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254A -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254A
KR20120128254A KR1020110046086A KR20110046086A KR20120128254A KR 20120128254 A KR20120128254 A KR 20120128254A KR 1020110046086 A KR1020110046086 A KR 1020110046086A KR 20110046086 A KR20110046086 A KR 20110046086A KR 20120128254 A KR20120128254 A KR 2012012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ultifunctional
opening
smart phone
magnify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102011004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254A/ko
Publication of KR2012012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및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cradle}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은 앱(Ap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비하여 커다랗고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뛰어난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화면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생활의 패턴을 바꿀 정도로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주변기기에 관련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치된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고,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및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상기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6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는 상기 거치부(10)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폰(M)을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소정간격 이동 보정하기 위한 상하이동보정부(1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의 반대측인 삽입부(12) 내측후방벽(12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을 상기 개구부(11)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전방가압부(1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거치부(10)의 중앙측으로 몰입되게 형성된 한쌍의 홈부(16)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의 측부면의 버튼(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부(1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 내측의 개구부 주위면(11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면(1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와 개구부(11)를 4면에서 연결하는 내부덕트(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덕트(35) 내측벽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S)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3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73)와,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배면 또는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와 연결되는 몸체부충전포트(7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73)는 상기 베이스몸체부(7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충전단자(75)가 상기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될 때 상기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또는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80)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단순히 거치함으로써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화면을 6~8 인치 정도의 크기까지 확대하고, 증진된 음질의 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책상위에 비치하여 탁상용 TV 또는 오디오로도 사용할 수 있고,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눈이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동안 충전이 되도록 함으로써 충전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개구부 및 전방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한 도면으로 상하이동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4의 전방가압부 내부의 전방가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6의 전방가압부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거치부 내부의 개구부 주위면에 마련된 틈새폐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몸체부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와;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와;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와;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와;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와;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60)과;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개구부 및 전방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거치부를 발췌한 도면으로 상하이동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거치부(10)는 확대렌즈(20)의 반대측인 몸체부(30)의 후방에 설치되며, 스마트폰(M)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곳이다.
거치부(1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11)는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으며 후술할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M)의 화면(S)은 대각선이 3.5인치에서 4.5 인치 범위인 크기를 가지며, 제조사별 및 사양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거치부(10)에 특정 크기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S)이 개구부(11)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거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대렌즈(20)에 의하여 확대된 영상이 개구부(11)의 정중앙에서 벗어나 보기가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치부(10)에는 스마트폰 화면(S)이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그 스마트폰(M) 좌우측 방향 및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한 기술구성이 채용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는 거치부(10)의 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따라서 화면(S)을 수평방향에서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삽입부(12)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M)을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소정간격 이동 보정하기 위한 상하이동보정부(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보정부(1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삽입부(12)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스마트폰(M)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3a)와, 거치부(1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한쌍의 슬라이더(13b)와, 지지판(13a)의 하부측에 마련된 것으로서 한쌍의 슬라이더(13b)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그 지지판(13a)을 승강시키는 승강경사부(13c)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승강경사부(13c)는 전체적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나, 여러계의 계단식 홈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13b)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하이동보정부(13)를 채용함으로써,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S)을 수직방향에서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원은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폰(M)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삽입부(12)와, 스마트폰(M)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이동보정부(13)를 채용하고, 이에 따라 제조사별로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의 화면(S)을 개구부(11)의 정중앙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4의 전방가압부 내부의 전방가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6의 전방가압부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의 반대측인 삽입부(12) 내측후방벽(12a)에는, 삽입된 스마트폰(M)을 개구부(11)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전방가압부(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방가압부(14)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마트폰(M)의 배면을 개구부(11) 측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탄성플레이트(14a)와, 탄성플레이트(14a)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한쌍의 날개(14b)와, 한쌍의 날개(14b)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14c)과, 내측후방벽(12a)에서 돌출되어 가이드공(14c)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14d)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마트폰(M)을 삽입부(12)에 삽입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플레이트(14a)가 화살표 방향으로 눌리면서 스마트폰(M)을 개구부(11) 방향으로 탄성가압시키고, 이때 한쌍의 날개(14b)는 좌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제조사별 및 사양에 따라 두께에 있어 차이가 있고, 또한 동일 제조사 및 사양이라 하더라도 액세서리 커버가 장착된 여부에 따라 두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2)의 폭은 전체 두께가 큰 스마트폰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그러나 삽입부(12)의 폭이 클 경우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의 스마트폰을 삽입하였을 때 삽입부(12) 내측에서 덜렁거리고, 따라서 개구부(11)의 주위면(11a)으로부터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광이 개구부(11)의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화면(S)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본원은 상기한 전방가압부(14)를 채용함으로써, 전체 두께가 얇은 스마트폰이 삽입부(12)에 삽입될 경우에도 스마트폰(M)을 개구부(11)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스마트폰(M)의 표면을 개구부 주위면(11a)에 밀착시켜 개구부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여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S)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4의 거치부 내부의 개구부 주위면에 마련된 틈새폐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 내측의 개구부(11) 주위에 형성된 주위면(11a)에는, 개구부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면(15)이 설치된다. 이러한 틈새폐쇄면(15)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되는데, 예를 들면 도톰한 두께의 벨벳 직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M)의 화면측의 표면은 평면으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지만 제조사 및 사양에 따라 약간의 굴곡이 있게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개구부 주위면(11a)의 표면은 평면으로 가공되지만, 주위 온도에 따라서 약간의 굴곡이 발생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삽입부(12)에 삽입된 스마트폰(M)의 표면과 개구부 주위면(11a)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가 발생될 때에는, 외부의 광이 틈새로 유입되어 유입된 광에 의하여 화면(S)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본원은 상기한 틈새폐쇄면(15)을 채용함으로써, 스마트폰(M)의 표면에 굴곡이 형성되거나 개구부 주위면(11a)에 변형된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그 스마트폰(M)의 표면을 개구부 주위면(11a)에 밀착시켜 스마트폰(M)과 개구부 주위면(11a)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고, 이에 따라 틈새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화면(S)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거치부(10)의 좌우측에는 그 거치부(10)의 중앙측으로 몰입된 한쌍의 홈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16)는 삽입부(12)에 삽입된 스마트폰(M)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거치부(10)의 상부측에는, 삽입부(12)에 삽입된 스마트폰(M)의 측부면의 조작버튼(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스마트폰(M)의 측부면에는 그 스마트폰(M)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버튼(B)이 설치되는데, 거치부(10)의 상부측에 노출홈부(17)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된 스마트폰(M)의 조작버튼(B)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M)이 삽입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그 스마트폰(M)을 조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확대렌즈(20)는 개구부(11)를 통하여 보이는 스마트폰(M)의 화면(S)을 확대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화면(S)의 좌우측 및 상하측 비율에 맞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구현된다. 확대렌즈(20)는 화면(S)을 선명하게 확대할 수 있도록 수차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플란넬(flannel)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6 인치에서 8 인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30)는 거치부(10)와 확대렌즈(20)를 연결함과 동시에,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완전히 차폐된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30)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렌즈(20)와 개구부(11)를 4면에서 연결할 수 있는 내부덕트(35)가 설치된다. 이때, 몸체부(30) 또는 내부덕트(35) 내측벽,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덕트(35)의 내측벽에는 스마트폰(M)의 화면(S)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흡수면(31)은 검정색깔의 코팅층 또는 검정색깔의 재질로 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30)는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완전치 차폐된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30)의 내측에 내부덕트(35)가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화면(S)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매우 선명하게 보이는
스피커(40)(41)는 몸체부(30)의 양측 또는 후술할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스피커(40)(41)는 스마트폰(M)에 내장된 스피커에 비하여 월등히 커서 고음질의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스피커(40)(41)는 스마트폰(M)의 이어폰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연결단자(미도시)가 연결되는 구조이거나, 그 내부에는 증폭회로가 내장되어 스마트폰의 음향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각도조절지지부(50)는,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각도조절지지부(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0)의 양 측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베이스몸체부(7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원의 거치대는 확대렌즈(20)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S)을 확대시킬 수 있으나 반비례하여 시야각은 작아진다. 따라서 확대렌즈(20)를 통하여 화면(S)을 정확히 시청하고자 할 경우, 시청자의 눈이 확대렌즈(20)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가 시청자의 눈과 직각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50)를 채용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은 책상위에 거치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장시간동안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는 더더욱 중요한 기술구성이다.
광차단막(60)은,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 특히 천정에서 조사되는 광이 확대렌즈(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천정에는 대부분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명에서 발생되는 광이 확대렌즈(20)에 반사된 후 시청자의 눈으로 조사될 경우, 반사광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S)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위의 광이 확대렌즈(20)로 조사되지 않도록 광차단막(60)이 설치되는 것이다.
베이스몸체부(70)는 각도조절지지부(5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피커(40)(41)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71)과, 스마트폰(M)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7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볼륨(71) 및 스위치(7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본원의 거치대를 TV 나 오디오를 조작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몸체부(70)의 내부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73)가 설치되고, 베이스몸체부(70)의 배면 또는 전면에는 배터리(73)와 연결되는 몸체부충전포트(74), 예를 들면 USB 포트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공용충전기의 전선과 연결된 충전단자를 몸체부충전포트(74)에 접속하면 배터리(73)가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용충전기의 충전단자는 배터리(73)를 충전할 경우만 몸체부충전포트(74)에 접속하고, 평소에는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거치대는 전선이 연결되지 않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어, 이동성이 매우 좋다.
배터리(73)는 스피커(40)(41)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피커(40)(41)가 스마트폰(M)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73)는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73)는 베이스몸체부(7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와 연결되고, 몸체부충전단자(75)가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될 때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더 나아가 충전이 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는 직접 몸체부충전포트(74)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기존의 공용충전기의 충전단자를 몸체부충전포트(74)에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폰(M)이 충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부(10) 또는 베이스몸체부(70),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간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이나, 조명등의 광에 의하여 태양전지(80)는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73)로 공급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73)는 항상 충전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M)을 단순히 거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S)을 6~8 인치 정도의 크기까지 확대할 수 있고, 또한 증진된 음질의 음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책상위에 비치하여 사용할 때 TV 또는 오디오로도 사용할 수 있고, 화면이 확대되므로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눈이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거치부 11 ... 개구부
11a ... 개구부 주위면 12 ... 삽입부
13 ... 상하이동보정부 13a ... 지지플레이트
13b ... 슬라이더 13c ... 승강경사부
14 ... 전방가압부 14a ... 탄성플레이트
14b ... 날개 14c ... 가이드공
14d ... 가이드돌기 15 ... 틈새폐쇄면
16 ... 홈부 17 ... 노출홈부
20 ... 확대렌즈 30 ... 몸체부
35 ... 내부덕트 36 ... 광흡수면
40, 41 ... 스피커 50 ... 각도조절지지부
60 ... 광차단막 70 ... 베이스몸체부
71 ... 볼륨 72 ... 스위치
73 ... 배터리 74 ... 몸체부충전포트
75 ... 몸체부충전단자 80 ... 태양전지

Claims (12)

  1.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상기 스마트폰(M)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0)(41);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50); 및
    상기 각도조절지지부(50)가 지지되는 베이스몸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상기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M)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는 상기 거치부(10)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M)을 상하측 방향으로 이동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폰(M)을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소정간격 이동 보정하기 위한 상하이동보정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의 반대측인 삽입부(12) 내측후방벽(12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을 상기 개구부(11)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전방가압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거치부(10)의 중앙측으로 몰입되게 형성된 한쌍의 홈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된 상기 스마트폰(M)의 측부면의 버튼(B)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홈부(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 내측의 개구부 주위면(11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 주위면(11a)과 스마트폰(M)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면(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와 개구부(11)를 4면에서 연결하는 내부덕트(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덕트(35) 내측벽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S)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73)와, 상기 베이스몸체부(70)의 배면 또는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와 연결되는 몸체부충전포트(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73)는 상기 베이스몸체부(70)에서 연장되는 몸체부충전단자(75)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충전단자(75)가 상기 스마트폰(M)의 충전포트에 접속될 때 상기 스마트폰(M)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또는 베이스몸체부(7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10046086A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128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086A KR20120128254A (ko)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086A KR20120128254A (ko)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254A true KR20120128254A (ko) 2012-11-27

Family

ID=4751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086A KR20120128254A (ko)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2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859A (ko) * 2014-05-23 2015-12-02 최경환 솔라셀을 이용한 배터리팩 및 스피커 내장형 휴대폰 충전장치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859A (ko) * 2014-05-23 2015-12-02 최경환 솔라셀을 이용한 배터리팩 및 스피커 내장형 휴대폰 충전장치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US11445278B2 (en) 2019-05-30 2022-09-13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buffering structure, display scree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termin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7242B2 (en) Camera module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US9350409B2 (en)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in
US20190158750A1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8540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244679A (ja) 携帯情報端末
KR20150114305A (ko) 렌즈 조립체
KR20140012814A (ko) 카메라 모듈
KR20180105963A (ko) 이동 단말기
KR20120128254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5602Y1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CN109151289A (zh) 补光模组及终端设备
KR20120083988A (ko) 풀터치 핸드폰용 태양광 충전장치
KR20120129728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5601Y1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N103631073A (zh) 一种投影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027706A (zh) 移动终端及其摄像装置
KR20120128257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06212U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KR101641486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128258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129194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61647Y1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CN201600535U (zh) 便携式电子设备及其附加镜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