 입력 방법이 있으며, 영상처리장치는 이러한 UI 영상을 통한 설정 입력을 통해 해당 영상처리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최초 설정한다.
그런데,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영상처리장치가 수행 가능한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서, 초기 설정 시에 사용자가 설정해야 하는 단계의 수와 각 단계별 UI 영상의 수가 많아지는 바, 이는 초기 설정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함과 소요시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수신되는 상기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며, 상기 신호가 영상에 대응하면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상기 접속부가 상기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설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안에,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접속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외부입력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유선 네트워크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접속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부에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2설정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설정영상을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설정영상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제3설정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외부입력은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방송신호에 기초하는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는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스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영상으로의 이행 또는 복수의 상기 설정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이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는 접속부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가 상기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설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외부입력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유선 네트워크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에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2설정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설정영상을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설정영상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제3설정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외부입력은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방송신호에 기초하는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는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스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초기설정 서비스에서 복수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의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초기설정 서비스에서 본 실시예에 따라서 각 단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4의 각 단계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의 예시도,
도 10은 도 1의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인 TV로 구현된다.
영상처리장치(100)는 다양한 외부입력 환경과의 접속을 통해, 외부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영상처리장치(100)는 외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면, 이 방송신호를 특정 채널로 튜닝하고 기 설정된 다양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써 특정 채널의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처리장치(100)는 이러한 외부입력 환경에 접속하기 위해서, 영상처리장치(100)의 외측에 설치되며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10, 20, 30)이 접속되는 접속부(110)를 포함한다. 접속부(110)에 접속되는 외부입력의 종류는 다양하며, 예를 들면 방송국의 송출장비(미도시)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의 HDMI 또는 컴포넌트 케이블(10)이나,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케이블(20)이나, 셋탑박스 또는 DVD/블루레이와 같은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다양한 외부기기(3)와 로컬 접속된 케이블(30) 등이 있다.
또는, 본 도면에서는 유선 케이블(10, 20, 30)이 접속부(110)에 접속됨으로써 영상처리장치(100)가 외부입력 환경에 접속하는 경우에 관해서만 나타내고 있으나, 접속부(1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미도시)와의 무선 접속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110)에 대한 케이블(10, 20, 30)의 접속을 통해, 영상처리장치(100)는 다양한 외부입력 환경으로부터 영상신호/방송신호/통신데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특성 및 규격의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의 특성에 맞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영상처리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영상처리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부(110)와, 접속부(110)에 수신되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가 영상신호인 경우에 해당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140)와, 영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접속부(11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한다. 접속부(11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10, 20, 30)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접속부(110)는 각 케이블(10, 20, 30)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접속부(11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11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 뿐 아니라, 영상처리장치(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접속부(110)에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접속부(110)에 수신되는 신호가 영상신호인 경우, 신호처리부(120)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20)는 접속부(110)에 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이거나 데이터신호인 경우에, 각 신호에 맞는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0)에 의한 이러한 처리동작의 구현은, 영상처리장치(100)의 설계 단계에서 접속부(110)가 수신하는 신호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비발광소자인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영상처리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영상처리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영상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구매한 이후에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맞는 설정값을 입력해야 사용이 가능한 CE(Consumer Electronics) 제품일 수 있다. CE 제품인 영상처리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환경에 설치된 이후에 시스템 전원이 최초로 턴온되면, 영상처리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해당 사용환경에 맞는 설정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디폴트(default) 설정을 조정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편의상 초기설정 서비스로 지칭한다.
제어부(150)는 영상처리장치(100)의 복수의 기능을 최초 설정하는 초기설정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 기능을 개별적으로 설정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복수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소정의 제1기능을 설정하는 제1설정영상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40)를 조작함으로써 제1설정영상을 통해 제1기능을 설정하고 다음 설정 시퀀스(sequence)로의 이행을 명령하면, 소정의 제2기능을 설정하는 제2설정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제2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영상처리장치(100)의 초기설정 서비스(200)에서 복수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의 예시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러한 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설정 서비스(200)는 영상처리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기능에 대한 초기 설정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초기설정 서비스(200)의 각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각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는 접속부(110)가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제어부(150)는 표시된 설정영상을 통한 해당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의 설정상태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다음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로의 이행 명령에 따라서, 상기한 다음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표시한다.
초기설정 서비스(200)의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는 영상처리장치(100)의 설계 방식 또는 영상처리장치(100)가 제공하는 기능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초기설정 서비스(200)의 구현 가능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각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의 수, 종류 또는 순서 등의 사항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초기설정 서비스(200)는 언어 설정 단계(210)와, 네트워크 설정 단계(220)와,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단계(230)와, 현재시간 설정 단계(240)와,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250)를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각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사용자가 해당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언어 설정 단계(210)는 영상처리장치(100)가 제공하는 메뉴의 기본 언어를 지정하는 단계이다. 지정 가능한 언어는 한국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에스페란토어,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다양한 국가 또는 단체에서 사용하는 공용어가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단계(220)는 영상처리장치(100)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구조, 즉 유선으로 접속할 것인지 아니면 무선으로 접속할 것인지에 관한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각 선택 결과에 따라서 추가적인 선택사항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접속의 경우에 신호수신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선택하는 사항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펌웨어 업그레이드 단계(230)는 영상처리장치(100)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에 특정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영상처리장치(100)의 펌웨어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펌웨어에 의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현재시간 설정 단계(240)는 영상처리장치(100)가 사용되는 지역의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지역 별 표준시간대가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매뉴얼 입력이 가능하다.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250)는 영상처리장치(100)에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방송신호가 포함하는 각 채널을 맵핑(mapping)함으로써 해당 방송신호의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초기설정 서비스(200)는 5가지의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만을 예시하였으나, 영상처리장치(100)가 제공하는 기능 또는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서 초기설정 서비스(200)가 포함하는 설정 단계의 수는 수십가지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각 단계 별로 설정영상을 통해 초기설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사용의 불편함과 설정시간의 과다 소요가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된다.
제어부(150)는 초기설정 서비스(200)를 제공함에 있어서, 접속부(110)에 대해 사용자가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각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이 때에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특정 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한다. 제어부(150)는 감지 결과에 따라서 해당 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해당 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접속 설정을 수행한다.
이로써, 영상처리장치(100)의 초기설정 서비스(200)가 수행되는 동안에, 각 설정 단계(210, 220, 230, 240, 25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부담을 줄이고 초기설정 서비스(200)의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설정 서비스(300)의 진행 과정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초기설정 서비스(300)에서 복수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초기설정 서비스(300)가 포함하는 각 설정 단계에 관해서는 앞선 도 3의 경우에 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00)의 초기설정 서비스(300)의 각 설정 단계(320, 330, 340, 350, 360)는 언어 설정 단계(320)부터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360)까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이에, 제어부(150)는 먼저 가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311).
가이드 영상(410, 도 5 참조)은 초기설정 서비스(300)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사용자가 접속부(110)에 케이블 등의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가이드 영상(410)에 따라서 접속부(110)에 다양한 종류의 외부입력 케이블을 연결시킨 후, 영상처리장치(100)를 초기설정 서비스(300)의 다음 설정 단계(320)로 이행시킨다.
가이드 영상 표시 단계(310)에서 언어 설정 단계(320)로 이행하는 동안(311), 제어부(150)는 접속부(110)에 접속된 외부입력의 상태를 감지한다. 즉, 제어부(150)는 가이드 영상 표시 단계(310) 이후에 영상처리장치(100)에 접속된 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하는 예시로서, 통신 네트워크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아니면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외부로부터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언어 설정 단계(320)에서 언어가 설정된 이후에 다음 단계(330)로의 이행 명령을 수신하면, 앞선 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선택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접속부(110)에 유선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설정 단계(330)로 이행하고(321), 네트워크 설정 단계(330)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단계(340)로 이행하고(331), 앞선 네트워크 설정 단계(330)에서 설정한 네트워크 환경 기반으로 펌웨어의 다운로드 및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현재시간 설정 단계(350)로 이행한다(341).
만일 접속부(110)에 무선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영상처리장치(100)와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미도시)를 선택하기 위한 설정영상(420, 도 6 참조)을 표시한다. 설정영상(420)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미도시)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미도시)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음 설정 단계로 이행한다(331).
만일, 접속부(110)에 어떠한 유선/무선 네트워크 접속도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네트워크 설정 단계(330)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단계(340)를 스킵(skip)한다(322).
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상이한 실시예도 가능한 바, 접속부(110)에 어떠한 유선/무선 네트워크 접속도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설정영상(430, 도 7 참조)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접속부(110)에 어떠한 유선/무선 네트워크 접속도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것인지 확인을 요청하는 설정영상(431, 도 8 참조)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설정영상(431)을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것으로 입력하면 도 7의 설정영상(430)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설정영상(431)을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입력하면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네트워크 설정 단계(330)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단계(340)를 스킵한다(322).
펌웨어 업그레이드 단계(340)로부터 현재시간 설정 단계(350)로 이행하는 시점(341)에서, 제어부(150)는 앞선 감지 결과에 따라서 감지한 방송신호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시간의 값을 취득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취득한 시간값으로 영상처리장치(100)의 현재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한다(342).
반면, 제어부(150)는 방송신호 또는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현재 시간의 값을 취득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시간 설정 단계(350)에서 현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영상(440, 도 9 참조)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영상(440)을 통해 현재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현재시간 설정 단계(350)에서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360)로 이행하는 과정(351)에서, 제어부(150)는 앞선 감지 결과에 따라서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360)에서 방송신호에 기초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종료 단계로 이행한다(361).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360)에서는 채널 리스트의 생성 또는 변경을 위한 별도의 설정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50)는 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채널리스트 설정 단계(360)로 이행하지 않고 바로 종료 단계로 이행한다(352).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00)는 초기설정 서비스가 개시(S100)됨에 따라서 가이드 영상을 표시한다(S110). 본 가이드 영상은 앞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영상처리장치(100)는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각 설정 단계로의 이행 커맨드를 수신하면(S120), 영상처리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한다(S130).
영상처리장치(100)는 각 설정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설정 단계에 대응하는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S140).
이로써, 영상처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초기설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한 이후에 첫 번째 설정 단계로 이행하는 시점에서 외부입력에 대한 감지가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외부입력에 대한 감지가 수행되는 시점은 가이드 영상을 표시한 이후이며 해당 외부입력에 대한 설정 단계 이전의 시점이라면, 특정 시점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영상처리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처리장치(100)는 별도의 TV에 접속된 셋탑박스로서, 생성한 설정영상을 외부의 TV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TV에서 설정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영상처리장치
110 : 접속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사용자입력부
150 : 제어부

Claims (17)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수신되는 상기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며, 상기 신호가 영상에 대응하면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상기 접속부가 상기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설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안에,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입력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유선 네트워크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접속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부에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2설정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설정영상을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영상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제3설정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입력은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방송신호에 기초하는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는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영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영상으로의 이행 또는 복수의 상기 설정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이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는 접속부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외부입력을 접속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가 상기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접속 설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상기 외부입력의 설정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영상의 표시 이후에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외부입력의 신호입력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입력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유선 네트워크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접속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에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설정을 위한 제2설정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설정영상을 통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영상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하도록 마련된 제3설정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입력은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 접속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외부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방송신호에 기초하는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는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부에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 케이블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4설정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스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87650A 2012-08-10 2012-08-10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0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50A KR20140020610A (ko) 2012-08-10 2012-08-10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173434.5A EP2696576A1 (en) 2012-08-10 2013-06-24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45244A JP2014039244A (ja) 2012-08-10 2013-07-11 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3/953,038 US20140047474A1 (en) 2012-08-10 2013-07-29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346562.7A CN103581597A (zh) 2012-08-10 2013-08-09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50A KR20140020610A (ko) 2012-08-10 2012-08-10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10A true KR20140020610A (ko) 2014-02-19

Family

ID=4877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650A KR20140020610A (ko) 2012-08-10 2012-08-10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47474A1 (ko)
EP (1) EP2696576A1 (ko)
JP (1) JP2014039244A (ko)
KR (1) KR20140020610A (ko)
CN (1) CN1035815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7097A (ja) * 2015-03-19 2016-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178B2 (ja) * 1999-06-16 2012-06-1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ビデオ処理装置およびアンテナの位置設定方法
JP4135047B2 (ja) * 1999-11-17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出力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接続関係特定方法
KR100348788B1 (ko) * 1999-12-07 2002-08-17 엘지전자주식회사 기기간의 연결 안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TWI384870B (zh) * 2006-01-03 2013-02-01 Mstar Semiconductor Inc 自動偵測影音訊號的影音切換方法及其相關裝置
JP2007221309A (ja) * 2006-02-15 2007-08-30 Orion Denki Kk 映像表示装置
KR101306706B1 (ko) * 2006-11-09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와 연결된 외부기기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080178214A1 (en) * 2007-01-19 2008-07-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ntext relevant controls
JP5132807B1 (ja) * 2011-09-30 2013-01-30 株式会社東芝 映像受信装置及び映像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7474A1 (en) 2014-02-13
EP2696576A1 (en) 2014-02-12
JP2014039244A (ja) 2014-02-27
CN103581597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62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62197B2 (en) On-screen display of input sources with position-based arrangement
EP2610857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47177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JP200914172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112287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979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10032433A1 (en) Connection state display controller, content processor, content processing system, connection state display control method, it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US9823816B2 (en)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2610854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5580382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188534A (zh) 显示装置、可连接的外部外围设备和显示图像的方法
KR20140020610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07176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931938B1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JP2010010855A (ja) 電子機器
JP200914194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JP5548791B2 (ja) モニタ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
US2013016989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CN114694552A (zh) 显示设备和显示异常的处理方法
KR20130088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31160A (ko) 영상기기의 외부 입력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4010216A (zh) 显示设备、升级设备、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30088653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