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055A -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055A
KR20140018055A KR1020120085461A KR20120085461A KR20140018055A KR 20140018055 A KR20140018055 A KR 20140018055A KR 1020120085461 A KR1020120085461 A KR 1020120085461A KR 20120085461 A KR20120085461 A KR 20120085461A KR 20140018055 A KR20140018055 A KR 2014001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sound
protrusion
switching memb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458B1 (ko
Inventor
유국일
Original Assignee
유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국일 filed Critical 유국일
Priority to KR102012008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4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 설치되는 스피커의 음향이 텔레비전의 전방으로 향함과 동시에 청량하고 깨끗한 음질을 청취할 수 있도록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텔레비전 뒷면에서 스피커의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재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가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전환부재에 의해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여 시청자가 음향을 원활하게 청취할 수 있고, 또한,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음향전환부재가 설치되므로 기존의 텔레비전을 교체하지 않고 음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설치된 음향전화부재를 원터치 형식 또는 시청자가 직접 인입,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음향의 방향성을 시청자가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Speaker device for televis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에 설치되는 스피커의 음향이 텔레비전의 전방으로 향함과 동시에 청량하고 깨끗한 음질을 청취할 수 있도록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생산되는 LCD 텔레비전, LED 텔레비전의 경우 그 두께가 매우 얇고, 화면(디스플레이)을 고정하는 베젤(Bezer) 또한 매우 얇게 만드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베젤을 얇게 만드는 것은 텔레비전 전체의 미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또한 42인치, 52인치 등과 같이 화면이 큰 것을 소비자가 선호하기 때문이다.
상기 화면을 고정하는 베젤의 두께가 매우 얇게 생산하기 때문에 텔레비전 스피커를 전면으로 향하도록 배치하지 못하고, 텔레비전의 뒷면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스피커를 텔레비전 뒷면에 설치하는 것은 베젤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뒷면에 설치하는 것과 스피커의 음향이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해야 하는데, 화면을 고정하는 베젤의 두께가 너무 얇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를 텔레비전의 뒷면에 설치함으로 인하여 텔레비전을 시청시 음향이 텔레비전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텔레비전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벽면 등에 부딪혀 텔레비전의 측면 쪽으로 음향이 분산되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음향을 제대로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텔레비전의 전면으로 음향이 전달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소리를 계속하여 크게 하고, 이로 인하여 텔레비전 소리 때문에 주변이 시끄러워지는 문제점 또한 있다.
상기 텔레비전의 소리가 커지므로 인하여 아파트와 같은 공동체 주거지역에서는 텔레비전에 의한 소음으로 인해 인근 주민과 다툼이 발생함은 물론 가정에 학생이 있는 경우 이루인하여 학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의 음향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청자 쪽으로 향하여 있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음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음향이 송출되는 방향을 전환하여 음향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텔레비전을 교체하지 않아도 스피커의 음향의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탈,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텔레비전 뒷면에서 스피커의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재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가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상기 방향전화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인접하여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래치돌기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일정 위치에 가이드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방향전환부재를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고정공에 그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방향전환부재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피커의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볼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음향전환부재에 의해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여 시청자가 음향을 원활하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음향전환부재가 설치되므로 기존의 텔레비전을 교체하지 않고 음향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설치된 음향전화부재를 원터치 형식 또는 시청자가 직접 인입,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음향의 방향성을 시청자가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향전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방향전환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b는 도 4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향전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향전환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100) 뒷면에서 스피커(미도시)의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200)가 구성되고, 상기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미부호)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재(200)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가변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방향전화부재(200)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와, 상기 가이드돌기(310)가 형성된 인접하여 형성되는 결합공(311)과, 상기 결합공(311)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형성되는 래치돌기(312)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 일정 위치에 가이드돌기(31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313)과, 상기 가이드홈(313)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공(314)과, 상기 고정공(314)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5)와, 상기 래치돌기(312)가 락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315)에서 일정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래치(316)가 구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재(20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315)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31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317)은 상기 결합공(311)과 고정공(315)에 일측이 각각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텔레비전(100)을 시청하기 위하여 시청자가 텔레비전(100)의 전원을 온 시킨 상태에서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설치된 방향전화부재(200)를 일측 방향으로 살짝 민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가 일측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면, 방향전환부재(200)에 형성된 래치돌기(312)가 래치(316)에서 이탈된다.
상기 래치돌기(312)가 이탈됨과 동시에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와 방향전환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317)의 탄성이 발생한다.
상기 토션스프링(317)의 탄성에 의해 방향전환부재(200)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토션스프링(317)의 일측은 고정공(314)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결합공(31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전환부재(200) 쪽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17)의 탄성이 작용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홈(313)을 따라 방향전환부재(2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10)가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홈(313)을 따라 가이드돌기(310)가 이동함으로 방향전환부재(200)는 텔레비전(100) 측면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가 이동된 상태에서 텔레비전에 설치된 스피커의 음향은 방향전환부재(200)의 일면에 부딪히고, 부딪힌 음향은 그 면을 따라 텔레비전(100)의 측면으로 전달된다.
상기 텔레비전(100) 측면으로 전달된 음향은 방향전환부재(200)의 일측이 휘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은 텔레비전(100)의 전면 방향으로 송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텔레비전(100)의 시청이 완료되면, 시청자는 방향전환부재(200)의 일측을 텔레비전(100) 중심부 쪽으로 밀어 방향전환부재(200)에 형성된 래치돌기(312)가 래치(316)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래치돌기(312)가 래치(316)에 결합되므로 방향전환부재(200)는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의 일측에 위치되고, 이때 방향전환부재(200)는 텔레비전(100) 전면에서는 보이지 않게 됨은 물론 측면에서 말끔하게 정리되어 텔레비전(100) 자체의 심미감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향전환부재(200)와 위치가변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는 일측면이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일정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화부재(200)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 사이에는 위치가변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가이드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320)에 결합되어 텔레비전(100)의 측면방향으로 방향전환부재(200)가 이동 가능하도록 방향전환부재(200) 일측면에 제2가이드돌기(321)가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형성된 제1가이드돌기(321)와 방향전환부재(200)의 일면에 제2가이드돌기(321)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전환부재(200)를 시청자의 힘으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가 청취를 더욱 원활하게 음향을 청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측면으로 방향전화부재(200)가 돌출되도록 하므로 시청자는 텔레비전(100)의 음향을 최대한 낮게 한 상태에서 청취하므로 주변에 텔레비전(100) 음향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휘어지게 형성된 방향전환부재(200)가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화부재(200)에는 일정 위치에 나사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210)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를 고정하는 나사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성은 시청자가 텔레비전(100)을 시청할 시에 방향전환부재(200)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시청시 별도의 조작 없이 스피커 음향이 텔레비전(100)의 전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음향의 청취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100) 측면으로 방향전환부재(200)가 돌출되므로 시청자는 텔레비전의 음향을 최대한 낮게 한 상태에서 청취하고, 그러므로 텔레비전 소리에 의한 타인에게 소음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100)의 음향이 방향전환부재(200)에 의해 텔레비전(100)의 전면으로 송출되도록 하므로 학습하는 학생에게 텔레비전(100)의 음향에 의해 방해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b는 도 4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재(200)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음향의 송출 방향을 텔레비전의 전방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휘어진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의 단면 형상을 "["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스피커가 상기 방향전환부재(2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향이 외부, 즉, 텔레비전(100)의 상방향 하방향 및 텔레비전 중앙부 쪽으로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방향전환부재(200)에는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나사의 위치에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방향전환부재(200)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설치된 스피커를 캡 형태로 씌우고, 텔레비전(100)의 측면 방향으로 음향이 송출되도록 함으로 텔레비전(100)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음향의 청취가 매우 원활해 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음향이 텔레비전(100) 전면으로 송출되도록 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음향이 송출되지 않으므로 텔레비전(100) 음향에 따른 문제점, 즉, 학습방해, 음향에 따른 소음 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4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전(100)과, 방향전환부재(200)와, 위치가변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텔레비전(100)은 LCD텔레비전, LED텔레비전과 같이 얇게 형성된 통상의 텔레비전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는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설치된 스피커의 음향이 텔레비전(100) 전면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에 의해 텔레비전(100)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방향전환부재(200)의 일면에 복수의 고정돌기(3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30) 형성된 위치의 동일 선상에 복수의 고정부재(331)가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방향전환부재(200)를 텔레비전(100) 측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330)와 복수의 고정부재(331)에 쇼크업쇼버(332)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30)와 일정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래치결합돌기(333) 방향전환부재(200)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결합돌기(333)가 락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래치(334)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청자가 텔레비전(100)을 시청하기 위하여 전원 켜고, 텔레비전(100)을 켠 상태에서 텔레비전(100)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부재(200)를 일측 방향으로 약간 민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를 일측으로 밀면, 방향전환부재(20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결합돌기(333)가 래치(334) 내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락 상태가 해제되면서 래치(334)에서 래치결합돌기(333)가 이탈된다.
상기 래치결합돌기(333)가 래치(334)에서 해제되면, 텔레비전(100) 뒷면 커버에 고정부재(331)에 의해 고정된 쇼크업쇼버(332)가 작동되면서 방향전환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30)를 밀게 된다.
상기 쇼크업쇼버(332)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330)가 밀리고, 상기 고정돌기(330)가 형성된 방향전화부재(200)도 같이 밀리기 때문에 방향전환부재(200)는 텔레비전(100) 뒷면에서 텔레비전 측면으로 그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200)는 상기 쇼크업쇼버(332)의 피스톤(미부호) 길이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가 조절되는데, 이때 방향전환부재(332)는 텔레비전(100) 스피커가 방향전환부재(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까지만 이동되어 상기 스피커의 음향이 방향전환부재(200)의 일면에 부딪히면서 그 면을 따라 텔레비전(100)의 측면으로 송출된다.
상기 텔레비전(100) 측면으로 송출되는 음향은 방향전환부재(200)의 일측이 휘어진 부부분에 의해 텔레비전(100) 전면으로 송출된다.
상기와 같이 방향전환부재(200)에 의해 음향의 송출 방향이 바뀌고, 송출방향이 바뀜으로 인하여 텔레비전(100)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볼륨을 작게 설정하여도 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롭게 생산되는 텔레비전(100) 또는 기 생산된 텔레비전(100)에도 방향전환부재(200)를 적용하여 음향 송출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100) 음향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텔레비전 200: 방향전환부재
210: 나사공 300: 위치가변수단
310: 가이드돌기 311: 결합공
312: 래치돌기 313: 가이드홈
314: 고정공 315: 결합돌기
316: 래치 317: 토션스프링
320; 제1가이드돌기 321: 제2가이드돌기
330: 고정돌기 331: 고정부재
332: 쇼크업쇼버 333: 래치결합돌기
334: 래치

Claims (7)

  1.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뒷면에서 스피커의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재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가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 수단은 상기 방향전화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인접하여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래치돌기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일정 위치에 가이드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방향전환부재를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과 고정공에 그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방향전환부재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5.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스피커의 음향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가 텔레비전 뒷면 커버에 볼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휘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KR1020120085461A 2012-08-04 2012-08-04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KR10141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61A KR101415458B1 (ko) 2012-08-04 2012-08-04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61A KR101415458B1 (ko) 2012-08-04 2012-08-04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55A true KR20140018055A (ko) 2014-02-12
KR101415458B1 KR101415458B1 (ko) 2014-08-06

Family

ID=5026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461A KR101415458B1 (ko) 2012-08-04 2012-08-04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4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670B1 (ko) * 1992-12-26 1995-08-25 주식회사금성사 스피커 자동조정장치를 갖는 텔리비젼 수상기
GB9705981D0 (en) * 1997-03-22 1997-05-07 New Transducers Ltd Personal computers
KR100820603B1 (ko) 2007-01-09 2008-04-08 주식회사대성엘텍 편의장치용 거치대
KR101370911B1 (ko) * 2007-10-23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형 프로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458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1512B (zh) 一种声管道、扬声器总成和双侧出声手机
WO2019114302A1 (zh) 显示屏幕及移动终端
US8717751B2 (en) Protective enclosure
AU2021203020B2 (en) Attachment position adjustable membrane
CN206490819U (zh) 一种声管道、扬声器总成和双侧出声手机
CN105407191A (zh) 前面板及移动终端
JP4923657B2 (ja) スピーカ装置およびこのスピーカ装置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2450587B1 (ko) 사운드박스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415458B1 (ko)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CN204948311U (zh) 一种具有投影功能的头戴式耳机
WO2014029281A1 (zh) 一种投影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96821B1 (ko) 전자교탁
KR20120129728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JP2016065929A (ja) 電子機器、映像システムおよび眼鏡装置
CN209944845U (zh) 一种冰箱
CN202257360U (zh) 一种带有微型投影仪和电视盒的可遥控笔记本电脑
CN213367961U (zh) 一种超高清hdr全面屏液晶电视机
KR101394688B1 (ko)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CN210120995U (zh) 音箱一体化投影电视柜
CN204481865U (zh) 移动通信设备
KR20140045117A (ko) 이동 단말기
CN203466910U (zh) 一种短焦投影电视
CN102547496A (zh) 薄型音箱扬声器单元的固定结构
KR20120128254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US10715644B2 (en) Common acoustic transducer and indicator lamp port for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