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683A -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683A
KR20140018683A KR1020120085153A KR20120085153A KR20140018683A KR 20140018683 A KR20140018683 A KR 20140018683A KR 1020120085153 A KR1020120085153 A KR 1020120085153A KR 20120085153 A KR20120085153 A KR 20120085153A KR 20140018683 A KR20140018683 A KR 20140018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information
business card
terminal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오
Original Assignee
남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오 filed Critical 남윤오
Priority to KR102012008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8683A/ko
Publication of KR2014001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명함에 전자화폐가 결합하여 명함을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 상품권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서버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배포하는 배포자 단말과 명함을 수령하는 수령자 단말과 정보통신망에 연결된다. 서버는, 배포자 단말로부터 명함 신청 정보를 접수하고, 명함 기재 정보와 전자화폐 정보를 결합하여 명함 파일을 생성하여 명함을 제작한다. 배포자 단말로부터 전자화폐 금액 총액의 일부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수납하고, 배포자 단말 또는 수령자 단말로부터 전자화폐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게 된다. 이로부터 배포자는 전자화폐 전체 금액의 일부만을 예치하더라도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권 기능을 하는 명함 제작이 가능하므로 명함의 영업상 활용도가 높아진다. 또한 서버 운영자는 배포자는 물론 배포자로부터 명함을 수령한 다수의 수령자를 고객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 MONEY USING BUSINESS CARD COMBIND WITH ELECTRONIC MONEY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명함에 전자화폐를 결합하여 명함을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 상품권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명함(Business Card)은 개인의 성명, 회사명, 직업, 직급, 주소, 전화번호 등 다양한 정보가 종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의 카드에 인쇄한 것으로서, 명함을 배포하는 개인 또는 사업자(이하, '배포자')가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하거나, 이를 수령하는 다수의 자(이하, '수령자')에게 자신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왔다.
배포자 자신을 다수의 사람에게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명함을 배포하는 경우, 명함 수령자 중 대부분은 배포자가 자신에게 중요하지 않으면 수령한 명함을 폐기하거나 보관을 제대로 하지 않음으로써 명함에 의한 홍보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명함의 홍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00874호(발명의 명칭 : 쿠폰 명함을 이용한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시된 바 있었다. 이에 의하면, 배포자는 명함에 마일리지, 포인트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인쇄하여 배포하고, 수령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쿠폰에 따른 서비스를 받게 함으로써 명함에 대한 수령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홍보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쿠폰이 인쇄된 명함은 불특정다수를 상대로 하여 배포됨에 따라 배포자가 수령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혜택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배포자는 수령자의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홍보효과는 일회성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특히, 보험업, 자동차 세일즈업 등 상대방과의 지속적인 유대 관계가 필요한 직업에 종사한 배포자의 경우, 구매 가능성이 높은 수령자의 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나 배포자가 많은 수량의 명함을 배포하더라도 수령자는 자신의 정보를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매우 기피하므로 배포자에게 자신의 명함 제공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명함 배포만으로는 그 홍보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품권은 백화점, 극장, 할인매장, 서점 등에서 발행되어 액면 가격에 상당하는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무기명 유가 증권의 하나로서,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발행되는 이외에 최근 전자 상품권 형태로 발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상품권은, 그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발행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으로 제한되었으며, 무기명 증권의 속성상 상품권 발행자가 상품권 사용자에 대한 정보 확보는 기대할 수 없었다.
명함과 상품권을 결합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38698호는 명함에 아이디(ID)를 인쇄하고, 이 명함 수령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인쇄된 ID를 이용하여 상품권을 제공받는다. 이에 의하면 명함 수령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야만 상품권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상품권의 사용이 불편하였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1338호는 명함에 상품권에 관한 고유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표시하여, 명함 수령자가 쇼핑몰시스템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상품권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품권의 사용이 해당 쇼핑몰시스템으로 한정되므로, 상품권 사용 범위가 협소하므로 상품권으로서의 가치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배경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품권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의 제작 신청이 온라인 상으로 이루어지고, 전자화폐의 사용이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령자에게 직접적인 금전적 이득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수령자가 배포자에게 자신의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하여 전자화폐의 사용에 의한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서버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배포하는 배포자의 단말(이하, '배포자 단말')과 상기 명함을 수령하는 수령자의 단말(이하, '수령자 단말')과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배포자 정보, 명함 기재 정보, 및 전자화폐 금액 정보를 포함한 명함 신청 정보를 접수하는 명함 신청 접수부;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금액 총액 일부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수납하는 예치금 관리부; 상기 배포자 정보로부터 추출한 배포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금액 정보를 결합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명함 기재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정보를 결합하여 명함 파일을 생성하는 명함 제작부; 및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면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하고,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거나,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금 범위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한 후 상기 전자화폐 잔액을 갱신하는 전자화폐 관리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명함 신청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전자화폐 유효기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상기 사용 요청 신호의 수신이 상기 전자화폐 유효기간 이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치금 관리부는, 상기 예치금에서 상기 수령자 단말에 의한 상기 전자화폐 사용 승인 금액을 차감하여 예치금 정보를 갱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치금 관리부는, 갱신된 상기 예치금 잔액이 설정된 최소 금액 이하인 경우 상기 배포자 단말로 예치금 잔액 정보를 통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화폐 발행 번호,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고,
상기 전자화폐 정보의 수신은,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상기 수령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를 스캔 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명함 파일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명함에 인쇄될 수 있는 형태의 파일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명함 파일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을 포함하는 전송 가능한 형태의 파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명함 파일은, 상기 명함별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면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하고,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금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최대 금액 범위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을 승인한다.
이때, 상기 배포자 단말에 대한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또는 충전 승인이 있기 전,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배포자에게 필요한 수령자의 개인 정보(이하,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화폐 발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령자 단말의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한 후 상기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화폐 발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령자 단말의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아이디(ID)로서 상기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하고, 비밀번호(PW)로서 상기 명함 기재 정보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명함 신청 정보는 명함별로 복권 번호가 기재되도록 하는 복권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함 제작부는 상기 복권 선택 정보가 있으면 복권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명함 파일에 결합하고,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에서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권 번호와 특정 주기에 따라 발표되는 다른 복권의 당첨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당첨 여부를 결정하는 복권 관리부; 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상기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 신호 수신시 일정 금액씩 적립하고, 상기 수령자 단말에 적립된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당첨금으로 표시하고, 상기 복권 관리부는, 상기 복권번호가 상기 당첨 번호와 일치하면 당첨된 수령자의 전자화폐에 상기 당첨금을 충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명함 신청 정보는 배포자에게 필요한 수령자의 개인 정보(이하, '필요 수령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에서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상기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배포자 단말로 상기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방법은, 서버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배포하는 배포자의 단말(이하, '배포자 단말')과 상기 명함을 수령하는 수령자의 단말(이하, '수령자 단말')과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a)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배포자 정보, 명함 기재 정보, 전자화폐 금액 정보를 포함한 명함 신청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금액 총액 일부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수납하는 단계; (c) 상기 배포자 정보로부터 배포자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전자화폐 금액 정보와 결합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명함 기재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를 결합하여 명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수령자 단말에 상기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하는 단계; (g)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거나,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금 범위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및 (h) 상기 전자화폐 잔액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술한 전자화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의하면 배포자, 수령자 및 서버 운영자 입장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포자 측면에서, 전자화폐 전체 금액의 일부만을 예치하더라도 상품권 기능을 하는 명함 제작이 가능하므로 영업상 활용도가 높다.
또한 명함을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 사용 및 충전이 가능한 상품권으로 활용함으로써 수령자의 배포자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화폐의 사용 또는 충전에 앞서 필요 수령자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필요한 고객 정보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명함에 시중의 로또복권과 연동되는 복권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수령자의 흥미를 높임으로써,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에 따른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한 2인 이상의 수령자를 인맥 그룹으로 형성하여 고객 관리에 효과적이다.
둘째, 수령자 측면에서, 배포자로부터 수령한 명함에 결합된 전자화폐를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향유할 수 있다.
셋째, 서버 운영자 측면에서, 배포자에게 명함을 제작해 주는 대신 배포자의 회원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1인의 배포자에 의하여 배포되는 명함의 수는 수백 내지 수천 장에 이를 수 있으므로 명함을 수령한 다수의 수령자가 온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당수의 회원 가입이 이루어짐으로써 고객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배포자로부터 전자화폐에 대한 예치금을 유치할 수 있고, 전자화폐의 사용에 따른 수수료 수입이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명함 신청 접수부와 명함 제작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3은 배포자 단말 접속시 전자화폐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4는 도 3에서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 선택시 전자화폐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5는 도 3에서 전자화폐 충전 승인 요청 선택시 전자화폐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6은 수령자 단말 접속시 전자화폐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7은 예치금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8은 복권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9는 고객 정보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도 10은 인맥 관리부에서의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400)가 배포자 단말(100), 수령자 단말(200)과 정보통신망(30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배포자 단말(100)'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배포하는 배포자의 단말이고, '수령자 단말(200)'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수령한 수령자의 단말로서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전자화폐는 수령자 단말(200)이 서버(4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이외에, 수령자가 배포자를 상대로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품권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서버(400)는 크게, 명함 신청 접수부(410), 예치금 관리부(420), 명함 제작부(430), 전자화폐 관리부(440), 고객 정보 관리부(450), 복권 관리부(460), 인맥 관리부(470) 및 데이터베이스부(480)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베이스부(480)는 각 구성요소에서 획득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서 이루어지는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명함 신청 접수부(410)
명함 신청 접수부(410)에서는, 도 2와 같이, 배포자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제작 신청을 하기 위한 절차가 이루어진다.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제작하기 위하여 배포자는 배포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S100)하여 회원 가입한 후 일정한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S102). 인증이 완료된 배포자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된다.
그 후 배포자는 명함 제작을 위하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원하는 명함 프레임, 색상 등을 선택하거나, 자신이 직접 제작한 명함 프레임을 업로드 한다. 이러한 과정들은 명함 제작을 위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배포자는 명함 신청 정보, 구체적으로 1) 명함 기재 정보, 2) 전자화폐 신청 정보, 3)필요 수령자 정보 및 4) 제작 명함 수 등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명함 제작 신청을 완료하고(S106), 명함 신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S108).
여기서, '명함 기재 정보'는 배포자 자신의 성명, 회사, 직함, 직급, 회사 주소,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 일반적으로 명함에 기재되는 정보이다. 배포자가 자영업자인 경우 필요에 따라 성명을 생략하고 상호명과 주소, 전화번호 등만을 기재할 수도 있다.
'전자화폐 신청 정보'는 각 명함에 결합되는 전자화폐 금액 정보와, 전자화폐가 사용될 수 있는 전자화폐 유효기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화폐 유효기간 정보'는 배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명함 배포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함 배포의 효과가 떨어지며, 그 사이 배포자의 직업이나 명함 기재 사항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이다.
'필요 수령자 정보'는 수령자의 개인 정보 중 배포자에게 필요한 일부 정보만을 의미한다. 필요 수령자 정보는 기본적으로 수령자의 성명을 포함할 것이며, 수령자의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 직업, 연령대, 거주 지역, 성별, 보유 차종 등의 정보 중에서 적어도 1 이상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배포자가 보험업에 종사하는 경우 필요 수령자 정보는, 성명,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 연령대, 성별이 될 수 있다. 배포자가 자동차 세일즈업에 종사하는 경우 필요 수령자 정보는, 성명, 핸드폰 번호, 직업, 보유 차종, 보유 차종의 구입 시기 등이 될 수 있다. 배포자가 음식점, 커피전문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인 경우 필요 수령자 정보는, 성명, 핸드폰 번호와 생일 기념 이벤트를 위한 생일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명함 신청 정보는, 배포자가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포자는 보다 많은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명함별 전자화폐 금액이 크면 클수록 그만큼 필요 수령자 정보의 획득이 용이하다.
또한 명함 신청 정보는, 명함에 명함별로 서로 다른 복권 번호가 기재되도록 복권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령자의 흥미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명함 제작부(430)와 복권 관리부(46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예치금 관리부(420)
예치금 관리부(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 제작 신청을 접수하면서 전체 명함의 전자화폐 금액 총액 일부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수납(S110)하고, 입금자 정보, 입금 일자, 입금 금액 등에 관한 예치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S112).
이러한 예치금은, 수령자 단말(200)이 서버(4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으로, 수령자가 배포자를 상대로 오프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전자화폐 관리부(44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령자가 온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함에 따라 예치금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 예치금 관리부(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치금 정보를 갱신(S600)한다.
예치금 잔액이 기설정된 최소 금액 이하인가를 판단(S602)하여, 최소 금액 이하인 경우 배포자가 예치금을 추가적으로 납입할 수 있도록 배포자 단말(100)로 예치금 잔액을 통보(S604)한다.
예컨대, 예치금은 전자화폐 금액 총액의 10%로 할 수 있으며, 최소 금액으로서 명함 1개당 전자화폐 금액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배포자가 예치금을 추가 납입하지 않아 수령자가 온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수령자의 기대감이 속았다는 생각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배포자는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예치금을 작게 설정할수록 배포자의 경제적 부담이 완화되나 예치금 잔액 부족으로 인한 고객 관리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만약 예치금 잔액 부족으로 전자화폐를 사용하지 못한 수령자가 발생한 경우, 배포자 단말(100)로부터 추가적인 예치금 수납이 있게 되면 우선적으로 해당 수령자 단말(200) 또는 수령자의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수령자 연락처로 전자화폐의 사용이 가능함을 통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치금이 최소 금액 이상인 경우, 전자화폐의 유효기간이 만료한 지 여부를 판단(S606)한다.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전자화폐 사용 승인 전체 금액에 따라 예치금을 정산(S608)하고, 예치금 정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S610). 정산하고 남은 예치금은 배포자에게 반환(S612)함으로써 모든 정산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3. 명함 제작부(430)
명함 제작부(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된 배포자 정보로부터 '배포자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전자화폐 금액 정보'와 결합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한다(S114). 생성된 전자화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S116). 전자화폐 정보는 '전자화폐 금액 정보' 이외에 '전자화폐 유효기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화폐 정보는 영문 및/또는 숫자가 결합된 화폐 발행 번호, 바코드, QR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포함된 경우 수령자가 스마트기기 등을 이용하여 스캔 입력함으로써,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요청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명함 신청 정보에 복권 선택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복권 발행 여부를 판단(S118)하여, 복권 선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복권 번호를 생성한다(S120). 이때 생성되는 복권 번호는 명함별로 일치되지 않도록 난수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그 후, 전자화폐 정보는 명함 기재 정보와 상술한 복권 번호 정보를 결합하여 명함 파일을 생성(S122)하고, 명함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S122).
이때 명함 파일에 명함별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함으로써, 배포자는 배포된 명함의 수, 배포 시기 등을 쉽게 알 수 있어 명함 관리가 편리하다.
위와 같이 생성된 명함 파일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에 인쇄되는 명함(이하, '인쇄 명함')으로 제작(S126)하여, 배포자에게 발송(S128)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파일 형태로 전송되는 명함(이하, '온라인 명함')으로 제작하여 배포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130).
배포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온라인 명함은, 서버(400)에 접속하기 편리하도록 URL을 포함한 전송 가능한 파일 형태로 이루어진다. 배포자는 이러한 온라인 명함을 배포자 단말(100)을 통해 서버(400)에 접속한 후 수령자에게 이메일 또는 MMS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수령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온라인 명함을 수신하였다면, 모바일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온라인 명함을 배포자에게 직접 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수령자가 PC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온라인 명함으로 수신하는 경우, 온라인 명함의 URL을 통하여 서버(4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서버(400) 운영자가 포인트, 마일리지 관리 회사 등인 경우, 자신이 명함 제작 비용을 부담하는 대신, 다수의 수령자가 자시의 서버(400)에 접속하여 연계된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영화관 사이트, 백화점 사이트, 통신사 사이트 등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수수료 수입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배포자 입장에서는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의 제작에 따른 비용 부담이 최소화된다.
한편, 서버(400) 운영자는 명함에 기재되는 전자화폐 금액은 배포자가 예치하는 예치금 범위 내에서 수령자에게 지급이 가능하며, 전자화폐의 사용에 있어 유효기간이 있음을 고지함으로써 수령자가 불측의 손해를 입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전자화폐 관리부(440)
전자화폐 관리부(440)에서는 인쇄 명함 또는 온라인 명함을 수령한 수령자가 전자화폐를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가 이루어진다.
수령자의 전자화폐의 사용은 1) 배포자 단말(100)이 서버(4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전자화폐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2) 수령자 단말(200)이 서버(4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전자화폐를 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이하에서는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방법
명함 수령자가 대금 결제 수단으로서 배포자에게 명함을 제시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포자는 배포자 단말(100)이 서버(400)에 접속(S200)된 상태에서 수령자가 제시한 명함에 기록된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한다. 서버(400)는 화폐 발행 번호를 수신하고(S202) 전자화폐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이때, 전자화폐 정보가 화폐 발행 번호가 아닌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인 경우 배포자 단말(100)로 스캔 입력이 가능하다.
전자화폐가 유효하지 않으면 배포자 단말(100)로 사용 불가를 통보(S206)하고, 유효하면 배포자 단말(100)에 전자화폐의 잔액을 표시한다(S208).
전자화폐 잔액이 수령자가 결제하려는 금액 이상인 경우, 배포자는 배포자 단말(100) 상에서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요청을 선택한다(S300).
또는 수령자가 현금 또는 자신의 카드로 배포자에게 대금을 결제하거나, 전자화폐의 사용이 있은 후 배포자가 고객 관리 목적으로 수령자에게 전자화폐 금액을 보너스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배포자는 배포자 단말(100) 상에서 전자화폐 충전 승인 요청을 선택한다(S400).
즉, 배포자는 배포자 단말(100)을 통하여 수령자가 보유한 전자화폐의 금액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먼저, 배포자가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요청을 선택한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포자가 고객 관리 목적으로 수령자에게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여 수령자가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서버(400)는 배포자 단말(100)에 입력된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신(S302)하여 데이터베이스부(480)에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저장한다(S304). 만약, 수령자로부터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이 없더라도 후속 절차는 그대로 진행할 수도 있다.
그 후, 배포자 단말(100)로부터 사용 금액을 수신하고(S306), 수신된 사용 금액이 전자화폐 잔액 범위인가를 판단(S308)하여, 잔액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 승인 불가를 통보(S310)하고, 잔액 범위 이내인 경우 전자화폐 사용을 승인한다(S312). 그리고 전자화폐 잔액을 갱신(S314)하고, 배포자 단말(100)에 갱신된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한다(S316).
다음으로, 배포자가 전자화폐의 충전 승인 요청을 선택한 경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 선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요 수령자 정보의 확보를 위한 S402, S404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포자 단말(100)로부터 배포자가 수령자에게 부여하려는 충전 금액을 수신(S406)하면, 충전 금액이 설정된 최대 금액 범위인가를 판단(S407)하여 최대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배포자 단말(100)로 충전 불가를 통보한다(S410). 이때, '최대 금액'이란 서버(400) 운영자와 배포자간에 약정된 금액으로서, 예컨대 충전 가능한 총액을 예치금의 5배까지로 제한하거나, 건수별 충전 가능한 금액을 최초 전자화폐 금액의 5배까지로 제한할 수 있다.
충전 금액이 최대 금액 범위 이내인 경우 전자화폐 충전을 승인하고(S412), 전자화폐 잔액을 갱신(S414)한 다음, 갱신된 전자화폐 잔액을 배포자 단말(100)에 표시한다(S416).
2) 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방법
명함에 결합된 전자화폐를 사용하기 위한 수령자는 수령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한다(S500). 이때 수령자 단말(200)은 서버(400)에 직접 접속하거나, 다른 인터넷 쇼핑몰이나 인터넷 포인트 관리 업체 등의 서버에 접속한 후 결제 단계에서 연계된 본 발명의 서버(4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400)는 접속된 수령자 단말(200)로 하여금 회원 로그인을 하도록 하거나, 배포자가 명함 신청시 수령자가 '비회원 로그인' 상태에서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요청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수령자가 회원 로그인을 선택하는 경우(S502), 수령자는 회원 가입 및 인증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서버(400)는 이 과정에서 수령자의 개인 정보로 이루어진 수령자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령자는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필드에 전자화폐 정보를 포함하는 화폐 발행 번호를 직접 입력(S504)함으로써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을 하게 된다.
비회원 로그인을 선택하는 경우(S506) 회원 가입이나 인증 절차가 생략되며, 수령자는 ID로서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S508)하고, PW로서 수령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명함 기재 정보 중 기설정된 정보를 입력(S510)함으로써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 '기설정된 정보'는 명함 배포자의 성명이나, 배포자 핸드폰 뒷자리에 해당하는 4자리 숫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비회원 로그인의 경우 수령자는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부담이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원 로그인 또는 비회원 로그인 한 수령자 단말(200)로부터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전자화폐 관리부(440)는 사용 요청된 전자화폐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12).
판단 결과, 만약 전자화폐 잔액이 없거나 유효기간이 경과되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수령자 단말(200)로 사용할 수 없음을 통보한다(S514). 전자화폐가 유효한 경우,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한다(S516).
그 후, 전자화폐에 복권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S518)하여 복권 번호를 수령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S700), 후술하는 복권 관리부(460)에서 당첨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는 수령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는 한편, 후술하는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에 있어서 수령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그 후, 전자화폐 관리부(440)는 수령자 단말(200)로 필요 수령자 정보를 배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동의하는 여부를 확인한다(S520). 만약, 수령자가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을 동의하지 않는 경우, 전자화폐 관리부(440)는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없음을 통보한다(S522).
수령자가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을 동의하면,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신(S524)하여 데이터베이스부(480)에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저장(S526)하고,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한다(S528). 그러나 서버(400) 운영자는 정책상 필요에 따라 수령자가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을 동의하지 않더라도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함으로써 배포자에 대한 수령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령자가 수령자 단말(200)을 통하여 전자화폐를 사용하게 되면 전자화폐의 잔액 정보을 갱신(S530)하고, 사용된 전자화폐 금액만큼 예치금에서 차감하고, 이러한 예치금 정보를 갱신(S600)하여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 그리고 갱신된 전자화폐 잔액을 수령자 단말(200)에 표시한다(S532).
한편, 전자화폐의 사용 내역은 수령자 단말(200)이 접속한 다른 인터넷 쇼핑몰이나 인터넷 포인트 관리 업체 등의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3) 구체적인 전자화폐 사용예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화폐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전자화폐 잔액과 예치금의 변동을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심적을 경영하는 배포자가 전자화폐 금액 총액인 1,000,000원에 대하여 예치금으로서 그 10%에 해당하는 100,000원을 납부하고, 명함별로 액면가 10,000원의 전자화폐 금액이 기록된 명함 100개를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명함 수령자 중 1인이 배포자의 음식점을 방문하여 음식 가격으로 7,000원을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전자화폐의 금액은 10,0000원에서 7,000원이 차감되어 잔액은 3,000원이 되며, 예치금은 변동이 없다. 그리고 배포자는 수령자에 대한 고객 관리 목적으로 수령자가 사용한 금액 7,000원의 10%에 해당하는 700원을 수령자의 전자화폐에 충전함으로써 수령자의 전자화폐 잔액은 3,700원이 된다.
이어서, 수령자가 수령자 단말(200)을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여 서버(400)와 연계된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품 구입 비용으로 2,000원을 전자화폐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최초 예치금 100,000원에서 2,000원이 차감되어 예치금 잔액은 98,000원이 되고, 전자화폐 잔액은 3,700원에서 2,000원이 차감되어 1,700원이 된다. 이때, 서버(400) 운영자와 배포자 사이에 온라인 상에서 전자화폐 사용 금액에 따른 수수료를 부가하기로 약정하고, 그 수수료율을 1%로 정했다면, 해당 수수료는 20원이 되며 배포자의 예치금 잔액은 97,980원이 된다.
5. 고객 정보 관리부(450)
고객 정보 관리부(450)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또는 충전 승인 과정에서 필요 수령자 정보를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한다.
'필요 수령자 정보'를 열람하기 위하여 배포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포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S800)한 후, 필요 수령자 정보 열람을 위한 신청을 접수한다(S802). 그 후 고객 정보 관리부(450)에서는 배포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필요 수령자 정보를 검색(S804)하여,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S806)한다. 매칭되는 정보가 없는 경우 배포자 단말(100)로 이를 통보(S808)하고,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수령자에 의한 전자화폐의 사용 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0).
전자화폐의 사용 내역이 없으면, 배포자 단말(100)로 이를 통보(S812)하고, 사용 내역이 있으면 배포자 단말(100)로 필요 사용자 정보와 전자화폐의 사용 금액을 출력한다(S814). 이로부터 배포자는 명함 제작 신청시 선택한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전자화폐의 사용 금액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수령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전자화폐의 구체적 사용 내역은 배포자 단말(100)로 제공하지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포자 단말(100)로부터 필요 수령자 정보 열람 신청이 없더라도, 수령자 단말(200)로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이 있는 경우 배포자 단말(100)로 필요 수령자 정보를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등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전자화폐 사용 금액과 예치금 잔액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배포자 단말(100)로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외에, 2 이상의 수령자를 하나의 인맥 그룹으로 생성하는 인맥 관리부(470)를 부가함으로써 배포자에게 보다 나은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6. 복권 관리부(460)
복권 관리부(4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화폐가 유효한 경우 복권 번호가 있는지를 판단(S216)하여, 복권 번호를 데이터베이스부(480)에 저장(S500)한다.
구체적으로 복권 관리부(4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권 번호를 저장(S700)하고, 서버(400) 운영자는 일정 금액을 적립한다(S702). 이때 당첨금은 적립된 금액 전부 또는 일부로 할 수 있다. 적립금 일부를 당첨금으로 하는 경우 나머지 당첨금은 다음 회차 당첨금으로 이월한다. 이때 적립금은 수령자 단말(200)로부터 유효한 전자화폐 사용 신청이 많아질수록 당첨금의 누적 금액은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를 수령자 단말(200)에 표시한다(S704). 이로부터 수령자의 관심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그 후, 연동되는 다른 복권의 추첨일까지 대기(S706)하여, 복권 번호가 다른 복권의 당첨 번호 예컨대, 해당 주간의 로또 복권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8).
복권 번호가 당첨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령자 단말(200)로 낙첨 결과를 통보(S710)하고, 일치하는 경우 해당 수령자의 전자화폐에 당첨금을 충전(S712)하거나, 서버(400)에서 당첨금에 해당되는 포인트 등을 제공하며, 수령자 단말(200)로 당첨과 함께 당첨금 지급 사실을 통보한다(S714). 만약 당첨자가 없는 경우, 로또 복권과 같이 당첨금은 이월된다.
7. 인맥 관리부(470)
인맥 관리부(4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정보 관리부(450)에서 배포자 단말(100)로 2 이상의 필요 수령자 정보의 제공(S314)이 있는 경우 인맥 관리 여부를 판단(S816)하고, 인맥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2 이상의 수령자를 배포자의 인맥 그룹의 생성한다(S900). 이는 배포자로 하여금 수령자들에 대한 고객 관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필요 수령자 정보를 확보한 이후에 지속적인 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해 부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인맥 관리부(470)에 의해 인맥 그룹이 형성된 경우 배포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효율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다.
첫째, 배포자는 인맥 그룹에 포함된 수령자의 필요 수령자 정보가 확보된 상태이므로, 필요 수령자 정보에 포함된 수령자의 핸드폰, 이메일 주소 등으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400)에서 별도의 메신저 서버를 설치하여 배포자와 수령자 사이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둘째, 배포자는 인맥 그룹이 형성된 수령자를 상대로 수령자가 보유하고 전자화폐에 일정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맥 관리부(470)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맥 그룹이 생성(S900)된 후, 배포자가 인맥 그룹에 속한 수령자 중 특정 수령자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포자 단말(100)을 통하여 해당 수령자 단말(200)로 충전 금액을 제공해 줄 것을 서버(400)에 요청한다(S902). 서버(400)는 충전 금액이 기설정된 최대 금액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S904)하고, 최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불가를 통보(S906)한다. 여기서 '최대 금액'은 전자화폐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경우 전자화폐 충전 승인 요청시에 설정한 최대 금액과 동일하게 정할 수 있다.
최대 금액 범위 내인 경우 서버(400)는 배포자 단말(100)에서 요청한 수령자 단말(100)로 전자화폐에 요청한 금액만큼 충전한다(S908). 서버(400)는 배포자가 미리 선택한 SMS, MMS 또는 이메일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령자에게 충전된 사실을 통보(S910)하고, 배포자 단말(100)로도 충전 완료 사실을 통보(S912)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자화폐 관리 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이와 균등의 범위에 있는 변형물 내지 치환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하므로 이를 관리하기 위한 마일리지나 포인트 관리업, 명함 제조업 이외에 전자화폐가 사용되는 전자상거래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0 : 배포자 단말 200 : 수령자 단말
300 : 정보통신망 400 : 서버
410 : 명함 신청 접수부 420 : 예치금 관리부
430 : 명함 제작부 440 : 전자화폐 관리부
450 : 고객 정보 관리부 460 : 복권 관리부
470 : 인맥 관리부 48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7)

  1. 서버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배포하는 배포자의 단말(이하, '배포자 단말')과 상기 명함을 수령하는 수령자의 단말(이하, '수령자 단말')과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배포자 정보, 명함 기재 정보, 및 전자화폐 금액 정보를 포함한 명함 신청 정보를 접수하는 명함 신청 접수부;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금액 총액 일부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수납하는 예치금 관리부;
    상기 배포자 정보로부터 추출한 배포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금액 정보를 결합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명함 기재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정보를 결합하여 명함 파일을 생성하는 명함 제작부; 및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면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하고,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거나,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금 범위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한 후 상기 전자화폐 잔액을 갱신하는 전자화폐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신청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전자화폐 유효기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상기 사용 요청 신호의 수신이 상기 전자화폐 유효기간 이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치금 관리부는,
    상기 예치금에서 상기 수령자 단말에 의한 상기 전자화폐 사용 승인 금액을 차감하여 예치금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치금 관리부는,
    갱신된 상기 예치금 잔액이 설정된 최소 금액 이하인 경우 상기 배포자 단말로 예치금 잔액 정보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화폐 발행 번호,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고,
    상기 전자화폐 정보의 수신은,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상기 수령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를 스캔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파일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명함에 인쇄될 수 있는 형태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파일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을 포함하는 전송 가능한 형태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파일은,
    상기 명함별 일련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면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하고,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금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최대 금액 범위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충전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자 단말에 대한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 승인 또는 충전 승인이 있기 전,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배포자에게 필요한 수령자의 개인 정보(이하,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화폐 발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령자 단말의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한 후 상기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정보는 화폐 발행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수령자 단말의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아이디(ID)로서 상기 화폐 발행 번호를 입력하고, 비밀번호(PW)로서 상기 명함 기재 정보 중 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신청 정보는 명함별로 복권 번호가 기재되도록 하는 복권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함 제작부는 상기 복권 선택 정보가 있으면 복권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명함 파일에 결합하고,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에서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권 번호와 특정 주기에 따라 발표되는 다른 복권의 당첨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당첨 여부를 결정하는 복권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는, 상기 전자화폐 사용 승인 요청 신호 수신시 일정 금액씩 적립하고, 상기 수령자 단말에 적립된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당첨금으로 표시하고,
    상기 복권 관리부는, 상기 복권번호가 상기 당첨 번호와 일치하면 당첨된 수령자의 전자화폐에 상기 당첨금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신청 정보는 배포자에게 필요한 수령자의 개인 정보(이하, '필요 수령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화폐 관리부에서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상기 필요 수령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배포자 단말로 상기 필요 수령자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16. 서버가,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배포하는 배포자의 단말(이하, '배포자 단말')과 상기 명함을 수령하는 수령자의 단말(이하, '수령자 단말')과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화폐를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a)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배포자 정보, 명함 기재 정보, 전자화폐 금액 정보를 포함한 명함 신청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화폐 금액 총액 일부에 해당하는 예치금을 수납하는 단계;
    (c) 상기 배포자 정보로부터 배포자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전자화폐 금액 정보와 결합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명함 기재 정보와 상기 전자화폐를 결합하여 명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배포자 단말 또는 수령자 단말에 상기 전자화폐 잔액을 표시하는 단계;
    (g) 상기 배포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거나, 상기 수령자 단말로부터 사용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금 범위에서 상기 전자화폐의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및
    (h) 상기 전자화폐 잔액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관리 방법.
  17. 제16항의 전자화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85153A 2012-08-03 2012-08-03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40018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53A KR20140018683A (ko) 2012-08-03 2012-08-03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153A KR20140018683A (ko) 2012-08-03 2012-08-03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683A true KR20140018683A (ko) 2014-02-13

Family

ID=5026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153A KR20140018683A (ko) 2012-08-03 2012-08-03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86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11B1 (ko) * 2018-06-08 2019-08-13 이상열 디지털 화폐, 디지털 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및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그 방법
KR102027728B1 (ko) * 2019-02-08 2019-10-01 이상열 기능성 디지털화폐 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17348A (ko) 2018-04-06 2019-10-16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348A (ko) 2018-04-06 2019-10-16 주태영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KR101969011B1 (ko) * 2018-06-08 2019-08-13 이상열 디지털 화폐, 디지털 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및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그 방법
WO2019235801A1 (ko) * 2018-06-08 2019-12-12 Lee Sang Yeol 디지털 화폐, 디지털 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및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그 방법
KR102027728B1 (ko) * 2019-02-08 2019-10-01 이상열 기능성 디지털화폐 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를 위한 전자지갑시스템, 기능성 디지털화폐 발행, 유통 및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051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he secure transfer of entities on a blockchain
CN105354747B (zh) 基于统一发码的信息处理网络及方法和传感接入设备
US20150046337A1 (en) Offline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US2014035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oint of sale function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0596816B1 (ko) 양방향 검색과 모니터링을 통한 광고관리 및 검색 시스템
US200803067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rder initiation off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3858141A (zh) 带有集成芯片的支付设备
JP2003187140A (ja) 販売促進方法、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536024A (zh) 个人化的消费者广告布置
WO2013070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electronic transaction instruments
US202200840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thical cryptocurrency management
US20150154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credits from third parties for redemption at member retailers
US20200294045A1 (en) Inter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18683A (ko)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90143258A (ko) 아이디어 시제품 개발 및 펀딩 플랫폼서버
KR101837050B1 (ko) 전자상품권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4697A (ko) 기부코드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기부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630492B1 (ko) 일회적립형 제휴사카드를 이용한 게임 대금 지불 시스템및 그 방법
JP2019101881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30118194A (ko) 전자화폐가 결합된 명함을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669526B1 (ko) 일회적립형 게임통합카드시스템 및 방법.
KR20070011963A (ko) 해외에서 이용 가능한 상품권 관리 시스템과 그에 따른방법과, 상품권 관리서버 및 기록매체
US20210082029A1 (en) Intermediary Method, Intermediary Device, and Recording Medium/Program
JP2023540481A (ja) 個人データを交換する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媒体
JP2019101880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