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475A -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7475A KR20140017475A KR1020137000532A KR20137000532A KR20140017475A KR 20140017475 A KR20140017475 A KR 20140017475A KR 1020137000532 A KR1020137000532 A KR 1020137000532A KR 20137000532 A KR20137000532 A KR 20137000532A KR 20140017475 A KR20140017475 A KR 201400174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inner conductor
- contact
- connecto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플러그와 플러그 접속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플러그면 끝(20), 케이블(24)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설계된 케이블면 끝(22), 특히, 스크린(26)과 상기 스크린 내의 적어도 두 배선(28, 30)을 포함하는 케이블(24), 하우징(10), 및 절연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지되고, 서로 절연되고, 상기 플러그면 끝(20)에 축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0) 너머로 돌출되는 적어도 두 내부 도체부(12, 14)를 갖는, 전류를 전송하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부 도체부(12, 14)는 상기 하우징(10) 너머로 돌출되는 상기 영역 내의 상기 플러그면 끝(20)에 접촉 영역(40, 44)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배치되고 설계되고, 상기 접촉 영역은 축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결합 플러그 내의 대응하는 도체부와 전기적 접촉을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 따라, 결합 플러그와 플러그 접속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플러그면 끝, 케이블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설계된 케이블면 끝, 특히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내의 적어도 두 도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하우징, 및 절연부에 의해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지되고, 서로 절연되는 적어도 두 내부 도체부를 갖고, 상기 내부 도체부는 플러그면 끝에 축 방향에서 하우징 너머로 돌출되고, 상기 내부 도체부는 하우징 너머로 돌출되는 상기 영역 내의 플러그면 끝에서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배치되고 설계되고, 상기 접촉 영역은 축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고, 결합 플러그 내의 대응하는 도체부와 전기적 접촉을 생성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각 내부 도체부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22)의 방향에서 접촉 영역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케이블의 도체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설계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전류를 전송하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플러그 접속(connection)을 위한 양극성 또는 다극성 플러그형 커넥터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각 도체가 결합 플러그의 올바른 도체와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contact)을 생성하도록, 플러그와 결합 플러그의 정확한 정렬이 요구된다. 플러그형 커넥터와 결합 커넥터는 이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몇몇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케이블의 끝에 배치된 플러그형 커넥터가 결합 커넥터(예를 들어 하우징에 고정된)와 함께 플러그된 후에, 케이블의 이동이 발생하거나, 올바른 극성으로 결합 커넥터에 플러그될 수 있도록, 플러그형 커넥터가 케이블과 함께 회전되어야 한다. 이것은 플러그형 커넥터 내부와 케이블의 내부에 원치 않는 기계적 장력을 발생시켜, 예를 들어 케이블의 스크린을 손상시키고, 플러그 접속의 전자기 스크린에 지장을 주게 된다.
DD 236420 A1으로부터 예시적으로 알려진 다극성 잭 플러그는, 다극성 플러그 접속을 설립하기 위해서, 플러그와 결합 플러그가 서로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원주 홈은 이에 따라 잭 플러그 내에 형성되고, 접촉 스프링이 잭 플러그 내로 결합 커넥터 스냅 내에 배열되어, 대응하는 접촉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 커넥터 내의 잭 플러그를 고정(locking)한다. 접촉 스프링은 이로써 결합 커넥터의 어느 하나의 도체이고, 홈은 잭 플러그의 접촉 표면의 어느 하나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잭 플러그 접속의 장점은 공간 절약 구조 설계와 결합되어 간단하게 처리된다는 것이다. 단점은 상술한 모든 단락 플러그 동작과 상대적으로 낮은 접속 품질이다. 결합 커넥터 내의 접촉 스프링 내의 스프링 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우, 전기적 접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 접속의 기계적 안정성도 손상된다. 기계적 고정의 결여는 플러그 접속의 우연한 단절이, 예를 들어 튜브 기타 앰프의 확성기 접속의 경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면, 개별적인 경우에 단점이 될 수 있다.
잭 플러그 접속의 접촉 하중은, 예를 들어, 6.35nm 소켓과 커플링에서 3A에 이르고, 스위칭 하중은 50V에서 0.5A이다. 잭 플러그는 그러므로, 예를 들어 20A 또는 100V의 고 전압 이상 또는 그 이상의 고 전류의 전송을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결합 커넥터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동시에 고 전류의 전송을 허용하는 상술한 형태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문제에 기초한다.
이 문제는 청구항 1에서 명시된 특징과 함께 상술한 형태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형태의 플러그형 커넥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도체부의 접촉 영역(area)이, 틈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차단되는 제1 중공(hollow) 원통형 접촉 표면의 형태로 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도체부의 접촉 부분(section)이, 축 방향으로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 내의 틈을 통해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배치되며,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으로부터 절연되고, 제2 내부 도체부의 접촉 영역이 축 방향으로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면 끝에, 제1 내부 도체부의 접촉 영역보다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것은 결합 커넥터와 함께 플러그된 때, 플러그형 커넥터가 이러한 결합 커넥터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플러그형 커넥터와 이에 접속된 케이블 내의 기계적 스트레스를 플러그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동시에 예를 들어 20A 또는 그 이상의 고 전류가 이러한 플러그형 커넥터를 통해서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축 방향으로 기계적 스트레스에 저항하도록 절연부에 의해 쥐어지기 때문에, 높은 유지력에 의한, 결합 커넥터 내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기계적 고정이 간단하게 그리고 내부 도체부를 통해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릴리즈될 수 있다.
접촉 영역의 개구(open hollow) 원통은 내부 도체부를 절연부 상에 반경 방향으로 고정함으로써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기계에 의해서 플러그형 커넥터와 케이블의 접속의 자동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케이블로부터 플러그형 커넥터 내로 전자기 스크린의 연속은, 하우징이 전자기 스크린을 형성하고, 케이블의 스크린과 함께 전기적 기계적 접속을 위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 상에 형성됨으로써 획득된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특히 간단한 제조 및 조립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도체부의 접촉 영역이 제2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 특히 틈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차단되는 제2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 특히 직선(straight) 중공 원형 원통으로 형성됨으로써 획득된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특히 좋은 전기 전송 품질은, 내부 도체부의 접촉 영역과 접촉 부분이 직선 원형 원통의 생성 면에 의해 정의된 표면 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배치됨으로써 획득된다.
결합 커넥터와 함께 플러그된 때, 결합 커넥터가 매우 간단한 구조이더라도, 원치 않는 단락에 대한 내부 도체부의 절연은, 절연 커버가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대하여 틈을 통해 돌출되는 제2 내부 도체부의 접촉 부분의 일 부분을 절연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설계됨으로써 획득된다.
플러그형 커넥터와 몇몇 개별적인 구성 요소의 특히 간단한 제조 및 조립은, 커버가 절연부 상에 통합적으로(integrally) 형성됨으로써 획득된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내부 도체부의 연립(simultaneous) 축 고정과의 간단한 조립은, 절연부가 내부 도체부의 중공 원통형 접속 면을 수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원주 리세스를 구비함으로써 획득된다.
결합 커넥터 내에서 플러그형 커넥터의 축 방향 전기적 중립 중지(electrically neutral stop)은, 절연부가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면 끝의 끝면(end face)을 형성함으로써 획득된다.
내부 도체부의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지(holding)와 동시에 하우징에 대한 내부 도체부의 절연은, 절연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설계되고, 절연부의 제1 부분이 내부 도체부 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절연부의 제2 부분이 내부 도체부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하우징 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획득된다.
제2 내부 도체부가 절연부의 상기 부분의 배치를 통해 제1 내부 도체부의 결합 커넥터의 내의 접속으로부터 자동으로 절연되게 하는 커버의 배치는, 커버가 절연부의 제2 부분과 통합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획득된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특히 간단한 구조는, 절연부의 제1 부분이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면 끝의 끝면에 형성됨으로써 획득된다.
플러그 상태에서 결합 커넥터에 대한 간단하게 회전 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 면의 방사상 대칭 형태는, 제1 내부 도체부의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이 직선 중공 원형 원통(straight hollow circular cylinder)으로 설계됨으로써 획득된다.
전기 접속의 상태로부터 플러그 접속의 기계적 고정의 릴리즈는, 결합 커넥터로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기계적 잠금을 위한 잠금 장치가 하우징의 외부 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획득된다. 이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외부 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는(running) 홈(groove)의 형태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전류 전송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우징(10), 제1 내부 도체부(12), 제2 내부 도체부(14),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하우징(10)과 방사상으로 내부 도체부(12, 14)를 파지(holding)하는 절연부의 제1 부분(16), 내부 도체부(12, 14)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절연부의 제2 부분(18), 하우징(10), 결합 플러그와 함께 플러그되도록 설계되어 플러그형 커넥터와 결합 커넥터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플러그측 끝(20), 외부 도체 브레이드(braid)의 형태의 스크린(26)을 구비하는 케이블(24)와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위해 설계되는 케이블 측 끝(22), 제1 도체(28), 제2 도체(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기 도체 소재로 제조되고, 외부 도체 브레이드(26)와 케이블면 끝(22) 상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어, 하우징(10)은 플러그형 커넥터의 전자기 스크린을 형성한다. 지지 슬리브(sleeve)(32)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22)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위해 제공된다. 절연부의 복수의 부분(16, 18)은 하우징(10)에 축 방향으로 플러그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절연부의 제2 부분(18)은 둘레 방향 홈(34)을 포함하는 부분, 축 방향과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면 끝의 방향으로 하우징(10) 너머 돌출되는 커버(36)을 갖는다. 분할 보장 링(38)은 하우징(10)을 플러그면 끝(20) 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는 이러한 홈(3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면 끝(22) 상에는, 하우징(10)이 지지 슬리브(32)를 통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 내부 도체부(12)는 결합 커넥터 내에서 대응하는 접촉뿐만 아니라, 케이블(24)의 제1 도체(28)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설계된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22)의 방향으로 제1 접촉 영역(4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접촉 부분(42)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제1 접촉(contact) 영역(40)을 구비한다. 제2 내부 도체부(14)는 결합 커넥터 내에서 대응하는 접촉뿐만 아니라, 케이블(24)의 제2 도체(30)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설계된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22)의 방향으로 제2 접촉 영역(44)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촉 부분(46)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제2 접촉 영역(44)를 구비한다.
절연부의 제1 부분(16)은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면 끝(20)의 끝면(48)을 형성한다.
둘레방향 홈(50)은 하우징(10)의 외부 벽 상에 형성된다. 이것은 함께 플러그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으로부터, 플러그형 커넥터와 결합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거나 잠그기 위해서, 결합 커넥터 상의 대응하는 고정 또는 잠금 메커니즘(mechanism)의 고정(locking) 또는 잠금(latching)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도체부(12, 14)의 제1 및 제2 접촉 영역(40, 44)은 각각 틈(52, 54)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인 제1 및 제2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으로 설계되어, 접촉 영역(40, 44)는 개방 면 또는 틈(52, 54)와 함께 실질적으로 환상 구조를 이룬다. 중공 원통(40, 44)는 이에 따라 직선 중공 원형 원통으로 설계된다. 내부 도체부(12, 14)의 배치는, 제2 내부 도체부(14)의 제2 접촉 부분(46)이 제1 내부 도체부(12)의 틈(52)을 통해 돌출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배치는 이에 따라, 틈(52)의 영역 내에서,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인, 제1 중공 원통(40)의 가상의 완성이 제2 내부 도체부(14)의 제2 접촉 부분 (46)과 적어도 교차하는 완성적인 중공 원통 또는 링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내부 도체부(14)의 제2 접촉 부분(46)은 제1 내부 도체부(12)의 제1 중공 원통(40)에 의해 파지되는 직선 원형 원통의 생성 표면 상에 위치한다. 제2 내부 도체부(14)의 제2 접촉 부분(46)은 제1 내부 도체부(12)의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내의 틈(52)을 통과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이러한 두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차단된다. 제2 내부 도체부(14)의 제2 접촉 부분(46)과 제1 내부 도체부(12)의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사이의 대응하는 거리를 통해, 또한 틈(52)의 영역 내에서, 제1 및 제2 내부 도체부(12, 14)는 서로 절연되어 남는다.
절연부의 제1 부분(16)은 내부 도체부(12, 14)의 중공 원통형(cylindrical) 접촉 표면(40, 44)를 수용하는 대응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이것은 내부 도체부(12, 14)의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44)의 틈 또는 개방 면(52, 54)를 통해 외부로부터 절연부의 제1 부분(16) 상으로 방사상으로 간단하게 밀어지거나 플러그될 수 있다. 내부 도체부(12, 14)의 대응하는 탄성(resilient) 설계를 통해, 절연부의 제1 부분(16) 상으로 방사상으로 플러그된 때,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44)이 반경 방향으로 약간 확대되고, 스프링-탄성 힘의 작용 아래 이것은 그 기본 위치로 튀어오르면서, 절연부의 제1 부분(16) 상으로 끼워진다. 접촉 영역 또는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44)은 축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절연부의 제1 부분(16) 상에 배치된다. 접촉 영역(40, 44)와 함께 절연부의 제1 부분(16)의 이 영역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축 방향으로 하우징(10) 너머로 돌출되어,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면 끝(20) 상의 이러한 접촉 영역(40, 44)이 노출되고, 결합 커넥터의 대응하는 접촉과 함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허용한다. 플러그면 끝(20) 상의 결과적인 기하학 구조는, 결합 플러그와 함께 플러그된 때, 플러그형 커넥터가 결합 커넥터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합 커넥터 내의 접촉은 이로써 외부로부터 제1 접촉 영역에 방사상으로 접촉한다. 결합 커넥터 내의 이 접촉을 방지하고, 동시에 또한 접촉 부분(46)이 틈(52)을 통과하는 영역에서 제2 내부 도체부(14)와 접촉을 생성하기 위해서, 커버(36)이 제공되고, 외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틈(52)의 영역에서 접촉 부분(46)의 이러한 부분을 절연한다. 이것은 제1 접촉 영역(40)의 결합 커넥터 내의 대응하는 접촉이 둘레 방향으로 완전하게 연속하여, 이로써 또한 의도치 않게 결합 커넥터 내의 이 접촉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하게 되는 제2 내부 도체(14) 없이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24)에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22)을 맞추기 위해, 이것은 분해되어 외부 도체 브레이드(26)뿐만 아니라 도체(28, 30)이 노출된다. 지지 슬리브(32)는 케이블(24) 위로 밀려지고, 외부 도체 브레이드(26)는 이것 위에 놓여진다. 필요한 경우, 지지 슬리브(32)는 케이블(24) 상으로 크림프(crimped)된다.내부 도체부(12, 14)는 각각 도체(28, 30)과 예를 들어, 솔더링 또는 용접(welding)의 수단으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 같은 방법으로 도체(28, 30)과 접속되는 이러한 내부 도체부(12, 14)는 외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 도체부의 제1 부분(16) 상으로 플러그되거나 끼워진다. 접촉 영역(40, 44)의 절연부의 제1 부분(16) 내의 대응하는 수용 리세스는 축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절연한다. 절연부의 제2 부분(18)은 이후 절연부의 제1 부분(16) 상으로 축으로 밀어진다. 틈(52) 내의 제2 접촉 부분(46)의 자유 영역 내의 이러한 결과는 커버(36)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경 방향에서 절연된다. 동시에 절연부의 제2 부분(18)은 반경 방향으로 내부 도체부(12, 14)를 고정하고, 이후 맞춰지는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 반경 방향에서, 내부 도체부(12, 14)를 절연한다. 대응하는 잠금 메커니즘은 축 방향으로 절연부의 제1 부분(16)에 절연부의 제2 부분(18)을 고정한다. 하우징(10)은 이후, 지지 슬리브(32)에 오를 때까지 절연부의 제2 부분(18) 위로 축 방향에서 밀어진다. 전기 도체 소재로 제조되는 하우징(10)은, 지지 슬리브(32) 같이, 지지 슬리브(32)를 통해 케이블(24)의 외부 도체 브레이드(26)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보장 링(38)은 홈(34)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은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플러그면 끝의 방향에서 밀어 내지는 것으로부터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는 이제 완전하게 조립되고, 케이블(24)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10: 하우징 12: 제1 내부 도체부
14: 제2 내부 도체부 16: 절연부의 제1 부분
18: 절연부의 제2 부분 20: 플러그면 끝
22: 케이블면 끝 24: 케이블
26: 스크린 40: 제1 접촉 영역
44: 제2 접촉 영역 42: 제1 접촉 부분
46: 제2 접촉 부분 50: 홈
52, 54: 틈
14: 제2 내부 도체부 16: 절연부의 제1 부분
18: 절연부의 제2 부분 20: 플러그면 끝
22: 케이블면 끝 24: 케이블
26: 스크린 40: 제1 접촉 영역
44: 제2 접촉 영역 42: 제1 접촉 부분
46: 제2 접촉 부분 50: 홈
52, 54: 틈
Claims (14)
- 결합 플러그와 플러그 접속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플러그면 끝(20), 케이블(24)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설계된 케이블면 끝(22), 특히 스크린(26)과 상기 스크린(26) 내의 적어도 두 도체(28, 30)를 포함하는 케이블(24), 하우징(10), 및 절연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지되고, 서로 절연되는 적어도 두 내부 도체부(12, 14)를 갖고, 상기 내부 도체부(12, 14)는 상기 플러그면 끝(20)에 축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0) 너머로 돌출되고, 상기 내부 도체부(12, 14)는 상기 하우징(10) 너머로 돌출되는 상기 영역 내의 상기 플러그면 끝(20)에서 접촉 영역(40, 44)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배치되고 설계되고, 상기 접촉 영역은 축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결합 플러그 내의 대응하는 도체부와 전기적 접촉을 생성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각 내부 도체부(12, 14)는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상기 케이블면 끝(22)의 방향에서 상기 접촉 영역(40, 44)로부터 축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케이블(24)의 도체(28, 30)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설계되는 접촉 부분(42, 46)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도체부(12)의 상기 접촉 영역(40, 44)은 틈(52)에 의해 둘레 방향에서 차단되는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의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도체부(14)의 상기 접촉 표면(46)은 축 방향에서 상기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내의 상기 틈(52)을 통해 돌출되는 방법으로 설계되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으로부터 절연되어, 상기 제2 내부 도체부(14)의 상기 접촉 영역(44)은, 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내부 도체부(12)의 상기 접촉 영역(40)보다,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면 끝(20)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전송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전자기 스크린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24)의 스크린(26)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위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케이블면 끝(2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도체부(14)의 상기 접촉 영역(44)는 제2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으로 형성되고, 특히 접촉-표면 중공 원통으로, 특히 틈(54)에 의해 둘레 방향에서 돌출되는 제2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으로, 특히 직선 중공 원형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부(12, 14)의 상기 접촉 영역(40, 44)과 접촉 부분(42, 46)은 직선 원형 원통의 생성된 표면에 의해 정의된 표면 상의 공간에 배치되는 방법으로 설계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절연 커버(36)가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대하여 상기 틈(52)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제2 내부 도체부(14)의 상기 접촉 부분(46)의 일 부분을 절연하는 방법으로 배치되고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6)은 상기 절연부(18) 상에 통합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16, 18)은 상기 내부 도체부(12, 14)의 상기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 44)를 수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둘레 방향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16, 18)는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면 끝(20)의 끝면(4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16, 18)은 복수의 부분으로 설계되고, 상기 절연부의 제1 부분(16)은 상기 내부 도체부(12, 14)와 방사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부의 제2 부분(18)은 상기 내부 도체부(12, 14)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하우징(10)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6항 및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6)은 상기 절연부의 상기 제2 부분(18)과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의 상기 제1 부분(16)은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면 끝(20)의 끝면(4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부(12)의 상기 제1 중공 원통형 접촉 표면(40)은 직선 중공 원형 원통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커넥터 내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기계적 잠금을 위한 잠금 장치(50)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면 상에 둘레 방향에서 연속되는 홈(50)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202010009766.5 | 2010-07-02 | ||
DE202010009766U DE202010009766U1 (de) | 2010-07-02 | 2010-07-02 | Drehbarer Steckverbinder |
PCT/EP2011/002558 WO2012000588A1 (de) | 2010-07-02 | 2011-05-23 | Drehbarer steckverbin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7475A true KR20140017475A (ko) | 2014-02-11 |
KR101809013B1 KR101809013B1 (ko) | 2018-01-18 |
Family
ID=4275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0532A KR101809013B1 (ko) | 2010-07-02 | 2011-05-23 |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8840434B2 (ko) |
EP (1) | EP2589116B1 (ko) |
JP (1) | JP5722440B2 (ko) |
KR (1) | KR101809013B1 (ko) |
CN (1) | CN103004025B (ko) |
CA (1) | CA2801815C (ko) |
DE (1) | DE202010009766U1 (ko) |
TW (1) | TWM417693U (ko) |
WO (1) | WO201200058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3002575U1 (de) * | 2013-03-15 | 2013-04-17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Steckverbinder |
US9592443B2 (en) | 2014-03-11 | 2017-03-1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ata store for a modular assembly system |
US9703896B2 (en) | 2014-03-11 | 2017-07-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Generation of custom modular objects |
US9526979B2 (en) | 2014-03-11 | 2016-12-2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toring state for physical modular toys |
US9555326B2 (en) | 2014-03-11 | 2017-01-3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Gaming system for modular toys |
US10150043B2 (en) | 2014-03-11 | 2018-12-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Interactive smart beads |
US10188939B2 (en) | 2014-03-11 | 2019-01-2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odular construction for interacting with software |
US10518188B2 (en) | 2014-06-30 | 2019-12-3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ntrolling physical toys using a physics engine |
US10478723B2 (en) | 2014-06-30 | 2019-11-1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Track based play systems |
US10537821B2 (en) | 2014-06-30 | 2020-01-2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Interactive play sets |
US9696757B2 (en) | 2014-10-08 | 2017-07-04 | Microsoft Corporation | Transfer of attributes between generations of characters |
US9919226B2 (en) | 2014-10-08 | 2018-03-2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torage and charging device for game pieces |
US10369477B2 (en) | 2014-10-08 | 2019-08-0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anagement of resources within a virtual world |
EP3145033B1 (de) * | 2015-09-15 | 2019-12-04 | MD Elektronik GmbH |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
KR102227622B1 (ko) * | 2016-02-26 | 2021-03-15 |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동축 플러그 커넥터용 외부 전도체 장치 |
DE102018111712A1 (de) * | 2018-05-16 | 2019-11-21 | Kolektor Group D.O.O. | Elektro-Bau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46282A (en) * | 1963-01-22 | 1966-04-12 | Dynamic Instr Corp | Plug receptacle and connector assembly |
US4397516A (en) * | 1981-05-26 | 1983-08-09 | The Bendix Corporation | Cable termination apparatus |
DD236420A1 (de) | 1985-04-22 | 1986-06-04 | Hermsdorf Keramik Veb | Mehrpoliger klinkenstecker |
DE69737246T2 (de) * | 1996-08-12 | 2007-10-25 |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parks | Richtungsfreie Zündpille-Anschlus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Luftsacksysteme |
JP3415426B2 (ja) * | 1998-02-06 | 2003-06-09 | 英朗 茂治 | コネクタにおけるコード線の外皮の剥離装置およびコネクタにおけるコード線の芯線と接触端子との接続方法 |
DE10128691B4 (de) * | 2001-06-13 | 2004-12-02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Anschlusseinrichtung |
US6609931B2 (en) * | 2001-10-25 | 2003-08-26 | Tyco Electronics Corp. |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
US6641442B1 (en) | 2002-08-15 | 2003-11-04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Air bag initiator coaxial connector |
CN2710217Y (zh) * | 2004-05-28 | 2005-07-13 | 东莞溢华电线电缆有限公司 | 旋转式接头母座 |
WO2008060470A2 (en) | 2006-11-10 | 2008-05-22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Multi-signal single pin connector |
US7618294B1 (en) * | 2008-10-29 | 2009-11-17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Audio plug connector |
US8206181B2 (en) * | 2009-04-29 | 2012-06-26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onnector arrangement |
-
2010
- 2010-07-02 DE DE202010009766U patent/DE202010009766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1
- 2011-05-23 WO PCT/EP2011/002558 patent/WO2012000588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5-23 KR KR1020137000532A patent/KR1018090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5-23 JP JP2013517048A patent/JP5722440B2/ja active Active
- 2011-05-23 US US13/807,536 patent/US8840434B2/en active Active
- 2011-05-23 CA CA2801815A patent/CA280181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5-23 CN CN201180033027.5A patent/CN103004025B/zh active Active
- 2011-05-23 EP EP11729251.6A patent/EP2589116B1/de active Active
- 2011-06-21 TW TW100211197U patent/TWM417693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01815A1 (en) | 2012-01-05 |
CA2801815C (en) | 2017-07-04 |
CN103004025A (zh) | 2013-03-27 |
JP2013529835A (ja) | 2013-07-22 |
CN103004025B (zh) | 2015-09-16 |
WO2012000588A1 (de) | 2012-01-05 |
EP2589116B1 (de) | 2015-07-22 |
KR101809013B1 (ko) | 2018-01-18 |
TWM417693U (en) | 2011-12-01 |
EP2589116A1 (de) | 2013-05-08 |
US20130122753A1 (en) | 2013-05-16 |
JP5722440B2 (ja) | 2015-05-20 |
US8840434B2 (en) | 2014-09-23 |
DE202010009766U1 (de) | 2010-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17475A (ko) |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 |
US9502796B2 (en) | Plug connector for differential data transmission | |
US7112078B2 (en) | Gimbling electronic connector | |
CN109103673B (zh) | 插座连接器 | |
US10148047B2 (en) | Guided coaxial connector | |
CN112219322B (zh) | 高电流插接连接器及其装配方法 | |
US20150024628A1 (en) | Coaxial plug connector arrangement | |
KR20180113539A (ko)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
KR20120027190A (ko) | 내부 쉴딩 배열을 가진 동축 커넥터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 |
DE69821366D1 (de)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drehstrom | |
KR101601819B1 (ko) | 스타 쿼드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 |
KR20080005220A (ko) | 전기 구동력 전송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전기 플러그 | |
JP3138156U (ja) | Rf通信用マイクロ波コネクタのソケット | |
JP5684882B2 (ja) | 自動車分野において高圧電流を伝送するための接続装置 | |
JP2010232046A (ja) | スリーブ | |
JP2015524604A (ja) | 対称的に装着したプラグコンタクトを有する遮蔽された円形プラグコネクターユニット | |
US1129644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electrical connectors | |
JP6411532B2 (ja) | プラグ接続部 | |
US9017107B2 (en) |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 contact-making member | |
KR20130078183A (ko) | 커넥터 | |
JP2010123429A (ja) | コネクタ接続構造 | |
JP2019129155A (ja) | 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