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431A - 컨벡션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컨벡션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431A
KR20140014431A KR1020120080363A KR20120080363A KR20140014431A KR 20140014431 A KR20140014431 A KR 20140014431A KR 1020120080363 A KR1020120080363 A KR 1020120080363A KR 20120080363 A KR20120080363 A KR 20120080363A KR 20140014431 A KR20140014431 A KR 2014001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ction
cooking chamber
fan
microwave ove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431A/ko
Publication of KR2014001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과 전장실을 구획하는 내부케이스와, 전장실에 설치되고, 마그네트론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과,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고,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조리실에서 순환시키는 대류팬과, 냉각팬과 대류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냉각팬과 대류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벡션 전자레인지 {CONVECTION TYPE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컨벡션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레인지의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컨벡션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장실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면서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작업을 행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의 조리작업을 행하기 위해 오븐 기능을 행하는 열선, 및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등이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가열부는 조리실 외벽에 설치되는 히터와, 히터 배면에 설치되어 히터를 통과하여 발생되는 열풍이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컨벡션 가열부가 설치되는 조리실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흡기구와, 열풍이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흡기구는 주로 조리실의 배면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주로 조리실의 측면에 형성되어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은 음식물과 접촉되면서 열을 전달한 후에 측면으로 이동되어 조리실 및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5156호(2006년 7월 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전기오븐의 컨벡션챔버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컨벡션 전자레인지에는 조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대류팬과 전장실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이 설치되기 때문에 대류팬과 냉각팬에 각각 모터가 연결되어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부품 수를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레인지의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컨벡션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실과 전장실을 구획하는 내부케이스;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고, 마그네트론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 상기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고,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상기 조리실에서 순환시키는 대류팬; 상기 냉각팬과 상기 대류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냉각팬과 상기 대류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대류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장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터는, 상기 조리실 상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2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제1열선; 및 상기 조리실 저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3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제2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대류팬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냉각팬 및 대류팬이 회전되므로 전장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터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크기를 줄이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냉각팬 및 대류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대류팬 및 히터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냉각팬 및 대류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대류팬 및 히터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는, 조리실(22)과 전장실(24)을 구획하는 내부케이스(10)와, 전장실(24)에 설치되고, 마그네트론(30)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70)과, 조리실(22) 일측에 설치되고, 히터(52)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조리실(22)에서 순환시키는 대류팬(50)과, 냉각팬(70)과 대류팬(5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72)와, 모터(72)의 동력을 냉각팬(70)과 대류팬(5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조리실(22)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후에 전원을 인가하면, 마그네트론(30)이 구동되어 조리실(22) 내부에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면서 조리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모터(72)의 동력이 인가되므로 냉각팬(70)이 회전되면서 전장실(2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마그네트론(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캐비닛에 형성되는 통풍홀부를 따라 전장실(24)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모터(72)의 동력은 동력전달부(80)의 작동에 의해 대류팬(50)에 전달되므로 히터(52)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대류팬(50)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유동을 따라 조리실(22) 내부에서 순환된다.
조리실(22)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은 마그네트론(30)으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 또는 히터(52)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조리실(22)에는 대류팬(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조리실(22)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장착홈부(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장착홈부(12) 내부에 대류팬(50)이 설치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조리실(22) 내부를 관찰할 때에 대류팬(50)이 쉽게 확인되지 않게 되어 조리실(22) 내부가 미려하게 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류팬(50)이 제1장착홈부(12)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조리실(22)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과 대류팬(5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히터(52)는, 조리실(22) 상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2장착홈부(14)에 설치되는 제1열선(52a)과, 조리실(22) 저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3장착홈부(16)에 설치되는 제2열선(52b)을 포함한다.
제1열선(52a)에서 제공되는 열에너지는 조리실(22)의 상면 후방에서 하측으로 공급되고, 제2열선(52b)에서 제공되는 열에너지는 조리실(22)의 저면 후방에서 상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대류팬(50)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조리실(22)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가 순환되므로 조리실(22) 후방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조리실(22) 전방까지 전달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동력전달부(80)는, 모터(7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82)와, 대류팬(50)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주동기어(82)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84)를 포함한다.
모터(72)는 전장실(24)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설치되고, 모터(72)의 회전축 단부에는 냉각팬(70)이 설치되며, 모터(72)의 회전축 중앙부에는 주동기어(82)가 설치된다.
주동기어(82)와 종동기어(84)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므로 모터(72)의 동력이 주동기어(82) 및 종동기어(84)를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이 전환되어 대류팬(50)의 회전축에 전달된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72)를 구동시켜 냉각팬(70) 및 대류팬(50)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리실(22)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후에 조리작업을 개시하면 마그네트론(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조리실(22) 내부로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면서 조리작업을 행하게 된다.
동시에, 모터(72)가 구동되므로 냉각팬(70)이 회전되면서 전장실(24)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제공하므로 캐비닛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마그네트론(30) 측으로 이동되면서 마그네트론(3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모터(72)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동기어(82) 및 종동기어(84)를 따라 모터(72)의 동력이 대류팬(50)에 전달되므로 대류팬(50)의 회전에 의해 조리실(22) 내부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된다.
대류팬(50)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은 제1열선(52a) 및 제2열선(52b)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에너지를 조리실(22) 내부에서 순환시키므로 음식물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대류팬(50) 및 히터(52)는 제1장착홈부(12), 제2장착홈부(14) 및 제3장착홈부(16)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조리실(22)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리실(22)에 수납되는 음식물과 대류팬(50) 및 히터(52)가 간섭되지 않고,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는 조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자레인지의 전장실(24)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레인지의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컨벡션 전자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컨벡션 전자레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내부케이스 12 : 제1장착홈부
14 : 제2장착홈부 16 : 제3장착홈부
22 : 조리실 24 : 전장실
30 : 마그네트론 50 : 대류팬
52 : 히터 52a : 제1열선
52b : 제2열선 70 : 냉각팬
72 : 모터 80 : 동력전달부
82 : 주동기어 84 : 종동기어

Claims (4)

  1. 조리실과 전장실을 구획하는 내부케이스;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고, 마그네트론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
    상기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고,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상기 조리실에서 순환시키는 대류팬;
    상기 냉각팬과 상기 대류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냉각팬과 상기 대류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대류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조리실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장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조리실 상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2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제1열선; 및
    상기 조리실 저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3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제2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대류팬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KR1020120080363A 2012-07-24 2012-07-24 컨벡션 전자레인지 KR20140014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63A KR20140014431A (ko) 2012-07-24 2012-07-24 컨벡션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63A KR20140014431A (ko) 2012-07-24 2012-07-24 컨벡션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431A true KR20140014431A (ko) 2014-02-06

Family

ID=5026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363A KR20140014431A (ko) 2012-07-24 2012-07-24 컨벡션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4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KR101474495B1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KR102362013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WO2017033457A1 (ja) 加熱調理器
JP6782400B2 (ja) 加熱調理器
KR20090099814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140014431A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01568039B1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KR100784715B1 (ko) 다수의 열풍팬을 갖는 전자레인지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CN220713699U (zh) 烹饪设备
CN220859922U (zh) 烹饪设备、集成灶
KR101649692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220713697U (zh) 烹饪设备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EP2309191A1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with heater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KR20070053566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JP6530973B2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101339802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060013872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80057734A (ko) 조절판 히팅장치를 갖는 전자레인지
KR20070053567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101760948B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