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700A - 무선 데이터 카드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700A
KR20140017700A KR1020147000299A KR20147000299A KR20140017700A KR 20140017700 A KR20140017700 A KR 20140017700A KR 1020147000299 A KR1020147000299 A KR 1020147000299A KR 20147000299 A KR20147000299 A KR 20147000299A KR 20140017700 A KR20140017700 A KR 2014001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wireless data
data card
ex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란잔 고쉬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01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3Billing soft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statistics of usage or network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4Types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3Calculate maximum communication time or volu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7Cumulative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22Bandwidth or usage-sensitve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무선 데이터 카드의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판정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또한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와 무선 데이터 카드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기 위해 판단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카드{WIRELESS DATA CARD}
본 발명은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그러나 그에 한정되지 않게, 무선 데이터 카드 상에서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은 통신망에 접속되는 컴퓨터, 랩탑(laptops) 및 PDA와 같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computing devices) 간의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매체를 포함한다. 통상, 이 매체는 통신망에 접속되는 각각의 컴퓨팅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라우터, 스위치 및 물리 회선과 같은 일련의 상호 연결된 자원들을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 간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통신망에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데이터그램 혼잡 제어 프로토콜(DCCP)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이 구현된다. 이 같은 프로토콜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또는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선망뿐만 아니라 무선망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무선망 접속의 가용성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는 중이고, 이는 회선의 설치가 이전에 곤란하였거나 극히 비쌌던 여러 지역에서 통신망 접근을 가능케 할 정도다. 무선망 통신 연결에서, 무선 신호는 상이한 컴퓨팅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자에 걸쳐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통신망에 접속함에 있어서 물리 회선을 제거하는 것은 통신망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무선 송수신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무선 송수신기는 무선망에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랩탑을 위해서는, 무선망 카드가 필수적일 것이다.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itple Access; CDMA) 방식의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Evolution-Data Only)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의 고속하향 패킷접속(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과 같은 무선 광대역 기술의 출현으로, 몇몇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무선 광대역 데이터 카드와 같은 무선망 송수신 하드웨어를 통하여, 스마트폰(smartphones), 휴대폰(mobile phones), 랩탑 등과 같은 사용자 이동통신 장치(user mobile devices)를 이용한 고속 인터넷이 가능해 졌다.
본 요약은 통신망 내의 무선 데이터 카드 상에 데이터 교환 정보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들을 식별하고자 하거나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무선 데이터 카드가 기술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카드는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데이터 카드는 판정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해당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와 무선 데이터 카드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기 위해 판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판정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다.
무선 데이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는 단계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상에 이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 방법은 무선 데이터 카드와 관련된 데이터 플랜(data plan)을 수신하는 단계와 교환된 데이터 총량과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의 과금 정보(billing information)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 과금 정보는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련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을 가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가 설명된다. 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은, 실행 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이 작업들은 또한 무선 데이터 카드와 관련된 데이터 플랜을 식별하는 단계와 교환된 데이터 총량과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의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작업들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과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기술된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의 가장 좌측 숫자는 해당 참조 번호가 최초로 언급되는 도면을 의미한다. 같은 번호는 도면들에 걸쳐 유사한 특징 및 구성요소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또는 방법의 몇몇 실시예들이, 오직 예시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통신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카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데이터 교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를 위한 과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임의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플로우 차트(flow charts), 플로우 다이아그램(flow diagrams), 상태 변환도(state transition diagrams), 의사 코드(pseudo code) 등은 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표현되고 따라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든 그렇지 않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카드는 컴퓨팅 장치와 통신망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망에 무선 접속을 가능케 하는 송수신기이다. 통신망과 컴퓨팅 장치 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서, 무선 데이터 카드 장치는 통상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 예컨대,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itple Access; CDMA) 방식의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Evolution-Data Only(EV-DO) 기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고속하향 패킷접속(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기술 등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및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및 랩탑 같은 컴퓨팅 장치 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를 내놓는다.
통상, 무선 데이터 카드를 통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각기 다른 데이터 플랜(data plans)을 제안한다. 이 데이터 플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청구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예컨대, 이 데이터 플랜은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미리 정해진 시간(pre-defined time) 내에 교환될 수 있는 데이터양을 제한할 수 있다. 각기 다른 데이터 플랜은 사용자가 각기 다른 미리 정해진 시간당 데이터 전송 한도(data transmission limit)를 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데이터 플랜은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pre-determined time) 간격 동안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한도를 초과한 데이터 교환에 대한 요금률(tariffs)은 데이터 플랜 내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각 플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컨대, HSDPA 기술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한 달의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p 화폐단위(monitory units)의 고정 요금으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n 기가바이트(GB) 한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플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 플랜은 n GB의 지정된 한도를 초과하여 교환되는 데이터에 대해 m 킬로비트(Kb) 당 x 화폐단위로 요금율을 지정할 수 있다. 이 데이터 플랜은 특별 할인 시간대(special or happy hours)로 00:00시부터 06:00시까지와 같은 특정 시간대를 더 지정할 수 있고, 이 시간대 동안 데이터 전송률은 p Kb/sec 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카드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각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과금 구조를 가진 데이터 플랜은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한도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다.
통상, 무선 데이터 카드가 컴퓨팅 장치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교환된 데이터양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같은 정보를 요청하거나 통상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웹 포털(web portal)에, 고유의 사용자 식별정보(ID)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교환된 데이터양을 식별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를 동작시켜야만 하고 소프트웨어 또는 무선 데이터 카드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웹 포털을 살펴보아야만 한다.
또한, 특정 상황에서, 이러한 정보는 고객 담당자 같은 서비스 제공자 직원들을 통해 수집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update)된 것이 아니고, 단지 현 시간에서 하루 또는 몇 시간 전까지의 사용량일 뿐이다. 청구액(billed amount) 및 결제금액(due payments)과 같은 그 밖의 다른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포털에 이 정보를 요청하는 유사 절차를 거쳐야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상황에서, 교환된 데이터양 및 청구액 같은, 무선 데이터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려는 사용자를 위해서는, 특정 작업들이 이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여러 이러한 작업들은 그에 수반된 지루한 단계들로 인해 시간이 걸리고 불편할 수 있고, 실시간 갱신 데이터의 이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를 위한 무선 데이터 카드의 데이터 사용량을 식별하기 위한 그리고 보다 편리하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데이터 카드는, 한편으로는, 교환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과금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현예에서, 데이터 교환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양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한 데이터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여러 유형의 무선 데이터 카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방법을 구현한 무선 데이터 카드는 컴퓨팅 시스템 외부의 데이터 카드, 컴퓨팅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 카드, EV-DO 기술을 사용하는 데이터 카드 및 HSDPA 기술을 사용하는 데이터 카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무선 데이터 카드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4(ICMPv4),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6(ICMPv6) 및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IGMP)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교환 정보 및 과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일 구현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packet)에 관한 기록이 유지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송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판정되고 저장될 수 있다.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 및 교환된 데이터 패킷의 개수에 기초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이 산출된다.
예컨대, 무선 데이터 카드는 세 개의 각 0.5 MB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두 개는 각 0.5 MB이고 세 개는 각 1MB인 다섯 개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총 여덟 개의 패킷에 관한 기록이 유지되고, 5.5 MB의 데이터 교환 총량이 산출된다.
이 구현예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무선 데이터 카드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수신 데이터양 및 송신 데이터양은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송신된 데이터에 의존하고, 따라서, 교환된 데이터 총량 또는 송수신된 데이터 중 어느 것을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데이터 교환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preference)에 기초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는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송수신 데이터 패킷은 그 수량이 헤아려질 수 있고, 데이터 사용량 정보는 사용자에게 최신의 이용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데이터 교환 정보의 계산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와 관련된다. 정보의 계산은 순환적/주기적 단위로 일어날 수 있고, 주기는 사용자의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미리 정해진 시간부터 기록되고, 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송수신된 데이터 패킷은 주기당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구현예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데이터 플랜에 기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택한 데이터 플랜에서 데이터 사용량 한도가 매 달 이후 리프레시(refresh)된다면, 미리 정해진 시간은 한 달 - 해당 달에 교환된 데이터가 기록되고 표시되며, 해당 달에 교환된 총 데이터가 산출됨 - 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달에 교환된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이전 달에 교환된 데이터는 계산에서 제외되고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 두 달 또는 일 분기로 설정되는 경우, 시스템은 두 달 또는 일 분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기록을 유지하고 그 이후에 새로운 기록을 시작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가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그러나 사용자는 또한 총 데이터 사용량의 표시를 원하는 시간 주기를 정의할 수도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또한 데이터 교환 이력(history)을 보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이전 시간 주기 동안의 데이터 교환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되고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한 달의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가령, 9월 한 달 동안 교환된 데이터양이 기록되고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0월 한 달 동안 교환된 데이터양의 경우, 10월 한 달 동안 교환된 데이터가 유지되고 표시될 수 있다. 또한, 9월 동안 교환된 데이터양은, 이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식별하면, 10월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된 과금 정보가 또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부과된 요금률을 식별하기 위해 통신할 수 있고, 그 다음 과금 정보가 산출되고 무선 데이터 카드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 요금률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세부 사항에 기초하여, 과금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데이터 교환 요금률은 무선 데이터 카드를 위한 데이터 플랜에 의해 정의되고 각기 다른 데이터 플랜 및 각기 다른 사용자들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될 것이다.
교환된 데이터 총량이 기록되고 과금 정보가 산출된다고 설명되었지만, 그러나, 일 구현예에 따라, 과금 상세정보와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직접 요청되고 무선 데이터 카드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설명되거나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되고 그 목적 및 범주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대안들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 역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예시들은 주로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발명자에 의해 기술발전에 기여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분명하게는 교육적 목적만을 의도하며, 이 같이 특정되어 인용된 예시들 및 조건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원리, 양태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이에 관한 특정 예시들을 인용하는 본 명세서에 있는 모든 표현들은 이에 관한 균등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구현되는 방식이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명된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양태는 얼마든지 많은 다른 무선망 장치, 환경 및/또는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동안(during, while) 및 때(when)라는 용어는 개시 동작에 따라 즉각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가 아니라, 전송 지연(propagation delay)과 같이, 최초 동작과 최초 동작에 따라 개시되는 반응 간의 조금 짧지만 적정한 지연일 수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접속된(connected) 이라는 용어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전체에 걸쳐 사용되고 직접 접속(a direct connection) 또는 간접 접속(a indirect connection)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104) 내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을 구현하는 무선 네크워킹 환경(100)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106)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는 사용자 장치(106)에게 인터넷 같은 통신망(108)에 대한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104)는 통신망(108)을 거쳐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110-1, 110-2, 110-3., 110-N)에게 연결된다.
본 명세서의 사항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통합되지만, 여러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치(106)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데이터 카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6)의 예들은, 데스크탑, 모바일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카드는 사용자 장치(106) 외부의 데이터 카드, 사용자 장치(106) 내부의 데이터 카드, EV-DO 기술을 이용하는 데이터 카드, HSDPA 기술을 이용하는 데이터 카드 등과 같이 여러 유형의 데이터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통신망(108)에 접속 가능하도록 사용자 장치(106)에 연결될 수 있는 범용 직렬 버스(USB) 어댑터(adapters) 및 Wi-Fi 커넥터(connectors)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데이터 카드(104)는 무선 매체를 통해 직접으로든, 또는 사용자 장치(106)에게 무선망(108) 접속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간접으로든, 어느 하나로 서비스 제공자(110-1, 110-2, 110)에게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설명과 명료성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110-1, 110-2, 110-3., 110-N)는 집합적이든, 개별적이든 서비스 제공자(들)(110)로 지칭된다. 서비스 제공자(110)는 통신망(108)을 통해 접속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서비스 제공자(110)는 근처에 또는 하나 이상의 지리적 위치에 걸쳐 분포될 수 있고 서로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110)는 서버, 메인프레임 컴퓨터 (mainframe computer), 슈퍼컴퓨터(super computer) 등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무선 데이터 카드(104)는 특정 시간에 서비스 제공자들(110) 중 임의의 하나와 통신할 수 있고, 다른 시간에 다른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통신망(108)은 유선망과 무선망의 결합일 수 있다. 통신망(108)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GSM 내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Coverage) 및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방식 표준을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라우터(router) 및 유선망에 있는 다양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DSLAM)에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사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망(108)은 인트라넷(intranet), 전화망(telecom network), 전기회로망(electrical network),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 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 세계정보망(Global Area Network, GAN),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중의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망(108)은 전용망 또는 공유망 중 하나일 수 있고, 이는, 서로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 - 예컨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무선 응용 통신 프로토콜(WAP) 등 - 을 사용하는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의 연계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서 구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특히,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의해 송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교환된 데이터양을 산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과금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통합된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과금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과금 정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2)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6)의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데이터 플랜에 따라 교환된 데이터양 및 과금정보를 판정하기 위해 무선 서비스 제공자의 웹 포털에 로그인하는 것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일 구현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미도시) 간에 교환된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의 데이터 교환은 서비스 제공자(110)가 제공한 통신망(108)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된 데이터 패킷양 및 서비스 제공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양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패킷을 기록하고 그들 간의 총 데이터 전송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202)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2)는 숫자 디스플레이, 영문자 숫자 혼합 디스플레이, 그래픽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전자 발광식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박막 트랜지스터 LCD(TFT-LCD)와 같이,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인터페이스(interface)(20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4) 및 메모리(206)와 같이,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디스플레이(202)가 부착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2)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통합되고, 정보를 교환하고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102)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내부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외부에 있을 수 있고,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유선 연결, 유선망을 통한 통신 또는 무선망을 통한 통신과 같이 이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3)는, 예컨대, 키패드 같은 주변장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 및 외부 디스플레이와 같이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인터페이스(203)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03)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이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3)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의 다중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카드(104)는 무선 LAN(WLAN), 셀룰러 통신(cellular) 또는 위성 통신(satellite) 같은 무선망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유형 내에서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203)를 거쳐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상태 기계(state machine), 논리회로 및/또는 오퍼레이션 명령들(instructions)에 기초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기능 중에서, 프로세서(204)는 메모리(206)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을 가져오고(fetch)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라고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여,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의 기능은 그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해당 기능이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이는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 - 그 중 일부가 공유될 수 있음 - 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라는 용어의 명시적 사용은 오로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고, 이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소프트웨어 저장용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및 비휘발성 기억장치(non volatile storage)를, 제한 없이,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는 종래의 그리고/또는 주문형의 그 밖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206)는, 예컨대, 정적 임의 접근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및 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및 자기테이프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모듈(208) 및 데이터(210)를 포함한다. 모듈(208)은, 특히, 루틴(routine), 프로그램, 객체(object), 컴포넌트(components),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등을 포함하고, 이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 데이터형(abstract data type)을 구현한다. 데이터(210)는, 특히, 하나 이상의 모듈(208)에 의해 처리되고, 수신되며, 생성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리포지터리(repository)로 사용된다. 모듈(208)은 또한, 예컨대, 데이터 분석 모듈(212), 통신 모듈(214), 디스플레이 모듈(216) 및 그 밖의 모듈(218)을 포함한다. 그 밖의 모듈(218)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2) 상의 논리(logic) 및 루틴을 보충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210)는 분석 데이터(220), 과금 데이터(222), 선호도 데이터(224) 및 그 밖의 데이터(226)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모듈(208)의 실행 결과로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분석 데이터는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금 데이터(222)는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생성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과금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작 중에,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의 기록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교환된 데이터의 기록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 및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식별한다.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의해 송수신된 것 중 하나에 해당하는 각 데이터 패킷은 그에 부합하는 크기를 가진다. 일 구현예에서,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기 위해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각 패킷의 크기를 판단한다. 당업자라면,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의 통신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하여 몇몇 정보를 교환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패킷은 교환된 데이터를 판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식별되는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위 구현예에서,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실시간으로 데이터 패킷의 기록을 갱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패킷을 식별하고, 각 패킷에 부합하는 크기를 판단한다. 당업자라면, 실시간으로 교환된 데이터 총량, 송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개수 및 그 크기를 판정하는 것은 그 교환 시점에 식별되는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가령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104)가 각 1.5 Mb인 다섯 개의 패킷을 송신하였다면,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교환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전송 전에 해당 패킷을 식별하고 그 숫자가 다섯 개라는 점 및 그 총 크기가 7.5 Mb라는 점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카드(104)가 송신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제공자(110)가 각 2 Mb인 10개의 데이터 패킷으로 응답하는 경우,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 총 데이터의 개수 및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총 수신된 데이터 및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식별하는 것은 데이터 패킷의 수신 순으로 하나 씩 차례로 식별되는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송신된 총 데이터를 식별하는 경우, 송신된 총 크기는 데이터 패킷의 실제 전송 전에 판정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또한 총 송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교환된 총 데이터양을 판정하기 위하여 송신된 데이터양 및 수신된 데이터양을 결합한다. 위에 언급된 예에서,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교환된 총 데이터양은 27.5 Mb임을 식별할 수 있고, 또한 교환된 데이터 패킷의 총 개수는 15개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분석 데이터(220) 내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 송신된 데이터 패킷, 교환된 데이터 패킷의 총 개수 및 교환된 데이터 총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미리 정해진 특정 시간 주기 동안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각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교환된 데이터 총량의 판정은 주기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다시 말해, 판정된 교환된 데이터 총량 또는 판정된 데이터 패킷의 총 개수는 리프레시(refresh)되어 질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새로운 시간 주기에는 새로운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플랜에 기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자(110)가 매 달 선택된 데이터 플랜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청구서를 생성한다면,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한 달에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접근하여 월 단위로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할 수 있다. 가령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가 한 달이라면,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1월 한 달 동안,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2월 한 달 동안 교환된 데이터양을 판정하는 경우, 1월 한 달 동안 교환된 데이터는 무시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는 또한 15일, 두 달, 세 달, 여섯 달 또는 심지어 만 일 년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플랜에 기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스스로 구성한 것일 수 있다는 점도 이해될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쿼리(query)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214)은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상호작용하고 정보 교환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통신 모듈(214)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과 관련된 정보를 가져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데이터 플랜 및 그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202)를 거쳐 외부 키패드를 통해 상세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또한 사용자 장치(106)를 통해 상세사항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세사항은 각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202)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전자 발광식 디스플레이(EL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TFT-LCD)와 같이,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디스플레이를 구동(drive)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분석 데이터(220)로부터 교환된 데이터 총량에 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식별되고, 분석 데이터(220)에 저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202)를 거쳐 디스플레이 시스템(102)과 연결된 키패드를 통해서 선호도를 명시할 수 있거나, 사용자 장치(106)(미도시)를 통하여 선호도를 명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선호도는 선호도 데이터(224) 내에 저장된다. 일례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 보기를 선호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례에 따라, 다른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총량 및 무선 데이터 카드(104)가 수신한 데이터 총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교환된 데이터 패킷의 총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거나 송수신된 패킷의 개수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또한 다른 포맷으로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교환된 데이터 총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숫자 형식으로 해당 양을 표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그래프 형식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 형식으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그래프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지난 날들에 걸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의 누진적인 증가를 도시하는 누진적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또한 정보를 교환된 데이터 총량이 지침(指針, needle arm)의 표시로서 표현되는 아날로그 다이얼게이지(analog dial gauge)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6)이 정보를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리프레시(refresh)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하였듯이, 교환된 데이터 패킷의 개수 및 교환된 데이터 총량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실시간으로 판정되고, 또한 실시간으로 분석 데이터(220)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분석 데이터(2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가져오고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220) 상에 갱신된 최신의 이용가능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또한 데이터 교환 이력(history)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교환 이력은 지난 주기 동안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포함할 수 있다. 지난 데이터에 관한 이 시간 주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기초할 수 있다. 예컨대, 가령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가 두 달이고 사용자가 8월에 데이터 교환 이력을 보기로 택하였다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분석 데이터(220)로부터 정보를 가져오고 6월부터 7월까지, 3월부터 4월까지 등의 기간에 교환된 데이터양을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령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가 일 년이라면, 데이터 교환 이력은 지난해 동안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은 또한 사용자에게 과금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하였듯이, 데이터 플랜은 서비스 제공자(110)로부터 통신 모듈(214)에 수신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서비스 제공자(110)로부터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금을 청구하는 여러 데이터 플랜이 제공된다. 또한, 예컨대, 이 데이터 플랜은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교환될 수 있는 데이터양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각각 다른 데이터 플랜은, 사용자가 다른 미리 정해진 시간당 데이터 전송 한도를 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일 데이터 플랜은 한 달의 기간 동안 1 GB의 데이터 한도를 허여할 수 있고 다른 데이터 플랜은 2 달의 기간 동안 5 GB의 데이터 한도를 허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플랜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비스 제공자(110)에 의해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한도를 초과하는 데이터 교환에 대한 요금률은 데이터 플랜 내에서 제공될 수 있고 각 플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컨대, x 루피(rupees)의 금액은 한 달에 1 GB의 데이터 한도를 허용하는 데이터 플랜을 택한 사용자에게 청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y 루피(rupees)의 금액은 두 달에 5 GB의 데이터 한도를 허용하는 데이터 플랜을 택한 사용자에게 청구될 수 있다. 이처럼 각기 다른 데이터 플랜에 대해, 다른 금액이 청구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한 달에 1GB의 데이터 한도를 제공하는 데이터 플랜의 경우, 사용자가 1GB의 데이터 교환 한도를 초과한다면, z 파이사(paisa)/KB의 요금률에 따른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데이터 플랜은 또한 데이터 전송률이 디폴트(dafault) 데이터 전송률보다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는 특별 할인 시간대(special or happy hours)처럼 특정한 시간을 더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214)에 의해서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플랜 정보는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사용자 과금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교환된 데이터 총량, 데이터 플랜에 의해 제한된 데이터 한도 및 데이터 플랜에 포함된 요금률에 기초하여,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사용자 과금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과금 정보는 메모리(226)의 과금 데이터(22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산출되고 저장된, 과금 데이터(222) 내에 있는 과금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216)에 의해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된다. 데이터 교환 정보의 표시와 마찬가지로, 과금 정보는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6)에 의해 다른 포맷으로 표시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하였듯이, 사용자의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의 데이터 교환 총량을 식별하기 위해,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110)에게 쿼리(query)하는 종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통신 모듈(214)은 서비스 제공자(110)로부터 직접 과금 정보 및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수신된 과금 정보 및 데이터 교환 정보는 갱신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따라서 임의의 특정 순간의 실질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4)은 각기 다른 시간에 서비스 제공자(11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송률을 검색하고 그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216)에게 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가령 주간에, 서비스 제공자(11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률은 n MB/sec이고, 야간의 데이터 전송률은 m MB/sec라고 한다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데이터 전송률을 주간에는 n MB/sec라고, 야간에는 m MB/sec라고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4) 및 서비스 제공자(110) 간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 교환된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분석 모듈(212)에 의해 식별될 것이고 사용자에게 발생되는 과금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이해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사용자에게 접속 또는 사용중이라는 점을 상기시키기 위하여 경고 표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가령 사용자가 선택된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11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데이터 한도를 초과한다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경고 신호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령 사용자가 어떤 일정한 시간 동안 특정 한도에 이르도록 데이터를 교환하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 모듈(216)은 디스플레이에 경고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경고 신호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되는 적색광(red light)이거나 애니메이션(animation)일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무선 데이터 카드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00 및 400)을 도시한다. 도 3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데이터 교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한편, 도 4는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과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같은 방법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그 데이터 카드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 방법이 설명되는 순서는 한정으로 해석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설명된 방법의 블록은 그것이 어느 순번이든지 이 방법 또는 대안적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어떤 순서로든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개개의 블록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명의 목적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 방법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 방법의 단계들이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을 손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몇몇 실시예들은, 예컨대,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 - 기계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고, 기계로 실행가능하거나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며, 여기서 이 명령들은 설명된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할 수 있음 - 인 프로그램 저장 장치를 또한 포함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 저장 장치는, 예컨대, 디지털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같은 자기 저장매체,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 판독가능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optically readable digital data storage media)일 수 있다. 이 실시예들은 또한 이 예시적인 방법의 해당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망(108) 및 사용자 장치(106) 모두를 포함하고자 한다.
도 3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 상에,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데이터 교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 도시된다. 블록(302)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이 판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송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수신된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 및 송신된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기 위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 내에 기록된다. 이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의 총량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된다. 사용자들에게 접속성을 분배해주는, 서비스 제공자는 통상 각 사용자에 의해 교환되는 데이터양을 모니터(monitor)한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식별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쿼리(query)받을 수 있다.
블록(304)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의 사용량 관련 데이터가 수신된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량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 사용자에게 데이터 플랜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한도,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률 및 데이터 플랜에 기초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량 관련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된다. 서비스 제공자는 데이터 플랜, 데이터 한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를 제공하도록 요청받는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또한 데이터 사용량과 관련된 요금률을 제공할 수 있다. 적용되는 요금률은 사용자의 데이터 플랜에 기초할 수 있고 초과 사용량에 대해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요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사용량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데이터 플랜 및 해당 데이터 플랜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한도에 대응하는 데이터 플랜을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는 데이터 플랜에 기초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선택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블록(306)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선호도가 수신된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디스플레이 선호도는 데이터 교환 정보의 표시를 위한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 보기보다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양 및 송신되는 데이터양 보기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보가 표시될 포맷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정보의 숫자 형태 보기보다 교환된 데이터양의 그래프 형태 보기를 선호할 수 있다.
블록(308)에서, 판정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사용량 관련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선호도에 기초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일 구현예에서, 정보의 표시는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한도 및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한다.
도 4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과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 도시된다. 블록(402)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이 판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송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수신된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 및 송신된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기 위해 기록된다. 위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된다. 사용자들에게 접속성을 분배해주는, 서비스 제공자는 통상 각 사용자에 의해 교환된 데이터양을 모니터(monitor)한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카드에 의해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식별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정보제공을 요청받을 수 있다.
블록(404)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와 관련된 데이터 플랜이 식별된다. 통상, 서비스 제공자는 서로 다른 필요를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여러 다른 데이터 플랜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이 식별된다. 전술하였듯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은 데이터 전송 한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률 및 초과 사용량에 대해 사용자에게 부과될 수 있는 요금률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406)에서, 교환된 데이터양 및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무선 데이터 카드의 과금 정보가 판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무선 데이터 카드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에 관한 정보는 과금 정보를 판정하기 위해 데이터 플랜에 대응하는 요금률과 결합된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플랜은 100 MB 데이터 한도로 무료 교환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한도 사용량 초과분에 대해서는 10 파이사(paise)/KB의 요금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151 MB의 데이터 전송을 완료한 사용자의 과금 정보는 1 MB의 초과 사용량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위 시나리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요금률 플랜에 따라, 1 MB의 초과 사용량 당 100 루피(rupees)의 요금을 청구받을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과금 정보는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안되는 할인 및 특별 할인 시간대(special or happy hours), 명절 등과 같이 특별한 행사 기간 동안의 요금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408)에서, 사용자의 과금 정보는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일 구현예에서, 과금 정보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표시된다. 사용자는 특정 포맷으로 과 금정보를 보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총 과금 정보의 표시보다는 송신된 데이터 및 수신된 데이터 별 과금 정보를 보기를 바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무선 데이터 카드의 데이터 교환 및 과금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무선 데이터 카드는 정확한 실시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정보의 로컬 판정(local determination)은 사용자에게 정보의 실시간 갱신과 정보에 대한 신속한 접근을 제공하나, 다른 한편으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직접 쿼리(query)되는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로그인 및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필요 없이 정보에 번거롭지 않고 편리하게 접근토록 한다.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현예들은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에 특정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설명된 특정의 특징 또는 방법에만 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이 같이 특정된 특징 및 방법은 무선 데이터 카드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현예들로서 개시된 것일 뿐이다.

Claims (15)

  1. 무선 데이터 카드(104)로서,
    디스플레이(202)와,
    프로세서(204)와,
    상기 프로세서(204)에 결합 되는 메모리(206)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206)는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pre-determined time period) 동안 적어도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분석 모듈(212)과,
    상기 디스플레이(202) 상에 적어도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216)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06)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10)와 통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110)로부터 사용량 관련 데이터,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 및 과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214)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214)은 상기 메모리(206)에 상기 과금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 모듈(214)은 상기 과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요금(monetary charges)을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214)은 상기 메모리(206)에 선호도 데이터(preferences data)를 저장하고, 상기 선호도 데이터는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의 디스플레이 포맷, 과금 정보의 디스플레이 포맷,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및 사용량 관련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명시하는(specify)
    무선 데이터 카드(104).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02)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전자 발광식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박막 트랜지스터 LCD(TFT-LCD)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12)은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 및 사용량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과금 정보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216) 상기 디스플레이(202) 상에 상기 과금 정보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데이터 카드(104).
  9. 디스플레이 시스템(102)으로서,
    메모리(206)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206)는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적어도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214)과,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적어도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216)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02)는 숫자(numeric) 디스플레이, 영문자 숫자 혼합(alphanumeric) 디스플레이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102).
  11.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동안 적어도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적어도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데이터 플랜(data plan)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 및 상기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대한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상기 디스플레이(202) 상에 상기 과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사용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스플레이 선호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은 상기 사용량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관련 데이터는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데이터 플랜,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데이터 한도 및 상기 데이터 플랜과 관련된 데이터 전송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15.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 시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서비스 제공자(110) 간에 교환된 데이터 총량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와 관련된 데이터 플랜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 및 상기 데이터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에 대한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데이터 카드(104)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상기 과금 정보 및 상기 교환된 데이터 총량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7000299A 2011-06-07 2012-05-02 무선 데이터 카드 KR20140017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611DE2011 2011-06-07
IN1611/DEL/2011 2011-06-07
PCT/EP2012/057975 WO2012168006A2 (en) 2011-06-07 2012-05-02 Wireless data 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00A true KR20140017700A (ko) 2014-02-11

Family

ID=4602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299A KR20140017700A (ko) 2011-06-07 2012-05-02 무선 데이터 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28027A1 (ko)
EP (1) EP2719246A2 (ko)
JP (1) JP2014525153A (ko)
KR (1) KR20140017700A (ko)
CN (1) CN103597903A (ko)
TW (1) TW201315269A (ko)
WO (1) WO20121680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2430A2 (en) * 2011-06-15 2012-12-20 France Telecom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data consumption
US20180115924A1 (en) * 2016-10-20 2018-04-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ynamic Exchang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CN113645609B (zh) * 2021-10-14 2022-02-08 荣耀终端有限公司 网络注册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5357A (ja) * 1994-08-15 1996-03-08 Nec Corp Pcカード無線モデム
DE29711698U1 (de) * 1997-07-03 1997-09-04 Dosch & Amand Gmbh & Co Kg Kommunikationseinsteckkarte
JP4668022B2 (ja) * 2005-09-15 2011-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070168575A1 (en) * 2005-10-28 2007-07-19 Li-Pai Chen Non-volatile storage device with thin display unit
US20080133832A1 (en) * 2006-12-01 2008-06-05 Dilip Bhavnani Flash drive-radio combination
US7962792B2 (en) * 2008-02-11 2011-06-14 Siliconsystems, Inc. Interface for enabling a host computer to retrieve device monitor data from a solid state storage subsystem
CN101600186B (zh) * 2009-06-12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统计及自动计算上网费用的方法及装置
CN101938853B (zh) * 2009-06-30 2013-04-03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计时功能的无线网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8006A3 (en) 2013-05-02
CN103597903A (zh) 2014-02-19
EP2719246A2 (en) 2014-04-16
JP2014525153A (ja) 2014-09-25
TW201315269A (zh) 2013-04-01
WO2012168006A2 (en) 2012-12-13
US20140128027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5830B2 (en) On-device attribution of network data usage
ES2633484T3 (es) Método, para medir y mostrar el tráfico de Internet de un teléfono móvil y teléfono móvil
CN103347259B (zh) 一种流量提示方法和系统
CN103994764B (zh) 一种随身定位系统
US20140068212A1 (en) Device backups and updates in view of data usage statistics
US20140355519A1 (en) Sharing wireless traffic
US20150208337A1 (en)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to a user
KR20140017700A (ko) 무선 데이터 카드
AU2018102223A4 (en) Teleco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554515B2 (en) Customer premises network access device for displaying data usage
CN113242457B (zh) 一种资源分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462533B (zh) 检测异常时隙的方法和装置
CN116860817A (zh) 一种累计流量估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3246722A (zh) 一种滞后型数据的双向处理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