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94A -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9194A KR20140019194A KR1020120085948A KR20120085948A KR20140019194A KR 20140019194 A KR20140019194 A KR 20140019194A KR 1020120085948 A KR1020120085948 A KR 1020120085948A KR 20120085948 A KR20120085948 A KR 20120085948A KR 20140019194 A KR20140019194 A KR 201400191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gesture
- vowel
- hangul
- key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ㆍ"(천) 및 "ㅡ"(지) 자판부와 자음자판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 하부에 인접하게 "ㆍ"(천) 자판을 하나 더 배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복자음(ㄲ,ㄸ,ㅃ,ㅆ,ㅉ)과 모음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신속한 한글 입력이 가능하면서도, 한글표기방식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방식으로 모음 입력을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 한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천지인의 자판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한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 터치와 제스처방식을 겸용하지 않고 제스처방식만을 사용하여 보다 리드미컬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복자음(ㄲ,ㄸ,ㅃ,ㅆ,ㅉ)과 모음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신속한 한글 입력이 가능하면서도, 한글표기방식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방식으로 모음 입력을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 한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천지인의 자판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한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 터치와 제스처방식을 겸용하지 않고 제스처방식만을 사용하여 보다 리드미컬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 복자음과 한글 모음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터치스크린에 배열되는 문자입력키는 한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천지인의 자판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복자음(ㄲ,ㄸ,ㅃ,ㅆ,ㅉ)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모음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되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정확한 한글표기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거의 모든 휴대폰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으로 바뀌는 추세이며, 따라서 기존의 입력키의 입력방식보다 보다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새로운 문자 입력 방식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 되고 있다.
특히, 한글의 경우 스마트기기에 가장 어울리는 문자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입증하는 입력방식으로는 삼성전자주식회사에서 개발된 천지인 방식의 자판 배열을 들 수 있다.
도 1은 천지인 방식 자판 배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천지인(天地人) 방식은 3개의 기본 형태 요소인 "ㆍ"(천), "ㅡ"(지) 및 "ㅣ"(인)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수의 키를 둘 수 밖에 없는 휴대전화나 좁은 터치 스크린 상의 화면에 키를 표시해야 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천지인 방식 자판의 경우, "ㆍ"(천), "ㅡ"(지) 및 "ㅣ"(인)이 단순히 자판의 상단 또는 하단의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을 뿐이어서 사용자는 어떤 모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 먼저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ㆍ"(천), "ㅡ"(지) 및 "ㅣ"(인)의 세 가지 요소로 분리한 후 천지인 방식 자판에 입력해야 할 순서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여러 번의 반복해서 키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아래 표 1을 살펴보면 천지인 방식에 따라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의 키 입력 회수를 알 수 있다.
한글 모음 | 키 조합 | 터치(키입력) 회수 |
ㅏ | l + ㆍ | 2 |
ㅑ | l + ㆍ + ㆍ | 3 |
ㅒ | l + ㆍ + ㆍ + l | 4 |
ㅖ | ㆍ + ㆍ + l + l | 4 |
ㅘ | ㆍ+ ㅡ + l + ㆍ | 4 |
ㅙ | ㆍ+ ㅡ + l + ㆍ + l | 5 |
이처럼 천지인 방식에 따라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많게는 5회의 키 입력을 해야 하고, 복모음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4회의 키 입력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시 삼성전자주식회사에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538248호는 "ㆍ"(천)의 양쪽에는 "ㅣ"(인)을 배열하고, "ㆍ"(천)의 상하에는 "ㅡ"(지)를 배열하여 이를 제스처 방식에 의해 한글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법은 천지인방식에 비해 적은 터치이긴 하지만 매우 자주 사용되는 모음, "ㅑ,ㅕ,ㅛ,ㅠ"를 입력함에 있어서 한번의 제스처와 한번의 터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두 번의 터치를 해야할 뿐만 아니라, 제스처방식을 기본으로 사용하면서도 너무 잦은 터치를 필요로 하는 입력방식이어서 사용자들이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없는 불편함을 갖는 것이다.
아래 표 2을 살펴보면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식에 따라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의 키 입력 회수를 알 수 있다.
한글 모음 | 키 조합 | 터치(키 입력) 회수 |
ㅏ | l + ㆍ (제스처) | 1 |
ㅑ | l + ㆍ(제스처) + ㆍ (터치) | 2 |
ㅒ | l + ㆍ (제스처)+ ㆍ + l(제스처) | 2 |
ㅖ | ㆍ + l(제스처) + ㆍ + l (제스처) | 2 |
ㅘ | ㆍ+ ㅡ(제스처) + l + ㆍ (제스처) | 2 |
ㅙ | (제스처)ㆍ+ ㅡ(제스처) + l + ㆍ + l (터치) | 3 |
또한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법은 "ㅖ"를 입력함에 있어 "ㅓ"를 두번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엄밀하게는 "ㅕ+ㅣ"로 입력하여야 하는 한글표기를 위배하는 것이어서 사용자들이 필기 순서를 파악하는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특히 자판의 배열이 한국의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천지인 방식이 아닌 자판 측면에 별도의 모음 자판을 형성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단점과 이로 인한 대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경우 문자 입력이 두 손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불편한 한글 입력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스크린에 배열되는 문자입력키는 한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천지인의 자판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되, 복자음(ㄲ,ㄸ,ㅃ,ㅆ,ㅉ)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는 방법과, 모음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되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정확한 한글표기방식으로 모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ㆍ"(천) 및 "ㅡ"(지) 자판부와 자음자판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 하부에 인접하게 "ㆍ"(천) 자판을 하나 더 배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ㆍ"(천) 및 "ㅡ"(지) 자판부와 자음자판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 하부에 인접하게 "ㆍ"(천) 자판을 하나 더 배열하되, 상기 하부 "ㆍ"(천) 자판의 좌측에는 "ㄱ" 자판, 하부 "ㆍ"(천) 자판의 우측에는 "ㄷ" 자판, 하부 "ㆍ"(천) 자판의 아래에는 "ㅅ" 자판, 하부 "ㆍ"(천) 자판의 아래 대각선방향으로는 "ㅂ" 자판 또는 "ㅈ" 자판이 배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ㆍ"(천) 및 "ㅡ"(지) 자판부와 자음자판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에는 자음 "ㄴ"이 표시되고, 하부 "ㆍ"(천) 자판에는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ㆍ"(천) 및 "ㅡ"(지) 자판부와 자음자판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ㄱ" 자판에 모음 "l(ㅡ)"이 표시되어 모든 모음을 터치하지 않고 제스처만으로도 입력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판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기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스처 확인부를 포함하는 한글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신호이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제스처로 판단하되 상기 모음 영역은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는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세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오른쪽에는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가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는 또 하나의 삐침영역, 즉 하부 삐침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스처방식에 의해 모음 및 복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결정하여, 결정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상기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선택하되,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상기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ㅑ",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ㅕ",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ㅛ" 및 상기 가로획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ㅠ"를 나타내는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b)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c)상기 결정된 한글 모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동작이 제스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2)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이면, 사용자의 동작을 제스처로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모음 영역은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는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세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오른쪽에는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가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는 또 하나의 삐침영역, 즉 하부 삐침 영역을 형성하여 제스처방식에 의해 모음 및 복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b)단계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결정하되,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상기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ㅑ",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ㅕ",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ㅛ" 및 상기 가로획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ㅠ"를 나타내는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본 발명은 기존 한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천지인의 자판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한글 복자음과 한글 모음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복자음(ㄲ,ㄸ,ㅃ,ㅆ,ㅉ)과 모음을 제스처방식으로 입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신속한 한글 입력이 가능하면서도, 한글표기방식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표 3을 참조하여 표 1과 표 2를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글 모음 | 키 조합 | 터치(키 입력) 회수 |
ㅏ | l + ㆍ (제스처) | 1 |
ㅑ | l + ㆍ + ㆍ (제스처) | 1 |
ㅒ | l + ㆍ + ㆍ + l (제스처) | 1 |
ㅖ | ㆍ+ ㆍ+ l + l(제스처) | 1 |
ㅘ | ㆍ+ ㅡ (제스처) + l + ㆍ(제스처) | 2 |
ㅙ | ㆍ+ ㅡ(제스처) + l + ㆍ + l (제스처) | 2 |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사용하던 천지인 자판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자판의 위치변화로 인한 사용자들의 혼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가장 빠른 입력방식인 제스처만을 이용하여 리드미컬하면서도 편안하게 한글모음입력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천지인 방식 자판 배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천지인 방식 자판 배열을 이용한 한글모음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의 모음영역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과 한글 복자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의 모음영역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종래 천지인 방식 자판 배열을 이용한 한글모음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의 모음영역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과 한글 복자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자판의 모음영역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장치의 블록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공지의 천지인 자판의 배열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은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자판(1), "ㆍ"(천) 자판(2) 및 "ㅡ"(지) 자판(4)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2) 아래쪽에 인접하게 하부 "ㆍ"(천) 자판(3)을 하나 더 배열하도록 함이 다르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ㆍ"(천) 자판(2)에는 자음 "ㄴ"이 더 표시되고, 하부 "ㆍ"(천) 자판(3)에는 자음 "ㄹ"이 더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ㄱ" 자판(100)에 모음 "l(ㅡ)"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모음을 제스처만으로도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글자판은 모음영역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모음영역이라함은 "ㆍ"(천) 자판에 대응하는 삐침 영역(2)과,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 "ㅣ"(인) 자판에 대응하는 세로획 영역(1) 및 삐침영역의 오른쪽에 "ㅡ"(지) 자판에 대응하는 가로획 영역(4),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역시 "ㆍ"(천) 자판에 대응하는 하부 삐침 영역(3), 세로획 영역과 가로획 영역에 모두 해당하는 "ㄱ" 자판(1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ㆍ"(천) 자판(3)의 좌측에는 "ㄱ" 자판(100), 하부 "ㆍ"(천) 자판(3)의 우측에는 "ㄷ" 자판(200), 하부 "ㆍ"(천) 자판(3)의 아래에는 "ㅅ" 자판(300), 하부 "ㆍ"(천) 자판(3)의 하부 대각선방향으로는 "ㅂ" 자판(400) 또는 "ㅈ" 자판(500)이 배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음자판(100,200,300,400,500)에서부터 하부 "ㆍ"(천) 자판에 이르도록 선을 긋는 제스처에 의해 복자음이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ㄱ" 자판(100)에서부터 하부 "ㆍ"(천) 자판(3)에 이르도록 손가락으로 선을 그으면 "ㄲ"이 표시되고, "ㅈ" 자판(500)으로 부터 하부 "ㆍ"(천) 자판(3)에 이르도록 손가락으로 선을 그으면 "ㅉ이 표시된다.
이는 기존 천지인 자판과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법이 세 번의 터치에 의해서만 복자음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상기와 같은 자판배열 및 한글입력방법에 의한 복자음 입력은 매우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천지인 자판에서 사용되는 3개의 기본 형태 요소, 즉 한글 모음의 세로획에 해당하는 "ㅣ", 한글 모음의 삐침에 해당하는 "ㆍ" 및 한글 모음의 가로획에 해당하는 "ㅡ"을 이용하되, "ㆍ"(천) 자판 아래쪽에 인접하게 하부 "ㆍ"(천) 자판을 하나 더 배열함으로써 기존 한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방식의 천지인의 자판배열에 의한 한글입력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한글 복자음과 한글 모음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한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 한글 모음 영역을 손가락(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한다)과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터치하여 모음을 입력하게 된다.
모음 영역을 터치하는 동작으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손가락으로 해당 키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touch)하는 동작과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영역에 걸쳐 선을 긋는 동작, 즉 제스처(gesture)라 한다.
터치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러운 평면이라는 점과 지시자로 사용되는 손가락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잘 미끌어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도입함이 빠른 입력을 위해 유리함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이처럼 본 발명 한글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11), 터치 영역 확인부(12), 제스처 확인부(13), 제스처 데이터베이스(14), 모음처리부(15), 모음저장부(16) 및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기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스처 확인부를 포함하는 한글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신호이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제스처로 판단하되 상기 모음 영역은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는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세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오른쪽에는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가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는 또 하나의 삐침영역, 즉 하부 삐침 영역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결정하여, 결정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상기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선택하되,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상기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ㅑ",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ㅕ",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ㅛ" 및 상기 가로획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ㅠ"를 나타내는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어떠한 영역에 걸쳐 사용자가 그은 선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대응하는 한글 모음이 결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해 어떻게 해서 가장 최선의 한글 모음의 입력과 제스처만으로 한글모음의 입력이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행에 도시된 큰 동그라미는 도 5에 도시된 모음 영역 중, 상부의 큰 동그라미는 삐침 영역(2)을 나타내고, 하부의 큰 동그라미는 하부 삐침 영역(3)을 나타내며, 상기 삐침 영역(2)의 왼쪽에는 세로획 영역(1)이 존재하고, 오른쪽에는 가로획 영역(4)이 존재한다. 또한 "ㄱ" 자판(100)은 필요에 따라 세로획 영역이 될 수도 있고, 가로획 영역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직선은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를 표현하고, 점은 최초 터치를 표현하며, 화살표는 제스처의 진행방향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모음 몇 개의 예를 들어 모음 입력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모음 "ㅏ"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세로획 영역(1)과 삐침 영역(2)에 걸쳐 직선을 긋는 제스처를 행함으로써 모음 "ㅏ"를 입력한다.
이처럼 세로획 영역(1)에서 삐침 영역(2) 방향으로 선이 그어지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입력된 제스처가 모음 "ㅏ"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하여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는 2번 키 입력을 해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의 제스처 동작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선을 긋는 방향은 실제 한글 모음을 쓰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다음 모음 "ㅑ"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세로획 영역(1)과 삐침 영역(2), 하부 삐침 영역(3)에 거쳐 선을 긋는 제스처만으로도 모음 "ㅑ"를 입력한다.
따라서, 모음 "ㅑ"를 입력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법에 의해서는 1번의 제스처와 1번의 터치를 해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없이 1회의 제스처 동작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다.
모음 "ㅖ"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하부 삐침 영역(3)으로 부터 삐침 영역(2)과 세로획 영역(1)을 지나 "ㄱ" 자판(100)까지 1번의 제스처동작을 하는 것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법에 의해서는 "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2번의 제스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더구나 이는 모음 "ㅓ"를 2번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삐침 2번 이후에 세로획을 두번 그어야 하는 정상적인 "ㅖ"자 입력 방식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특히 모음 "ㅞ"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로획 영역(4)에서부터 삐침 영역(2)과 하부 삐침 영역(3), "ㄱ" 자판(100)을 거쳐 세로획 영역(1)까지 돌아오는 제스처를 수행함으로써 입력가능하게 된다.
이는 터치 없이 1번의 제스처만으로 입력이 가능한 반면, 종래 특허등록번호 538248호 방법은 2번의 제스처와 2번의 터치가 이루어져야만 입력가능한 구성이다.
이처럼 종래의 자판처럼 제스처와 터치를 병행하는 것은 리드리컬하지 못하고, 습관화하기 곤란하며, 신속하고 자연스러운 모음입력이 곤란한 것인 반면 본 발명 자판은 모든 모음을 1번의 제스처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의 탁월한 기능성은 기존 제품과는 현격한 차이를 갖는 것이다.
단 상기 "ㄱ" 자판(100)으로 부터 하부 "ㆍ"(천) 자판(3)으로 제스처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ㅏ"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ㄱ" 자판(100)이 모음으로 인식되지 않고 자음으로 인식되어야만 복자음 "ㄲ" 입력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ㄱ" 자판(100)에서 상부에 있는 "ㅣ"(인) 자판(1)으로 제스처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른 모음영역으로 부터 "ㄱ" 자판(100)으로 제스처가 연속으로 이뤄지는 경우에만 "ㄱ" 자판(100)을 모음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11), 터치 영역 확인부(12), 제스처 확인부(13), 제스처 데이터베이스(14), 모음 처리부(15), 모음 저장부(16) 및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나타내는 신호, 예컨대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터치 영역 확인부(12)로 출력한다. 터치 동작이라면 하나의 좌표 신호가 출력될 것이지만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제스처이면 연속적인 좌표 신호가 출력된다.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터치 스크린(1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입력받아,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모음 영역이 아닌 자음 키 또는 숫자 기타 문자 키가 터치되었다면,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해당하는 자음 기타 문자를 터치 스크린(11)으로 출력하도록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를 제어한다.
그리고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모음 처리부(15)를 제어하여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모음이 만약 있다면 이를 삭제하도록 한다.
터치 영역 확인부(12)는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인 것으로 확인되면, 터치 스크린(11)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제스처 확인부(13)로 출력한다.
제스처 확인부(13)는 터치 영역 확인부(12)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를 나타내는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입력 신호가 하나의 좌표 신호가 아니라 연속적인 좌표 신호라면 제스처 확인부(13)는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를 나타내는 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스처 확인부(13)는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스처 데이터베이스(14)를 검색하여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읽어 들여 모음 처리부(15)로 출력한다. 예컨대, 세로획 영역(1)에 속하는 좌표로부터 삐침 영역(2)에 속하는 좌표까지 연속적인 좌표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제스처 확인부(13)는 제스처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하여 입력된 제스처가 모음 "ㅏ"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하여 모음 "ㅏ"를 나타내는 한글 모음 코드를 읽어 들인 후, 모음 처리부(15)로 출력한다.
제스처 데이터베이스(14)에는 제스처 또는 제스처와 터치의 결합에 해당하는 좌표의 값과 각각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가 쌍으로 저장된다. 만약, 제스처 확인부(13)로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가 아니라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한글모음 코드를 모음 처리부(15)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모음 처리부(15)는 모음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고, 모음 저장부(16)는 입력된 모음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모음 처리부(15)는 제스쳐 확인부(13)로부터 한글 모음 코드를 입력받으면,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선행 모음 코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모음 저장부(16)에 저장된 모음 코드가 있으면, 제스쳐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하여 모음 코드와 입력된 모음 코드를 합성하여 소정의 모음 코드를 문자 세트 데이터베이스(17)로 출력한다.
본 발명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a)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b)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c)상기 결정된 한글 모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동작이 제스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2)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이면, 사용자의 동작을 제스처로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모음 영역은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는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세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오른쪽에는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가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는 또 하나의 삐침영역, 즉 하부 삐침 영역을 형성하여 제스처방식에 의해 모음 및 복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결정하되,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상기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ㅑ",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ㅕ",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ㅛ" 및 상기 가로획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ㅠ"를 나타내는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소정의 한글 모음 영역이 표시된 터치 스크린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한다(제20 단계).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동작이라면 하나의 좌표 신호가 출력될 것이지만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제스처이면 연속적인 좌표 신호가 출력된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1 단계). 만약, 모음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키가 터치되었다면, 해당하는 자음 기타 문자를 결정하고(제22 단계), 만약 저장된 모음이 존재한다면 삭제한 후(제28 단계) 터치 스크린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제30단계).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이 모음 영역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를 나타내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3 단계). 입력 신호가 하나의 좌표 신호가 아니라 연속적인 좌표 신호라면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를 나타내는 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이면,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한다(제25 단계). 예컨대, 입력 신호가 세로획 영역(1)에 속하는 좌표로부터 삐침 영역(2)에 속하는 좌표까지 연속적인 좌표 신호라면, 입력된 제스처가 모음 "ㅏ"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된 신호가 제스처가 아니라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이면,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결정한다(제24 단계).
최종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모음 기타 문자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제30 단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는 한글 입력부(81), 자음 조합부(83), 모음 조합부(85) 및 음절 조합부(87)를 포함한다.
한글 입력부(81)는 한글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이 표시된 터치 스크린 또는 한글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 패드로 구현가능하다. 한글 입력 부(81)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자음 조합부(83)는 모음 조합부(85) 사용자가 입력한 자음을 조합하여 음절 조합부(87)로 출력한다. 모음 조합부(85)는 한글 입력부(8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모음을 조합하여 음절 조합부(87)로 출력한다.
음절 조합부(87)는 자음 조합부(83)로부터 출력된 자음과 모음 조합부(85)로부터 출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글 입력 장치및 방법은 특히 터치스크린에 기반한 임의의 모든 전자 기기,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 PMP, 노트북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세로획 영역 또는 "ㅣ"(인) 자판
2: 삐침 영역 또는 "ㆍ"(천) 자판
3. 하부 삐침 영역 또는 하부 "ㆍ"(천) 자판(3)
4. 가로획 영역 또는 "ㅡ"(지) 자판
100: "ㄱ" 자판
200: "ㄷ" 자판
300: "ㅅ" 자판
400: "ㅂ" 자판
500: "ㅈ" 자판
2: 삐침 영역 또는 "ㆍ"(천) 자판
3. 하부 삐침 영역 또는 하부 "ㆍ"(천) 자판(3)
4. 가로획 영역 또는 "ㅡ"(지) 자판
100: "ㄱ" 자판
200: "ㄷ" 자판
300: "ㅅ" 자판
400: "ㅂ" 자판
500: "ㅈ" 자판
Claims (8)
- 한글 자판 한 행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ㅣ"(인), "ㆍ"(천) 및 "ㅡ"(지) 자판부와 자음자판을 구비하는 천지인 한글자판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 하부에 인접하게 "ㆍ"(천) 자판을 하나 더 배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ㆍ"(천) 자판의 좌측에는 "ㄱ" 자판, 하부 "ㆍ"(천) 자판의 우측에는 "ㄷ" 자판, 하부 "ㆍ"(천) 자판의 아래에는 "ㅅ" 자판, 하부 "ㆍ"(천) 자판의 아래 대각선방향으로는 "ㅂ" 자판 또는 "ㅈ" 자판이 배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ㆍ"(천) 자판에는 자음 "ㄴ"이 표시되고, 하부 "ㆍ"(천) 자판에는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ㄱ" 자판에는 모음 "l(ㅡ)"이 표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저장하는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기 제스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 코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스처 확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상기 터치 영역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신호이면, 상기 터치 영역 신호를 제스처로 판단하되 상기 모음 영역은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는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세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오른쪽에는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가로획 영역을 포함하는 한글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는 또 하나의 삐침영역, 즉 하부 삐침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스처방식에 의해 모음 및 복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확인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상기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ㅑ",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ㅕ",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ㅛ" 및 상기 가로획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ㅠ"를 나타내는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 (a)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b)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c)상기 결정된 한글 모음을 출력하되 상기 (a)단계는 (a1)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이 모음 영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동작이 제스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2)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모음 영역에 선을 긋는 동작이면, 사용자의 동작을 제스처로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모음 영역은 중심에 한글 모음의 삐침을 나타내는 삐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삐침 영역의 왼쪽에는 한글 모음의 세로획을 나타내는 세로획 영역, 상기 삐침 영역의 오른쪽에는 한글 모음의 가로획을 나타내는 가로획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는 한글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삐침 영역의 아래쪽에는 또 하나의 삐침영역, 즉 하부 삐침 영역을 형성하여 제스처방식에 의해 모음 및 복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모음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 중, 선이 그어진 복수개의 영역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를 결정하되, 상기 (b)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상기 세로획 영역에서 상기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ㅑ",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세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ㅕ", 상기 하부 삐침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상기 가로획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ㅛ" 및 상기 가로획 영역에서 삐침 영역을 지나 하부 삐침 영역까지 그어진 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ㅠ"를 나타내는 제스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948A KR20140019194A (ko) | 2012-08-06 | 2012-08-06 |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948A KR20140019194A (ko) | 2012-08-06 | 2012-08-06 |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194A true KR20140019194A (ko) | 2014-02-14 |
Family
ID=5026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5948A KR20140019194A (ko) | 2012-08-06 | 2012-08-06 |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1919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9067A (ko) * | 2014-09-30 | 2016-04-08 | 정관선 | 한글 입력기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948A patent/KR201400191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9067A (ko) * | 2014-09-30 | 2016-04-08 | 정관선 | 한글 입력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74190B (zh) |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 |
TWI397001B (zh) |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 |
JP6681518B2 (ja) | 文字入力装置 | |
JP2017509080A (ja) |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 |
KR101204151B1 (ko)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 |
US20150317077A1 (en) |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 |
KR101568716B1 (ko) |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 |
KR20140019194A (ko) | 제스처 입력방식 휴대용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 |
JP3197051U (ja) | キー入力装置 | |
KR101921586B1 (ko) |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 |
KR100538248B1 (ko) |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00086975A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20100045617A (ko) |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101261128B1 (ko)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101255801B1 (ko) |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KR101157084B1 (ko) |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 |
KR101074457B1 (ko) |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 |
KR100951802B1 (ko) | 가이드 팝업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 장치 | |
KR102307004B1 (ko) |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 |
JP2014140236A (ja) | 文字データ入力装置 | |
US20220027046A1 (en) | Data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at are configured to switch display of character input buttons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s in two directions | |
KR20090009184A (ko) |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20120124835A (ko) | 한글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KR20110135700A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 |
KR20090011718A (ko) | 2차원 좌표 대응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