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089A -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089A
KR20140020089A KR1020120086599A KR20120086599A KR20140020089A KR 20140020089 A KR20140020089 A KR 20140020089A KR 1020120086599 A KR1020120086599 A KR 1020120086599A KR 20120086599 A KR20120086599 A KR 20120086599A KR 20140020089 A KR20140020089 A KR 2014002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live image
predetermined number
video conten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295B1 (ko
Inventor
코쉘 막심
세르게이 폼턴
도로고브트세브 드미트로
미콜라 레이브스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95B1/ko
Priority to EP13179323.4A priority patent/EP2696338B1/en
Priority to US13/962,404 priority patent/US9160963B2/en
Publication of KR2014002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모드에서 하나의 비디오컨텐츠를 통해 매번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는, 복수의 비디오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대기모드에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보간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GENERATING LIVE IMAGE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모드에서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를 통해 매번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양한 배경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대기모드의 배경화면으로는 단말기에서 저장된 정지이미지 또는 라이브 배경화면으로써의 라이브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경우, 정지이미지로 설정된 배경화면보다는 보다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라이브 배경화면의 경우, 자동차나 사람등과 같이 큰 움직임을 가지는 객체를 포함하기 보다는, 파도 및 폭포등 같이 움직임이 작은 객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라이브이미지가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되는 경우, 동적인 라이브 이미지를 표시는 하고 있으나, 동일한 동작을 매번 반복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대기모드에서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를 통해 매번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는, 복수의 비디오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대기모드에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보간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보간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기모드에서 라이브 대기화면으로 설정된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를 통해, 매번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a - 도 3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사용되기 위한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디오 컨텐츠는 폭포, 불 및 바다등과 같이 움직임이 작고 내부자체의 움직임이 발생되는 객체를 동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하나의 비디오컨텐츠를 통해 매번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비디오컨텐츠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 배경면으로 설정된 하나의 비디오컨텐츠를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에게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대기모드에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를 통해, 상기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라이브 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하나의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보간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한다.
또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두 번 텐츠하게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중 어느 하나의 서브시퀀스에 포함된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프레임을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을 새로운 첫 번째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이후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한 번 랜덤하게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한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새로운 나머지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새로운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동안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새롭게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서브시퀀스를 이용하여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할 때,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및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제1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Figure pat00003
: 제1 가중치 값, 제2 가중치 값 (이때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생성되는 라이브 이미지의 프레임.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제2 서브시퀀스에 포함된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프레임을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새로운 제1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새로운 제2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이후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될 때,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들로 새롭게 지정한다. 이후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및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하나의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에 대해 서로간의 거리 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라이브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새로운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들 간의 거리 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모드에서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비디오컨텐츠를 통해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도 2-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a - 도 3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대기모드인 201단계에서, 대기모드의 배경화면이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비디오컨텐츠 중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비디오컨텐츠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비디오컨텐츠를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된 비디오컨텐츠는 움직임이 작은 즉, 내부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일반적인 단말기에서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설정되기 위해 상기 메모리(130)에 별도로 저장된 복수의 라이브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가 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 중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이용하여 매번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상기 도 3 - 상기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도 3a - 도 3b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를 통해 새로운 라이브이미지 생성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상기 도 3a - 도 3b를 살펴보면, 상기 비디오시퀀스에 구성된 원 프레임들이“f1,f2,f3,.....,fn”라 하고, 생성될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P1,P2,P3,.....,Pn”라 할 때,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인 “P1,P2,P3,.....,Pn”를 구할 수 있다.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 “P1,P2,P3,.....,Pn”이 끊김없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하기 위해, 원 프레임들 및 가중치 값이 특정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원 프레임들 및 상기 가중치 값이 선택되기 위해, 먼저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인 “f1,f2,f3,.....,fn”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인 “
Figure pat00006
"을 제1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는 301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인 “f1,f2,f3,.....,fn“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다시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인 “
Figure pat00007
"을 제2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상기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상기 제1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각각에 서로 다르게 적용된 제1 가중치 값 및 상기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각각에 서로 다르게 적용된 제2 가중치 값을 라이브 이미지 생성을 위한 계산식인 상기 <수학식 1>에 순서적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인 “P1,P2,P3,.....,Pn”를 생성하는 302단계를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302단계에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수학식 1>예 통해 생성될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인 “P1,P2,P3,.....,Pn”을 하기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Figure pat00008
제2 프레임 :
Figure pat00009
........
제k 프레임 :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제 프레임:
Figure pat00012

이때,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의 각 프레임을 생성할 때 마다, 상기 <수학식 1>에 적용되는 제1 가중치 값과 제2 가중치 값의 합은 “1”(
Figure pat00013
)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가중치 값(
Figure pat00014
)은 {1,....,0}을 가지고, 제2 가중치 값(
Figure pat00015
)은 {0,....,1}을 가지게 된다.
상기 302단계를 통해, 제1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제1 가중치 값들 및 제2 가중치 값들 각각이 상기 <수학식 1>에 각각 적용되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과 동일한 개수를 가지는 새로운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되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60)는 상기 302단계를 통해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개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개수란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총 개수로써, 상기 프레이임의 총 개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 적용되는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은, 하나의 프레임이 가지는 픽셀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302단계를 통해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 개수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개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추가적인 프레임을 생성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의 원프레임들에서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중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 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다음순번 프레임으로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추출한다.
즉,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의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중 마지막 프레임인“
Figure pat00016
”의 다음순번 프레임인 “
Figure pat00017
”을 추출하고, 상기 다음순번 프레임인 “
Figure pat00018
”을 시작프레임으로 하는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새로운 제1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304단계에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새로운 제1 서브시퀀스를 지정한 후 상기 비디오컨텐츠의 원 프레임들에서 순차적인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다시 랜덤하게 선택하고, 이를 새로운 제2 서브시퀀스로 지정한다.
따라서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 개수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개수가 동일할 때까지, 상기 302단계 - 상기 30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302단계 - 상기 304단계를 반복수행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 개수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개수가 동일해지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화면으로 출력하는 3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라이브 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화면으로 출력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01단계 - 상기 304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도 3의 동작을 상기 도 4를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 4에서는,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이 25개인 “f1,f2,f3,.....,f25“이고, 생성되는 라이브이미지의 총 개수가 “30개”로 미리 설정되며,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를 사용할 때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의 각각이 포함하는 프레임의 개수가 6개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비디오컨텐츠의 원 프레임인 “f1,f2,f3,.....,f25”에서 랜덤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된 6개의 원 프레임인 “f5,f6,f7,f8,f9,f10“을 선택하여 제1 서브시퀀스(401)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컨텐츠의 원 프레임인 “f1,f2,f3,.....,f25”에서 랜덤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된 6개의 다른 원 프레임인 “f12,f13,f14,f15,f16,f17“을 선택하여 제2 서브시퀀스(402)로 지정한다.
이때 상기 제1 서브시퀀스의 6개의 프레임에 각각 적용된 제1 가중치 값은 {1, 0.8, 0.6, 0.4, 0.2, 0}이 되고, 상기 제2 서브시퀀스의 6개의 프레임에 각각 적용된 제2 가중치 값은 {0, 0.2, 0.4, 0.6, 0.8, 1}이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제1 서브시퀀스의 6개의 프레임, 6개의 제1 가중치 값, 상기 제2 서브시퀀스의 6개의 프레임, 및 6개의 제2 가중치 값을 상기 <수학식 1>에 순서적으로 각각 적용하여,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새로운 6개의 복수의 프레임인“ P1,P2,P3,P4,P5,P6”(T1)을 생성한다.
미리 설정된 라이브 이미지를 구성하는 총 개수가 “30”개로 설정되어 있음으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시퀀스의 원 프레임들에서 제2 서브시퀀스(402)의 마지막 프레임인 “f17”의 다음순번 프레임인 “f18”을 시작프레임으로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6개의 프레임인 “f18,f19,f20,f21,f22,f23“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6개의 프레임인 “f18,f19,f20,f21,f22,f23“을 새로운 제1 서브시퀀스(403)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시퀀스의 원 프레임들에서 다시 랜덤하게 순차적으로 6개의 프레임인 “f2,f3,f4,f5,f6,f7“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6개의 프레임인 “f2,f3,f4,f5,f6,f7“을 새로운 제2 서브시퀀스(404)로 지정한다. 이때 제1 가중치 값과 제2 가중치의 값은 동일하게 사용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다시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새로운 6개의 복수의 프레임인 “P7,P8,P9,P10,P11,P12”(T2)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T1 - T5 번 동안 수행하면서, 상기 도 4와 같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30개의 프레임(P1 - P3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4와 같이, 상기 생성된 라이브 이미지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25개의 원 프레임보다 더 많은 30개의 프레임수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비디오 컨텐츠보다 더 긴 라이브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통해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기모드에서 항상 다르게 출력되는 라이브이미지를 볼 수 있다.
상기 도 3 -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제1 서브시퀀스와 상기 제2 서브시퀀스 각각에 포함된 프레임의 개수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이하게 포함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 서브시퀀스와 상기 제2 서브시퀀스 각각에 포함된 프레임의 개수가 상이할 경우, 상기 제1 서브시퀀스와 상기 제2 서브시퀀스 중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만이 상기 <수학식 1>에 적용될 때, 적용되는 제1 가중치 값과 제2 가중치 값은 (0.5.0.5)이 된다.
또한 상기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지정된 서브시퀀스는 상기 도 3- 상기 도 4와 같이 두 개의 서브시퀀스가 사용되거나, 또는 하기 <식 2>와 같이 세 개의 서브시퀀스가 사용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시퀀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 제1 서브시퀀스, 제2 서브시퀀스 및 제3 서브시퀀스
Figure pat00021
: 제1 가중치 값, 제2 가중치 값 및 제3 가중치 값
(이때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 생성되는 라이브 이미지의 프레임.
상기 <수학식 2>을 통해, 상기 도 3- 상기 도 4와 같은 과정들을 동일하게 수행하면서,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에서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상기 라이브이미지생성부(170)는 501단계에서 상기 비디오컨텐츠의 원 프레임들에서 랜덤하게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선택한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서로 간의 거리 값을 구하는 502단계를 진행한다.
Figure pat00024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503단계에서 가장 작은 거리 값(d)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이를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504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가장 작은 거리 값(d)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추출되는 소정개수는 거리 값이 비교된 모든 한 쌍의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505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화면으로 출력하는 동안,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5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501단계에서 상기 비디오컨텐츠의 원 프레임들에서 다시 랜덤하게 소정개수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이후 상기 502-505단계를 통해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기모드에서 라이브화면으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비디오 컨텐츠의 원 프레임들인“f1,f2,f3,.....,f25”에서 랜덤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된 6개의 원 프레임인“f5,f6,f7,f8,f9,f10“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하나의 프레임당 자신보다 순번이 큰 프레임들 간의 거리 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모두 나열하고, 상기 나열된 복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이 “(f5,f8),(f6,f8),(f5,f9),(f5,f10),(f7,f9),(f6,f10),(f8,f9),(f7,f8),(f7,f10),(f9,f10)”일 때,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은 “f5, f8, f6, f8, f5, f9, f5, f10, f7, f9, f6, f10, f8, f9, f7, f8, f7, f10,f9,f10”로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생성된 라이브 이미지가 상기 대기모드에서 출력인 완료되면,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원 프레임들인“f1,f2,f3,.....,f25”에서 다시 랜덤하게 순차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 원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어부, 130:메모리, 170:라이브이미지 생성부

Claims (21)

  1.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에서,
    복수의 비디오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대기모드에서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보간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중 어느 하나의 서브시퀀스에 포함된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프레임을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을 새로운 첫 번째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며;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한 번 랜덤하게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한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새로운 나머지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며; 상기 새로운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될 때,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새롭게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하며;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및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수학식 1>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 제1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Figure pat00027
    : 제1 가중치 값, 제2 가중치 값 (이때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 생성되는 라이브 이미지의 프레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제2 서브시퀀스에 포함된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프레임을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새로운 제1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며;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랜덤하게 선택하며,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새로운 제2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될 때,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들로 새롭게 지정하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및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에 대해 서로간의 거리값을 구하며,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될 때,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새로운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들 간의 거리 값을 구하며,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말기.
  11.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에 있어서,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을 보간하여 새로운 라이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원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중 마지막 서브시퀀스에서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 프레임을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새로운 첫 번째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한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한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새로운 나머지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상기 대기모드의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새롭게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시퀀스 각각의 프레임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들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새로운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 중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들로 지정하는 과정과.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및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 제1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
    Figure pat00032
    : 제1 가중치 값, 제2 가중치 값 (이때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생성되는 라이브 이미지의 프레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상기 제2 서브시퀀스에 포함된 마지막 프레임의 다음순번프레임을 시작프레임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새로운 제1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새로운 제2 서브시퀀스로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프레임 개수가 미리 설정된 라이브이미지의 총 프레임 개수와 일치하면,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를 라이브 배경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순서적으로 배치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두 번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두 번 랜덤하게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제1 및 제2 서브시퀀스들로 새롭게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1및 제2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보간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에 대해 서로간의 거리 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소정개수의 프레임들 중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상기 라이브 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라이브이미지의 마지막 프레임이 출력되면, 상기 비디오컨텐츠를 구성하는 원 프레임들에서 새로운 소정개수의 프레임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새로운 프레임들 간의 거리 값을 구하고, 가장 작은 거리 값을 가지는 한 쌍의 프레임부터 순서대로 소정개수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소정개수의 한 쌍의 프레임들을 나열하여 상기 라이브이미지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21. 제1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 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86599A 2012-08-08 2012-08-08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KR10199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99A KR101994295B1 (ko) 2012-08-08 2012-08-08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EP13179323.4A EP2696338B1 (en) 2012-08-08 2013-08-05 Terminal and method for generating live image
US13/962,404 US9160963B2 (en) 2012-08-08 2013-08-08 Terminal and method for generating live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99A KR101994295B1 (ko) 2012-08-08 2012-08-08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89A true KR20140020089A (ko) 2014-02-18
KR101994295B1 KR101994295B1 (ko) 2019-06-28

Family

ID=4903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599A KR101994295B1 (ko) 2012-08-08 2012-08-08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0963B2 (ko)
EP (1) EP2696338B1 (ko)
KR (1) KR101994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7185B2 (en) 2007-02-13 2013-12-31 P Tech, Llc. Fixation device
CN109672776B (zh) 2017-10-16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动态图像的方法及终端
KR102579133B1 (ko) * 2018-10-02 2023-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프레임들을 무한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08726A (ko) * 2020-02-26 2021-09-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스프라이트 jpeg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RU2768551C1 (ru) * 2020-10-07 2022-03-24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локальног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и представления потока обоев и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еализующее его
CN115278338B (zh) * 2022-07-28 2023-09-19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壁纸处理方法及其装置、设备、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220B1 (en) * 2000-01-05 2003-10-21 Microsoft Corporation Video-based rendering
KR100878536B1 (ko) * 2006-11-08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보간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5804B1 (en) * 1998-12-21 2001-09-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solution improvement from multiple images of a scene containing motion at fractional pixel values
US7307654B2 (en) * 2002-10-31 2007-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capture and viewi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ynthesized image
GB2466033A (en) * 2008-08-01 2010-06-16 Bojan Dezman Real time live wallpaper
US20110038612A1 (en) 2009-08-13 2011-02-17 Imagine Ltd Live images
US8964013B2 (en) * 2009-12-31 2015-02-24 Broadcom Corporation Display with elastic light manipu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220B1 (en) * 2000-01-05 2003-10-21 Microsoft Corporation Video-based rendering
KR100878536B1 (ko) * 2006-11-08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보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4412A1 (en) 2014-02-13
KR101994295B1 (ko) 2019-06-28
US9160963B2 (en) 2015-10-13
EP2696338A1 (en) 2014-02-12
EP2696338B1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295B1 (ko)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 라이브이미지 생성방법
US9558591B2 (en)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12738623B (zh) 视频文件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906834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선택장치 및 방법
KR101718999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EP26933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tour creation in mobile device
US201402373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ssenger in terminal
CN111641829B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6611402B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05430393B (zh) 一种图片处理方法、图片处理装置、图片处理平台以及存储介质
US20060262142A1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effects in image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342210B1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63426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4973908B2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20140123280A (ko)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CN108064435A (zh) 用于发送和接收同步信号的方法、装置、发射机和接收机
CN107948704B (zh) 用于对音频数据进行动态合成的方法、系统以及移动终端
KR102166266B1 (ko) 단말기의 문자변환 장치 및 방법
CN113905177A (zh) 视频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72926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11203A (ko) 휴대단말기의 팝업창 표시장치 및 방법
US97991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lighting
KR20140123326A (ko) 메시지 수신 음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1403403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gesture
US2012026849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