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435A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435A
KR20140014435A KR1020120080367A KR20120080367A KR20140014435A KR 20140014435 A KR20140014435 A KR 20140014435A KR 1020120080367 A KR1020120080367 A KR 1020120080367A KR 20120080367 A KR20120080367 A KR 20120080367A KR 20140014435 A KR20140014435 A KR 2014001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distribution
electromagnetic wav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435A/ko
Publication of KR2014001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이 안착되고 저면에 조리홀이 형성되는 조리부와, 조리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조리부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조리홀을 커버하여 전자파를 안내하는 도파관부와, 도파관부에 결합되고전자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부 및 도파관부에 장착되고 조리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분배부를 포함하므로, 전자파가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하여 음식물 조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파가 조리실에 골고루 공급되어 조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서 마그네트론이 구동되어 전자파(micro wave)를 생성한다. 이러한 전자파가 가열공간인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가열대상물에 조사되면, 음식물이 가열된다.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하부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가 구비된다. 트레이는 쟁반 형상으로 형성되며, 트레이의 하측에는 모터가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므로, 회전축과 연결된 트레이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조리실의 측면에는 마그네트론과 전장실이 구비된다. 조리실에 저장된 음식물은 마그네트론의 구동으로 가열된다.
조리실의 전면에는 도어가 장착되며, 도어의 회전으로 조리실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58150호(2011.06.01 공개, 발명의 명칭: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전자레인지는 조리실의 측벽을 통해 전자파가 공급되므로, 전자파가 음식물에 골고루 도달되지 못하여 조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이 안착되는 조리실 하측으로 전자파를 골고루 공급하여 조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안착되고, 저면에 조리홀이 형성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부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리홀을 커버하며, 전자파를 안내하는 도파관부; 상기 도파관부에 결합되고, 전자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부; 및 상기 도파관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리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부는 상기 조리홀이 저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박스 형상을 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홀을 커버하고, 음식물이 안착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파관부는 상기 조리부의 측벽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개구된 측관; 및 상기 측관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리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홀로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홀이 형성되는 하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도파관부에 장착되는 분배모터; 상기 분배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분배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되어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분배날개; 및 상기 분배날개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도파관부에 지지되는 지지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전자파가 조리실의 저면에서 골고루 분배됨으로써, 음식물 조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도파관부가 밀폐된 관 형상을 하여 조리실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도파관부를 통한 전자파의 소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파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도파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1)에는 조리부(10), 도파관부(20), 마그네트론부(30) 및 분배부(40)가 구비된다.
조리부(10)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리부(10)의 저면에는 조리홀(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0)에는 조리실(11) 및 조리판(12)이 구비된다.
조리실(11)은 전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을 한다. 이러한 조리실(1)의 저면 일부에는 음식물 조리를 위한 전자파가 통과되도록 조리홀(13)이 형성된다.
조리판(12)은 조리실(11)의 저면에 안착되어 조리홀(13)을 커버한다. 이러한 조리판(12)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저장된 용기가 안착된다.
조리판(12)은 전자파 투과효율이 높은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리판(12)은 음식물 또는 용기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도파관부(20)는 조리부(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전자파를 안내한다. 이러한 도파관부(20)는 조리부(10)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리홀(13)을 커버한다.
마그네트론부(30)는 도파관부(20)에 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트론부(30)는 전자파를 생성하여 도파관부(20)에 전자파를 방출한다.
분배부(40)는 도파관부(20)에 장착된다. 이러한 분배부(40)는 조리부(10)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분산시킨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부(20)에는 측관(21) 및 하부관(22)이 구비된다.
측관(21)은 조리부(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측관(21)은 조리실(11)의 외측면과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측관(21)은 하부가 개구된 관 형상을 하고, 측관(21)의 일측에 마그네트론부(30)가 장착된다. 이러한 측관(21)에는 마그네트론부(30)에서 생성된 전자파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홀(25)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측관(21)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갖는 관 형상을 하고, 측관(21)의 일측면이 조리부(10)의 측면과 용접된다. 이로 인해 측관(21)에는 전자파가 누설되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는다.
하부관(22)은 측관(21)에서 연장 형성되어, 조리부(10)의 하방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부관(22)은 측관(21)의 하단부에서 구부러져 조리부(10)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한편, 하부관(22)에는 조리홀(13)로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홀(26)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리홀(13)이 원을 형성하면, 방출홀(26)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40)에는 분배모터(41), 분배날개(42) 및 지지휠(43)이 구비된다.
분배모터(41)는 도파관부(2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분배모터(41)에는 하부관(22)에 결합되는 모터(411) 및 모터(41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모터축(412)이 구비된다.
모터(411)는 하부관(22)의 외측에 장착되고, 모터축(412)은 조리홀(1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분배날개(42)는 분배모터(41)에 연결되고, 분배모터(41)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전자파를 분산시킨다.
예를 들어, 분배날개(42)에는 각진 형상을 하는 모터축(412)이 삽입되는 연결축(421), 연결축(4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리홀(13)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분배판(422)이 구비된다.
분배판(422)에는 전자파가 통과하도록 날개홀(423)이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홀(423)은 분배판(422)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분배모터(41)가 구동되면 분배날개(42)가 회전되고, 분배날개(42)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분산되어 조리홀(13)로 방출됨으로써, 음식물에 전자파가 골고루 공급된다.
지지휠(43)은 분배날개(42)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예를 들어, 지지휠(43)은 분배판(422)의 저면에 장착되고 하부관(22)에 안착되어 분배날개(42)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그네트론부(30)에서 생성된 전자파는 도파관부(20)를 통해 조리부(10)의 하방으로 유도된 후 방출홀(26)을 통해 배출된다.
도파관부(20)에서 배출된 전자파는 조리홀(13)을 통과한 후 조리실(11)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하부관(22)에 장착된 분배모터(41)가 구동되면, 이와 연결된 분배날개(42)가 회전되면서 전자파를 분산시켜 줌으로써, 음식물에 전자파가 골고루 도달되어 조리효율이 향상된다.
분배날개(42)에 장착된 지지휠(43)은 하부관(22)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하중을 갖는 분배날개(42)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분배날개(42)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한다.
한편, 도파관부(20)는 사면이 밀폐된 관 형상을 하므로, 도파관부(20)로 유입된 전자파는 방출홀(26)을 통해 방출되는 동안 소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조리부 11 : 조리실
12 : 조리판 13 : 조리홀
20 : 도파관부 21 : 측관
22 : 하부관 25 : 유입홀
26 : 방출홀 30 : 마그네트론부
40 : 분배부 41 : 분배모터
42 : 분배날개 43 : 지지휠
411 : 모터 412 : 모터축
421 : 연결축 422 : 분배판
423 : 날개홀

Claims (4)

  1. 음식물이 안착되고, 저면에 조리홀이 형성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부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리홀을 커버하며, 전자파를 안내하는 도파관부;
    상기 도파관부에 결합되고, 전자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부; 및
    상기 도파관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리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조리홀이 저면에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박스 형상을 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홀을 커버하고, 음식물이 안착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부는
    상기 조리부의 측벽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개구된 측관; 및
    상기 측관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리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홀로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홀이 형성되는 하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도파관부에 장착되는 분배모터;
    상기 분배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분배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되어 전자파를 분산시키는 분배날개; 및
    상기 분배날개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상기 도파관부에 지지되는 지지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20120080367A 2012-07-24 2012-07-24 전자레인지 KR20140014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67A KR20140014435A (ko) 2012-07-24 2012-07-24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67A KR20140014435A (ko) 2012-07-24 2012-07-24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435A true KR20140014435A (ko) 2014-02-06

Family

ID=5026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367A KR20140014435A (ko) 2012-07-24 2012-07-24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4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3202A (zh) * 2015-07-31 2015-10-21 东莞洲亮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系统合路耦合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3202A (zh) * 2015-07-31 2015-10-21 东莞洲亮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系统合路耦合器
CN104993202B (zh) * 2015-07-31 2018-07-13 东莞洲亮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多系统合路耦合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4847A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JP2012237508A (ja) 加熱調理器
EP3236158B1 (en) Split-type microwave oven
EP3343110B1 (en) Cooker
KR20140014435A (ko) 전자레인지
JP2014052152A (ja) 加熱調理器
KR101932046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기
JP2013037795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CN109417839B (zh) 具有改进的烘脆功能的多重馈送式微波炉
KR20090071266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4825743B2 (ja) 加熱調理器
KR101885654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기
JP6111421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2011220590A (ja) 加熱調理器
KR101568039B1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JP2007042333A (ja) 高周波加熱装置
JP6212705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101339801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7313312B2 (ja) 加熱調理器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101339799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090009524U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060106603A (ko)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구조
KR100688645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고정구조
KR100268280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