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709A -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709A
KR20140015709A KR1020120077312A KR20120077312A KR20140015709A KR 20140015709 A KR20140015709 A KR 20140015709A KR 1020120077312 A KR1020120077312 A KR 1020120077312A KR 20120077312 A KR20120077312 A KR 20120077312A KR 20140015709 A KR20140015709 A KR 20140015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extracting
region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김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호 filed Critical 김민호
Priority to KR102012007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709A/ko
Publication of KR2014001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을 1회 이상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영역들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 내부의 영역을 의상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합성에 이용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상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은 후,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과 상기 의상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image match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의상을 자신의 영상과 합성하여 마치 사용자 자신이 그 의상을 입은 것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인터넷 문화가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 구매를 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상품 구매는 직접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구매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일반적으로 매장보다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경우도 많아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접 물건을 보지 않고 모니터 화면에 보여진 모습만으로 물건의 구매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의류 등과 같은 제품의 경우에는 화면상에 출력되는 제품을 보는 것만으로는 자신에게 잘 맞을지, 자신에게 잘 어울릴지, 실제 입었을 때 모양이 어떨지 여부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구매여부를 많이 망설일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7-10702호와 같이 소비자가 자신의 신체치수를 입력하면 그 신체치수에 맞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그 아바타에 소비자가 선택한 의상 등이 입혀진 화면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소비자는 웹 화면을 통하여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의상이 자신의 신체치수와 잘 맞는지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아바타 생성 및 치수 조정, 그리고 아바타에 입혀지는 경우 의상의 모양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있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사이트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고, 또한 아바타에 옷을 입힌 경우에 실제 옷을 입은 영상이 아니라 컴퓨터 처리를 통하여 영상을 합성하는 것이므로, 실제 옷을 입은 경우와는 달리 약간 부자연스럽게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은 사용자가 웹서핑을 하는 중 우연히 마음에 드는 의상을 발견한 경우에는 그 의상이 자신에 맞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10702호(2007.1.24 공개) 요약, 청구항 1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48733호(2010.5.11 공개) 요약, 청구항 1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아바타에 사용자가 선택한 의상이 입혀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도록, 아바타 정보 및 그 아바타에 가상으로 입혀질 수 있는 의상에 관한 정보가 주어져서 지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그 영상에 포함된 의상을 입었을 경우의 화면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을 1회 이상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영역들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 내부의 영역을 의상이미지로 추출하는 의상이미지추출부;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 사용자영상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합성에 이용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는 사용자이미지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을 1회 이상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영역들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 내부의 영역을 의상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합성에 이용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상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은 후,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과 상기 의상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은 색상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색상 및 모양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은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유사 범위의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이며, 상기 유사 범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의상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위에 출력되도록 양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은 일반적인 웹사이트 등에서 자신이 원하는 의상을 본 경우에도 자신이 그 의상을 입은 경우에 어떻게 보이는지를 영상 합성을 통하여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실제 의상을 입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가 그 의상을 입은 영상을 합성하므로, 의상의 모양이나 포즈 등을 보다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선택된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추출된 의상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합성을 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의류 광고, 신문, 각종 웹사이트에 기재된 패션 영상 등 사용자가 접할 수 있는 의상이 포함된 영상에서 의상 이미지만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의상 이미지와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합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의상의 옷을 입고 있는 영상을 보여주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이미지 매칭 시스템은 웹서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해당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구현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개인 컴퓨터에서 이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아바타를 이용하여 실제 의상이 입혀진 모양을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의상이 아닌, 일반적인 웹서핑 등에 의해 발견되는 의상도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지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이미지 매칭 시스템은 영상입력부(110), 의상이미지추출부(120), 사용자영상입력부(130), 사용자이미지추출부(140) 및 합성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다.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은 사용자의 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불러오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있는 웹주소를 입력하면 그 웹주소에 해당하는 페이지 혹은 영상을 불러오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캡쳐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자리에서 해당하는 영상을 캡쳐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의상이미지추출부(120)는 입력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의상의 이미지를 추출한다.
의상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특정영역을 선택받고, 그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영역들이 연결된 외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들이 속하는 외곽선 내의 영역을 의상 이미지로 추출한다.
도 2의 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우연히 도 2의 영상을 보았는데, 도 2의 영상 중의 사람이 입은 상의(201)가 마음에 들어 그 옷을 입은 자신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 본 발명의 이미지 매칭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도 2에서는 표현의 편의상 도면상에 특정한 색상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의는 실제로는 특정한 색상, 예를 들어 파란색을 띤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도 2의 영상을 입력하고, 의상이미지추출부(120)를 실행한 후 상의 중 일부 영역(211)을 지정한다.
의상이미지추출부(120)는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211)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찾아 추출을 한다.
그 후 의상이미지추출부(120)는 이렇게 추출된 영역들이 뭉쳐 있는 영역의 외곽선을 추출한다.
그 후, 추출된 외곽선을 기준으로 추출된 영역들이 속해 있는 쪽의 영역을 의상 이미지로 추출한다.
이런 방식으로 추출하면 도 2의 상의(201)의 이미지가 추출되게 되며, 도 3과 같은 이미지가 추출되게 된다.
단순히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의상 이미지를 추출하도록 하면, 경우에 따라서 의상의 일부 영역이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과 동일하지 않은 특성을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영역은 추출되지 않으므로, 최종적으로 추출된 의상이미지에 군데군데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영역을 이용하여 외곽선을 추출하고, 그 외곽선의 안쪽 영역을 이미지로 추출하면 위와 같이 추출된 의상이미지에 군데 군데 구멍이 뚫린 듯하게 이미지가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영상에서 배경화면에 상의(201)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러한 부분도 추출되게 되므로,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색상만으로 추출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색상과 모양을 기준으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도 2와 같이 의상이 단색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색상만으로 비교기준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고, 의상에 반복되는 무늬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색상과 모양을 비교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정한 유사 범위 내에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진의 경우, 그림자나 조명의 방향, 옷의 주름 등으로 인한 빛의 반사량의 변화 등으로 실제로는 동일한 색상이더라도 사진 상으로는 위치에 따라 조금씩 색상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어느 한 영역을 특정한 경우, 그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는 영역만을 추출하면 전체 의상 영역이 다 추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색상 등이 유사한 영역까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도록 하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의상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영역의 크기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해진 크기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선택 영역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최소 1픽셀이 차지하는 영역에서부터 자신이 원하는 크기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색상만을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비교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 내의 색상이 단일한 색상이 아니고 조금씩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 내의 각 픽셀의 색상의 평균 색상이 비교기준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상이미지추출부(120)가 의상 이미지를 추출할 때에는 사용자가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하고, 그 기준이 되는 영역을 이용하여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1회만으로 의상 이미지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도 있지만, 복수회의 과정을 거친 후 의상이미지의 외곽선이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의상 내에 여러 가지 색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색상별로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을 추출하여야 하므로 영역추출 작업이 여러 번 행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영상에서 의상의 이미지만을 추출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부분도 같이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의상만을 추출하지 않고, 그 의상을 입고 있는 모델의 손 등도 같이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영상입력부(130)는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입력받는다.
영상을 입력받는 방법은 영상입력부(110)에서와 같이 자신의 PC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등을 불러오기를 통하여 입력하는 방법, 자신의 사진이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하여 그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방법, 캡쳐를 통하여 불러오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이미지추출부(140)는 사용자영상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영상에서 추출된 의상이미지와 합성될 부분을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얼굴 부분이 합성이 이용될 것이므로, 얼굴과 목 부분이 추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얼굴 등을 추출하는 방법은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얼굴 부분의 영역을 마우스 조작 등을 통하여 선택하도록 하여 그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얼굴인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얼굴 부분을 인식하여 그 부분이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의상이미지추출부(120)에서 의상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이용된 방법도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얼굴 등은 그 모양, 색상 등이 사람마다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얼굴 인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더라도 큰 오차 없이 추출이 가능할 것이므로, 굳이 복잡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합성시 보이는 부분만이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그 외의 영역도 같이 추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합성부(150)를 설명하면서 다시 설명한다.
합성부(150)는 의상이미지추출부(120)에서 추출된 의상 이미지와 사용자이미지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사용자 이미지를 합성한다.
합성을 할 때에는 추출된 의상 이미지의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고, 추출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은 후, 의상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과 사용자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이 일치하도록 두 이미지를 합성한다.
두 지점이 일치하도록 합성을 하는 경우 양 이미지에서 각각의 선택된 두 지점의 거리가 다른 경우, 이 거리가 일치되도록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렇게 하면 배율이 다른 두 영상을 이용하더라도 결국엔 동일한 배율의 두 영상을 합성한 것으로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상을 입고 있는 모델과 사용자의 체형이 다른 경우에 이를 사용자가 의상을 입은 경우 어떻게 보일지를 유추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의 이미지와 의상 이미지의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이미지의 목의 양단과 의상에서 목에 닿는 부분의 양단을 선택하는 것이 한 방법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 이미지의 목 부분과 의상의 목 부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합성한 최종 영상이 보다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의 어깨 등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보다 많이 반영할 수 있는 부위의 두 지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영상에서 추출된 이미지(410) 중 어깨 부분의 두 지점(411, 412)을 사용자가 선택하고, 추출된 의상 이미지(420) 중 그에 상응되는 두 지점(421, 422)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된 의상 이미지(420)의 두 지점(421, 422) 간의 거리가 추출된 사용자 이미지의 두 지점(411, 412)보다 더 멀기 때문에 사용자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의상 이미지를 축소한 후 두 이미지를 합성하게 된다.
그 결과 합성된 이미지(430)는 사용자 이미지 및 의상 이미지의 두 지점이 서로 일치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이미지를 의상 위에 드러난 부분만이 아니라 그 외의 부분까지 포함되게 추출을 하면, 사용자 이미지와 의상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서로 겹치게 된다.
합성부(150)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상을 입은 상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므로, 합성부(150)는 사용자 이미지(410) 위에 의상 이미지(420)가 출력되도록 영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어깨 부분 등을 기준으로 영상을 합성하게 되면 사용자 체형이 합성된 영상에 보다 많이 반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다(501).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은 사용자의 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불러오는 방식,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있는 웹주소를 입력하면 그 웹주소에 해당하는 페이지 혹은 영상을 불러오는 방식, 이미지 캡쳐를 통하여 입력을 받는 방식이 있을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의상이미지추출부(120)는 입력된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의상의 이미지를 추출한다(502).
의상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특정영역을 선택받고, 그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한 후 그 추출된 영역들이 연결된 외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들이 속하는 외곽선 내의 영역을 의상 이미지로 추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할 때에는 색상만을 기준으로 추출할 수도 있고, 색상과 모양을 기준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경우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정한 유사 범위 내에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유사 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사용자가 의상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영역의 크기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해진 크기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의상이미지추출부(120)는 사용자가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하고, 그 기준이 되는 영역을 이용하여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1회 또는 수회 반복한 후, 이렇게 추출된 영역들의 외곽선을 추출한 후, 외곽선 내의 영역을 의상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사용자의 확인을 거치도록 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사용자영상입력부(130)는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입력받는다(503).
영상을 입력받는 방법은 영상입력부(110)에서와 같이 자신의 PC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등을 불러오기를 통하여 입력하는 방법, 자신의 사진이 게재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하여 그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방법, 캡쳐를 통하여 불러오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사용자이미지추출부(140)는 사용자영상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영상에서 추출된 의상이미지와 합성될 부분을 추출한다(504).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단순히 사용자의 마우스 조작 등으로 외곽선을 그려서 잘라내는 방식으로 추출하는 방법, 기존에 개발된 얼굴인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얼굴 부분을 인식하여 그 부분이 추출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합성부(150)는 의상이미지추출부(120)에서 추출된 의상 이미지와 사용자이미지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사용자 이미지를 합성한다(505).
합성을 할 때에는 추출된 의상 이미지의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고, 추출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은 후, 의상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과 사용자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이 일치하도록 두 이미지를 합성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 때, 두 지점이 일치하도록 합성을 하는 경우 양 이미지에서 각각의 선택된 두 지점의 거리가 다른 경우, 이 거리가 일치되도록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이 서로 일치하도록 합성을 할 때 사용자 이미지와 의상 이미지가 서로 겹치게 되는 경우, 의상 이미지가 사용자 이미지 위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상을 입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3)

  1.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을 1회 이상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영역들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 내부의 영역을 의상이미지로 추출하는 의상이미지추출부;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 사용자영상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합성에 이용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는 사용자이미지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상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은 후,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과 상기 의상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은 색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은 색상 및 모양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은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유사 범위의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이며, 상기 유사 범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의상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위에 출력되도록 양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시스템.
  7.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이 되는 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을 1회 이상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영역들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외곽선 내부의 영역을 의상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합성에 이용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상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 중 기준이 되는 두 지점을 선택받은 후,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과 상기 의상 이미지의 선택받은 두 지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의상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은 색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은 색상 및 모양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은 상기 선택받은 영역과 유사 범위의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이며, 상기 유사 범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상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위에 출력되도록 양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매칭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77312A 2012-07-16 2012-07-16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5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12A KR20140015709A (ko) 2012-07-16 2012-07-16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312A KR20140015709A (ko) 2012-07-16 2012-07-16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09A true KR20140015709A (ko) 2014-02-07

Family

ID=5026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312A KR20140015709A (ko) 2012-07-16 2012-07-16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7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619A (ko) * 2014-04-30 2015-11-09 백승환 신생아 손, 발 스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9158B1 (ko) * 2018-11-12 2019-08-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선왕조실록을 이용한 실시간 역사극 고증 서비스 시스템
KR20200025181A (ko) 2018-08-29 2020-03-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상 피팅 장치 및 방법
KR20240062385A (ko) 2022-10-31 2024-05-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상 가상 착용을 위한 의상의 길이 제어 방법 및 길이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619A (ko) * 2014-04-30 2015-11-09 백승환 신생아 손, 발 스캔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5181A (ko) 2018-08-29 2020-03-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상 피팅 장치 및 방법
KR102009158B1 (ko) * 2018-11-12 2019-08-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선왕조실록을 이용한 실시간 역사극 고증 서비스 시스템
KR20240062385A (ko) 2022-10-31 2024-05-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상 가상 착용을 위한 의상의 길이 제어 방법 및 길이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7008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TWI708152B (zh) 圖像處理方法、裝置及儲存介質
US1096407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CN107204031B (zh) 信息展示方法及装置
US20200066052A1 (en) System and method of superimposing a three-dimensional (3d) virtual garment on to a real-time video of a user
CN111787242B (zh) 用于虚拟试衣的方法和装置
KR20220128620A (ko) 시청각 콘텐츠 내에서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KR20190025070A (ko)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 및 사용
JPWO2010016281A1 (ja) 検索支援システム、検索支援方法及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JP2011209887A (ja) アバター作成方法、アバター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60067373A (ko) 아바타를 이용한 신변제품 착용 스타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1681070A (zh) 线上商品的购买方法、购买装置、存储装置及购买设备
CN108898460A (zh) 虚拟试衣方法和装置
WO2006071006A1 (en) Method for converting 2d image into pseudo 3d image and user-adapted total coordination method in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rvice business method thereof
CN114299264A (zh) 用于基于扭曲的三维模型生成增强现实内容的系统和方法
JP202309590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3993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류 착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15709A (ko) 이미지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N111767817A (zh) 一种服饰搭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282177A (zh) 基于增强现实的智能试穿方法、系统、终端及介质
KR102064653B1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120078290A (ko) 의류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48508A (ko) 개인화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185530A1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200071196A (ko) 얼굴 인식 기반 가상 피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