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573A - 압연스탠드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스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573A
KR20140016573A KR1020120083314A KR20120083314A KR20140016573A KR 20140016573 A KR20140016573 A KR 20140016573A KR 1020120083314 A KR1020120083314 A KR 1020120083314A KR 20120083314 A KR20120083314 A KR 20120083314A KR 20140016573 A KR20140016573 A KR 2014001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ensor
unit
workpiece
roll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094B1 (ko
Inventor
임갑수
박영국
정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0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4Loop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02Vertical deviation, e.g. slack, looper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스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며, 압연롤러로 소재를 가압하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와,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며, 소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며 소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루퍼와,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며, 압연스탠드 사이를 통과하는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루퍼의 작동에 따른 소재 상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온도센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센서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연스탠드장치{ROLLING STAND APPARATUS}
본 발명은 압연스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 하측 압연롤러 사이에 소재를 끼운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소재를 압연시키는 압연스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합한 온도(1100 ~ 1300 ℃)로 재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 압연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39572호(2008.6.12. 등록, 발명의 명칭 : 스트립형 압연재용 압연 스탠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압연 중인 소재의 온도에 따라 압연 하중을 제어하면서 소재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압연스탠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는,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며, 압연롤러로 상기 소재를 가압하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소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루퍼;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루퍼의 작동에 따른 상기 소재 상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센서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루퍼는,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동대의 단부를 밀어내며 상향 회동시키는 피스톤부가 구비되는 신축실린더; 및 상기 회동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대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내부관부와 외부관부를 구비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하부가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는 분사관부; 상기 내부관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까지의 수직 연장 경로가 상기 분사관부에서 분사된 고압공기에 둘러싸이는 센서부; 상기 외부관부에 연결되며, 고압공기를 상기 내부관부와 상기 외부관부 사이로 공급하는 분사공기공급부; 및 상기 내부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상기 내부관부 내부로 공급하는 냉각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관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관부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분사공기공급부가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연장부 하측에 위치되는 내면부가 상협하광의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경사확장부 경사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이동장치는, 상기 루퍼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스프라켓;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스프라켓; 상기 상부스프라켓 또는 상기 하부스프라켓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상부스프라켓과 상기 하부스프라켓에 상,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 또는 상기 하부스프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센서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이동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상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소재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압연롤러 사이로 상기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상기 압연스탠드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에 고압유체를 하향 분사하며 상기 소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체분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압연스탠드를 통과하며 압연 중인 소재의 온도를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된 온도센서로 복수개의 개소에서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압연 중인 소재의 온도에 따라 압연스탠드 각각의 압연 하중을 제어하면서 소재의 온도에 적합한 압하력으로 소재를 압연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재의 품질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퍼로 소재의 장력을 조정하면서도, 루퍼의 작동에 따른 소재의 상면 위치에 따라 온도센서를 상하로 이송시키면서 온도센서와 소재간 거리를 설정 거리로 유지하며 온도센서의 측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분사장치로 소재 표면의 이물질를 불어내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분사관부에서 고압공기를 하향 분사함으로써 공기 중에 비산된 이물질이 센서부의 감지 경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공기공급부를 통해 분사관부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로 냉각공기를 공급하면서 센서부를 냉각시킬 수 있어, 고온 소재에 근접하게 위치됨에 따른 센서부의 과열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온도센서와 센서이동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온도센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온도센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압연스탠드 사이를 소재의 선단부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루퍼로 소재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온도센서와 센서이동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온도센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온도센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압연스탠드 사이를 소재의 선단부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의 루퍼로 소재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200)는 압연스탠드(210), 루퍼(Looper)(220), 온도센서(230), 센서이동장치(240), 가이드패널(250), 유체분사장치(260)를 포함한다.
압연스탠드(210)는 소재(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개의 압연롤러(211)를 구비하여, 소재(10)의 이송경로상에 설치된다.
압연스탠드(210)는 소재(10)의 이송방향(도 1의 좌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소재(10)는 복수개의 압연스탠드(210)에 끼여 구속된 상태로, 압연롤러(211)의 회전에 의해 일측(도 1의 좌측방향)으로의 이송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소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되는 소재(10)의 각 부분은 복수개의 압연스탠드(21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압연롤러(211)에 의해 가압되고, 설정 두께로 압연된다.
루퍼(220)는 압연스탠드(210) 사이에 설치되며, 소재(1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며 소재(10)의 장력을 소재(10)의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하게 조정, 유지한다.
루퍼(220)는 복수개의 압연스탠드(210)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10)의 각 부분을 동일한 가압력으로 상향 가압함으로써, 소재(10)의 각 부분에 서로 동일한 가압력이 걸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재(10)의 일측부에 걸리는 장력이 타측부에 걸리는 장력보다 커서 소재(10)가 일측으로 더 쏠리며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퍼(220)는 지지대(222), 회동대(223), 신축실린더(224), 접촉롤러(227)를 포함한다.
지지대(222)는 압연스탠드(210) 사이에서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회동대(223)는 소재(10) 이송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중간부가 지지대(2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신축실린더(224)는 회동대(223) 하측에서 지지대(222)에 설치되며, 회동대(223)측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작동을 한다.
신축실린더(224)는 실린더부(225)와 피스톤부(226)를 포함한다.
실린더부(225)는 지지대(222)의 상부에 회동대(223)를 향해 고정설치된다.
피스톤부(226)는 실린더부(225) 내부에 형성되는 유압에 따라 실린더부(225)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회동대(223)의 단부를 밀어내며 소재(10)측으로 상향 회동시킨다.
접촉롤러(227)는 상기와 같은 신축실린더(224)의 신장 구동에 의해 상향 회동되는 회동대(223)의 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접촉롤러(227)는 회동대(223)의 상향 회동 시 소재(10)의 저면에 접촉되며, 소재(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소재(10)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름운동을 한다.
접촉롤러(227)는 상기와 같은 신축실린더(224)의 신장 구동과 회동대(223)의 상향 회동에 연동하여 소재(10)의 저면에 접촉되고 소재(10)를 상측으로 밀어내며 소재(10)에 설정 세기의 장력이 걸리도록 한다.
신축실린더(224)에 형성되는 유압이 서로 동일하면, 복수개의 압연스탠드(210)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10)의 각 부분을 가압하는 접촉롤러(227)의 가압력 또한 동일하고, 이는 소재(10)의 각 부분에 동일한 장력이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온도센서(230)는 복수개의 압연스탠드(210) 사이에 설치되며, 압연스탠드(210) 사이를 통과하는 소재(10)의 온도를 복수개의 개소에서 측정한다.
도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230)는 분사관부(231), 센서부(236), 분사공기공급부(237), 냉각공기공급부(238)를 포함한다.
분사관부(231)는 내부관부(232)와 외부관부(233)를 구비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하부가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내부관부(232)는 상하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외부관부(233)는 내부관부(232)의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내부관부(232)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외부관부(233)는 수직연장부(234)와 경사확장부(235)를 포함한다.
수직연장부(234)는 상하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내부관부(232)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분사공기공급부(237)가 연결된다.
경사확장부(235)는 수직연장부(234) 둘레에 결합되며, 하부가 수직연장부(234)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경사확장부(235) 하부의 내면부는 깔때기를 도립(倒立)시킨 형상, 즉 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센서부(236)는 내부관부(232) 내부에 설치되어 소재(10)의 온도를 측정하며, 소재(10)까지의 수직 연장 경로가 감지 경로(P)가 된다.
센서부(236)로는 파이로미터(Pyrometer, 일명 고온계) 등의 센서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분사공기공급부(237)는 외부관부(233) 상부에 형성된 유입홀부 둘레에 연결되며, 고압공기를 고압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받아 내부관부(232)와 외부관부(233) 사이로 공급한다.
분사공기공급부(237)를 통해 분사관부(231)로 유입된 고압공기는 내부관부(232)와 외부관부(233) 사이에 형성된 중공의 공간부를 통해 고속으로 하향 유동된다.
그리고, 내부관부(232)의 하단과 수직연장부(234)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소재(10)측으로 하향 분사되며, 센서부(236)의 감지 경로(P)상에 비산 중인 이물질(S)을 감지 경로(P) 외측으로 밀어낸다.
즉, 센서부(236)의 감지 경로(P)는 분사관부(231)에서 분사된 고압공기에 둘러싸이게 된다.
증기, 스케일 등의 이물질(S)이 감지 경로(P)상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이물질(S)로 인한 센서부(236)의 측정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경사확장부(235)는 내부관부(232)와 수직연장부(234)의 하단 사이를 통해 토출되는 고압공기의 토출 경로 둘레를 감싸게 되어, 고압공기의 압력 손실을 줄임으로써 상기와 같은 이물질(S) 제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경사확장부(235)는 내부관부(232)와 수직연장부(234)로부터 이격될수록 점차 확장된 내부 공간부를 이루게 되어, 내부관부(232)와 수직연장부(234)의 하단 사이로 토출된 고압공기가 점차 확장된 공간부측으로 유동,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내부관부(232)와 수직연장부(234)의 하단 사이로 토출된 고압공기는 경사확장부(235)의 경사면을 타고 비스듬히 유동되면서 경사확장부(235)의 하단과 소재(1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경사확장부(235)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상기와 같은 고압공기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압공기의 분사로 인해 온도센서(230)에 작용하는 반력, 진동 발생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냉각공기공급부(238)는 내부관부(232)의 상부에 연결되며, 센서부(236)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냉각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받아 내부관부(232) 내부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공기공급부(238)는 도립(倒立)된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내부관부(232)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냉각공기공급부(238)의 상부는, 냉각공기 공급장치와 온도센서(230)를 연결하는 도관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냉각공기공급부(238)의 하부는 그 내면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내부관부(232)의 둘레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냉각공기공급부(238)의 하단부는, 내부관부(232)와 수직연장부(234)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를 폐쇄시키며 내부관부(232)와 외부관부(233)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냉각공기공급부(238)는 센서부(236)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내부관부(232) 내부로 공급하는 외에도, 내부관부(232)와 외부관부(233)의 상단 사이의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마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센서이동장치(240)는 루퍼(220)의 작동에 따른 소재(10) 상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온도센서(230)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온도센서(230)와 소재(10)간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이동장치(240)는 고정대(241), 상부스프라켓(242), 하부스프라켓(243), 모터(244), 체인(245), 센서결합구(246), 변위센서(247), 제어부(248)를 포함한다.
고정대(241)는 상하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루퍼(220) 상측에 고정설치된다.
상부스프라켓(242)은 고정대(24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스프라켓(243)은 고정대(24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244)는 고정대(241)에 고정설치되고, 그 회전축이 상부스프라켓(242)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부스프라켓(24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체인(245)은 폐쇄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부스프라켓(242)과 하부스프라켓(243)에 상, 하부가 연결된다.
체인(245)은 상부스프라켓(242)과 하부스프라켓(243)에 상, 하부가 걸려 구속된 상태로 상부스프라켓(24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하부스프라켓(243)을 상부스프라켓(242)과 동일한 선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센서결합구(246)는 체인(245)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부상에 고정설치되어 체인(245)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온도센서(230)의 외부관부(233),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센서(230)의 경사확장부(235)는 센서결합부(246)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센서결합구(246)는 상측으로 구부러진 걸림구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경사확장부(235)상에는 센서결합구(246)의 돌출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확장부(235)에 형성된 홈부에 센서결합구(246)의 돌출부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온도센서(230)를 센서이동장치(240)상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변위센서(247)는 온도센서(230)에 설치되며, 소재(10)의 상면과의 거리를 감지한다.
즉, 변위센서(247)는 온도센서(230)와 소재(10) 상면간의 거리를 감지한다.
변위센서(247)로는 전자 유도식,자기식,광학식 등의 접촉식 변위센서 또는 와류식,광학식(Laser),초음파식 등의 비접촉식 변위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248)는 변위센서(247)의 신호에 따라, 즉 변위센서(247)에서 측정된 소재(10) 상면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모터(244)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을 제어하며 소재(10)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온도센서(230)를 소재(10)의 이송 경로 상측에 대기 중인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0)가 압연스탠드(210) 사이로 진입되면, 변위센서(247)에 소재(10)가 감지된다.
이때, 변위센서(247)에서 감지된 온도센서(230)와 소재(10)간 거리는 설정 거리보다 크므로, 제어부(248)에서는 모터(244)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온도센서(230)를 소재(10)측으로 하향 이동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230)가 소재(10)로부터 설정 거리를 두고 위치될 때까지 모터(244)의 정방향 구동을 지속한다.
소재(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퍼(220)가 작동하면 소재(10)의 상면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변위센서(247)에서 감지된 온도센서(230)와 소재(10)간 거리는 설정 거리보다 작아지므로, 제어부(248)에서는 모터(244)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온도센서(230)를 상향 이동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230)가 소재(10)로부터 설정 거리를 두고 위치될 때까지 모터(244)의 역방향 구동을 지속한다.
변위센서(247)는 상기와 같은 소재(10)의 상향, 하향 이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248)로 송신한다.
제어부(248)에서는 소재(10)의 상향, 하향 이동된 변위에 비례하여 모터(244)를 역방향,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온도센서(230)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킨다.
가이드패널(250)은 압연스탠드(210)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소재(10)의 선단부(도 5에서 소재(10)의 좌측단부)의 이송을 압연스탠드(210)의 상, 하측 압연롤러(211) 사이로 가이드한다.
가이드패널(250)의 하부는 소재(10)의 이송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패널 형상을 가지며, 소재(10)를 하단지지한다.
가이드패널(250)의 상부는 소재(10)의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소재(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패널(250)의 상, 하부간 거리는 소재(10)의 이송방향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패널(250) 구조에 의해 소재(10)의 선단부는 가이드패널(250)의 상, 하부 사이로 안정되게 진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패널(25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촉, 가이드되며 상, 하측 압연롤러(211) 사이로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다.
유체분사장치(260)는 가이드패널(250) 상측에 설치되며, 소재(10)에 고압유체를 하향 분사하며 소재(10) 표면의 이물질(S)을 제거한다.(도 4 참조)
유체분사장치(260)의 작동에 의해 소재(10) 표면에서 이탈되어 공기 중으로 비산된 이물질(S)은, 분사관부(231)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센서부(236)의 감지 경로(P) 외측에 위치되어 센서 감도를 저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스탠드장치(200)는, 복수개의 압연스탠드(210)를 통과하며 압연 중인 소재(10)의 온도를 압연스탠드(210) 사이에 설치된 온도센서(230)로 복수개의 개소에서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압연 중인 소재(10)의 온도에 따라 압연스탠드(210) 각각의 압연 하중을 제어하면서 소재(10)의 온도에 적합한 압하력으로 소재(10)를 압연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재(10)의 품질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퍼(220)로 소재(10)의 장력을 조정하면서도, 루퍼(220)의 작동에 따른 소재(10)의 상면 위치에 따라 온도센서(230)를 상하로 이송시키면서 온도센서(230)와 소재(10)간 거리를 설정 거리로 유지하며 온도센서(230)의 측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분사장치(260)로 소재(10) 표면의 이물질(S)를 불어내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분사관부(231)에서 고압공기를 하향 분사함으로써 공기 중에 비산된 이물질(S)이 센서부(236)의 감지 경로(P)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공기공급부(238)를 통해 분사관부(231)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236)로 냉각공기를 공급하면서 센서부(236)를 냉각시킬 수 있어, 고온 소재(10)에 근접하게 위치됨에 따른 센서부(236)의 과열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소재 200 : 압연스탠드장치
210 : 압연스탠드 211 : 압연롤러
220 : 루퍼 222 : 지지대
223 : 회동대 224 : 신축실린더
225 : 실린더부 226 : 피스톤부
227 : 접촉롤러 230 : 온도센서
231 : 분사관부 232 : 내부관부
233 : 외부관부 234 : 수직연장부
235 : 경사확장부 236 : 센서부
237 : 분사공기공급부 238 : 냉각공기공급부
240 : 센서이동장치 241 : 고정대
242 : 상부스프라켓 243 : 하부스프라켓
244 : 모터 245 : 체인
246 : 센서결합구 247 : 변위센서
248 : 제어부 250 : 가이드패널
260 : 유체분사장치

Claims (7)

  1.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며, 압연롤러로 상기 소재를 가압하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소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루퍼;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루퍼의 작동에 따른 상기 소재 상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센서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는,
    상기 압연스탠드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동대의 단부를 밀어내며 상향 회동시키는 피스톤부가 구비되는 신축실린더; 및
    상기 회동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대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소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내부관부와 외부관부를 구비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하부가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는 분사관부;
    상기 내부관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까지의 수직 연장 경로가 상기 분사관부에서 분사된 고압공기에 둘러싸이는 센서부;
    상기 외부관부에 연결되며, 고압공기를 상기 내부관부와 상기 외부관부 사이로 공급하는 분사공기공급부; 및
    상기 내부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상기 내부관부 내부로 공급하는 냉각공기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관부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분사공기공급부가 연결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연장부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연장부 하측에 위치되는 내면부가 상협하광의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경사확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장치는,
    상기 루퍼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스프라켓;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스프라켓;
    상기 상부스프라켓 또는 상기 하부스프라켓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상부스프라켓과 상기 하부스프라켓에 상,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부스프라켓 또는 상기 하부스프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센서결합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상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소재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러 사이로 상기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상기 압연스탠드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에 고압유체를 하향 분사하며 상기 소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체분사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스탠드장치.
KR1020120083314A 2012-07-30 2012-07-30 압연스탠드장치 KR10144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14A KR101443094B1 (ko) 2012-07-30 2012-07-30 압연스탠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14A KR101443094B1 (ko) 2012-07-30 2012-07-30 압연스탠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73A true KR20140016573A (ko) 2014-02-10
KR101443094B1 KR101443094B1 (ko) 2014-09-22

Family

ID=5026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314A KR101443094B1 (ko) 2012-07-30 2012-07-30 압연스탠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14A1 (ko) * 2018-10-18 2020-04-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보열설비 및 그 제어방법
CN112275808A (zh) * 2020-09-30 2021-01-29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活套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458A (ko) * 2000-12-13 2002-06-22 이구택 루퍼카 스트립 사행 조정 장치
KR100808360B1 (ko) 2006-10-17 2008-02-2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스트립 표면의 분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93665B1 (ko) * 2009-05-26 2012-10-22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속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연 속도 제어 장치
KR101167218B1 (ko) * 2010-04-29 2012-07-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접촉형 소재온도 측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614A1 (ko) * 2018-10-18 2020-04-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보열설비 및 그 제어방법
CN112275808A (zh) * 2020-09-30 2021-01-29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活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094B1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143B2 (en) Slab scar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43094B1 (ko) 압연스탠드장치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344333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71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184938B1 (ko) 소재변형 제어장치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101184943B1 (ko) 온도 측정 장치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KR101225796B1 (ko) 소재의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13B1 (ko) 소재 감지장치
KR101159776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175794B1 (ko) 압연기
KR101225795B1 (ko) 스트립의 상향 방지 장치
KR20110087988A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101184939B1 (ko) 압연장치
KR101148948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를 갖는 루퍼
KR20190075384A (ko) 스카핑 장치
KR20130002212A (ko) 열연강판 표면 냉각수 제거 장치
KR20090071137A (ko) 선재 가이드장치
KR20110046634A (ko) 형강 배출 가이드 장치
KR101175798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193860B1 (ko) 스트립 선단부의 상향 방지 장치
KR101184937B1 (ko) 압연스탠드
KR101466178B1 (ko) 소재온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