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844A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844A
KR20140017844A KR1020120084505A KR20120084505A KR20140017844A KR 20140017844 A KR20140017844 A KR 20140017844A KR 1020120084505 A KR1020120084505 A KR 1020120084505A KR 20120084505 A KR20120084505 A KR 20120084505A KR 20140017844 A KR20140017844 A KR 20140017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greenhouse gas
data
calcula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김신영
유광식
최혁
김민성
문금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시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시안
Priority to KR102012008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844A/ko
Publication of KR2014001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환경정보 설정부, 설정된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매개변수 도출부,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매개변수값 설정부, 및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산정부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MOUNT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의 값을 수신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는 대기권에 존재하는 기체 중에서 지구의 복사열인 적외선을 흡수하여, 지구로 다시 방출하는 특성을 갖는 기체를 가리킨다. 온실 효과를 보이는 주요 기체와 이의 대기 중 농도는 수증기(H2O: 약 1%), 이산화탄소(380 ppmv), 메탄(1.8 ppmv), 산화이질소(0.3 ppmv), 오존(O3: 0~0.7 ppmv) 등이다. 이들 기체 중 온실 효과에 대한 기여도는 수증기가 약 60%, 이산화탄소가 약 25%, 그리고 메탄이 약 7%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여러 플루오르 화합물 기체가 비록 농도는 낮지만 온실 효과에 기여한다. 이들 기체가 대기 중에 존재하지 않으면, 지구는 복사 냉각에 의해 지금보다 평균 온도가 약 33도 낮아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온실 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대기 중에 온실 가스가 없으면, 밤과 낮의 온도 차이가 너무 커서 현재 존재하는 지구의 생물체 중 많은 수가 생존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온실가스가 과다하게 배출되면 지구 온난화를 초래함으로써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생태계가 변하고, 각종 기후 이변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의 기후 변화는 전세계적으로 인류가 대처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서, 시급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 규제 및 방지의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하였다.
1997년 12월에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부변화볍약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 의정서가 채택되었다. 의정서가 채택되기까지는 온실 가스의 감축 목표와 감축 일정, 개발도상국의 참여 문제로 선진국간, 선진국-개발도상국간의 의견 차이로 심한 대립을 겪기도 했지만, 2005년 2월 16일 공식 발효되었다.
교토 의정서는 온실 효과를 보이는 6종의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산화이질소, 수소화플루오르화탄소, 과플루오르화탄소, 육플루오르화황)의 배출량 감소 목표치를 정하고 있는데, 2008년 내지 2012년 사이에 선진국의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최소한 5.2%를 감축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에 이 조약을 비준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 의무를 지게 되었다.
따라서, 각 사업체는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 현황에 따라 감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즉,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계비용, 투자계획, 에너지 절약 잠재량, 회계 또는 재무적 영향에 관한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체적인 감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산업화의 발전에 따라, 사업체 역시 대형화 및 복합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 역시 다양화되고 있다.
종래의 온실가스 산정 시스템은 대상이 되는 연료 또는 원료가 고정되어 있다. 사업체마다 취급하는 연료 또는 원료는 각기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온실가스 산정 시스템에서는 사업체마다의 특성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온실가스 산정 시스템은 산정등급 또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온실가스 산정 시스템에서는 사업체마다의 특성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관점을 기초로 한 다양한 산정등급에 의해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서로 비교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4882호 (공고일: 2009. 4. 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업체의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라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및 산정등급을 동적으로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업체의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환경정보 설정부,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매개변수 도출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매개변수값 설정부,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은,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는,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또는 산정등급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매개변수 집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개변수 집합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산정 수식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산정 수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산정 수식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산정 수식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는 연료 사용량, 열량계수, 배출계수, 산화계수 또는 등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값 설정부는,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 정의된 대로 값을 설정하고,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되지 않은 매개변수에 대하여,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는 연료 사용량, 열량계수, 배출계수 또는 산화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의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의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산정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산정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정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산정 수식을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되지 않은 매개변수에 대하여,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체의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라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및 산정등급을 동적으로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체의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및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정등급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개변수의 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결과를 출력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결과를 출력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의 환경정보 설정 단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의 매개변수 도출 단계 및 매개변수값 설정 단계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의 동작 환경은 단말기(100),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통신망(110),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거치형 단말기일 수도 있고, 랩탑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PDA, 팜탑 컴퓨터, 스마트폰, 기타 핸드헬드 장치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기만 하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며 형태는 불문한다.
통신망(110)은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선 방식에 따른 통신망일 수도 있고 또는 무선 방식에 따른 통신망일 수도 있다. 통신망(110)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UMTS/GPRS, 이더넷(ethernet) 등의 방식에 따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방식에 따른 통신망의 조합일 수도 있다. 통신망(110)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 간을 연결하는 통신망(110)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구성요소들 간을 연결하는 통신망(110)과 다른 방식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망(110)이라는 용어를 모든 방식의 통신망(110)을 아우르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은 통신망(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120)은 서버(200) 및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210),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환경정보 설정부(220),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매개변수 도출부(230),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매개변수값 설정부(240),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산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통신망(110)과 연결되어 서버(200)로의 입력 및 서버(200)부터의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예를 들어, 이더넷 랜카드 또는 무선 랜카드일 수 있으며, Bluetooth 모듈, 3G 모듈, LTE 모듈 또는 RFID 모듈일 수 있다.
환경정보 설정부(220)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는, 예를 들어,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및 산정등급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정보 설정부(220)는 상기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및 산정등급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환경정보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고, 입력받은 환경정보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환경정보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포맷에 따라 플레인-텍스트(plain-text)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환경정보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드롭다운 메뉴, 셀렉트 박스, 인풋 박스, 콤보 박스, 라디오 박스, 텍스트 에어리어, 버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통해 항목을 선택하거나 값을 입력함으로써 환경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환경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롭다운 메뉴를 이용하여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건축물, 고속철도, 공공하수 처리 시설, 연소 시설, 선박, 자동차, 항공기, 하수 및 폐수 처리 시설, 냉매 사용 시설, 대기오염물질 방지 시설, 디젤 기관차. 디젤 자동차, 메탄올 생산 시설, 발전용 내연기관, 탈황 시설, 분뇨 처리 시설, 식각 시설, 아디프산 생산 시설, 용융 시설, 용해 시설, 보일러 시설, 전기 기관차, 전가 자동차, 증착 시설, 소각 시설, 발전 시설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및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롭다운 메뉴를 이용하여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는, 예를 들어, 아래 표 1의 '대분류' 또는 '중분류'에 나열된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대분류 중분류
고정연소 고체연료 연소, 기체연료 연소, 액체연료 연소
이동연소 항공연료 연소, 도로연료 연소, 철도연료 연소, 선박연료 연소
탈루성 온실가스 배출 석탄의 채굴, 처리 및 저장,
원유 및 천연가스 시스템
공정배출 시멘트, 석회, 탄산염, 암모니아, 질산, 아디프산, 카바이드, 소다회, 석유정제, 석유화학제품, 불소화합물, 철강, 합금철, 아연, 납, 전자, ODS 대체물질사용, 지구온난화 물질 사용
폐기물 처리과정 고형폐기물 매립, 생물학적처리, 소각, 하수, 폐수처리
외부 전기 열 스팀 외부 전기사용, 외부 열사용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롭다운 메뉴를 이용하여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원유, 천연가스, 휘발유, 항공유, 제트용 가솔린(JP-8), 제트용 등유(JET A-1), 실내용 등유, 디젤 오일, 보일러용 등유, 액화석유가스(LPG), 에탄, 나프타, 아스팔트, 윤활유, 석유 코크스, 파라핀왁스, 백유, B-A유, B-B유, B-C유, 프로판, 부탄, 무연탄, 유연탄, 갈탄, 코크스, 액화천연가스(LNG), 전기, 증기, 바이오매스, 농작물, 간벌목, 볏짚, 왕겨, 건초, 수피, 목재, 펄프, 동물성 기름, 식물성 기름, 음식물 쓰레기, 분뇨, 슬러지(sludge), 해조류, 조류, 수생식물, 매립지가스(LFG), 목탄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정등급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롭다운 메뉴를 이용하여 산정등급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6대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산화이질소, 수소화플루오르화탄소, 과플루오르화탄소, 육플루오르화황) 각각에 대하여 별개로 산정등급을 입력할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이라고 하더라도, 산정등급이 달라지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 및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이 달라질 수 있다. 산정등급은, 예를 들어, 아래 표 2의 '산정등급'에 나열된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산정등급 설명
Tier1 IPCC 기본 배출계수(산화계수, 발열량 포함)를 활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기본 방법론
Tier2 Tier1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갖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 및 발열량을 활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산정방법론
Tier3 Tier2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갖는 활동자료, 사업장 내의 시험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매개변수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Tier4 굴뚝 자동 측정기기 등 배출가스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매개변수 집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개변수 집합을 도출할 수 있다.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를 참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300)에 조회할 수 있다.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먼저,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산정 수식을 도출할 수 있다.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산정 수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산정 수식을 도출할 수 있다. 산정 수식은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또는 산정등급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도출된 산정 수식으로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가 '고체연료 연소'이고, 산정등급이 'Tier3'인 경우,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은 산정 수식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Ei ,j : 연료(i)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별 배출량(tCO2eq)
Qi : 연료(i) 사용량(측정값, ton-연료)
ECi : 연료(i)별 열량계수(연료 순발열량, MJ / kg-연료)
EFi ,j : 연료(i)별 온실가스(j)의 배출계수(kg-GHG / TJ-연료)
fi : 연료(i)별 산화계수
Feq ,j : 온실가스(CO2, CH4, N2O)별 CO2 등가계수 (CO2 = 1, CH4 = 21, N2O = 310)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산정 수식으로부터, 온실가스 배출량(Ei ,j)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로서, 연료 사용량(Qi), 열량계수(ECi), 배출계수(EFi ,j), 산화계수(fi) 및 등가계수(Feq,j)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매개변수 도출부(230)는 산정 수식의 도출 없이, 설정된 환경정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개변수는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또는 산정등급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매개변수값 설정부(240)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우선 매개변수값 설정부(240)는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 정의된 대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의 경우, 매개변수값 설정부(240)는, 온실가스(j)가 이산화탄소(CO2)인 경우 1, 온실가스(j)가 메탄(CH4)인 경우 21, 온실가스(j)가 산화이질소(N2O)인 경우 310으로 등가계수(Feq,j)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매개변수에 대하여는,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고, 입력받은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포맷에 따라 플레인-텍스트(plain-text)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단말기(100)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 드롭다운 메뉴, 셀렉트 박스, 인풋 박스, 콤보 박스, 라디오 박스, 텍스트 에어리어, 버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통해 항목을 선택하거나 값을 입력함으로써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화면은 단말기(100) 상에서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UI(User Interfac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 화면의 내용은, 예를 들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XML(eXtend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될 수 있다. 서버(200)는 도출된 매개변수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입력 화면의 내용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출된 매개변수에 따라서 입력 화면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서버(200)는 생성된 입력 화면의 내용을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 화면의 내용을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풋 박스를 이용하여 연료 사용량(Qi), 열량계수(ECi), 배출계수(EFi ,j), 산화계수(fi)를 입력할 수 있다.
산정부(250)는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산정부(250)는 매개변수값 설정부(240)에 의해 값이 설정된 매개변수 및 산정 수식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산정부(250)는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100)에서의 출력 화면은 단말기(100) 상에서 웹 페이지 형태로 표시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UI(User Interfac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화면의 내용은, 예를 들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XML(eXtend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될 수 있다.
산정부(250)는 환경정보 및 매개변수에 따라서 상기 출력 화면의 내용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화면의 내용에 포함되는 항목은 환경정보 및 매개변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출력 화면의 내용은, 예를 들어,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원료의 종류, 매개변수 및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포함할 수 있다. 산정부(250)는 데이터 통신부(210)를 통해, 생성된 출력 화면의 내용을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기 출력 화면의 내용을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결과를 출력한 화면으로서, 단말기(100)가 상기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원료의 종류가 전기인 경우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결과 및 원료의 종류가 LNG인 경우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및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의 환경정보 설정 단계(S1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의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의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산정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산정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정등급을 설정하는 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다. 산정등급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의 매개변수 도출 단계(S200) 및 매개변수값 설정 단계(S3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를 준비하는 단계(S21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를 준비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상기 환경정보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S22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개변수는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또는 산정등급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먼저,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산정 수식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산정 수식은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또는 산정등급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 값을 설정하는 단계(S310)를 수행할 수 있다.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는, 미리 정의된 대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되지 않은 매개변수에 대하여 값을 설정하는 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체의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라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및 산정등급을 동적으로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업체의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통신망
120: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200: 서버
210: 데이터 통신부
220: 환경정보 설정부
230: 매개변수 도출부
240: 매개변수값 설정부
250: 산정부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환경정보 설정부;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매개변수 도출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가 수신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매개변수값 설정부;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산정부
    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는,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 또는 산정등급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매개변수 집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개변수 집합을 도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산정 수식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산정 수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산정 수식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 도출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산정 수식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는 연료 사용량, 열량계수, 배출계수, 산화계수 또는 등가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값 설정부는,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 정의된 대로 값을 설정하고,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되지 않은 매개변수에 대하여,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값을 설정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는 연료 사용량, 열량계수, 배출계수 또는 산화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11.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도출된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의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의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료 또는 원료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산정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산정등급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정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산정 수식을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산정 수식으로부터 상기 매개변수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된 매개변수에 대하여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매개변수 중에서 값이 미리 정의되지 않은 매개변수에 대하여, 상기 매개변수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값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KR1020120084505A 2012-08-01 2012-08-0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7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05A KR20140017844A (ko) 2012-08-01 2012-08-0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05A KR20140017844A (ko) 2012-08-01 2012-08-0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844A true KR20140017844A (ko) 2014-02-12

Family

ID=5026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505A KR20140017844A (ko) 2012-08-01 2012-08-0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8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4069A (zh) * 2022-12-30 2023-04-18 数字双碳科技(合肥)有限公司 基于碳计量边缘一体机的碳排放数据处理分析方法
CN116955916A (zh) * 2023-09-19 2023-10-27 中汽研汽车检验中心(武汉)有限公司 一种轻型车蒸发排放总量计算方法
KR102603384B1 (ko) * 2023-06-09 2023-11-17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위한 적정 배출계수의 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4069A (zh) * 2022-12-30 2023-04-18 数字双碳科技(合肥)有限公司 基于碳计量边缘一体机的碳排放数据处理分析方法
CN115984069B (zh) * 2022-12-30 2023-09-05 数字双碳科技(合肥)有限公司 基于碳计量边缘一体机的碳排放数据处理分析方法
KR102603384B1 (ko) * 2023-06-09 2023-11-17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위한 적정 배출계수의 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방법
CN116955916A (zh) * 2023-09-19 2023-10-27 中汽研汽车检验中心(武汉)有限公司 一种轻型车蒸发排放总量计算方法
CN116955916B (zh) * 2023-09-19 2023-12-26 中汽研汽车检验中心(武汉)有限公司 一种轻型车蒸发排放总量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ster et al. Analysis on electrofuels in future energy systems: a 2050 case study
Raghuvanshi et al.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coal based power generation in India
Nassar et al. Estimation of CO 2 emission factor for the energy industry sector in Libya: A case study
Andrić et al.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of retrofitting existing coal fired power plants to co-firing with biomass: carbon footprint and emergy approach
Jaccard Sustainable fossil fuels: the unusual suspect in the quest for clean and enduring energy
Burke The national-level energy ladder and its carbon implications
Mousavi et al. Techn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flare gas recovery system: a case study
Geri et al. Energy policy in the US: politics, challenges, and prospects for change
Tan et al. LCI (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of fuels and electricity generation in Singapore
Koornneef et al. The screening and scoping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in the Netherlands
Meyer et al. Total fuel-cycle analysis of heavy-duty vehicles using biofuels and natural gas-based alternative fuels
Valero et al. What are the clean reserves of fossil fuels?
Arvesen et al. Cooling aerosols and changes in albedo counteract warming from CO2 and black carbon from forest bioenergy in Norway
Karaca Determination of air quality zones in Turkey
Schock et al. How much is energy research & development worth as insurance?
KR20140017844A (ko)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Kaldellis et al. Evaluation of the long-term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Greek lignite-fired power stations
Bataille et al. Policy uncertainty and diffusion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in an optimal region
Montelongo-Reyes et al. GHG and black carbon emission inventories from Mezquital Valley: The main energy provider for Mexico Megacity
Fagbeja et al. Air pollution and management in the Niger Delta–emerging issues
Balat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 global perspective
Loughlin et al. Analysis of alternative pathways for reducing nitrogen oxide emissions
Balat et al. Influence of fossil energy applications on environmental pollution
Jacimovski et al. Analysis of the emission of SO2, NOx, and suspended particles from the thermal power plants Kostolac (Serbia)
Viebahn et al. Integrated assessment of CCS in the German power plant sector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ompetition with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