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015A - 조립식 건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015A
KR20140018015A KR1020120085267A KR20120085267A KR20140018015A KR 20140018015 A KR20140018015 A KR 20140018015A KR 1020120085267 A KR1020120085267 A KR 1020120085267A KR 20120085267 A KR20120085267 A KR 20120085267A KR 20140018015 A KR20140018015 A KR 20140018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ircular steel
nut
circular
prefabricate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097B1 (ko
Inventor
탁승호
Original Assignee
탁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승호 filed Critical 탁승호
Priority to KR102012008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12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조립식 건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은 원형 강관의 끝단을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의 너트부에 조립하고 상기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의 볼트부는 커넥터의 너트 구멍에 조립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원형 강관을 조립하고 서로 연결하여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원형 강관의 외경에 일정 간격으로 링을 설치하여 상기 링을 통해 원형 강관 외부에 복수의 원형 강관 사각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전문가인 일반인이더라도 특수한 도구나 연장 없이 손쉽게 조립식 건물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모듈과 부품을 미리 대량 생산함으로써 1차적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에 투입되는 인력과 조립 시간 관련 제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된 모듈 단위의 부품을 이용하여 건축 현장에서 특수 장비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게 건물을 조립하는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하려면 설계 도면에 따라, 기초 공사를 하고 철근 기반 시멘트와 모래 자갈 등을 거푸집의 모양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체를 만들거나 H 형강 구조체를 크레인으로 위치시켜 조립하거나 목재로 기둥을 세우는 등의 공정 절차에 따라 건물을 건축하는 데에는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각 공정별 많은 인력과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며, 건축 비용 중 특히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공정 절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건축 자재를 건축 현장에 운반하고 현장에서 가공하여 외장 및 내장 공정에 따라 숙련공이 작업하는 절차로 인해 각 공정별로 숙련공 또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그에 상응하여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장에서 미리 생산한 자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PC 공법이 여러 건축 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PC 공법 역시 공정별 전문가만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전문가, 즉 일반인들이 소정의 건물을 건축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공개공보 제2012-0040457호(발명의 명칭 : 조립식 건물 시공장치)에는 조립식 건물을 시공시 벽체구조물보다 선조립된 지붕 구조물을 바닥에서 승강시키는 조립식 건물 시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하부 가이드 부재 및 수직 안내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건물 시공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 위치 및 작업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조립 작업이 신속간편하게 수행되고, 특히 수직 안내바가 지붕 구조체 외곽에서 지지됨에 따라 지붕 구조체의 승강이송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시공 후 수직 안내바의 설치를 위해 절개한 지붕을 마감해야 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배재되므로 작업성 향상과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한국공개공보 제2012-0011688호(발명의 명칭 : 조립식 건물)에는 2단 지붕을 적용하여 단열성을 개선한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건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측벽을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 사이에 슬라이드 식으로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사방에 세워지는 기둥 부재가 측벽을 잡아주는 구성으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강풍이나 태풍 등의 자연 재해 시에도 파손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조립식 건물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특수한 도구나 연장 없이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건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은, 원형 강관의 끝단을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의 너트부에 조립하고 상기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의 볼트부는 커넥터의 너트 구멍에 조립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원형 강관을 조립하고 서로 연결하여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원형 강관의 외경에 일정 간격으로 링을 설치하여 상기 링을 통해 원형 강관 외부에 복수의 원형 강관 사각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은, 복수의 원형 강관이 연결되어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원형 강관의 끝단을 복수의 반관(half pipe)이 상호 결합하여 둘러싸며, 상기 복수의 반관 외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반관을 고정시키는 링 고정부가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반관에 연결된 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반관 내부에 위치한 반관 내부 결속부를 팽창시켜 상기 원형 강관 내경에 맞춰지도록 하여 원형 강관을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은, 복수의 원형 강관이 연결되어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원형 강관의 내부에 제1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1관의 일단은 볼트가 통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관의 일단 밖으로 돌출된 상기 볼트의 돌출부에는 너트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부 경사가 형성된 상기 제1관의 일단은 상기 제1관 방향으로 복수 개로 절단된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너트를 상기 볼트 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절단부가 팽창하여 상기 원형 강관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의하면, 비전문가인 일반인이더라도 특수한 도구나 연장 없이 손쉽게 조립식 건물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모듈과 부품을 미리 대량 생산함으로써 1차적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에 투입되는 인력과 조립 시간 관련 제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원형 강관,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 및 육면체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원형 강관,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 및 구형 커넥터와 6방향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원형 강관,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 및 육면체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구조체 하부에 높이조절 주춧대를 배치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구조체에 가해지는 휨 강도를 분산시키고자 배치한 각형 강관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원형 강관과 각형 강관을 결합하는 특수 볼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대구경 원형 강관을 링을 이용하여 원형 강관 사각부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사각부와 벽체를 조립한 6가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사각부의 수직 수평 교차하는 부분의 결속을 강화하고자 하는 직각 교차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모서리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사각부와 링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품의 색 식별 라벨 및 번호 체계와 매뉴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품의 포장 및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강관을 반관(half pipe)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강관을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강관을 직교 연결부를 통해 복수의 원형 강관을 직교 조립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원형 강관(5),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 및 육면체 커넥터(3A)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원형 강관(5),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 및 구형 커넥터(3B)/6방향 커넥터(3C)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원형 강관(10),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 및 육면체 커넥터(3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은 원형 강관(5, 10)의 양 끝단을 각각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의 너트부에 조립하고,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의 볼트부는 커넥터(3A, 3B)의 너트 구멍(4)에 조립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수의 원형 강관(5, 10)을 커넥터(3A, 3B)를 통해 조립하고 서로 연결하여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원형 강관(5, 10)은 서로 용접하지 않고 신속하고 견고하게 조립하기 위해 원형 강관(5, 10)과 커넥터(3A, 3B)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립할 수 있는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의 커넥터 결합 볼트(1)를 강관 결합 너트(2)에 관통시켜 육면체 커넥터(3A)의 너트 구멍(4A)에 넣어 조립하거나, 구형 커넥터(3B)의 너트 구멍(4B)에 넣어 조립한다. 원형 강관(5, 10)을 서로 용접하지 않고 커넥터(3A, 3B)에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형 강관(5, 10)으로 이루어진 원형 강관 구조체를 생성한다. 또한, 원형 강관(5, 10)은 6방향 커넥터(3C)에 결합되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복수의 원형 강관(5, 1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는 커넥터 결합 볼트(1)와 강관 결합 너트(2)로 이루어지며, 원형 강관(5, 10)이 결합 되기 전에 커넥터 결합 볼트(1)와 강관 결합 너트(2)는 미리 조립되어 있어야 한다. 면적이 작은 단층 건물은 직경이 짧은 소구경 원형 강관(5)을 이용하고, 면적이 큰 건물은 직경이 긴 대구경 원형 강관(10)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강관의 결합 구조는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의 기본 프레임은 원형 강관 구조체를 이용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형 강관(5)의 양 끝단을 복수의 반관(half pipe)(11, 12)이 상호 결합하여 원형 강관(5)의 끝단을 둘러싸며, 복수의 반관(11, 12)의 외부에는 결합된 반관(11, 12)을 고정시키는 링 고정부(20)가 위치하며, 복수의 반관(11, 12)에 연결된 볼트(8)를 회전시켜 반관(11, 12) 내부에 위치한 반관 내부 결속부(6)를 팽창시켜 원형 강관(5) 내경에 맞춰지도록 함으로써 원형 강관(5)을 결속시킨다. 이때, 복수의 반관(11, 12)이 접합하는 부분에 원형 레일 홈(미도시)을 생성하여 원형 레일 홈에 탄성체를 주입하여 상술한 원형 강관(5)의 결속을 더욱 강건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원형 강관(5) 내부에 제1관(16)이 삽입되며 제1관(16)의 일단은 볼트가 통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의 돌출부에는 제1관(16)의 일단 밖으로 너트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 경사가 형성된 제1관(16)의 일단은 제1관(16)의 관 방향으로 복수 개로 절단된 절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너트를 볼트 쪽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절단부가 팽창하여 원형 강관(5)에 결속되게 된다. 이때, 절단부의 외면에는 톱날(22)이 형성되어 있어 톱날(22)은 원형 강관(5) 내경 쪽에 박혀 원형 강관(5)의 결속을 더욱 강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고하면 이러한 원형 강관(5)은 직교 연결부(50)를 통해 복수의 원형 강관(5)을 상호 직교 조립하여 x, y, z 축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구조체 하부에 높이 조절 주춧대(66)를 배치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높이 조절 주춧대(66)는 원형 강관 구조체에서 조립식 건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조립식 건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건물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벽체 하중은 원형 강관(5, 10)으로 분산되게 하고, 바닥 하중은 각형 강관(13)으로 분산되게 조립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원형 강관 구조체의 휨 강도를 분산시키기 위해 원형 강관 구조체의 끝단에 하부 서브 커넥터(14)를 연결하고 하부 서브 커넥터(14) 내부에 각형 강관(13)을 설치하여 각형 강관 구조체를 생성한다.
커넥터(3A, 3B)는 육면체 커넥터(3A), 구형 커넥터(3B), 하부 서브 커넥터(14) 및 평형 서브 커넥터(17)로 이루어진다. 육면체 커넥터(3A), 구형 커넥터(3B)는 복수의 너트 구멍(4A, 4B)을 가질 수 있다.
육면체 커넥터(3A)는 소구경 원형 강관(5)과 조립될 때 주로 사용되며, 육면체 구조 때문에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가 조립되는 피치수가 작아서 구형 커넥터(3B)보다 약한 성질을 가진다. 구형 커넥터(3B)는 대구경 원형 강관(10)과 조립될 때 주로 사용되며, 구형 구조 때문에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가 조립되는 피치수가 육면체 보다 많아서 육면체 커넥터(3A)보다 강한 성질을 가진다. 다만, 구형 구조의 특성상 너트 구멍(4B) 주변을 평편하게 가공하여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7)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서브 커넥터(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구경 원형 강관(5)의 길이가 길면 상술한 휨 강도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바닥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소구경 원형 강관(5)의 끝부분에 설치한다. 또한, 평형 서브 커넥터(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원형 강관(10)의 바닥 하중을 분산시키는 각형 강관(13)의 각형 강관 결속 볼트(18)와 결속되어 바닥 하중을 분담하게 된다.
3층 이상의 고층 건물은 H 형강(미도시)을 이용하여 원형 강관(5, 10)과 조합하여 하중을 분산시켜 건축할 수 있다. 단, H 형강 이용시에는 특수장비(예를 들어, 크레인)의 사용은 불가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대구경 원형 강관(5, 10)을 링(27)을 이용하여 원형 강관 사각부(25)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원형 강관(5, 10)의 외경에 일정 간격으로 링(27)을 설치하여 링(27)을 통해 원형 강관(5, 10) 외부에 복수의 원형 강관 사각부(2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링(27)의 외부에는 복수의 원형 강관 사각부(25)가 추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부가 존재한다. 또한,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일 측면에는 복수의 레일 홈(29,30,31,32,33)이 생성되어 있어 벽체의 결속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레일 홈(29,30,31,32,33)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 홈(29,30,31,32,33) 중 임의의 레일 홈을 선택하고 선택된 레일 홈에 벽체를 삽입함으로써 얇은 벽과 두꺼운 벽을 임의대로 선택 설계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원형 강관 사각부(25)가 서로 만나는 면에 상술한 복수의 레일 홈(29,30,31,32,33)외에 추가적인 제1레일 홈(23)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1레일 홈(23)에 단열재를 삽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열대 지역에 적용되는 두께가 얇은 벽체(100mm)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중간 두께의 벽체(110mm), (c)는 한대 지방의 두꺼운 벽체(120-130mm), (d)는 극한 지역의 이중 단열 벽체(180-200mm), (e)는 극한 지역 이중 단열 벽체의 모서리 처리 실시예, (f)는 극한 지역 이중 단열 벽체의 모서리 처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즉, 벽체 결속부(39)를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임의의 레일홈(33)에 결속하고, 실내 벽체(38)의 걸개를 이용하여 실내벽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벽체(36)에 구멍을 뚫고 뒷면에 철판(41)을 대고 볼트를 관통시켜 벽체 결속부(39)를 너트로 조립하여 더욱 견고한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실내 벽체(38), 중간 벽체(36), 실외 벽체(34) 사이에 거품유리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단열재 및 흡음재를 추가하여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벽체(34)와 중간 벽체(36)는 마그네시아를 원료로 만든 벽체를 사용하거나 유사 재료로 만든 벽체를 이용할 수 있다. 극한 지역의 경우 이중 단열 구조를 이용하여 단열을 배가시키거나 소음 차폐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사각부(25)끼리 교차하는 부분의 결속을 강화하고자 하는 직각 교차 고정부(52)를 도시한 도면이다.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모서리 부분 레일 홈(29,30,31,32,33)에 직각 교차 고정부(52)를 삽입하고 고정체(54)의 볼트(53)를 90도 회전하면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레일 홈 내부에 고정체(54)가 결속되어 수직 수평방향으로 교차하는 두 개의 원형 강관 사각부(25)가 강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직각 교차 교정부(52)를 실외 벽체(34)와 실내 벽체(38) 사이의 내부 대각선에 사용하면 구조체를 보강하는 목적 외에 원형 강관 사각부(25)에 복층 유리나 강화 유리를 고정시킬 때도 유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그네시아(산화마그네슘)와 섬유질을 합성한 보드를 실내 벽체(38), 중간 벽체(36) 및 실외 벽체(34)로 사용한다. 실외 벽체(34)와 중간 벽체(36)를 상자 형태로 만들어 그 내부를 폴리우레탄 또는 거품유리로 채워 단열, 방음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벽체를 구성한다. 또한, 중간 벽체(36) 내부를 관통하는 철판과 결합된 볼트를 사각 강관(45)의 너트로 조립하여 벽체 결속부(39)를 밀어넣어 고정시키고,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5개의 레일 홈(29,30,31,32,33) 중 한 개 레일 홈에 넣었던 벽체 결속부(39)를 고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일 홈 내부의 양 끝을 밀착시킴으로써 벽체 결속부(39)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모서리 고정부(56)를 도시한 도면이다. (a) 내지 (c)를 참고하면 벽체 모서리 고정부(56)는 수직, 수평으로 직각 교차하는 원형 강관 사각부(25)를 직각으로 잡아주면서 벽체의 모서리를 강하게 결합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모서리 고정부(56)는 수직 레버(59)를 밀어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레일홈(29,30,31,32,33) 내부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모서리 고정부(56)는 뒷면 철판(41)에 결합한 볼트(42)를 중간 벽체(36)를 관통하여 모서리 고정부(56)의 구멍을 통해 벽체 모서리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수직 레버(59)와 레일 홈(29,30,31,32,33)을 이용하여 벽체 모서리에 있는 모서리 고정부(56)끼리 연결됨으로써 두 벽체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고정부(56)의 구멍(78)에 철판이나 철사(75)를 이용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걸어 턴버클(77)을 회전시키면 모서리 고정부(56)가 서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4각 벽체의 구조를 강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 사각부(25)와 링(27)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원형 강관 사각부(25)의 내부 레일 홈(101)과 링(27)의 삽입부 간의 미세한 공차로 인해 결합단열체(100)를 내부 레일 홈(101)에 삽입시킬 수 있다. 원형 강관(5, 10)의 일정 위치에 O-링(103)이나 한쪽이 터진 원형 관(106)의 탄성을 이용하여 원형 강관(5, 10)의 외경에 삽입하고, 링(27)을 위치시켜 원형 강관 사각부(25)를 링(27)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단열체(100)를 링(27)의 삽입부에 밀어넣어 조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품의 색 식별 라벨 및 번호 체계와 매뉴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강관(5, 10), 각형 강관(13), 커넥터(3A, 3B), 링(27), 원형 강관 사각부(25) 등의 부품은 사전에 설정된 무게와 크기로 제작된다. 즉, 성인 남자 2명이 들 수 있는 무게와 크기로 규격화되어 사전에 제작되며, 매뉴얼에 의해 순서대로 조립할 수 있도록 각 부품에 색상별 라벨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주춧대(66)의 라벨은 갈색으로 지정하고 바닥면에 관련된 모든 부품의 라벨색은 갈색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라벨에 넘버링 되어 있어 번호 순서대로 조립할 수 있다(도 14 참고).
이때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장 마지막에 사용되는 부품을 이용하여 임시 작업 계단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기둥 및 지붕 작업이 완료된 이후 발판을 분해하여 바닥부, 구체적으로 바닥 하중 분산용 4각 강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수평을 체크하기 위해 2개의 높이 조절 주춧대(66) 상에 원형 강관(5, 10), 원형 강관 사각부(25) 및 링(27)을 조립하여 잉크를 물에 섞은 액체를 마개를 막은 홈에 부어 잉크색 농도를 살펴보아 기울어진 정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수평이 맞지 않으면 높이 조절 주춧대(66)의 높이를 조절하여 건물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의 가로부 수평이 맞지 않으면 원형 강관 구조체의 세로부의 수직 방향도 맞지 않게 되어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원형 강관 구조체의 가로부 수평이 맞지 않으면 턴버클 등을 이용하여 지반의 평탄도 및 강도에 따라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의 지붕은 경사각을 급하게 하여 적설 하중을 분산하는 구조로 건물을 건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에 사용되는 지붕은 눈 감지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여 눈이 내리기 시작하면 지붕 밑에 배치된 열선에 전류를 흘려 눈을 녹여서 적설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열선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지붕 밑에 전열 장치 대신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판을 설치하고 히트 파이프를 통해 지붕 밑에서 전열 장치를 가열하여 눈을 녹일 수 있다. 또한, 벽체를 제작할 때 벽체 내부에 전기 배선을 위한 배관 및 전선을 구비하고 전선의 끝 부분에 특수 커넥터를 구비하여 스위치, 조명, 교류 전원 아웃렛 등 건물 내부에 필요한 모든 전기 공사를 전문적인 기술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커넥터 결합 볼트 2 : 강관 결합 너트
3A : 육면체 커넥터 3B : 구형 커넥터
3C : 6방향 커넥터
4 : 너트 구멍 5 : 소구경 원형 강관
6 : 반관 내부 결속부 7 :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
10 : 대구경 원형 강관 11, 12 : 복수의 반관
13 : 각형 강관 14 : 하부 서브 커넥터
16 : 제1관 17 : 평형 서브 커넥터
18 : 각형 강관 결속 볼트 20 : 링 고정부
22 : 톱날 25 : 원형 강관 사각부
27 : 링 29,30,31,32,33 : 레일 홈
34 : 실외 벽체 36 : 중간 벽체
38 : 실내 벽체 39 : 벽체 결속부
45 : 사각 강관 50 : 직교 연결부
52 : 직각 교차 고정부 8, 53 : 볼트
54 : 고정체 56 : 벽체 모서리 고정부
66 : 높이 조절 주춧대 100 : 결합 단열체

Claims (21)

  1. 원형 강관의 끝단을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의 너트부에 조립하고 상기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의 볼트부는 커넥터의 너트 구멍에 조립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원형 강관을 조립하고 서로 연결하여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원형 강관의 외경에 일정 간격으로 링을 설치하여 상기 링을 통해 원형 강관 외부에 복수의 원형 강관 사각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구조체에서 조립식 건물의 기둥을 구성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조립식 건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주춧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구조체의 휨 강도를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원형 강관 구조체의 끝단에 서브 커넥터를 연결하고 상기 서브 커넥터 내부에 각형 강관을 설치하는 각형 강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는 상기 원형 강관과 조립되기 전에 볼트부가 너트부를 관통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외부에는 상기 원형 강관 사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사각부의 일 측면에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 홈 중 벽체의 결속 위치를 선택하여 한 개 이상의 단열벽을 조합하여 벽체의 두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형 강관은 6방향 커넥터를 이용하여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내부에 철판을 구비하고 상기 철판에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결속하는 벽체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사각부의 레일 홈에 삽입되어 2개의 원형 강관 사각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결속을 강화하는 직각 교차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기 원형 강관 사각부의 레일 홈 내부로 수직 레버를 연결하여 상기 벽체를 서로 고정시키는 모서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구조체 위에 위치하며, 열전도성이 좋은 박막으로 구성하여 소정의 열원을 통해 열을 전달하는 지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는 원형 강관 구조체의 가로부의 수평이 맞으면 상기 원형 강관 구조체의 세로부의 수직 방향이 맞아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구조체의 가로부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턴버클을 이용하여 지반의 평탄도 및 강도에 따라 수평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모양은 정육면체, 직육면체 또는 구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커넥터에는 복수의 너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각형 강관,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 커넥터, 링, 강관 사각부는 사전에 설정된 무게와 크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 각형 강관, 양방향 결속 볼트/너트, 커넥터, 링, 강관 사각부는 색상별 라벨이 부착되어 있어 매뉴얼에 의해 순서대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7. 복수의 원형 강관이 연결되어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원형 강관의 끝단을 복수의 반관(half pipe)이 상호 결합하여 둘러싸며, 상기 복수의 반관 외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반관을 고정시키는 링 고정부가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반관에 연결된 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반관 내부에 위치한 반관 내부 결속부를 팽창시켜 상기 원형 강관 내경에 맞춰지도록 하여 원형 강관을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관이 접합하는 부분에 원형 레일 홈을 생성하여 상기 원형 레일 홈에 탄성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19. 복수의 원형 강관이 연결되어 조립식 건물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원형 강관의 내부에 제1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1관의 일단은 볼트가 통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관의 일단 밖으로 돌출된 상기 볼트의 돌출부에는 너트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부 경사가 형성된 상기 제1관의 일단은 상기 제1관 방향으로 복수 개로 절단된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너트를 상기 볼트 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절단부가 팽창하여 상기 원형 강관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외면에 톱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톱날은 상기 원형 강관 내경쪽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은 직교 연결부를 통해 복수의 원형 강관을 직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KR1020120085267A 2012-08-03 2012-08-03 조립식 건물 KR10145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67A KR101459097B1 (ko) 2012-08-03 2012-08-03 조립식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67A KR101459097B1 (ko) 2012-08-03 2012-08-03 조립식 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15A true KR20140018015A (ko) 2014-02-12
KR101459097B1 KR101459097B1 (ko) 2014-11-12

Family

ID=5026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267A KR101459097B1 (ko) 2012-08-03 2012-08-03 조립식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743A (zh) * 2016-06-20 2016-09-21 广西南宁栩兮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折叠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704A (ko) * 2003-11-22 2005-05-27 백수곤 신속 체결 구조물
KR100697841B1 (ko) * 2006-07-27 2007-03-20 (주) 금동강건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하우스용 골조
KR20120048361A (ko) * 2010-11-05 2012-05-15 탁승호 조립식 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743A (zh) * 2016-06-20 2016-09-21 广西南宁栩兮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折叠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097B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8115B2 (ja) 輸送可能なモジュラー式建築物及びその建築方法
KR101754188B1 (ko) 조립식 지붕용 연결체와 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지붕 시스템 그리고 지붕 시공방법
KR20140143753A (ko) 높이 조정이 가능한 선적 컨테이너
CN107148540A (zh) 在建筑物中使用的地板和天花板面板
US20160319534A1 (en) Reversible module co-ordination system for buildings
US9783983B1 (en) Lotus dome
AU2012244116B1 (en) Building system and panel for a building system
US9010052B2 (en) Modular structure and said modular structure's structural members made of composite material
CN101142077A (zh) 复合的预成型建筑部件
CN103343574A (zh) 一种装配式集成房屋
JPWO2010067523A1 (ja) 木造軸組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軸組パネル
WO2013019089A2 (ko) 조립식 건물
JP6403025B1 (ja) 鉄骨柱と梁の接合構造および木造建築物
KR101459097B1 (ko) 조립식 건물
KR102156970B1 (ko) 조립주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주택의 시공방법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JP2013113042A (ja) 耐震断熱壁パネル及び耐震断熱壁構造
KR20130015697A (ko) 조립식주택
KR100939077B1 (ko) 조립식 건축물
JP5528128B2 (ja) 建築構造材の接合構造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EP2853640B1 (en) Prefabricated modular housing unit
US20160333567A1 (en) Do-It-Yourself Construction of Resilient Houses in Disaster Prone Environments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KR100240137B1 (ko)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