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140A -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 Google Patents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140A
KR20140020140A KR1020120086866A KR20120086866A KR20140020140A KR 20140020140 A KR20140020140 A KR 20140020140A KR 1020120086866 A KR1020120086866 A KR 1020120086866A KR 20120086866 A KR20120086866 A KR 20120086866A KR 20140020140 A KR20140020140 A KR 2014002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illing pipe
pipe member
liquid filling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선
Original Assignee
(주)만민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만민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만민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2008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140A/ko
Publication of KR2014002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쉬우면서, 사용 후 폐기가 용이하도록 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는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며 일측단에 상기 액제를 밀봉하는 밀봉막이 형성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 결착된 흡수부재 및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밀봉막이 위치한 일측단에 결합되어 필요시 상기 밀봉막을 파열시켜 수용된 액제가 상기 흡수부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INSTRUMENT WITH FUNCTIONAL LIQUID}
본 발명은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쉬우며 사용 후 폐기가 용이하도록 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부위 등의 소독, 인체의 민감한 부분의 세정, 전자제품의 세정시 위생기구로서 면봉을 널리 사용한다. 면봉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스틱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솜 등의 흡수성 부재를 부착한 것으로, 일 예로서 보다 효과적인 세정을 위해 알코올 등과 같은 소정의 기능을 갖는 액제를 흡수성 부재에 묻혀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면봉은 요구되는 작업시 적합한 기능을 갖는 액제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시 흡수성 부재에 액제를 묻혀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그 보관 및 휴대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의 일예로 공개특허 10-2008-0029030호에서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가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시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서는, 소독 및 세정 등과 같은 작업시, 액제(L)를 흡수하는 흡수부재(20)와 액제(L)를 별도로 마련하지않고, 흡수부재(20)가 장착되는 배럴(10)에 기능성 액제(L)를 함께 내장하여, 필요시 배럴(10)에 내장된 액제가 흡수부재(20)로 인출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는 두 개의 배럴(10,30)를 결합된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각 배럴의 일측단에 흡수부재(20)를 모두 부착시킨 구성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많아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 시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일측의 배럴을 빼내어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 후에는 폐기에 따른 처리가 소모품이 늘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며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는,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며 일측단에 상기 액제를 밀봉하는 밀봉막이 형성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 결착된 흡수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밀봉막이 위치한 일측단에 결합되어 필요시 상기 밀봉막을 파열시켜 수용된 액제가 상기 흡수부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중 캡부는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에 결착되는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파열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열부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저부로 돌출되어 나온 파열구 및 상기 헤드부의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는 흡수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흡수부재 결착구가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수부재 결착구는 일측단이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흡수부재가 결합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는,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며 일측단에 상기 액제를 밀봉하는 밀봉막이 형성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 결착된 흡수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밀봉막이 위치한 일측단에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열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중 파열부재는 내측 중앙부에 상기 밀봉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파열구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열구상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통기구멍이 형성되게 하여 밀봉막의 파열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 내부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는 흡수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흡수부재 결착구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흡수부재 결착구는 일측단이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흡수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에만 흡수부재가 결착되어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가 사용되므로 사용후 폐기에 따른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밀봉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파열부재를 단순히 눌러 줌으로써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에 주입된 액제를 흡수부재에 인출시킬 수 있어 한 손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의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의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의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의 단면도로서,
도 1a는 작동 전의 초기 상태, 도 1b는 작동중인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100)는 내부에 액제(120)를 수용하는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와, 상기 파이프부재(110)의 일측단에 구비된 캡부(160) 및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타측단에 결착된 흡수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 예컨대 속이 빈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소정의 기능을 갖는 액제(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5)을 형성한다.
액제(120)가 충진된 상태에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일측단부면에는 밀봉막(113)이 형성되어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 내에서의 액제(120)의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밀봉막(113)은 열융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 일측단면에 본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제(120)는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 내에서 흡수부재(130)와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중, 캡부(160)는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일측단에 결착되는 캡 하우징(140)과, 상기 캡 하우징(140)의 내측에 설치되는 파열부재(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 하우징(140)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일측단부와 결합하는 캡 하우징 하단부(141)와, 내부에 상기 파열부재(150)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단부(143)로 구분된다. 상기 캡 하우징 하단부(141)의 내주면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상측단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마찰면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결합구조는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 또는 나사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파열부재(150)는 파열부재 헤드부(151)와, 상기 파열부재 헤드부(151)의 저부로 뾰족하게 돌출되어 나온 파열구(153) 및 상기 파열구(153)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스프링(15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155)은 일단이 상기 캡 하우징(14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파열부재 헤드부(151)의 유동시 파열구(153)가 인접해 있는 밀봉막(113)을 파열시킬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파열부재 헤드부(151)는 손으로 조작시 접촉감이 좋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타측단에 결합된 상기 흡수부재(130)는 흡수성이 우수한 솜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수부재(130)가 흡수부재 결착구(170)에 의해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흡수부재 결착구(170)는 하단부(171)가 흡수부재(130)와 직접 결합되고, 상단부(173)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타측단 외주면과 결합된다.
한편, 도 1c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있어서, 흡수부재(130)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과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부재(130)가 직접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일측단에 바로 부착되게 할 수도 있으며(도 a 경우), 별도기구인 흡수부재 결착구(170′)를 이용하되, 그 상단부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타측단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도 b 경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100)에 있어서는,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의 일측단에 파열부재(1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파열부재(150)의 조작에 의해 밀봉막(113)을 쉽게 파열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예컨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부재 헤드부(151)를 손으로 압착하여 이동시키면 뾰족한 형상의 파열구(153)가 인접해 있는 밀봉막(113)을 파열시키게 되며, 이 순간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110)에 충진되어 있는 액제(120)는 흡수부재(130)가 부착되어 있는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여 흡수부재(130)에 스며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열부재(150)의 조작, 즉 터치는 한 손을 이용하여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2a는 작동전의 상태를, 도 2b는 작동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200)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있어서, 캡 하우징의 구성이 생략되고, 파열부재(250)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210)에 직접 유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경우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200)에 있어서의 파열부재(250)는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210)의 일측단에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앙부에 밀봉막(213)을 파열시키기 위한 뾰족한 형상의 파열구(25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파열구(253)의 내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통기구멍(255)이 형성되어 밀봉막(213) 파열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2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파열구(253)의 내측에 상기 통기구멍(255)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본 발명의 파열부재 본체(251)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210)의 상측단 외주면과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 부위를 통해 외부공기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흡수부재(230)는 별도의 흡수부재 부착기구(231)에 의해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 본체(211)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흡수부재 부착기구(231)의 일측단(도면상의 상측단)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본체(211)의 내주면과 결합되고, 타측단에는 흡수부재(230)가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3a는 작동전의 상태를, 도 3b는 작동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300)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에 있어서, 흡수부재(330)가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310)의 일측에 직접 결합된 구조의 예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흡수부재(330)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던 흡수부재 결착구를 사용하지 않고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310)의 일측단에 바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열부재(350)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파열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는 기능성 액제가 충진된 파이프부재의 일측에 파열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흡수부재가 결착된 단순구조의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200,300 :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110,210,310 :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 120,220,320 : 액제
130,230,330 : 흡수부재 140 : 캡 하우징
150,250,350 : 파열부재 160 : 캡부
170,170′: 흡수부재 결착구

Claims (10)

  1.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며 일측단에 상기 액제를 밀봉하는 밀봉막이 형성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와 ;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 결착된 흡수부재 ; 및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밀봉막이 위치한 일측단에 결합되어 필요시 상기 밀봉막을 파열시켜 수용된 액제가 상기 흡수부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에 결착되는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파열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저부로 돌출되어 나온 파열구 및 상기 헤드부의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는 흡수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흡수부재 결착구가 구비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 결착구의 일측단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흡수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6. 내부에 액제를 수용하며 일측단에 상기 액제를 밀봉하는 밀봉막이 형성된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 결착된 흡수부재와,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밀봉막이 위치한 일측단에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열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재는 내측 중앙부에 상기 밀봉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파열구가 형성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열구상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통기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타측단에는 흡수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흡수부재 결착구가 구비된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 결착구는 일측단이 상기 액제 충진 파이프부재의 일측단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흡수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KR1020120086866A 2012-08-08 2012-08-08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KR2014002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866A KR20140020140A (ko) 2012-08-08 2012-08-08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866A KR20140020140A (ko) 2012-08-08 2012-08-08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40A true KR20140020140A (ko) 2014-02-18

Family

ID=5026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866A KR20140020140A (ko) 2012-08-08 2012-08-08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01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561A1 (ko) * 2017-04-12 2018-10-18 큐앤큐팜 주식회사 흡수부재 보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561A1 (ko) * 2017-04-12 2018-10-18 큐앤큐팜 주식회사 흡수부재 보관장치
US11230423B2 (en) 2017-04-12 2022-01-25 Qnqpharm Co., Ltd. Absorbing member stor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2894B2 (en) Cleaning device for male end of intraveneous set
US8403182B2 (en) Air pump type operation device and a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13545605A (ja) 洗浄用ツール
WO2009019224A3 (de) Wundpflegeartikel mit absorbierender hülle
KR20110044944A (ko) 필터를 구비한 토출 용기
EP1940694A4 (en) DEVICE FOR DISPENSING UNDER PRESSURE STERILER LIQUID
KR200497647Y1 (ko) 피부관리기구
KR200454469Y1 (ko) 액상물 용기
KR102621212B1 (ko) 접착제 및/또는 실런트를 도포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40020140A (ko) 기능성 액제 내장기구
ITBS20090140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a sostanza
JP2010504801A (ja) 機能性液剤を内部に保持する衛生用具
CN204275278U (zh) 手持式涂药器
WO2012032636A1 (ja) 二剤混合容器
KR100887864B1 (ko) 기능성 액제 내장 위생도구
EP2674301B1 (en) Invertible ink st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11459B1 (ko) Fob 검사를 위한 튜브
KR101658926B1 (ko) 액체포켓이 내장된 포장 섬유시트
WO2005094330A3 (en) Pipette/applicator
RU2526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жидких препаратов
KR102007581B1 (ko) 금관 악기를 위한 타액 수집기
KR20080029349A (ko) 기능성 액제 내장 위생도구
KR102234043B1 (ko) 토출량 조절을 위한 액체 토출 용기
ITPD20120074A1 (it) Dispositivo erogatore, per contenitori pressurizzati, per l¿applicazione di fluido criogenico refrigerante
KR20140103686A (ko) 액체내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