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603B1 - 편의장치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편의장치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603B1
KR100820603B1 KR1020070002342A KR20070002342A KR100820603B1 KR 100820603 B1 KR100820603 B1 KR 100820603B1 KR 1020070002342 A KR1020070002342 A KR 1020070002342A KR 20070002342 A KR20070002342 A KR 20070002342A KR 100820603 B1 KR100820603 B1 KR 10082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output
speaker
convenien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07000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2Combinations of transducers with fluid-pressure or other non-electrical ampl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의장치용 거치대는 편의장치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편의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유도하여 사용자를 향해 출력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음향 유도부를 포함한다.
음향, 음량, 음질, 유도, 차량, 편의장치

Description

편의장치용 거치대{THE MOUNTING APPARATUS FOR A CONVENIEN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의장치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의장치용 거치대를 보인 도 1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거치대 10: 하우징
20: 음향 유도부 21: 음향 입력부
22: 음향 경로부 23: 음향 출력부
본 발명은 편의장치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편의기능을 수행하는 편의장치에서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향해 출력되도록 유도하여 음질과 음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편의장치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운전자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비디오, 디브이 및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AV시스템, 에어컨, 히터 등에서부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비게이션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서 주로 포터블 형태로 마련되는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비게이션 등의 편의장치는 차량의 기본사양이 아닌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편의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마련되고 있고, 상기 거치대에 의존하여 차량에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거치대에 설치되는 편의장치는 크기를 얇고, 가볍게 하기 위해 스피커가 주로 후방에 설치되고 있어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은 후방의 물체에 의해 굴절되거나 공기 중에서 굴절된 후 전방의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정확한 음향을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볼륨조절버튼을 조작하여 음량을 높여주는 방법으로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출력한계를 갖는 스피커에 무리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열된 음질이 출력됨으로서 음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으로 유도하여 보다 높은 음질 및 음량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 편의장치용 거치대를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의장치용 거치대는 편의장치를 차 량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편의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유도하여 사용자를 향해 출력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음향 유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편의장치는 스피커의 음향이 후방으로 출력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음향 유도부는 상기 편의장치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음향 유도부는 상기 스피커에서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이 입력되는 음향 입력부와, 상기 음향 입력부에 입력된 음향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음향 경로부와, 상기 음향 경로부를 통한 음향이 사용자를 향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량이 증폭될 수 있도록 음향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의장치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의장치용 거치대를 보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의장치(1)용 거치대(100) 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을 차량의 데시보드 및 천정 그리고 유리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미도시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차량의 데시보드 또는 천정 그리고 유리창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통상의 볼트체결, 압소바, 양면 접착테이프 등의 고정수단이 적용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그 형태는 무관하나 원형 또는 사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전방에 차량의 편의장치(1)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차량의 편의장치(1)가 끼움 또는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편의장치(1)의 후방에 마련된 스피커(2)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사용자를 향해 전방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음향 유도부(20)가 마련된다. 여기서 음향 유도부(20)는 하우징(10)에 "U"형태로 경로를 형성하여서 되며, 후방을 향해 출력되는 음향이 음향 유도부(20)에 의해 전방으로 유도되어 음향의 음질과, 음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음향 유도부(20)는 편의장치(1)에 설치된 스피커(2)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스피커(2)의 음향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입력부(21)와, 음향 입력부(21)에 입력된 음향이 전방으로 유도될 수 있게 "U"자형의 경로를 가지는 음향 경로부(22)와, 상기 음향 경로부(22)의 단부에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음향 출력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음향 입력부(21)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것으로 스피커(2)의 음향을 모아주도록 구성되며, 편의장치(1)가 음향 입력부(21)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3)는 출력되는 음향의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도록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음향 출력부(23)를 확장시키되 출력방향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확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고, 대향하게 확장되는 호형 면을 형성하여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음향 유도부(20)는 하우징(10)에 1개소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스피커(2)의 수량이 2개 이상인 경우 스피커(2)의 수량에 맞게 2개소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의장치용 거치대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편의장치(1)의 전원 온 되고, 편의장치(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는 스피커(2)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음향은 스피커(2)가 후방으로 출력되도록 설치됨으로서 후방으로 음향이 출력된다.
이후 출력된 음향은 음향 입력부(21)로 입력된다. 그리고 음향 입력부(21)로 입력된 음향은 "U"자형의 음향 경로부(22)를 통과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있는 전방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그리고 음향 경로부(22)를 통과한 음향은 음향 출력부(2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음향 출력부(23)는 출력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서 확성기 원리에 의해 음향은 증폭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편의장치용 거치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편의장치용 거치대는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으로 유도하여 음향의 음질 및 음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피커(2)의 음향이 후방으로 출력되는 편의장치(1)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되며, 상기 편의장치(1)에서 후방으로 출력되는 스피커(2)의 음향을 유도하여 편의장치(1) 전방의 사용자를 향해 출력되도록 "U"형 경로를 형성하는 음향 유도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장치용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유도부(20)는 상기 스피커(1)에서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이 입력되는 음향 입력부(21);
    상기 음향 입력부(21)에 입력된 음향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음향 경로부(22);
    상기 음향 경로부(22)를 통한 음향이 사용자를 향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 출력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장치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23)는 음량이 증폭될 수 있도록 음향 출력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장치용 거치대.
KR1020070002342A 2007-01-09 2007-01-09 편의장치용 거치대 KR10082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342A KR100820603B1 (ko) 2007-01-09 2007-01-09 편의장치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342A KR100820603B1 (ko) 2007-01-09 2007-01-09 편의장치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603B1 true KR100820603B1 (ko) 2008-04-08

Family

ID=3953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342A KR100820603B1 (ko) 2007-01-09 2007-01-09 편의장치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458B1 (ko) 2012-08-04 2014-08-06 유국일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54Y1 (ko) * 1996-06-29 1999-08-16 윤종용 영상기기의 음향 확산장치
KR20000012545U (ko) * 1998-12-18 2000-07-05 서평원 단말기의 스피커 소리 유도장치
JP2005073108A (ja) * 2003-08-27 2005-03-17 Casio Comput Co Ltd 中継装置およびその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54Y1 (ko) * 1996-06-29 1999-08-16 윤종용 영상기기의 음향 확산장치
KR20000012545U (ko) * 1998-12-18 2000-07-05 서평원 단말기의 스피커 소리 유도장치
JP2005073108A (ja) * 2003-08-27 2005-03-17 Casio Comput Co Ltd 中継装置およびその電子機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0012545호 U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154954호 Y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73108호 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458B1 (ko) 2012-08-04 2014-08-06 유국일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9708004A (es) Sistema de cancelacion de ruido.
US8757317B1 (en) Barrel-shaped multidirectional loudspeaker enclosure structure
KR101619546B1 (ko) 팝업트위터 스피커
AR017046A1 (es) Un vehiculo que presenta un compartimiento de pasajero, un panel de revestimiento que lo reviste y un parlante en dicho compartimiento, y un panel derevestimiento para el mismo
WO2005079448A3 (en) Audio player assembly comprising an mp3 player
KR20070096022A (ko) 전자기기
US20070215407A1 (en) Loudspeaker device
WO2011040321A1 (ja) 画像表示装置
EP3846494A2 (en) Loudspeaker assembly for providing audio external to a vehicle
JP2007251895A (ja) 車両シート内蔵型音響装置
KR100820603B1 (ko) 편의장치용 거치대
US20190182576A1 (en) In-ear headphone for improved fit and function, and related methods
EP3908008A1 (en) Display device and speaker
EP1770964A3 (en)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HK1048718A1 (zh) 發射器/接收器所用的機殼、發射器/接收器及其組裝方法
US8290176B1 (en) Sports team novelty system for vehicles
EP2839990A1 (en) Vehicle with an exciter attached to a vehicle body
KR20080023562A (ko) 모바일기기용 홀더
US7333627B2 (en) Auxiliary playpen speaker
JP2009017278A (ja) 車載スピーカ
US20150260393A1 (en) Audio Equipment and Bracket for Linear Lighting Device Thereof
WO2010011456A1 (en) Sound producing system
JP2005306278A (ja) 車載用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のパネルに取り付けるマイクアセンブリ
KR100781231B1 (ko) 실내용 안테나 고정 수단 및 이를 이용한 디엠비 시스템
JP2009188491A (ja) グースネック型マイクロ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