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969A -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969A
KR20140019969A KR1020120086163A KR20120086163A KR20140019969A KR 20140019969 A KR20140019969 A KR 20140019969A KR 1020120086163 A KR1020120086163 A KR 1020120086163A KR 20120086163 A KR20120086163 A KR 20120086163A KR 20140019969 A KR20140019969 A KR 20140019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yer
satellite antenna
thickness
dielectric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495B1 (ko
Inventor
박정우
김현수
최근호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12008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95B1/ko
Priority to US14/417,903 priority patent/US20150263417A1/en
Priority to PCT/KR2013/006858 priority patent/WO2014025156A1/ko
Priority to EP13827889.0A priority patent/EP2884582A4/en
Publication of KR2014001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4Adaptation for use in or on ships, submarines, buoys or torpedo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위성안테나가 내부에 장착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위성안테나의 반사판을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위성안테나의 페데스탈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반구 모양으로 형성된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동일 입사각도로 투과하는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형상 또는 부분에 상관 없이 거의 균일한 전자기파 투과 손실을 얻을 수 있으며,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지점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안테나용 하우징{HOUSING FOR SATELLITE TRACKING ANTENNA}
본 발명은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의 전파 대역에 대해서 광대역의 전파가 적은 투과손실을 가지며 투과할 수 있고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위치 또는 지점에 상관 없이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비, 눈, 바람 등의 기상현상 및 물리적인 충격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 위성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적인 하우징은 안테나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에 입사되는 위성 신호 즉, 전자파가 손실 없이 투과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하우징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 인하여 전자파 투과손실이 발생하며, 입사되는 전자파가 하우징과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안테나의 빔패턴(Beam Pattern)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이동체 위성방송 통신(수신과 송신 가능) 안테나용 하우징은 차량, 선박 등 이동체에 탑재된 위성안테나에 장착되므로, 위성에 대해서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위성에 대한 기울기 각도는 이동체가 위치하게 되는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위성안테나의 앙각(elevation angle) 운용 각도에 따라 -20도~+120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위성방송 통신 안테나는 이동체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항상 위성을 향하도록 앙각(Elevation) 방향으로 전자적으로 위성을 추적할 수 있다.
종래의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크게 단일층 하우징과 다층 하우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일층 하우징은 가공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전자파의 입사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이 되면 투과손실이 크기 때문에 이동체 위성방송 통신 안테나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일층 하우징은 다양한 대역의 전파가 투과할 수 없거나 또는 투과시 손실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즉, 단일층 하우징은 일정한 유전율 또는 유전상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한 전파 투과손실을 가질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일정한 대역의 전파만 투과할 수 있다. 만약, 다른 대역의 전파를 투과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파장 대역의 전파 투과손실을 줄일 수 있는 유전율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위성안테나가 탑재되는 이동체가 선박인 경우에는 위성안테나가 다양한 대역 또는 광대역의 전파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즉, 통신하기) 때문에 이러한 위성안테나에 장착되는 하우징 역시 다양한 대역 또는 광대역의 전파가 투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파 등의 전자기파가 동일한 각도로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투과하는 경우에도 동일 하우징의 형상 또는 모양, 곡률반경 등에 따라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이 달라지고 성능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대역 또는 광대역의 전파가 투과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파의 투과 손실을 줄이면서 기계적 강도의 저하는 방지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형태 또는 모양을 유지한 상태로 광대역의 전파가 투과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파가 동일한 각도로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투과하는 경우에도 동일 하우징의 형상 또는 모양, 곡률반경 등에 따라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의 차이가 크기 않고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위성안테나가 내부에 장착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위성안테나의 반사판을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위성안테나의 페데스탈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반구 모양으로 형성된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동일 입사각도로 투과하는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형상 또는 부분에 상관 없이 거의 균일한 전자기파 투과 손실을 얻을 수 있으며,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지점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높이에 대한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의 비는 1 보다 크고 1.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제2하우징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에 대한 상기 제2하우징의 직경의 비는 1.4 보다 크고 1.8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의 반경방향 가장자리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안전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 간극은 100mm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의 앙각이 최소일 때 상기 반사판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겹쳐지는 음영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1레이어; 상기 제1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2레이어; 상기 제1레이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3레이어; 상기 제2레이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3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4레이어; 및 상기 제3레이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4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5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및 상기 제5레이어는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 보다 큰 유전상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의 두께는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및 상기 제5레이어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및 상기 제5레이어는 동일한 제1유전상수를 가지고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는 동일한 제2유전상수를 가지며, 상기 제1유전상수는 상기 제2유전상수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전상수에 대한 상기 제2유전상수의 비는 0.2 내지 0.3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레이어의 두께는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5레이어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어와 상기 제5레이어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레이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5레이어의 두께의 비는 0.45~0.5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어와 상기 제4레이어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레이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레이어 또는 상기 제4레이어의 두께의 비는 1.5~5.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다양한 대역 또는 광대역의 전파가 투과손실을 줄이면서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전파의 투과손실은 줄이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서로 다른 전파 대역을 통과하는 이동체에 탑재되더라도 전파 대역이 바뀌는 경우에 하우징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전파 등의 전자기파가 동일한 각도로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투과하는 경우에도 동일 하우징의 형상 또는 모양, 곡률반경 등에 따라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이 달라지지 않고 일정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중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내에 설치된 위성안테나와 하우징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전파 대역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데이터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전파 대역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제1레이어, 제3레이어 또는 제5레이어의 두께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제2레이어 또는 제4레이어의 두께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중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내에 설치된 위성안테나와 하우징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전파 대역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전파 대역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제1레이어, 제3레이어 또는 제5레이어의 두께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제2레이어 또는 제4레이어의 두께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실험 데이터이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일반적인 레이돔(radome)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위성안테나(200)가 내부에 장착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에 있어서, 위성안테나(200)의 반사판(210)을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101) 및 위성안테나(200)의 페데스탈(230)이 장착되며, 상부 하우징(101)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0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2)이 체결되는 공간에 위성안테나(200)를 수용함으로써 이를 보호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2)은 대략 접시 모양으로 생긴 반면에 상부 하우징(101)은 위성안테나(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101)은 반구 모양(semi-spherical shape)으로 형성된 제1하우징(103) 및 제1하우징(103)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하우징(1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상부 하우징(101)은 제조의 편의를 위해서,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을 각각 제조한 후에 양자를 결합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구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1하우징(103)을 만들고, 원통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2하우징(104)을 만든 후에,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을 서로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상부 하우징(101)을 얻을 수 있다. 다만, 금형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하며,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을 서로 연결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부 하우징(101)과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1개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부 하우징(101)을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1)의 개부된 하단부를 통해서 금형과 상부 하우징(101)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금형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을 연결하는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상부 하우징(101)은, 제1하우징(103) 및 제2하우징(104)에 동일 입사각도로 투과하는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이 제1하우징(103) 및 제2하우징(104)에 대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의 모양이 다르지만 동일한 입사각도로 투과하는 전자기파의 제1하우징(103)을 통과할 때의 투과손실과 제2하우징(104)을 통과할 때의 투과손실은 서로 동일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레이돔의 경우에는 레이돔의 방향성에 따른 투과 손실이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레이돔이 거의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거의 구형의 레이돔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반구 모양의 금형을 2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반구 모양의 레이돔을 서로 결합하는 공정이 필요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모양이 다르더라도 하우징의 형상이나 방향성에 따른 전자기파 투과 손실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성에서 나온 전파(W1,W2)는 수평선에 대해서 동일한 입사각도로 상부 하우징(101)을 투과하게 된다. 이 때, 반구 모양의 제1하우징(103)을 통과하는 전파(W1)와 원통 모양의 제2하우징(104)을 통과하는 전파(W2)가 투과하는 상부 하우징(101)의 투과길이는 서로 다르다. 제1하우징(103)을 통과하는 전파(W1)의 투과길이가 제2하우징(104)을 통과하는 전파(W2)의 투과길이 보다 길다. 하지만, 전파(W1,W2)의 투과 손실은 큰 차이가 없고, 거의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01)을 거의 완전한 구 모양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여러 개의 금형을 이용할 필요도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형상 또는 부분에 상관 없이 거의 균일한 전자기파 투과 손실을 얻을 수 있으며,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의 지점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의 모양이 동일하지 않은데도 투과 손실의 차이가 없는 이유는 제1 및 제2하우징(103,104)의 단면 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103)의 높이(H1)는 제1하우징(103)의 직경(D)의 1/2과 동일하고, 제2하우징(104)의 직경은 제1하우징(103)의 직경과 동일하다.
제1하우징(103)의 높이(H1)는 제2하우징(104)의 높이(H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104)의 높이(H2)가 제1하우징(103)의 높이(H1) 보다 길게 형성되는 이유는 제1하우징(103) 내부에는 위성안테나(200)의 반사판(210)이 주로 위치하지만, 제2하우징(104) 내부에는 반사판(210)을 지지하는 기구부(미도시)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기구부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104)도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하우징(103)의 높이(H1)에 대한 제2하우징(104)의 높이(H2)의 비는 1 보다 크고 1.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104)의 높이(H2)는 제2하우징(104)의 직경(D)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하우징(104)의 높이(H2)는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의 전체 높이(H1+H2)가 제1 또는 제2하우징(103,104)의 직경(D) 보다 작지 않게 하는 값을 가져야 한다. 제1하우징(103)과 제2하우징(104)의 전체 높이(H1+H2)가 제1 또는 제2하우징(103,104)의 직경(D) 보다 작으면, 상부 하우징(101) 내부에서 반사판(210)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2하우징(104)의 높이(H2)에 대한 제2하우징(104)의 직경(D)의 비는 1.4 보다 크고 1.8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210)의 반경방향 가장자리와 제1하우징(103)의 내면 사이에는 안전 간극(G1)이 형성되고, 안전 간극(G1)은 대략 100mm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하우징(101) 내부에서 위성안테나(200)의 반사판(210)의 가장자리는 구형 경로(22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데, 반사판(210)과 제1하우징(103) 사이에 안전 간극(G1)이 없으면, 위성안테나(200)가 탑재되는 이동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반사판(210)과 제1하우징(103)이 충돌할 수도 있다.
반사판(210)의 앙각(elevation angle)이 최소일 때 반사판(210)이 하부 하우징(102)과 겹쳐지는 음영면적(G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210)이 가장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 반사판(210)의 하단 가장자리 일부는 상부 하우징(101)과 겹쳐지 않고, 하부 하우징(102)과 겹쳐지게 된다. 즉, 입사되는 전파의 직선 경로에 대해서, 반사판(210)의 하단 쪽으로 입사되는 전파는 상부 하우징(102)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 하우징(103)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103)을 통과해서 반사판(210)에 입사되는 전파는 위성안테나(200)에서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사판(210)과 하부 하우징(103)이 겹치는 부분(또는 면적)을 음역면적(G2)이라 한다.
여기서, 반사판(210)의 앙각이 최소일 때(즉, low elevation angle을 가질 때), 음영면적(G2)의 크기 또는 반사판(210)의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음영면적(G2)의 폭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제2하우징(104)이 원통 모양을 가지기 때문에 제2하우징이 원추 모양을 가지는 경우 보다 음영면적(G2)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단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은 도 4의 "A" 부분에 대한 상부 하우징(102)의 단면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레이어가 적층된 다층 하우징이다. 적층 형태에 따라 3개의 레이어(Layer)가 적층(Stack)되어 있는 형태의 하우징은 A타입 샌드위치(A type sandwich) 하우징이라 하고, 5개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의 하우징은 C타입 샌드위치(C type sandwich) 하우징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유전율 또는 유전상수가 큰 레이어와 작은 레이어가 교대로 또는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5개의 레이어가 적층된 C타입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5레이어(110,120,130,140,150)가 서로 접합 또는 밀착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제1레이어(110), 제1레이어(110)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2레이어(120), 제1레이어(110)와 대향하도록 제2레이어(120)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3레이어(130), 제2레이어(120)와 대향하도록 제3레이어(130)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4레이어(140) 및 제3레이어(130)와 대향하도록 제4레이어(140)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5레이어(1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C타입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용 하우징(100)은 5개의 레이어가 차례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제2레이어(120) 및 제4레이어(140) 보다 큰 유전율 내지 유전상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상대적으로 전기가 잘 흐르고 전자파가 잘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및 제4레이어(120,140)는 상대적으로 전기가 잘 흐르지 않지만 전자파가 잘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하우징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레이어이고, 제2 및 제4레이어(120,140)는 하우징의 전파 투과 손실을 낮추기 위한 레이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는 높게 유지하되 투과 손실을 낮추기 위해서 제1레이어(110)의 두께, 제3레이어(130)의 두께 및 제5레이어(150)의 두께는 제2 및 제4레이어(120,14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및 제4레이어(120,140)의 두께는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전파 투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층구조를 가지는 하우징은 다양한 대역의 위성 전파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등 통신할 수 있고 각 대역에 따른 전파 투과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하우징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C타입 샌드위치 구조의 하우징(100)의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동일한 제1유전상수(또는 제1유전율)를 가지고, 제2레이어(120) 및 제4레이어(140)는 동일한 제2유전상수(또는 제2유전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레이어(120) 및 제4레이어(14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되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유전상수는 제2유전상수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상대적으로 전기가 잘 흐르고 전자파가 잘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및 제4레이어(120,140)는 상대적으로 전기가 잘 흐르지 않지만 전자파가 잘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전상수에 대한 상기 제2유전상수의 비는 0.2 내지 0.3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의 유전상수가 제2 및 제4레이어(120,140)의 유전상수 보다 대략 4배 정도 크게 함으로써,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전체적인 전파 투과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광대역 전파에 대해 동일한 구조의 하우징을 사용하더라도 대역에 따른 투과 손실 차이가 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광대역에 대한 투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하우징의 기계적 강도는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각 레이어의 두께를 어떻게 설계하는지 중요하다.
우선, 제3레이어(130)의 두께는 제1레이어(110)의 두께 또는 제5레이어(150)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기계적 강도를 담당하는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및 제5레이어(150)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기 보다는 하우징(100)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5레이어(110,150)가 제3레이어(130)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5레이어(110,150)와 달리 제3레이어(130)는 하우징(100)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3레이어(130)는 기계적 강도 유지에 기여하는 바가 제1 및 제5레이어(110,150) 보다 작다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3레이어(130)를 제1 및 제5레이어(110,150)와는 다른 재질 즉, 유전상수가 제1 및 제5레이어(110,150)의 유전상수 보다 작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외면 내지 표면을 형성하는 제1레이어(110)와 제5레이어(150)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레이어(130)의 두께에 대한 제1레이어(110) 또는 제5레이어(150)의 두께의 비는 0.45~0.5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레이어(130)의 두께는 제1레이어(110)의 두께 또는 제5레이어(150)의 두께 보다 대략 2배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5레이어(110,150)의 두께를 가장 작게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00)의 표면의 강도를 크게 하되 강도가 큰 레이어에 의해 전파 투과 손실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레이어(110)의 두께, 제3레이어(130)의 두께 및 제5레이어(150)의 두께는 제2 및 제4레이어(120,14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레이어(120)의 두께는 제4레이어(14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제3레이어(130)의 두께에 대한 제2레이어(120)의 두께 또는 제4레이어(140)의 두께의 비는 4.5~5.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제3레이어(130) 보다 대략 4배 정도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제1레이어(110) 또는 제5레이어(150) 보다 대략 8배 정도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직포 및 레진을 함침하여 제조되는데, 함침되는 레진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베큠인퓨전(vacuum infusion) 공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큠인퓨전 공법을 이용하면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두께가 줄어 들게 된다. 따라서, 제3레이어(130)의 두께(t3)에 대한 제2레이어(120)의 두께(t2) 또는 제4레이어(140)의 두께(t4)의 비는 대략 1.5~5.5가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0)을 투과하는 전파의 파장을 "λ"라고 할 때, 제2레이어(120) 및 제4레이어(140)의 두께는 0.25λ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레이어(120)와 제4레이어(140)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전상수가 가장 낮은 제2 및 제4레이어(120,140)를 가장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전파 투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대역에 대해서도 투과 손실의 차이를 크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또는 제5레이어(150)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섬유(fiber glass), 강화유리섬유 또는 강화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대략 4 정도의 유전상수를 가지며, 비교적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한편,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부직포(non-woven fabric) 및 레진(resin)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부직포(121)에 레진(126,127)을 함침하여 형성되며, 레진층(A)과 부직포층(B)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베큠인퓨전 공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베큠인퓨전 공법을 이용하면, 함침되는 레진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함침되는 레진의 양이 줄어들수록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의 강도는 커지고 전파 투과 손실은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는 겔 코트(gel coat), 얀 클로스(yarn cloth) 또는 코어매트(core ma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코어매트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진(126,127)은 로스 탄젠트(loss tangent) 값이 작을수록 전파 투과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레진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비닐에스테르(vinyl ester), 에폭시수지(epoxy), 아크릴수지(acryl), 아크릴로니트릴수지(acrylonitrile), 아닐린수지(aniline), 알킬아미노수지(alkylamino), 이소옥탄(isooctane), AS수지(acrylonitrile styrene resin), 에틸셀룰로즈(ethylcellulose), 나일론(nylon), 에보나이트(ebonite), 염화에틸렌(ethylene chloride), 및 스티롤수지(styr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타입 샌드위치 구조의 하우징(100)에 대해서 각각의 전파 대역에 있어서의 전파 투과손실을 알아 보기 위한 시뮬레이션 데이터(simulation data)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파 대역 중에서 L밴드(1.450 ~ 1.800 ㎓), S밴드(2.170 ~ 2.655 ㎓), C밴드(3.400 ~ 4.800 ㎓), X밴드(6.700 ~ 7.750 ㎓) 대역(I)에서는 손실이 0.15dB 이하이고, Ku 밴드(10.700 ~ 12.750 ㎓) 대역(II)에서도 손실이 0.15dB 이하이며, Ka 밴드(17.700 ~ 21.200 ㎓) 대역(III)에서는 손실이 0.3dB 이하임을 알 수 있다. 즉, 대역(I)과 대역(II)에서는 손실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대역(III)에서도 손실이 다른 대역에서의 손실 보다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은 전파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투과 손실이 크지 않기 때문에, 선박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는 경우에도 광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는 도 6과 같은 C타입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를 사용하여 Ku 밴드와 Ka 밴드 전파 대역에서 전파를 통신하는 경우 즉, 수신하는 경우(Rx band) 및 송신하는 경우(Tx band)에 있어서 투과손실을 알아 보기 위한 실험 측정 데이터(measurement data)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Ku 밴드 대역에 있어서 수신 밴드(Rx band)와 송신 밴드(Tx band)에서의 손실 크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신 밴드에서의 손실 크기는 평균적으로 0.3dB 정도이고, 송신 밴드에서의 손실 크기는 평균적으로 0.5dB 정도이다.
도 9에는 Ka 밴드 대역에 있어서 수신 밴드(Rx band)에서의 손실 크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때의 손실 크기는 평균적으로 0.5dB 정도이다.
도 10에는 Ka 밴드 대역에 있어서 송신 밴드(Tx band)에서의 손실 크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때의 손실 크기는 평균적으로 0.3dB 정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도 6과 같은 C타입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Ku 밴드와 Ka 밴드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투과 손실이 대략 0.3dB~0.5dB 정도로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Ku 밴드와 Ka 밴드에 사용하더라도 투과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대역에 따른 투과 손실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대역 내지 광대역에 대해서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또는 제5레이어(150)의 두께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그래프는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또는 제5레이어(150)의 두께가 6개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 하우징(100)을 투과하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준다. 두께가 0.3mm인 경우(도 11에서 상대적으로 굵은 실선으로 표현된 그래프)가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투과손실이 대체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11의 그래프는 제1레이어(110), 제3레이어(130) 또는 제5레이어(150)의 두께가 얇을수록 투과손실이 적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의 두께 변화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그래프에서 rs는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의 두께를 의미한다.
도 12의 그래프는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의 두께가 6개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 하우징(100)을 투과하는 전파의 주파수에 따른 투과손실을 보여준다. 두께가 1.7mm인 경우(도 12에서 상대적으로 굵은 실선으로 표현된 그래프)가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투과손실이 대체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그래프를 따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100)의 제1 및 제5레이어(110,150)의 두께가 0.25mm이면, 제3레이어(130)의 두께는 0.5mm이고 제2 및 제4레이어(120,140)의 두께는 2mm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레이어(120) 및 제4레이어(140)는 함침되는 레진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베큠인퓨전(vacuum infusion) 공법에 의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제2레이어(120) 또는 제4레이어(140)의 최종적인 두께는 2mm 보다 작아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은 다층 레이어를 적층하여 형성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대역에서 동일한 하우징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의 모양에 따른 투과 손실의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위성안테나의 일정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101: 상부 하우징 102: 하부 하우징
103: 제1하우징 104: 제2하우징
110: 제1레이어 120: 제2레이어
121: 부직포 126,127: 레진
130: 제3레이어 140: 제4레이어
150: 제5레이어

Claims (14)

  1. 위성안테나가 내부에 장착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위성안테나의 반사판을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위성안테나의 페데스탈이 장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반구 모양으로 형성된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동일 입사각도로 투과하는 전자기파의 투과 손실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높이에 대한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의 비는 1 보다 크고 1.3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제2하우징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에 대한 상기 제2하우징의 직경의 비는 1.4 보다 크고 1.8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반경방향 가장자리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안전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 간극은 100m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앙각이 최소일 때 상기 반사판이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겹쳐지는 음영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제1레이어;
    상기 제1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2레이어;
    상기 제1레이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3레이어;
    상기 제2레이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3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4레이어; 및
    상기 제3레이어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4레이어의 일면에 밀착 형성되는 제5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및 상기 제5레이어는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 보다 큰 유전상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의 두께는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및 상기 제5레이어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및 상기 제5레이어는 동일한 제1유전상수를 가지고 상기 제2레이어 및 상기 제4레이어는 동일한 제2유전상수를 가지며,
    상기 제1유전상수는 상기 제2유전상수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전상수에 대한 상기 제2유전상수의 비는 0.2 내지 0.3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의 두께는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5레이어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와 상기 제5레이어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이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5레이어의 두께의 비는 0.45~0.5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어와 상기 제4레이어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3레이어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2레이어 또는 상기 제4레이어의 두께의 비는 1.5~5.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KR1020120086163A 2012-08-07 2012-08-07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KR10139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63A KR101398495B1 (ko) 2012-08-07 2012-08-07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US14/417,903 US20150263417A1 (en) 2012-08-07 2013-07-31 Satellite antenna housing
PCT/KR2013/006858 WO2014025156A1 (ko) 2012-08-07 2013-07-31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EP13827889.0A EP2884582A4 (en) 2012-08-07 2013-07-31 PARABOLIC ANTENNA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63A KR101398495B1 (ko) 2012-08-07 2012-08-07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969A true KR20140019969A (ko) 2014-02-18
KR101398495B1 KR101398495B1 (ko) 2014-05-27

Family

ID=5026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163A KR101398495B1 (ko) 2012-08-07 2012-08-07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29A1 (ko) * 2015-11-03 2017-05-11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 추적 안테나용 페데스탈 장치
WO2018004038A1 (ko) * 2016-06-30 2018-01-04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저회전중심을 구비하는 페데스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46B1 (ko) * 2023-04-11 2023-11-22 위월드 주식회사 가상 회전축 풀리를 이용한 안테나 회전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527A (ja) * 1994-01-28 1995-08-18 Alpine Electron Inc アンテナ装置
JP5654785B2 (ja) * 2010-06-28 2015-01-14 日鉄住金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回転駆動装置および電波レンズアンテ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29A1 (ko) * 2015-11-03 2017-05-11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 추적 안테나용 페데스탈 장치
WO2018004038A1 (ko) * 2016-06-30 2018-01-04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저회전중심을 구비하는 페데스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495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6763B (zh) 一种吸波透波一体化超材料天线罩及其应用
US8760359B2 (en) Radome of canape structure
EP1635187B1 (en) Millimeter wave radar with side-lobe absorbing radome
EP2615691B1 (en) Feed component for a microwave antenna
US6985120B2 (en) Reflector antenna with injection molded feed assembly
CN105706299A (zh) 用于微波天线的宽带天线罩
CN102480021B (zh) 一种前馈式卫星电视天线及其卫星电视接收系统
SG175893A1 (en) Radome for tracking antenna
KR101398495B1 (ko)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US11309632B2 (en) Low-loss and flexible curved or orthogonal transmission line-integrated multi-port antenna for mmWave band
KR101041852B1 (ko) 안테나 시스템의 레이돔 및 그 제조 방법
CN102723597B (zh) 超材料天线罩及天线系统
CN108539429B (zh) 一种用于金属载体的宽带全向斜极化天线
CN114639935A (zh) 一种用于实现双极化波束扫描的透镜天线
US11108149B2 (en) Radome, reflector, and feed assemblies for microwave antennas
JP5263957B2 (ja) レド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36104A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
EP2884582A1 (en) Satellite antenna housing
KR101877228B1 (ko) 복합재 결합 안테나
CN115395210A (zh) 一种低剖面宽带端射阵列蒙皮天线单元及天线阵列
CN103296410A (zh) 高增益超材料天线罩和天线系统
US11658419B2 (en) Antenna formed on flexible dielectric laminated body
KR20140019968A (ko) 선박 탑재 광대역 위성안테나용 하우징
JP2005244884A (ja) 積層周波数選択板及びアンテナレドーム並びに艦船用マスト
CN103296400A (zh) 高增益超材料天线罩和天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