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647Y1 - 피부관리기구 - Google Patents

피부관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647Y1
KR200497647Y1 KR2020190001693U KR20190001693U KR200497647Y1 KR 200497647 Y1 KR200497647 Y1 KR 200497647Y1 KR 2020190001693 U KR2020190001693 U KR 2020190001693U KR 20190001693 U KR20190001693 U KR 20190001693U KR 200497647 Y1 KR200497647 Y1 KR 200497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kin care
contact surface
wall portion
ca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53U (ko
Inventor
이순탁
Original Assignee
이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탁 filed Critical 이순탁
Publication of KR20190002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81Applying a substance on the back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023/0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having a percussion element combined with a passive spacer element for bearing against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rush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로션이나 크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높은 피부관리물질 뿐만 아니라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낮은 피부관리물질도 자신의 등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는 피부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피부관리기구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핸들과; 상기 핸들의 단부에 배치되며,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메인측벽부를 가지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표면부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헤드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사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관리기구{SKINCARE DEVICE}
본 고안은 피부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피부를 매끄럽게 가꾸기 위해, 로션이나 크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높은 피부관리물질 및/또는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낮은 피부 관리 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 마사지한다.
그런데 신체구조상 자신의 손바닥이 자신의 등에 잘 닿지 않기 때문에, 혼자서는 등 부분에 피부 관리 물질을 도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비교적 점성이 높은 로션이나 크림과 같은 피부관리물질들은 긴 막대의 표면에 묻혀서 자신의 등에 문지를 수 있지만 비교적 점성이 낮은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낮은 피부 관리 물질들은 혼자서 자신의 등에 도포하고 마사지하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로션이나 크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높은 피부관리물질 뿐만 아니라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낮은 피부관리물질도 자신의 등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는 피부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피부관리기구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핸들과; 상기 핸들의 단부에 배치되며,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메인측벽부를 가지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표면부와, 상기 접촉표면부로부터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구간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사지부재를 포함한다. 관통공이 확장구간을 가짐으로써 수용부에 든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이 중력을 받아 관통공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구간은 상기 접촉표면부에 수직인 선을 기준으로 45 내지 75도의 각도로 확장되는 것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비교적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마사지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은 복수 개이며 상기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에 분산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가 본 피부관리기구를 사용할 때 피부관리물질이 중력에 의해 하측에 집중되어 특정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외측 수용공간과 내측 수용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메인측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부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표면부는 상기 외측 수용공간과 상기 내측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것이 사용자가 본 피부관리기구를 사용할 때 비교적 적은 양을 사용하고 싶을 때는 상기 내부 수용공간에 피부관리물질을 채워서 사용하도록 하고 비교적 많은 양을 사용하고 싶을 때는 상기 외부 수용공간 및 상기 내부 수용공간에 피부관리물질을 채워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사지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메인측벽부와 상기 내부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갖는 것이 사용자가 본 피부관리기구를 사용할 때 피부관리물질이 중력에 의해 하측에 집중되어 특정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사지부재는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측벽부와 접촉되는 외부누출방지부와, 상기 외부누출방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측벽부와 접촉되는 내부누출방지부를 갖는 것이 상기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 피부관리물질이 상기 외부 수용공간 측으로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외부 수용공간에 수용된 피부관리물질이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부재는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측벽부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외부누출방지부와, 상기 외부누출방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측벽부의 외경면과 접촉되는 내부누출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누출방지부와 상기 외부누출방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비교적 컴팩트한 구조로 상기 내부 수용공간 및 상기 외부수용공간에 수용된 피부관리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은 상기 마사지부재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격벽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바닥부와 접촉되는 것이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피부관리물질이 임의로 다른 상기 분할된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피부관리기구는 로션이나 크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높은 피부관리물질 뿐만 아니라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낮은 피부관리물질도 자신의 등을 포함한 신체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다.
로션이나 크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높은 피부관리물질은 마사지부재 표면에 묻혀서 사용하고,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이 비교적 점성이 낮은 피부관리물질은 수용부에 채워서 사용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관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마사지부재 측 정면도이고,
도 3은 마사지부재가 헤드부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나타낸 헤드부 측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마사지부재의 배면 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마사지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표시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표시된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관통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9는 헤드부에 브러쉬부재가 장착된 피부관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브러쉬부재가 헤드부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나타낸 헤드부 측 확대사시도이며,
도 11은 브러쉬부재가 장착된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관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마사지부재(500) 측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피부관리기구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핸들(100)과 핸들(100)의 단부에 배치되는 원형상의 헤드부(300) 및 헤드부(3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사지부재(500)를 포함한다. 마사지부재(500)는 피부와 접촉되도록 넓게 확장된 접촉표면부(510)를 갖는다. 접촉표면부(510)는 피부관리물질이 배출되어 나오는 복수의 관통공(511)을 갖는다. 복수의 관통공(511)은 접촉표면부(510)에 분산 배치된다. 접촉표면부(510)는 관통공(511)을 하나만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마사지부재(500)가 헤드부(300)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나타낸 헤드부(300) 측 확대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부(300)는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통형상의 수용부(310)를 포함한다. 수용부(310)는 바닥부(311)와 바닥부(311)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형상의 메인측벽부(313)를 갖는다. 그리고 수용부(310)는 메인측벽부(313)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바닥부(311)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형상의 내부측벽부(315)도 갖는다.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는 끝과 끝이 서로 만나는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내부측벽부(315)의 내측에는 내측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의 사이에는 외측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부(310)는 내부측벽부(315) 없이 바닥부(311)와 메인측벽부(313)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는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고리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수용부(310)는 헤드부(300)와 다른 재질로 만들어져서 헤드부(3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헤드부(300)는 수용부(3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확장부(330)를 포함한다. 확장부(330)는 마사지부재(500)의 표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헤드부(300)는 확장부(330)의 외곽에서 메인측벽부(313)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안내부(350)를 갖는다. 헤드부(300)는 확장부(330) 없이 수용부(31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안내부(350)와 메인측벽부(313), 내부측벽부(315)는 모두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사지부재(500)는 헤드부(3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사지부재(500)는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표면부(510)와 접촉표면부(510)의 외곽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부(590)를 갖는다. 접촉표면부(510)의 두께는 2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사지부재(500)는 헤드부(300)에 장착되었을 때 수용부(310)의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가 형성하는 내측 수용공간과 외측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내측 수용공간과 외측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공(511)을 갖는다. 마사지부재(500)는 결합부(590)가 결합안내부(350)와 결합됨에 따라 헤드부(300)에 장착된다. 결합부(590)와 결합안내부(350)는 끼움결합이나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90)는 결합안내부(350)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결합부(590)에는 위치안내돌기(501)가 표시되어 있다. 위치안내돌기(501)는 마사지부재(500)의 구성과 구조 그리고 헤드부(300)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면상에 표현한 것이다.
도 4는 마사지부재(500)의 배면(520) 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마사지부재(500)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사지부재(500)는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측벽부(313)와 접촉되는 외부누출방지부(550)와 외부누출방지부(550)의 반경방향 내측의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측벽부(315)와 접촉되는 내부누출방지부(570)를 포함한다. 외부누출방지부(550)는 메인측벽부(313)의 내경면과 접촉되도록 메인측벽부(31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내부누출방지부(570)는 내부측벽부(315)의 외경면과 접촉되도록 내부측벽부(315)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마사지부재(500)는 헤드부(300)에 장착되었을 때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에 삽입되어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의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530)을 갖는다. 이 복수의 격벽(530)은 판상이며 내부누출방지부(570)와 외부누출방지부(550)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둘을 서로 연결한다. 복수의 격벽(530)은 마사지부재(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511)들은 격벽(530)에 의해 분할되는 수용부(310)의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고르게 분산 배치된다.
외부누출방지부(550)는 메인측벽부(313)의 상단면 또는 외경면과 접촉할 수도 있고, 내부누출방지부(570)는 내부측벽부(315)의 상단면 또는 내경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 격벽(530)은 외부누출방지부(550)와 내부누출방지부(570)를 서로 연결하지 않으면서,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마사지부재(500)는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이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의 상단부와 맞닿도록 하여 외부누출방지부(550) 및 내부누출방지부(570)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표시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표면부(510)는 아치형상으로써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관통공(511)은 수용부(310)의 내측 수용공간과 외측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통하도록 분산 배치된다. 내부누출방지부(570)와 외부누출방지부(550)는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단부가 바닥부(311)에 접촉된다. 내부누출방지부(570)와 외부누출방지부(550)는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보다 길이가 길다. 이에 따라, 수용부(3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은 임의로 다른 공간으로 누출되지 못하고, 관통공(511)을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된다. 내부누출방지부(570)와 외부누출방지부(550)의 단부는 바닥부(311)에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는 동일한 높이길이를 갖는 것이 다른 종류의 마사지부재(500), 예를 들면 브러쉬부재(700, 도 9 참조)를 헤드부(300)에 장착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그럼에도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의 상단부는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에 접촉되도록 길이를 더 연장할 수 있다. 헤드부(300)의 바닥부(311)도 접촉표면부(510)와 같이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부(311)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2에 표시된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530)들은 접촉표면부(510)의 배면(520)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의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이러한 격벽(530)들은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의 수용공간을 복수 개의 수용공간으로 분할한다. 즉,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수용공간을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하는 것이다. 이때, 격벽(530)의 단부는 바닥부(311)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은 격벽(530)들에 의해 분할된 수용공간에 갇히게 되어 다른 수용공간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며 접촉표면부(510)에 형성된 관통공(511)을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본 피부관리기구를 사용할 때 피부관리물질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집중되어 특정 관통공(511)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격벽(530)과 바닥부(31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이 격벽(530)들이 형성하는 분할된 수용공간을 부분적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관통공(511)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고하여 보면, 관통공(511)은 접촉표면부(510)로부터 배면(52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구간(512)을 갖는다. 여기서 관통공(511)은 접촉표면부(510)와 확장구간(512)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구간(513)을 가질 수 있다. 직선구간(513)은 가능한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접촉표면부(5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관통공(511)의 직경(D)는 1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511)의 직경(D)이 1mm미만인 경우, 수용부(310)에 수용된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이 관통공(5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사용하기 곤란할 정도로 적은 양이 배출된다. 관통공(511)의 직경(D)이 2mm이상인 경우에는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 마사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양보다 관통공(511)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이 너무 커서 피부관리물질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관통공(511)과 인접한 주변에 해당하는 접촉표면부(510)의 두께(H)는 3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구간(512)의 각도는 접촉표면부(510)에 수직인 선을 기준으로 45내지 75도 각도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비교적 점성이 작은 오일이나 우유, 식초 희석액, 녹차물, 레몬물, 와인, 쌀뜨물 등과 같은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자 할 때, 수용부(310)에 액상의 피부관리물질을 채우고 마사지부재(500)를 장착한 후 피부관리기구를 세워서 피부관리물질이 관통공(51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면서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 마사지할 수 있다. 이때, 비교적 적은 양의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측벽부(315)가 형성하는 내측 수용공간에만 피부관리물질을 채워 사용하고, 비교적 많은 양의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측벽부(313)와 내부측벽부(315) 사이의 외측 수용공간 및 내부격벽(530)부가 형성하는 내측 수용공간 모두에 피부관리물질을 채워 사용하면 된다.
한편, 비교적 점성이 높은 로션, 크림 등과 같은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피부관리물질을 마사지부재(500)의 접촉표면부(510)에 묻힌 후 그것을 피부에 문지르면서 도포하면 된다.
마사지부재(500)가 ABS, PP, HDPE, LDP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경우, 비교적 분자간 인력이 크고 수소결합을 하는 친수성 피부관리물질은 관통공(511)을 통해 쉽게 배출되지 않는데, 이때 관통공(511)에 친수성 물체, 예를 들면 피부를 접촉시키면 수용공간에 머무르던 피부관리물질이 이끌려 관통공(511)을 통해 배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부관리기구는 마사지부재(500)가 헤드부(300)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그래서 다양한 종류의 마사지부재(500)를 헤드부(300)에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피부관리기구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300)에 브러쉬 기능을 갖는 브러쉬부재를 장착시킬 경우, 본 피부관리기구는 바디브러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때밀이 기능을 갖는 때밀이부재(500)를 헤드부(3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9는 헤드부(300)에 브러쉬부재(700)가 장착된 피부관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피부관리기구는 헤드부(300)에 다수의 섬유(710)를 갖는 브러쉬부재(70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0은 브러쉬부재(700)가 헤드부(300)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나타낸 헤드부(300) 측 확대사시도이고, 도 11은 브러쉬부재(700)가 장착된 헤드부(300)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러쉬부재(700)는 섬유들(710)과 섬유들(710)이 심어지는 섬유표면부(730)를 갖는다. 브러쉬부재(700)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섬유표면부(730)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후 돼지털(돈모) 또는 말털(마모) 등과 같은 섬유(710)를 구멍에 심음으로써 제작된다.
브러쉬부재(700)는 섬유표면부(730)의 외곽 쪽 배면(750)으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부(770)를 갖는다. 결합부(770)가 결합안내부(350)에 삽입됨으로써 브러쉬부재(700)가 헤드부(300)에 장착될 수 있다.
브러쉬부재(700)는 헤드부(300)에 장착되었을 때 섬유표면부(730)의 배면(750)이 결합안내부(350)와 메인측벽부(313) 및 내부측벽부(315)의 상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안내부(350)와 메인측벽부(313) 및 내부측벽부(315)의 상단 높이위치는 동일하며, 섬유표면부(730)의 배면(350)은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피부관리기구는 컴팩트한 구성 및 구조로 브러쉬부재(700)나 마사지부재(500)를 헤드부(300)에 대해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Claims (7)

  1. 피부관리기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핸들과;
    상기 핸들의 단부에 배치되며,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메인측벽부를 가지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표면부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헤드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사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외측 수용공간과 내측 수용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메인측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부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표면부는 상기 외측 수용공간과 상기 내측 수용공간 각각이 외부와 서로 통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메인측벽부와 상기 내부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측벽부와 상기 내부측벽부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재는,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측벽부와 접촉되는 외부누출방지부와, 상기 외부누출방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측벽부와 접촉되는 내부누출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재는,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측벽부의 내경면과 접촉되는 외부누출방지부와, 상기 외부누출방지부의 반경방향 내측의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내부측벽부의 외경면과 접촉되는 내부누출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누출방지부와 상기 외부누출방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마사지부재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격벽의 단부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바닥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접촉표면부로부터 상기 접촉표면부의 배면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
KR2020190001693U 2018-04-13 2019-04-24 피부관리기구 KR2004976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3243 2018-04-13
KR1020180043243 2018-04-13
KR1020180056348 2018-05-17
KR20180056348 2018-05-17
KR1020190047705 2019-04-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705 Division 2018-04-13 2019-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53U KR20190002653U (ko) 2019-10-23
KR200497647Y1 true KR200497647Y1 (ko) 2024-01-15

Family

ID=6806730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197A KR102002274B1 (ko) 2018-04-13 2019-02-06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피부 관리 기구
KR1020190024460A KR102047645B1 (ko) 2018-04-13 2019-03-03 피부관리기구
KR1020190030209A KR102023321B1 (ko) 2018-04-13 2019-03-15 피부관리기구
KR1020190033270A KR102060296B1 (ko) 2018-04-13 2019-03-24 피부관리기구
KR2020190001693U KR200497647Y1 (ko) 2018-04-13 2019-04-24 피부관리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197A KR102002274B1 (ko) 2018-04-13 2019-02-06 피부관리물질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피부 관리 기구
KR1020190024460A KR102047645B1 (ko) 2018-04-13 2019-03-03 피부관리기구
KR1020190030209A KR102023321B1 (ko) 2018-04-13 2019-03-15 피부관리기구
KR1020190033270A KR102060296B1 (ko) 2018-04-13 2019-03-24 피부관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89911B2 (ko)
JP (2) JP7013065B2 (ko)
KR (5) KR102002274B1 (ko)
WO (1) WO2019199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82A (ko) 2021-02-09 2022-08-18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관리 기구
KR20220167184A (ko) 2021-06-11 2022-12-20 김종기 약품 자가 도포를 위한 휴대용 보조기구
US20230096695A1 (en) * 2021-09-29 2023-03-30 Marketites LLC Applicator for Self-Contained Package
KR102559238B1 (ko) 2023-03-08 2023-07-24 우관식 로션 도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1623A1 (en) 2006-06-06 2007-12-13 Maggio, Maria Double chamber application device with a plurality of spheres
KR101743331B1 (ko) 2014-11-03 2017-06-07 이순탁 피부 관리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0204A (en) * 1971-02-04 1973-03-13 A Wojtowicz Vibro-shower
EP0003017B1 (de) * 1977-11-03 1981-02-11 Dr. Wachter Kurmittel GmbH Behältnis für Körperreinigungs- und -pflegemittel
FR2744104B1 (fr) * 1996-01-29 1998-03-2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un gel ou mousse
US6261014B1 (en) * 1998-11-20 2001-07-17 Sunglider,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viscous lotion
KR200290105Y1 (ko) 2002-06-25 2002-09-27 고병구 마사지 및 피지제거 겸용 피부미용 관리기
KR100543797B1 (ko) * 2003-06-10 2006-01-23 전숙자 종합 화장품 용기
FR2860769B1 (fr) * 2003-10-13 2006-08-04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KR200383969Y1 (ko) * 2005-02-28 2005-05-10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화장품 용기의 배출판
KR100586812B1 (ko) * 2005-02-22 2006-06-09 전용복 피부 관리장치
US7503715B2 (en) * 2005-06-17 2009-03-17 Ideavillage Products, Corp. Soap dispensing attachment for hand-held appliance
US20070095362A1 (en) * 2005-10-28 2007-05-03 Koopah Samar A Brush and method
US20070243005A1 (en) * 2006-04-18 2007-10-18 Daniel Sviesa Body lotin or cream applicator and massager apparatus
US20080205963A1 (en) * 2007-02-26 2008-08-28 Jennifer Schmidig Body buffer
KR20080005018U (ko) 2007-04-25 2008-10-29 박하얀꽃하나 휴대용 마사지장치의 때밀이 툴
KR20110077568A (ko) * 2009-12-30 2011-07-07 고진업 에어타이트 색조화장품용기
KR200455452Y1 (ko) * 2011-05-20 2011-09-06 김소진 다기능 융합 효자손 장치
US20150057578A1 (en) 2012-02-29 2015-02-26 Byung Don Min Suction opening for vacuum absorption type massage machine
KR101742198B1 (ko) * 2012-11-09 2017-05-3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충전 가능한 미용기기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기
KR101448714B1 (ko) * 2013-08-30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5974Y1 (ko) * 2013-10-31 2015-01-16 (주)아모레퍼시픽 회전형 화장용 콤팩트 용기
FR3021194B1 (fr) * 2014-05-20 2016-07-0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e produit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KR101468993B1 (ko) 2014-07-15 2014-12-04 채경 다중 주파수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1623A1 (en) 2006-06-06 2007-12-13 Maggio, Maria Double chamber application device with a plurality of spheres
KR101743331B1 (ko) 2014-11-03 2017-06-07 이순탁 피부 관리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13065B2 (ja) 2022-02-15
KR20190002653U (ko) 2019-10-23
KR102002274B1 (ko) 2019-10-01
WO2019199095A1 (ko) 2019-10-17
JP2022058571A (ja) 2022-04-12
KR102023321B1 (ko) 2019-09-20
KR20190120064A (ko) 2019-10-23
KR20190120058A (ko) 2019-10-23
KR102060296B1 (ko) 2019-12-27
US11889911B2 (en) 2024-02-06
JP7328715B2 (ja) 2023-08-17
JP2021518799A (ja) 2021-08-05
US20210161276A1 (en) 2021-06-03
KR102047645B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647Y1 (ko) 피부관리기구
JP6582027B2 (ja) 泡吐出容器
US8118036B2 (en) Hair dyeing comb with interchangeable comb heads
JP2021518799A5 (ko)
US11140963B2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JP2008541944A (ja) 流動性を有する製品をヒトの頭髪に適用するための装置
US10687599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cosmetic material storage groove in impregnation member
JPH0139783B2 (ko)
JP6155082B2 (ja) 化粧料塗布具
KR200472436Y1 (ko) 화장용 퍼프
KR101062746B1 (ko) 크림제품용 화장품 용기
KR200459415Y1 (ko)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JP2021095198A (ja) 吐出容器
KR101927304B1 (ko) 화장폼 토출 시스템
KR101946993B1 (ko)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88181Y1 (ko) 화장 도구
JP2005218522A (ja) 洗浄具を備えた毛髪化粧料用具
KR20150001299U (ko) 화장용 브러시 거치대
KR20180022068A (ko) 분리 공간을 갖는 펌핑 용기
JP3006381U (ja) 洗浄用具
JP2003230426A (ja) 櫛付き容器
KR20130007276U (ko)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
KR200270345Y1 (ko) 화장솔
KR20180137214A (ko) 리필 가능 샤워기용 탈부착 샴푸
US20130303046A1 (en) Dispensing bath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