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15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15B1
KR101490315B1 KR20090036196A KR20090036196A KR101490315B1 KR 101490315 B1 KR101490315 B1 KR 101490315B1 KR 20090036196 A KR20090036196 A KR 20090036196A KR 20090036196 A KR20090036196 A KR 20090036196A KR 101490315 B1 KR101490315 B1 KR 101490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435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09003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1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과, 제1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홈 게이트웨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는 통신서버;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HOME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망에 복수 개의 가전 또는 정보기기를 연결하여 복수 개의 가전 또는 정보기기가 상호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축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홈 네트워트는 가정 내 냉장고, 에어컨, 전등, 전자레인지, 난방기기 및 텔레비전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들 상호 간을 유무선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으로, 가정 내부에서는 가전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커뮤니케이션하고, 외부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가정 내부의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는 이더넷을 비롯한 전화선, 전력선,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통하여 구현된다.
한편, 종래에는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들을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통해 제어했으나, 근래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홈 네트워크 내 정보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홈 네트워크 내 가전기기를 제어해야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료를 부담해야하고,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증가로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을 경우,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겼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되, 이동통신단말과 홈 게이트웨이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는 통신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전송하는 제1제어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SMS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통화연결될 경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ARS 서버 및 상기 ARS 안내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3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는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각각에 대응되도록 생성하는 다수의 가상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서버는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를 생성할 시에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가상번호 간에 상호 연관성을 가지도록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전송하는 제1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서버는 상기 선택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SMS 서버 및 상기 수신자 번호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4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서버는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통화연결될 경우, 상기 통화연결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ARS 서버 및 상기 통화연결된 가상번호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가전기기와 상기 ARS 안내에 따라 선택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5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이동통신서버가 홈 게이트웨이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제어 문자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요청신호를 상기 이동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통화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다수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다수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 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제어 문자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수신자 번호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요청신호를 상기 이동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통화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서버가 상기 통화연결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에 가상번호가 할당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에 접속할 필요없이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또는 문자메시지로 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 가전기기마다 가상번호가 부여되면, 사용자는 각 가상번호를 가전기기명으로 이동통신단말에 저장하여 보다 쉽게 홈 네트워크의 가전기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100)과, 통신서버(110) 및 홈 게이트웨이(120)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100)과 통신서버(110)는 기지국(105)을 통해 연결되고, 홈 게이트웨이(120)는 다수의 가전기기(130)와 연결된다.
이동통신단말(10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신청신호를 통신서버(110)로 전송하고, 홈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통신서버(110)로부터 수신한다. 홈 네트워크는 홈 게이트웨이(120)와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130), 더 크게는 하나 이상의 홈 게이트웨이(120)를 제어하는 홈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홈 게이트웨이(120)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가상번호는 홈 게이트웨이(120)에 부여되는 이동통신번호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통신단말(100)은 통신서버(110)로부터 가상번호를 수신할 시에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가전기기(130)를 제어할 제어명령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00)은 사용자가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제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면, 제어 문자메시지를 통신서버(110)로 전송한다.
제어 문자메시지에는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되는데,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에 따른 제어명령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명령이 포함될 경우, 세미콜론, 콤마와 같은 문자부호나 특수기호를 통해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에 대한 제어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에 대한 제어명령을 하나의 문자열로 하여 각 문자열 간에 문자부호나 특수기호를 삽입하는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단말(100)은 사용자가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연결을 선택하면, 통화요청신호를 통신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100)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 및 홈 게이트웨이(120) 간의 제어신호에 대한 구분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100)이 통신서버(110)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제1제어신호로, 통신서버(110)가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제2, 제3, 제4 및 제5제어신호로 명기하도록 하겠다.
통신서버(110)는 가상번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100)이 전송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제1제어신호는 제어 문자메시지 또는 ARS 안내를 통해 선택된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해당된다.
통신서버(1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신서버(110)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와, SMS 서버(113) 및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서버(115)를 포함한다.
SMS 서버(113)는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서버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제어 문자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할 경우, 수신된 제어 문자메시지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전송한다.
ARS 서버(115)는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이동통신단말(100)이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하며, ARS 안내에 따라 선택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전송한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신청신호를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수신할 경우, 이동통신단말(100)을 홈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하고, 홈 게이트웨이(120)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가상번호는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신청신호는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130) 및 홈 게이트웨이(120) 접속 정보를 포함한 홈 네트워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별도의 통신단말(미도시)을 통해 자신의 홈 네트워크 정보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에 미리 등록시킬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100)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된 후에 홈 게이트웨이(120)를 제어할 수 있는 가상번호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로의 등록은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가전기기(130)가 변경되거나 홈 게이트웨이(120)가 변경되지 않는한 최초 한번 이루어지면 된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SMS 서버(113)로부터 제어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한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ARS 서버(115)로부터 이동통신단말(100)이 선택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할 경우,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3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홈 게이트웨이(120)는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제2제어신호, 제3제어신호 및 후술하는 제4제어신호와 제5제어신호 중 하나)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대상 가전기기(130)를 제어하여 제어대상 가전기기(130)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신청신호에 따라 가상번호를 생성할 시에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다수의 가 전기기(130)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가상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0)는 하나의 홈 게이트웨이(120)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들 간에 상호 연관성을 가지도록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다수의 가상번호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상번호를 11자리로 이루어지는 015-xxxx-xxxx의 이동통신번호라 가정하면, 처음 '015' 세자리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임을 나타내고, 중간 'xxxx'는 홈 게이트웨이(120)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이고, 끝 'xxxx'는 홈 게이트웨이(120)에 포함된 다수의 가전기기(130)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111'인 홈 게이트웨이(120)에 텔레비전,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보일러 등 5개의 가전기기가 포함된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순서에 따라, 015-1111-0001(텔레비전), 015-1111-0002(냉장고), 015-1111-0003(에어컨), 015-1111-0004(세탁기), 015-1111-0005(보일러)와 같이 연속적인 가상번호를 다수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생성된 다수의 가상번호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하되, 각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30)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
그 후,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제어 문자메시지를 SMS 서버(113)로부터 수신하면, 수신자 번호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를 판단하고, 제어 문자메 시지를 통해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4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다수의 가상번호 중 통화연결된 가상번호와 ARS 안내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을 ARS 서버(115)로부터 수신하면, 통화연결된 가상번호를 통해 제어대상 가전기기(130)를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ARS 안내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5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0)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청한다(S201).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이동통신단말(100)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신청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00)을 홈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하고, 이동통신단말(100)이 제어할 홈 게이트웨이(120)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생성하며(S203), 생성된 가상번호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205).
이동통신단말(100)은 사용자가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제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면, 제어 문자메시지를 SMS 서버(113)로 전송하고(S207), SMS 서버(113)는 이동통신단말(100)이 전송하는 제어 문자메시지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전송한다(S209).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S211)하여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며,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213).
한편, 상기 S203단계에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가상번호를 생성할 시에 가상번호가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130)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수의 가상번호와 각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30)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다수의 가상번호 중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고,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명령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100)이 제어 문자메시지를 SMS 서버(113)로 전송한다.
SMS 서버(113)는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제어 문자메시지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전송하고,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제어 문자메시지의 수신자 번호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를 판단하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4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100)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청한다(S301).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이동통신단말(100)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신청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00)을 홈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하고, 이동통신단말(100)이 제어할 홈 게이트웨이(120)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생성하며(S303), 생성된 가상번호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305).
이동통신단말(100)이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연결신호를 ARS 서버(115)로 전송하고, 이동통신단말(100)과 ARS 서버(115) 간에 통화연결되면(S307), ARS 서버(115)는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이동통신단말(100)이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제공한다(S309).
사용자가 ARS 안내에 따라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이동통신단말(100)을 통해 선택하면(S311), ARS 서버(115)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100)을 통해 선택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로 전송한다(S313).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그 제어대상 가 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3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315).
한편, 상기 S303단계에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가상번호를 생성할 시에 가상번호가 홈 게이트웨이(120)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130)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수의 가상번호와 각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30)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다수의 가상번호 중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연결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100)이 통화요청신호를 ARS 서버(115)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100)과 ARS 서버(115) 간에 통화연결이 되면, ARS 서버(115)는 통화연결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30)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111)는 통화연결된 가상번호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를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130)와 ARS 안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00)이 선택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5제어신호를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 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일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이동통신단말 110 : 통신서버
111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13 : SMS 서버
115 : ARS 서버 120 : 홈 게이트웨이
130 : 가전기기

Claims (15)

  1. 홈 게이트웨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가상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생성된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전송하는 제1제어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일 경우,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SMS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통화연결될 경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ARS 서버 및
    상기 ARS 안내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3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전기기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는
    상기 통신서버가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각각에 대응되도록 생성하는 다수의 가상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를 생성할 시에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가상번호 간에 상호 연관성을 가지도록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전송하는 제1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선택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는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SMS 서버 및
    상기 수신자 번호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4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통화연결될 경우, 상기 통화연결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ARS 서버 및
    상기 통화연결된 가상번호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가전기기와 상기 ARS 안내에 따라 선택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5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0. 통신서버가 홈 게이트웨이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통신서버가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이동통신단말에서 생성된 제어 문자메시지를 SMS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요청신호를 상기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통신서버가 통화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서버가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다수의 가전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서버가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번호를 다수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제어 문자메시지를 상기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서버가 상기 수신자 번호에 해당되는 가상번호로 가전기기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다수의 가상번호 중 선택된 가상번호를 수신자 번호로 하여 통화요청신호를 상기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통신서버가 통화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서버가 상기 통화연결된 가상번호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안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090036196A 2009-04-24 2009-04-2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6196A KR101490315B1 (ko) 2009-04-24 2009-04-2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6196A KR101490315B1 (ko) 2009-04-24 2009-04-2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35A KR20100117435A (ko) 2010-11-03
KR101490315B1 true KR101490315B1 (ko) 2015-02-05

Family

ID=4340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6196A KR101490315B1 (ko) 2009-04-24 2009-04-24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82B1 (ko) 2012-08-06 201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288B1 (ko) * 2003-01-13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망에서의 홈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4230A (ko) * 2005-01-19 2006-07-24 (주) 아이티비엠지 가상 도메인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98168A (ko) * 2006-03-31 2007-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879218B1 (ko) * 2005-01-19 2009-01-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288B1 (ko) * 2003-01-13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망에서의 홈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4230A (ko) * 2005-01-19 2006-07-24 (주) 아이티비엠지 가상 도메인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9218B1 (ko) * 2005-01-19 2009-01-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8168A (ko) * 2006-03-31 2007-10-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35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sitor call in home network system
KR100605189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EP25796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ousehold appliance control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14007932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731066A (zh) 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80055679A (ko) 가전 제어 장치 및 가전 제어 방법
NL1017054C2 (nl) Elektro-installatiesysteem.
KR20200053949A (ko)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24006403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a Sub-1 Gigahertz Reception Module via a Wi-Fi Communication Link
CN101827327A (zh) 一种基于ussd的智能家电远程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490315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5195463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80255446A1 (en) Remote access to an accessory device
EP2291016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an apparatus with a mobile telephone
JP2017017554A (ja) リモコン
KR20110134774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전화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6361B1 (ko)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JP20140227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600931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0795134B1 (ko) 가전장치 제어 할인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0879218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9995626A (zh) 智能家居设备接入方法及智能家居系统
KR10068268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달방법
KR100655372B1 (ko) 무선핸드셋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77762A (ko) 와이-파이 기능을 갖는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등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