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688A -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 Google Patents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688A
KR20140014688A KR1020120081354A KR20120081354A KR20140014688A KR 20140014688 A KR20140014688 A KR 20140014688A KR 1020120081354 A KR1020120081354 A KR 1020120081354A KR 20120081354 A KR20120081354 A KR 20120081354A KR 20140014688 A KR20140014688 A KR 20140014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ab
reinforcing
pipes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631B1 (ko
Inventor
이훈재
조영호
김창수
이정훈
강태중
한완수
Original Assignee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6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4Driving tunnels or galleries through loos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될 지하 구조물의 외곽선을 따라 지중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좌측 보 강관(120), 우측 보 강관(130) 및 중앙 보 강관(110)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 강관(100); 복수의 보 강관(100) 중,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벽체(200); 복수의 보 강관(100)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을 제시함으로써, 공사 중 및 완료 후에 걸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지하수 지역에서도 시공성 및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Description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UNDERGROUND TU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TUNNEL STRUCTURE USING PRESSSED PIP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에 관한 것이다.
강관 추진 공법이란 지중에 지하 차도, 터널 등의 지하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 사용되는 공법이다.
이는, 설치될 지하 구조물의 외곽선을 따라 지중에 강관을 관입시켜 관내에서 토사의 굴착과 반출을 하며 순차적으로 강관을 이어서 관로를 매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강관 추진 공법에 의하여 지중에 형성되는 지중 통로 구조물은 지중에 복수의 보 강관(100)을 관입하고, 보 강관(100)의 사이에 상부 슬래브(300), 보 강관(100)의 하측에 벽체(200)를 설치하며, 구조물 내부의 토사를 제거한 후 바닥에 바닥 슬래브(500)를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된다(도 1).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 통로 구조물은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보 강관(100)의 상호 간격이 클수록, 그 사이에 설치하는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도 커지는 구조이다.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가 커지면,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직경이 커지고, 설치 면적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시공성이 저하된다.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작업은 인력에 의한 작업으로서, 작업량이 많고 일관적인 작업이 어렵다.
또한,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상호 결합 등 모든 용접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설치하는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가 큰 구조일수록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시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공사 비용이 증가한다.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가 크면, 설치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직경이 커지고, 설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설치 비용과 인력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총 공사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공사 중 및 완료 후에 걸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지하수 지역에서도 시공성 및 안정성을 높인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될 지하 구조물의 외곽선을 따라 지중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좌측 보 강관(120), 우측 보 강관(130) 및 중앙 보 강관(110)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 강관(100);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중, 상기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벽체(200);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통로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으로서, 상기 좌측 보 강관(120), 상기 우측 보 강관(130) 및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하는 보 강관 관입단계; 상기 보 강관(100)의 측방에 삽입공(1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여 상기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상부 슬래브 형성단계; 상기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상기 벽체(200)를 설치하는 벽체 형성단계;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상부 슬래브(300) 및 벽체(200)의 내부 영역의 토사를 제거하는 토사 제거단계; 상기 내부 영역의 하부에 바닥 슬래브(500)를 형성하는 바닥 슬래브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추진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상부 슬래브 형성단계는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측벽에 상기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기 위한 상기 삽입공(101)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슬래브 강관(310)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 중, 1번 분할부재(311a)의 전단을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관입하는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 관입단계; 상기 1번 분할부재(311a)의 후단에, 상기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 중 2번 분할부재(311b)의 전단을 용접 결합하는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 결합단계;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상기 1번 분할부재(311a)와 상기 2번 분할부재(311b)의 결합체를 관입하는 슬래브 강관 분할 부재의 결합체 관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으로서, 상기 좌측 보 강관(120), 상기 우측 보 강관(130) 및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하는 보 강관 관입단계; 상기 보 강관(100)의 측방에 삽입공(1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여 상기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상부 슬래브 형성단계; 상기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상기 벽체(200)를 설치하는 벽체 형성단계;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상부 슬래브(300) 및 벽체(200)의 내부 영역의 토사를 제거하는 토사 제거단계; 상기 내부 영역의 하부에 바닥 슬래브(500)를 형성하는 바닥 슬래브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 강관 관입단계 이후에,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설치하는 기둥 강관 설치단계;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 강관 설치단계는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상기 기둥 강관(400)을 관입하도록 복수의 설치공(111)을 형성하는 설치공 형성단계;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기둥 강관(400)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 중, 1번 분할부재(410a)의 전단을 상기 설치공(111)을 통해 관입하는 기둥 강관 분할부재 관입단계; 상기 1번 분할부재(410a)의 후단에, 상기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 중 2번 분할부재(410b)의 전단을 용접 결합하는 기둥 강관 분할부재 결합단계; 상기 설치공(111)을 통해 상기 1번 분할부재(410a)와 상기 2번 분할부재(410b)의 결합체를 관입하는 기둥 강관 분할부재 결합체 관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사 중 및 완료 후에 걸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지하수 지역에서도 시공성 및 안정성을 높인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지중 통로 구조물의 사시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지중 통로 구조물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보 강관 및 상부 슬래브의 사시도.
도 4는 보 강관 및 기둥 강관의 사시도.
도 5는 기둥 강관의 설치 단면도.
도 6은 지중 통로 구조물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중 통로 구조물은 설치될 지하 구조물의 외곽선을 따라 지중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좌측 보 강관(120), 우측 보 강관(130) 및 중앙 보 강관(110)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 강관(100); 복수의 보 강관(100) 중, 좌측 보 강관(120) 및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벽체(200); 복수의 보 강관(100)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3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도 2).
본 발명에 의한 지중 통로 구조물은 좌측 보 강관(120)과 우측 보 강관(130) 사이에 중앙 보 강관(110)을 관입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첫째, 시공성이 개선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보 강관(100)의 상호 간격이 커지면,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도 커짐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되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1).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작업은 인력에 의한 작업으로서, 작업량이 많고 일관적인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설치하는 상부 슬래브의 크기가 클수록 시공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 보 강관(120)과 우측 보 강관(130)의 사이에 중앙 보 강관(110)을 관입하여, 설치하는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를 감소시킨다(도 2).
따라서,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직경과 설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작업량이 감소하고 시공성이 개선된다.
둘째, 경제성이 향상된다.
설치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직경과 설치 면적이 감소하고, 공기가 단축되기 때문에 총 공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셋째,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만약 상호 간격이 큰 좌측 보 강관(120)과 우측 보 강관(130)의 사이에 중앙 보 강관(110)을 설치하지 않고 상부 슬래브(300)를 설치할 경우,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자중이 증가하게 되고, 강관(100)과 비교하여 견딜 수 있는 하중의 무게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토압에 의하여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찌그러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주위 지반의 급격한 침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중앙 보 강관(110)을 설치하는 구조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단면 크기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도 3).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는, 중앙 보 강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시공성이 향상된다.
종래에는 보 강관(100)의 하부 전체를 절단하고, 토류벽에 의하여 벽체를 설치하였다.
이는, 작업량이 많고, 예비 굴착면적이 크기 때문에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중앙 보 강관(110)의 하부에 벽체 대신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시공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는다(도 4,6).
구체적으로, 중앙 보 강관(110)의 하부 전체를 절단하지 않고, 예비 굴착면적을 최소화하여 복수의 기둥 강관(4000)을 일괄적으로 동시 관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성 개선 및 공기 단축, 경제성 향상의 효과를 얻는다.
둘째, 지하수 지역에서 유리한 구조이다.
종래에는 지하수위 이하에서 작업 시, 지하수 유입에 의하여 시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개수성 물막이인 토류벽은 지하수 유입에 의하여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까지 해칠 우려가 있었다.
중앙 보 강관(110)의 하부에 벽체 대신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관입하는 구조는, 위와 같은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기둥 강관(400)은 차수성 물막이로서,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기 때문에 지하수위 이하에서 작업을 하여도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 공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구성된다.
먼저, 지중에 토사를 굴착하여 작업구를 설치한다.
작업구에서 좌측 보 강관(120), 우측 보 강관(130) 및 중앙 보 강관(110)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한다(도 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일 좌측 보 강관(120)과 우측 보 강관(130)의 상호 간격이 클 경우에는, 상부 슬래브(300)의 설치면적 즉,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의 단면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는 경제성 및 시공성,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도 1).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좌측 보 강관(120)과 우측 보 강관(130)의 사이에 중앙 보 강관(110)을 관입함으로써, 설치하는 상부 슬래브(300)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으로 형성된 상부 슬래브(300)와 비교하여 중앙 보 강관(110)이 더 안정적으로 상부 토압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토압으로 인한 슬래브 강관(31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다.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한 후에는,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한다(도 2,3).
먼저, 보 강관(100)의 측방에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기 위한 삽입공(101)을 형성한다.
삽입공(101)은 복수의 보 강관(110,120,130) 중, 어느 보 강관에 형성하던지 무관하다.
삽입공(101)을 통해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한 후, 슬래브 강관(310)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좌측 보 강관(120) 및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벽체(200)를 설치한다.
벽체(200)를 설치한 후에는, 복수의 보 강관(100), 상부 슬래브(300) 및 벽체(200)의 내부 영역의 토사를 모두 제거한다.
그 내부 영역의 하부에 방수 처리를 하고, 바닥 슬래브(500)를 설치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3).
먼저, 중앙 보 강관(110)의 측벽에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기 위한 삽입공(101)을 형성한다.
슬래브 강관(310)은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를 상호 결합하여 관입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형성한다.
즉, 상호 결합에 의해 슬래브 강관(310)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 중, 1번 분할부재(311a)의 전단을 삽입공(101)을 통해 관입하고, 1번 분할부재(311a)의 후단에,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 중 2번 분할부재(311b)의 전단을 용접 결합한다.
그 다음, 1번 분할부재(311a)와 2번 분할부재(311b)의 결합체를 삽입공(101)을 통해 관입하는 방식으로 슬래브 강관(310)을 형성한다.
강관 추진공법의 단계에서, 좌측 보 강관(120), 우측 보 강관(130) 및 중앙 보 강관(110)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하는 보 강관 관입단계 이후에,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6).
즉,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는 연속적인 벽체(200) 대신에 중앙 보 강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설치하는 구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로 시공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토류벽에 의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시공 방법과 비교하여, 보 강관(100)의 하부 전체를 절단하지 않고, 예비 굴착면적을 최소화하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한, 차수성 물막이인 기둥 강관(400)을 설치함으로써 지하수 지역에서도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기둥 강관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4,5).
먼저,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기둥 강관(400)을 관입하도록 복수의 설치공(111)을 형성한다.
기둥 강관(400)은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가 상호 용접 결합하여 관입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형성한다.
상호 결합에 의해 기둥 강관(400)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 중, 1번 분할부재(410a)의 전단을 설치공(111)을 통해 관입하고, 1번 분할부재(410a)의 후단에,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 중 2번 분할부재(410b)의 전단을 용접 결합한다.
1번 분할부재(410a)와 2번 분할부재(410b)의 결합체를 설치공(111)을 통해 관입하는 방식으로 기둥 강관(400)을 형성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보 강관 101 : 삽입공
110 : 중앙 보 강관 111 : 설치공
120 : 좌측 보 강관 130 : 우측 보 강관
200 : 벽체 300 : 상부 슬래브
310 : 슬래브 강관 311 :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
400 : 기둥 강관 410 : 기둥 강관 분할부재
500 : 바닥 슬래브

Claims (6)

  1. 설치될 지하 구조물의 외곽선을 따라 지중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좌측 보 강관(120), 우측 보 강관(130) 및 중앙 보 강관(110)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 강관(100);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중, 상기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벽체(200);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사이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슬래브(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통로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통로 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으로서,
    상기 좌측 보 강관(120), 상기 우측 보 강관(130) 및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하는 보 강관 관입단계;
    상기 보 강관(100)의 측방에 삽입공(1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여 상기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상부 슬래브 형성단계;
    상기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상기 벽체(200)를 설치하는 벽체 형성단계;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상부 슬래브(300) 및 벽체(200)의 내부 영역의 토사를 제거하는 토사 제거단계;
    상기 내부 영역의 하부에 바닥 슬래브(500)를 형성하는 바닥 슬래브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추진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래브 형성단계는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측벽에 상기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기 위한 상기 삽입공(101)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슬래브 강관(310)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 중, 1번 분할부재(311a)의 전단을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관입하는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 관입단계;
    상기 1번 분할부재(311a)의 후단에, 상기 복수의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311) 중 2번 분할부재(311b)의 전단을 용접 결합하는 슬래브 강관 분할부재 결합단계;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상기 1번 분할부재(311a)와 상기 2번 분할부재(311b)의 결합체를 관입하는 슬래브 강관 분할 부재의 결합체 관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추진공법.
  5. 제 2항의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으로서,
    상기 좌측 보 강관(120), 상기 우측 보 강관(130) 및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을 지중에 관입하는 보 강관 관입단계;
    상기 보 강관(100)의 측방에 삽입공(1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01)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래브 강관(310)을 관입하여 상기 상부 슬래브(300)를 형성하는 상부 슬래브 형성단계;
    상기 좌측 보 강관(120) 및 상기 우측 보 강관(130)의 하측에 상기 벽체(200)를 설치하는 벽체 형성단계;
    상기 복수의 보 강관(100), 상부 슬래브(300) 및 벽체(200)의 내부 영역의 토사를 제거하는 토사 제거단계;
    상기 내부 영역의 하부에 바닥 슬래브(500)를 형성하는 바닥 슬래브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 강관 관입단계 이후에,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기둥 강관(400)을 설치하는 기둥 강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추진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강관 설치단계는
    상기 중앙 보 강관(110)의 하측에 상기 기둥 강관(400)을 관입하도록 복수의 설치공(111)을 형성하는 설치공 형성단계;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기둥 강관(400)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 중, 1번 분할부재(410a)의 전단을 상기 설치공(111)을 통해 관입하는 기둥 강관 분할부재 관입단계;
    상기 1번 분할부재(410a)의 후단에, 상기 복수의 기둥 강관 분할부재(410) 중 2번 분할부재(410b)의 전단을 용접 결합하는 기둥 강관 분할부재 결합단계;
    상기 설치공(111)을 통해 상기 1번 분할부재(410a)와 상기 2번 분할부재(410b)의 결합체를 관입하는 기둥 강관 분할부재 결합체 관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구조물.
KR1020120081354A 2012-07-25 2012-07-25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KR10140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54A KR101407631B1 (ko) 2012-07-25 2012-07-25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54A KR101407631B1 (ko) 2012-07-25 2012-07-25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88A true KR20140014688A (ko) 2014-02-06
KR101407631B1 KR101407631B1 (ko) 2014-06-13

Family

ID=5026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354A KR101407631B1 (ko) 2012-07-25 2012-07-25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6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6892B2 (ja) * 1993-07-07 1997-09-24 鹿島建設株式会社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連続地中壁の構築方法
KR100322844B1 (ko) 1999-04-01 2002-02-07 김기형 관 구조 터널 건조공법
KR100805189B1 (ko) * 2006-09-12 2008-02-21 신일씨엔아이(주) 벽체 구축과 굴착을 병행하는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KR20090100867A (ko) * 2008-03-21 2009-09-24 이창원 도로의 지하차도 시공을 위한 유닛강관 굴착장치및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631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KR101834847B1 (ko) 미니 파이프루프를 이용한 친환경 터널 갱구부 시공방법
KR20170005991A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44257B1 (ko) 근접병설터널 시공을 위한 터널굴착방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20100068597A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Pil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20130073030A (ko) 2열 흙막이 구조물 및 흙막이 공법
KR20200124949A (ko)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1524303B1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101381325B1 (ko) 다단식 소구경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공법
KR101695715B1 (ko)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90116452A (ko) ㄷ자 형강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 구조의 엄지 말뚝을구비한 지지말뚝, 이를 이용한 벽체 및 콘크리트 합성벽체
KR20110096339A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을 이용한 건물 지하층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080034424A (ko) 압입강관 거더부 시공 및 그 구조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 방법
KR20130021952A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84900B1 (ko) 원형강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07632B1 (ko)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 및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KR101283663B1 (ko) 2아치 터널 시공 방법
CN113958322B (zh) 一种在既有地铁线下层的隧道挖掘方法
CN203373753U (zh) 基坑桩锚护壁混凝土锚索冠梁结构
KR101037860B1 (ko) 아치형 터널의 거더시공용 거푸집
KR101407631B1 (ko) 지중 통로 구조물 및 지중 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KR100926501B1 (ko) 루프와 실드를 결합한 비개착식 터널구조물의 시공방법 (rsm공법) 및 그 터널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