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90A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190A
KR20140019190A KR1020120085931A KR20120085931A KR20140019190A KR 20140019190 A KR20140019190 A KR 20140019190A KR 1020120085931 A KR1020120085931 A KR 1020120085931A KR 20120085931 A KR20120085931 A KR 20120085931A KR 20140019190 A KR20140019190 A KR 2014001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service information
information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682B1 (ko
Inventor
조형래
권지현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82B1/ko
Priority to IN1718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1718A/en
Priority to AU2013300320A priority patent/AU2013300320C1/en
Priority to CN201380046631.0A priority patent/CN104604202B/zh
Priority to US13/960,276 priority patent/US10498776B2/en
Priority to RU2015107547A priority patent/RU2015107547A/ru
Priority to EP13827634.0A priority patent/EP2880960B1/en
Priority to PCT/KR2013/007079 priority patent/WO2014025189A1/en
Publication of KR2014001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0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converged personal network application service interworking, e.g. OMA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s [CP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서비스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방식으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액세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UNIC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이메일(e-mail), 파일 공유(file sharing), 음성 통화, 영상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모바일 장치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다른 사용자들과의 연결성을 지향하고 각기 다른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고유의 ID(Identification) 및 채널 수립의 과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내에서 주소록에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팩스 번호, SNS 아이디 등을 함께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현재 모바일 장치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ID를 선택하면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는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다른 사용자와 연결된다. 이때,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여 다른 사용자와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해당 서비스에서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식별 정보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모바일 장치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특정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아이디를 알지 못할 경우에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특정 사용자와의 연결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타 사용자로부터 해당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아이디 정보를 요청할 수 밖에 없다.
모바일 장치 사용자는 특정 통신 서비스를 통해서 타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해서 해당 서비스의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알고 있어야 하므로 정보의 저장이나 관리 측면에서 복잡하다. 또한 타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추가적인 통신 동작이 요청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아이디로 연결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방식으로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액세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 정보 및 각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패키징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나열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UI 프레임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 결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배열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 요청으로써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경로를 연결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기능 중 이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활성화된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며, 검색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패키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게이트웨이로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을 포워딩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방식으로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 정보 및 각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패키징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하게 조정된 UI 프레임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 결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배열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요청으로써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가 선택되고, 상기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경로를 연결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기능 중 이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활성화된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며, 검색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패키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게이트웨이로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을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타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서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에 따른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2개인 경우의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4개인 경우의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정렬하여 생성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에 메시지 서비스의 서브세트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도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타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의 보다 구체적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3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기 결정된 형태의 아이콘, 윈도우, 버튼, 키패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바디에 구성되는 물리적인 버튼이나, 키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스마트 폰인 경우에,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숫자 키패드, 문자 키패드, 도형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의 해당 키패드를 터치하면, 입력부(11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인식하고, 이를 인식하여 입력 신호로 변환한다. 즉, 사용자가 숫자 키패드를 통해서 특정 전화 번호, 예를 들어 010-1234-5678 번호를 순차적으로 터치하면, 입력부(110)는 각각의 숫자 키패드에 의한 값을 인식해서 010-1234-5678을 액세스 요청 신호로 입력받는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 정보가 링크되어 있는 단축 버튼이나 특정 아이콘이 선택된면, 입력부(110)는 이를 액세스 요청 신호로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는 입력된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입력된 액세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지원하는 각종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각종 유/무선 랜이나, 셀룰러 통신 망,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장치 또는 외부 네트워크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셀룰러 통신 모듈, 무선 랜 모듈, 와이파이 모듈, 지그비 모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정보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이용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장치와 연결 여부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고,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 정보 및 각 외부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패키징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액세스 요청으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통신부(130)는 입력된 전화 번호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ID로 이용해서 외부 서버에 해당 ID를 갖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 여부를 검색할 것을 요청한다. 외부 서버는 해당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전화 번호를 갖고 있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의 동작 원리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서 외부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면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고, 세션 연결을 요청하고, 인증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세션 연결을 한다. 즉, 인증 절차가 완료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서 외부 서버와의 세션(session) 연결이 이루어진다. 세션 연결이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통신부(130)가 액세스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면, 외부 서버는 액세스 요청 신호에 의해서 식별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액세스 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이용 가능한 외부 장치를 검색하여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정보가 나열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UI 프레임은 그 크기 및 형태가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기 결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배열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아이콘을 포함하는 바탕 화면, 웹 브라우징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동영상, 사진 등과 같은 각종 컨텐츠 재생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감지부(미도시)와 표시부(미도시)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사용자 터치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표시부는 LC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액세스 신호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30)를 통해서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UI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어부(170)는 서비스 정보의 개수,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UI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서비스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방식으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액세스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아이디 정보를 통해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접속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다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아이디를 모르더라도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방법으로 통신 경로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타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개념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개념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네트워크 서버(200) 및 복수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1 내지 100-n)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서 네트워크 서버(200)와 통신 경로를 수립하고, 네트워크 서버(200)는 복수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1 내지 100-n)와도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0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의 인터넷 망(Internet network)을 중계하는 서버이다. 또는 네트워크 서버(200)는 인트라넷(Intranet)을 통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하고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기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액세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액세스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00)는 기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중 해당 액세스 요청 신호에 의해서 식별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1)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00)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네트워크 서버(200)는 기 가입한 사용자 단말 장치들(100, 100-1, 100-2, ... 100-n)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네트워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액세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액세스를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다(S310).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아이디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A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해당 전화 번호를 액세스 요청 신호로 인식하여, 해당 액세스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S320).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서 액세스 요청 신호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연결된 외부 장치의 상태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집한다.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서 수집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200)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330). 가령,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네트워크 서버(200)로 패킷 정보를 교환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에 대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디지털 처리하여 액세스하고자 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획득된 서비스 정보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 여부를 판단한다(S34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획득된 서비스 정보 중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서비스 정보를 제외하고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는, 팩스, 메신저, 이메일, SNS를 포함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4개의 서비스 정보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S340-Y).
만약, A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 중에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다면(S340-N),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없다는 알림을 포함하는 UI 프레임을 생성한다(S342).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별도의 UI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고, 액세스 요청 입력에 사용된 식별 ID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액세스 요청 신호로 전화 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입력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타 사용자에게 전화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이때 전화 연결 방식은 종전의 셀룰러 폰의 무선 전화 연결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로부터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UI 프레임을 생성한다(S350).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는 2개의 아이콘을 각각 생성하고, 2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UI 프레임을 생성한다. 2개의 아이콘은 바(bar) 형태의 아이콘이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의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2개의 아이콘이 정사각형 형태의 프레임을 갖는 아이콘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2개의 아이콘이 원형태의 프레임을 갖는 아이콘으로 상하 또는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개수가 증가하면,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레이아웃을 갖는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UI 프레임을 화면의 소정 영역 디스플레이한다(S360). 예를 들어, 생성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의 중간, 화면의 하부, 화면의 상부, 화면의 좌측부, 화면의 우측부 등 다양한 위치에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까지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따르면,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하나의 아이디만 알고 있어도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수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 서비스 종류가 확장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도 3에 도시된 통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구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와 구성은 상이하더라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도 응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서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에 따른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3에서 도시된 흐름도 중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단계(S340-Y) 이후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정렬하는 기준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344).
만약,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정렬하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344-N), 도 3에서 도시된 서비스 정보 개수에 따라 UI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S350)를 수행한다.
만약,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정렬하는 기준이 존재하는 경우(S344-Y), 정렬 기준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정렬한다(S346).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이메일, 전화 및 팩스일 경우에, 타 사용자가 이메일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고, 팩스의 경우에는 사용 빈도가 낮을 경우,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는 이메일, 전화, 팩스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또는, 타 사용자가 정렬 순서를 기 설정하여, 팩스, 전화, 이메일 순서로 우선순위를 정한 경우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는 팩스, 전화, 이메일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정렬 순위에 따라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S352). 즉,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 정보에 대해서는 UI 프레임의 가장 왼쪽에 배열하고, 우선 순위가 낮아질수록 UI 프레임의 오른쪽으로 배열된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서는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 정보를 UI 프레임의 오른쪽에 배열되도록 UI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 정보를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을 UI 프레임 크기 중 가장 많은 크기를 차지하도록 배열할 수 있고, 우선 순위에 따라 서비스 정보를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의 크기를 차등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S360). 가령, 생성된 UI 프레임은 화면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UI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UI 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2개인 경우의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제1 상태 표시창(151), 사용자 이미지(153), 제2 상태 표시창(155), 서비스 정보 UI 프레임(157-1, 157-2)이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의 패키징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패키징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용할 서비스를 선택하시오"라는 안내 메세지를 생성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개수를 판단하여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UI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기기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상태 표시창(151),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타 사용자 이미지(153),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제2 상태 표시창(155) 및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UI 프레임(157-1, 157-2)을 디스플레이부(150)에서 기 결정된 레이아웃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상태 표시창(151)은 시간, 배터리 잔량, 수신 감도 상태, 문자메세지 수신 상태, 통화 표시 상태 등을 나타내는 표시창이다. 이러한 제1 상태 표시창(151)은 스마트 폰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의 전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 사용자 이미지(15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서 기 설정한 이미지, 캐릭터, 애니메이션, 아바타(avartar)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 저장된 타 사용자의 이미지를 타 사용자 이미지(153)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기 설정된 타 사용자 이미지(153)는 타 사용자와 통신 경로를 형성할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상태 표시창(155)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할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정보창이다. 또한, 제2 상태 표시창(155)은 사용자가 이용할 서비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정보가 2개일 경우에 제1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1 UI 프레임(157-1)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2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2 UI 프레임(157-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1 UI 프레임(157-1) 및 제2 UI 프레임(157-2)은 직사각형의 바(ba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UI 프레임(157-1)과 제2 UI 프레임(157-2)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바 형태의 아이콘이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서비스 정보에 기초한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4개인 경우의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제1 상태창(151), 타 사용자 이미지(153), 제2 상태창(155)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서비스 정보가 4개일 경우에,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4개의 UI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1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1 UI 프레임(157-1), 제2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2 UI 프레임(157-2), 제3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3 UI 프레임(157-3) 및 제4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4 UI 프레임(157-4)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4 UI 프레임(157-1 내지 157-4)은 정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4 UI 프레임(157-1 내지 157-4)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아이콘이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서비스 정보에 기초한 해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UI 프레임들은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의 아이콘 형태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UI 프레임의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UI 프레임은 배열도 2X2 정방형 행렬 형태로 배열되었지만, 이외에도 1X4 행렬 형태로 배열되거나 일렬로 배열되고 복수의 UI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정렬하여 생성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창(151), 타 사용자 이미지(153), 제2 상태창(155)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UI 프레임들(157-1 내지 157-4)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4가지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다는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한 4가지 서비스 정보를 기 결정된 조건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정보를 기 결정된 조건에 따라 정렬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 중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고,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의 속성에 따라 기 결정된 기준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전화, 메시지(SMS), 팩스, 및 파일 전송인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4개의 서비스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사용 빈도수가 높은 서비스 정보를 최우선 순위 서비스로 정렬하고, 사용 빈도수가 낮은 서비스 정보를 낮은 순위 서비스로 정렬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전화 사용을 가장 많이 할 경우에, 전화 서비스 정보를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 정보로 정렬할 수 있다. 사용자 빈도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와 함께 각각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에 대한 타 사용자의 사용 빈도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타 사용자가 메시지 사용 빈도수가 가장 높고, 전화, 파일 전송, 팩스 순서로 빈도수가 정해지면, 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서비스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 상태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와이파이를 사용하여 접속해야 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해서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와이파이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없는 서비스 정보에 대해서는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3G 망에 대한 통신 강도가 높은 상황이라면, 3G 망을 사용하여 접속해야 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하고, 3G 망을 사용하여 접속할 수 없는 서비스 정보에 대해서는 우선 순위를 낮게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설정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정보의 우선 순위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 연결을 최우선 순위로 결정한 경우에,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메시지를 통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메시지 서비스 정보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서비스 정보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사전에 일괄적으로 부여할 수 있고, 이렇게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서비스 정보가 정렬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4개의 서비스 정보가 4개의 UI 프레임(157-1 내지 157-4)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4개의 UI 프레임 중에서 메시지 서비스를 선택하는 제스처를 하면(X), 해당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실행되거나 통합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서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에 메시지 서비스의 서브세트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제1 상태 표시창(151), 메시지 표시창(158), 서브 UI 프레임(159-1, 159-2, 159-3)을 포함하는 UI 프레임 세트(159), 및 키패드(16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50)의 메시지 표시창(158)에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 내용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키패드(160)를 통해서 메시지를 입력하고, 이렇게 입력된 메시지는 메시지 표시창(158)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서브 UI 프레임 세트(159)는 SMS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제1 UI 서브 프레임(159-1), 제1 SNS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제2 UI 서브 프레임(159-2), 및 제2 SNS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제3 UI 서브 프레임(159-3)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은 제1 UI 서브 프레임(159-1)을 실행하여 SMS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을 완성하고 전송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SMS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고, 네트워크 서버(200)는 해당 SMS 메시지를 전화 번호에 의해서 식별된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SNS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제2 UI 서브 프레임(159-2)을 실행하면, 제1 SNS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제1 SNS 서비스에 접속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타 사용자에게 정보를 남길 수 있다. 또는 제2 UI 서브 프레임(159-2)을 실행하더라도, 제1 SNS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해당 제1 SNS 서비스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 메시지 표시창은 그대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고, 메시지를 전송하게되면, 작성된 메시지는 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서 제1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하고, 제1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해당 메시지를 전화 번화에 의해서 식별된 타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타 사용자의 제1 SNS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해당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하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해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경로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통신 경로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접속이나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기 형성된 통신 경로를 통해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까지 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와 네트워크 서버(200) 사이의 세션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의 사용자는 네트워크 서버(200)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와의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의 액세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서버(200)에 연결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를 검색한다. 만약, 네트워크 서버(2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를 검색하지 못하면, 네트워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00)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를 검색하면, 네트워크 서버(2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와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의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외부 장치(300)와의 연결 상태를 분석한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홈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팩스(300-1), 메일서버(300-2), NAS(Network Access Server ; 300-3)의 연결 상태를 분석한다.
이때, 팩스(300-1)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와 유/무선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네트워크 서버(200)와 팩스(300-1) 사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메일 서버(300-2)는 타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메일 서버일 수도 있지만,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에 의해서 제공되는 상용의 메일 서버일 수도 있다. 또는 인트라넷 네트워크가 구축된 경우에는 인트라넷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메일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NAS(300-3)는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들의 컴퓨터 서버. 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백본의 인터페이스 기능, 로그인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의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해서 NAS(300-3)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NAS(300-3)로부터 인증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그 밖의 컴퓨터와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NAS(300-3)는 앞서 설명한 팩스, 메일 서버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라 NAS(300-3)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팩스, over-IP, 음성 메일 over-IP와 같은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 서버의 일종이다.
VoIP는 일반 전화 교환망(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인터넷 프로토콜(IP) 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한다. 즉, 음성이 디지털화되고, 전달 체계로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함으로써 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러한 VoIP 기술은 인터넷뿐만 아니라 사설 IP 기반망,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들의 복합망에서도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연결된 외부 장치(300)의 상태 분석을 완료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패키징 정보로 생성하여 이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로부터 수신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액세스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패키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의해서 액세스 요청 신호가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액세스 요청 신호에 의해서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기 결정된 주기로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비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 의해서 액세스 요청 신호가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2)가 외부 장치를 스캔해서 상태 정보를 패키징 정보로 생성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도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타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1)가 네트워크 서버(200)로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010). 네트워크 서버(200)는 액세스 요청 신호에 따라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로 해당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012). 이렇게 사용자 단말 장치(100-1)에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로 액세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외부 장치(300-1, 300-2, 300-3)의 연결 상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기 검색한 외부 장치 상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액세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즉각적으로 패키징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된 패키징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1)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각각의 외부 장치들에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S1020, S1022, S1024).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1)는 각각의 외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외부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상태 확인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들(300-1, 300-2, 300-3)은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받으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로 전송한다(S1030, S1032, S1034).도 10에서는 외부 장치들(300-1, 300-2, 300-3)이 모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전원이 켜져 있는 외부 장치는 상태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상태 확인 요청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외부 장치들(300-1, 300-2, 300-3)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외부 장치는 이용할 수 없는 외부 장치로 판단하게 된다.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서비스 정보와 해당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정보를 생성한다(S1040).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2)는 생성된 패키징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고(S1050), 네트워크 서버(200)는 패키징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동작할 경우의 사용자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30), 제어부(170) 및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통신부(13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서비스 정보 요청은 서비스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송하는 액세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이다.
제어부(170)는 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기능 중 이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활성화된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을 선택한다. 제어부(170)는 검색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패키징하여 패키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게이트웨이(미도시)로 서비스 정보 요청을 포워딩하고, 게이트웨이에서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르 이용한 통신 방법은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S1210),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20),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230) 및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240)를 포함한다.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한다(S1210).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는 외부 장치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무선 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무선 랜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방식뿐만 아니라 유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기 자체에서 지원하지는 않지만,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 중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는 요청을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220).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에는 어떤 것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장치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각각의 외부 장치에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 및 서비스 특징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서버(200)는 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의 보다 구체적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한다(S131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S132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기능 중 이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한다(S1330).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3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활성화된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며, 검색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패키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없는 경우(S1330-N),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없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키징 정보를 생성한다(S1332).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검색된 경우(S1330-Y),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해서 이를 패키징 신호를 생성한다(S134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신호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1350).
패키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5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게이트웨이로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을 포워딩하는 단계 및 게이트웨이에서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입력부
130 : 통신부 150 : 디스플레이부
151 : 제1 상태 표시창 153 : 타 사용자 이미지
155 : 제2 상태 표시창 157 : UI 프레임
159 : UI 서브 프레임 160 : 키패드
170 : 제어부 190 : 인터페이스부
200 : 네트워크 서버 300 : 외부 장치

Claims (16)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방식으로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액세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 정보 및 각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패키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나열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UI 프레임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 결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배열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 요청으로써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아이디가 선택되면, 상기 식별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경로를 연결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기능 중 이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활성화된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며, 검색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패키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게이트웨이로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을 포워딩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방식으로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연결된 외부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 정보 및 각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패키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이용한 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의 개수에 따라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하게 조정된 UI 프레임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 결정된 우선 순서에 따라 배열한 UI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요청으로써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가 선택되고,
    상기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경로를 연결하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4.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의 기능 중 이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활성화된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며, 검색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능에 대한 기능 정보를 패키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게이트웨이로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을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0120085931A 2012-08-06 2012-08-0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96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931A KR101967682B1 (ko) 2012-08-06 2012-08-0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IN1718DEN2015 IN2015DN01718A (ko) 2012-08-06 2013-08-06
AU2013300320A AU2013300320C1 (en) 2012-08-06 2013-08-06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CN201380046631.0A CN104604202B (zh) 2012-08-06 2013-08-06 用户终端装置及使用其通信的方法
US13/960,276 US10498776B2 (en) 2012-08-06 2013-08-06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RU2015107547A RU2015107547A (ru) 2012-08-06 2013-08-06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способ связи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EP13827634.0A EP2880960B1 (en) 2012-08-06 2013-08-06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PCT/KR2013/007079 WO2014025189A1 (en) 2012-08-06 2013-08-06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931A KR101967682B1 (ko) 2012-08-06 2012-08-0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90A true KR20140019190A (ko) 2014-02-14
KR101967682B1 KR101967682B1 (ko) 2019-08-19

Family

ID=5002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931A KR101967682B1 (ko) 2012-08-06 2012-08-0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98776B2 (ko)
EP (1) EP2880960B1 (ko)
KR (1) KR101967682B1 (ko)
CN (1) CN104604202B (ko)
AU (1) AU2013300320C1 (ko)
IN (1) IN2015DN01718A (ko)
RU (1) RU2015107547A (ko)
WO (1) WO2014025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974B2 (en) 2015-06-30 2021-08-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aveguide-coupled silicon-germanium photodetectors and fabrication methods for same
FR3081655A1 (fr) * 2018-06-13 2019-11-29 Orange Procede de traitement de messages par un dispositif d'un reseau de voix sur ip
ES2927296T3 (es) * 2019-01-15 2022-11-04 Ericsson Telefon Ab L M Prestación de servicios de comunicación utilizando conjuntos de dispositivos de 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7903A (ja) * 2005-11-28 2009-04-30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通信チャネル選択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110165889A1 (en) * 2006-02-27 2011-07-07 Trevor Fiatal Location-based operations and messag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37B1 (ko) 2000-02-25 2003-11-01 신광섭 인터넷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인터넷 교환 서비스 시스템
JP2001333188A (ja) 2000-05-19 2001-11-30 Fujitsu Ltd 通信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
JP4551546B2 (ja) * 2000-09-28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064418A1 (en) * 2002-07-19 2004-04-01 Arian Koster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online access from a terminal user to a content service
US7113776B2 (en) * 2002-08-30 2006-09-2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and application metadata filtering based on wireless device capabilities
JP2006514813A (ja) 2003-02-03 2006-05-11 コニンクリーケ・ケイピーエヌ・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能力を考慮したメッセージ・データ送信
US20060190825A1 (en) * 2005-02-24 2006-08-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ervices according to a context of use
US20070002367A1 (en) * 2005-06-29 2007-01-04 Eric Yua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remote device
US7653037B2 (en) * 2005-09-28 2010-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network access parameters
US20080057960A1 (en) * 2006-08-29 2008-03-06 Atte Lahtirant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014196A (zh) * 2007-02-09 2007-08-08 董崇军 一种动态号码系统
US20080263178A1 (en) * 2007-04-18 2008-10-23 Alcatel Lucent Cell phone remote access to personal computer applications
KR20090012606A (ko) * 2007-07-30 2009-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프린터 서버 및, 이를 이용하여 팩스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설 네트워크 시스템 그리고, 그들의방법
KR101442168B1 (ko) * 2007-11-05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즌스를 이용한 상대방 단말 정보 표시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BRPI0722360B1 (pt) * 2007-12-21 2019-12-10 Telecom Italia Spa método para possibilitar a um usuário que chama estabelecer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com um usuário chamado, equipamento de rede para habilitar um usuário que chama, e, sistema de comunicação
US8949278B2 (en) * 2008-02-27 2015-02-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tact information management
KR101560183B1 (ko) 2008-04-17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271025B2 (en) * 2008-10-20 2012-09-18 At&T Mobility Ii Llc Device network technology selection and display in multi-technology wireless environments
KR101490315B1 (ko) 2009-04-24 2015-02-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379B1 (ko) * 2009-05-07 2015-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신호 종류 별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1931903A (zh) * 2009-06-24 2010-12-29 李强 一种实名通信的移动电话终端和数据提供平台及通信方法
KR20110029553A (ko) * 2009-09-16 2011-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247421B2 (en) * 2009-10-30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56875B2 (ja) * 2010-03-17 2012-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設定画面の表示方法
KR101633366B1 (ko) * 2010-04-09 2016-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1931909A (zh) * 2010-08-23 2010-12-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3g终端的信息生成和获取方法、系统及3g终端
US20120075204A1 (en) * 2010-09-27 2012-03-29 Google Inc. Using a Touch-Sensitive Display of a Mobile Device with a Host Computer
KR101834937B1 (ko) * 2011-07-06 2018-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US9002322B2 (en) *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WO2014001837A1 (en) * 2012-06-29 2014-01-03 Agence Spatiale Européenne Multibea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satellite payload for carrying out such a method
US9245287B2 (en) * 2012-07-18 2016-01-26 Teletech Holdings, Inc.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with associates anywhere and notifications
US9426257B1 (en) * 2013-08-30 2016-08-23 Parallels IP Holdings GmbH Method for launching remote applications from a mobile device using cloud cach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7903A (ja) * 2005-11-28 2009-04-30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通信チャネル選択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110165889A1 (en) * 2006-02-27 2011-07-07 Trevor Fiatal Location-based operations and mess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07547A (ru) 2016-09-27
AU2013300320B2 (en) 2016-11-03
US10498776B2 (en) 2019-12-03
AU2013300320C1 (en) 2017-05-18
US20140040469A1 (en) 2014-02-06
WO2014025189A1 (en) 2014-02-13
EP2880960A1 (en) 2015-06-10
AU2013300320A1 (en) 2015-02-19
IN2015DN01718A (ko) 2015-05-22
CN104604202B (zh) 2019-05-03
EP2880960A4 (en) 2016-04-27
CN104604202A (zh) 2015-05-06
KR101967682B1 (ko) 2019-08-19
EP2880960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239B2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hotspot terminal and management terminal
US11671826B2 (en) Voice control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tegration
US10104066B2 (en) User logi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US1007037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WLAN
KR101292018B1 (ko) 단말의 리모트 시스템, 리모트 조작방법
KR101988192B1 (ko) 전자 장치 사이에서 상태를 전송하는 시스템
KR101292022B1 (ko) 단말의 리모트 서포트 시스템, 리모트 서포트 방법
KR102110741B1 (ko) Wi-Fi 핫스팟 추천 방법, 단말기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90200287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ccess Point and Hotspot and Terminal
WO2015062512A1 (zh) 一种内容共享的方法及装置
JP2015513815A (ja) デバイ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CN104333598A (zh) 基于二维码和网络适配的移动终端和web终端互连的方法
US20170104808A1 (en) Network appliance, feature phone, network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network appliance
KR10196768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2014003305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 mobile device
CA2879654C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CN107360634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0098343A (ja) 表示機能を備えたルータ及びこのルータを利用したシステム
CN106325986B (zh) 页面迁移方法及装置
CN115734392A (zh) 设备连接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WO2018081859A1 (en) Phone application (contact 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