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624A -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24A
KR20140013624A KR1020120081450A KR20120081450A KR20140013624A KR 20140013624 A KR20140013624 A KR 20140013624A KR 1020120081450 A KR1020120081450 A KR 1020120081450A KR 20120081450 A KR20120081450 A KR 20120081450A KR 20140013624 A KR20140013624 A KR 20140013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emergency stop
elevator
roll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일
장범택
Original Assignee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든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2008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624A/ko
Publication of KR2014001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Abstract

본 기술은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속기로프에 연결되어 과속운행에 의해 조속기가 동작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엘리베이터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는 가이드 레일, 프레임, 구동축, 완충판, 완충기 링크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면은 완충판에 붙어있으며 타측면은 롤러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홈을 가진 반대칭형 쐐기 형태의 브레이크 블록;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의 반대칭형 쐐기와 대응되게 반대칭형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은 비상시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마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형태의 쐐기블록;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에 롤러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타측면은 상기 쐐기블록이 롤러를 따라 상하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일렬로 롤러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 리테이너; 상기 쐐기블록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속이 원통형의 몸체와 바형태로 각각 쐐기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양팔로 이루어진 쐐기 작동 지렛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gradually lifts the emergency stop device actuated type bidirectional}
본 기술은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속기로프에 연결되어 과속운행에 의해 조속기가 동작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중간에 배치한 브레이크슈와 이 브레이크슈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구조와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 제동 장치는 제동의 시작과 제동 압력의 형성을 위하여 브레이크 디스크는 쐐기 형상의 테이퍼 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테이퍼 면을 갖는 종래 비상제동장치는 이상 하강에 대비할 수는 있으나 이상 상승에 대한 대응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8824호에서 비상낙하정지장치와 비상상승정지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비상정지장치를 제안하였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8824호로 인해 이상 상승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는 듯하였으나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동에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카에 이상 상승을 규제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카의 상부에 비상 제동장치의 설치 방향을 상기 하부에 설치된 방향과는 반대로 뒤집어서 시설하여야하는 문제가 있어 시설 중량이 늘어나고 동일한 비상 제동장치를 4개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어 나온 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789호에서 액추에이터가 작동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유동판과 마찰판이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면과 각각 마찰됨과 동시에 상기 마찰판이 유동판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유동판과 사이드레일 사이에 긴밀하게 끼워지며 케이지를 제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에 안전성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그 구성부품을 간소화시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른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제동장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순간 작동식이여서 안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충격을 줄 수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장치로 이상 상승과 이상 하강에 대비할 수 있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측에 쐐기블록을 형성하여 점차적으로 마찰력을 증대시키며 정차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하부 양쪽에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엘리베이터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는 가이드 레일, 프레임, 구동축, 완충판, 완충기 링크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면은 완충판에 붙어있으며 타측면은 롤러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홈을 가진 반대칭형 쐐기 형태의 브레이크 블록;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의 반대칭형 쐐기와 대응되게 반대칭형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은 비상시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마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형태의 쐐기블록;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에 롤러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타측면은 상기 쐐기블록이 롤러를 따라 상하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일렬로 롤러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 리테이너; 상기 쐐기블록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속이 원통형의 몸체와 바형태로 각각 쐐기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양팔로 이루어진 쐐기 작동 지렛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쐐기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블록 양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가운데부분으로 수렴되는 판 형태의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블록은 상기 브레이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부에 세로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된 가운데 부분에 상기 쐐기 작동 지렛대와 연결되는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롤러 리테이너는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롤러를 고정시켜주는 홈을 포함하는 바형태의 본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이상 상승과 이상 하강에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쐐기블록을 형성하여 점차적으로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전하게 정차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엘리베이터 카 하부 양쪽에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부분만 확대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쐐기블록, 브레이크 블록, 롤러 리테이너, 가이드 판의 각각의 모습 및 이를 서로 결합한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완충판.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10는 쐐기블럭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모습.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도 1과 같이 승강로(1)와 상기 승강로(1)의 최상부에 위치되는 기계실, 메인로프(2)에 매달려 상기 승강로(1)의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카(4), 상기 엘리베이터 카(4)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4)와의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5), 상기 엘리베이터 카(4) 하부에 장착되어 비상시 상기 가이드레일(3)을 잡아 상기 엘리베이터 카(4)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장치(6),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로프(2)가 감긴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4)를 승강시키는 권상기(7), 이를 구동시키는 전동기(8)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4)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는 경우 상기 전동기(8)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권상기(7)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9)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4)의 속도제어, 운행관리제어 및 기타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반(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엘리베이터 카(10)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면 상기 조속기(9) 휠의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7)를 구동하는 상기 전동기(8)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권상기(7)의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4)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속기(9) 휠의 일측에 설치된 진자가 더욱 벌어져 로프 고정 장치를 당기게 되고 상기 로프 고정 장치의 로프 캐쳐가 조속기로프에 밀착되어 상기 조속기로프가 정지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카(4)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비상정지장치(6)가 동작되어 비상정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안내 레일면(12a) 양측에 배설된 좌우 한 쌍의 압압편(17), 상기 압압편(17)과 상기 안내 레일면(12a)과의 사이에 압입되어 엘리베이터 칸(11)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동 쐐기편(18)을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이다. 도 2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11)으로 이루어진 승강체, 도 3은 상기 승강로에 입설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11)의 승강을 안내하는 단면 T자형의 안내레일(12), 상기 안내 레일(12)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11) 측에 돌출한 발주위 양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 레일면(12a), 상기 엘리베이터 칸(11)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11)의 이상 속도 낙하시에 상기 안내 레일(12)과의 마찰에 의해 비상 정지동작을 하는 비상정지 장치(13)이다.
통상시, 즉 상기 비상정지장치(13)의 비상 정지 미작동시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직경이 다른 캠(22)은 꼭대기부가 위를 향하여 직립하고, 서로 다른 직경의 짧은 직경 부위가 좌우 한쌍의 고정 압압편(17) 및 좌우 한쌍의 가동 압압편(17a)에 접촉하며, 또 좌우 한쌍의 제동 쐐기편(18)은 틀체(14) 즉 좌우 한쌍의 상기 가동 압압편(17a)에 대해 소정량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지되어 있다. 이때 좌우 한쌍의 상기 제동 쐐기편(18)의 제동면(18a)과 상기 안내 레일면(12a)과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정지장치(13)의 비상 정지 동작시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직경이 다른 상기 캠(22)은 회전력을 받게 되어, 각각의 꼭대기부가 상기 안내 레일면(12a)측에 경사진다. 이에 의해 좌우 한쌍의 직경이 다른 상기 캠(22)의 긴 직경부위가 좌우 한쌍의 상기 고정 압압편(17) 및 좌우 한쌍의 상기 가동 압압편(17a)에 접촉하여, 좌우 한쌍의 상기 가동 압압편(17a)은 통상시보다 상기 안내 레일(12) 측으로 변위하여, 좌우 한쌍의 상기 제동 쐐기편(18)의 상기 제동면(18a)을 상기 안내 레일면(12a)에 압압한다. 또, 좌우 한쌍의 상기 제동 쐐기편(18)은 상기 안내 레일(12)과의 마찰에 의해 상승하여 좌우 한쌍의 상기 가동 압압편(17a)의 압압면(17b)과 상기 안내 레일면(12a)과의 사이에 압입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11)의 강하를 제동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부분만 확대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쐐기블록, 브레이크 블록, 롤러 리테이너, 가이드 판의 각각의 모습 및 이를 서로 결합한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완충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완충판,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기술에 따른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는 과속운행에 의해 조속기가 동작하는 경우 조속기로프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비상정지장치가 가이드 레일과의 마찰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점차적으로 정지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는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양방향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는 그 구조의 틀이 되는 세로프레임(100), 그리고 상기 세로프레임(100)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비상정지장치(200)와 서로 동시에 상기 비상정지장치(200)가 작동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링크(30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상정지장치(200)의 경우 상기 세로프레임(100)의 짧은 가로방향으로 양측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구동축(270),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완충판(210), 상기 완충판(210)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면은 완충판(210)에 붙어있으며 타측면은 롤러(241)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홈을 가진 반대칭형 쐐기 형태의 브레이크 블록(220),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의 반대칭형 쐐기와 대응되게 반대칭형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은 비상시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마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형태의 쐐기블록(230), 상기 쐐기블록(230)은 상기 구동축(270)이 삽입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몸체부(281)와 바 형태로 각각의 상기 쐐기블록(230)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270)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양팔부(282)로 이루어진 쐐기 작동 지렛대(280),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에 상기 롤러(241)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타측면은 상기 쐐기블록(230)이 상기 롤러(241)를 따라 상하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일렬로 상기 롤러(241)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 리테이너(240), 상기 쐐기블록(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 양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가운데부분으로 수렴되는 판 형태의 가이드판(250), 상기 쐐기블록(230)이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접촉하면서 양측에서 압박하면서 작용하는 급격한 정지마찰력을 점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끔 마찰력을 상쇄시키는 완충기(2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300)의 경우는 상기 세로프레임(100)의 짧은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구동축(270)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300)의 경우 상기 구동축(270) 한축에 대해 하나의 상기 링크(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300)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은 서로 동일하다. 일측면은 상기 세로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면은 상기 링크(300)와 결합하고 있는 원형 코일 스프링(320)이 존재한다.
도 10은 쐐기블록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첫 번째 모습은 평상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고 있는 상황일 때의 상기 비상정지장치(200)의 모습이다. 평상시 엘리베이터가 운행될 때에는 상기 비상정지장치(200)가 작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떨어져 있어야한다.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은 반대칭형 쐐기형태로 가운데 부분으로 수렴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쐐기블록(230)의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의 반대칭형 쐐기형태에 대응되게 반대칭형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쐐기블록(230)이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쐐기블록(230)은 상기 가이드 레일(110)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상 상승 혹은 이상 하강이 일어났을 때, 작동방식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면 상기 조속기(9)휠의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권상기(7)를 구동하는 상기 전동기(8)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권상기(7)의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속기(9) 휠의 일측에 설치된 진자가 더욱 벌어져 상기 로프 고정 장치를 당기게 되고 상기 로프 고정 장치의 로프캐쳐가 상기 조속기 로프에 밀착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가 정지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비상정지장치(200)가 동작된다. 이상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될 때 외부에서 작동되는 원리이며, 이하는 상기 비상정지장치에서 작동되는 원리이다.
도 10의 두 번째와 세 번째의 그림은 엘리베이터가 이상 상승 혹은 이상 하강 할 때 상기 쐐기블록(230)의 작동원리이다. 두 번째 그림이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가 이상 상승할 경우이다. 도 9에 표현은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기준으로 한쪽만 표현을 한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양쪽에서 쌍을 이뤄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한 쌍의 상기 쐐기블록(230)이 마찰을 작용하여 정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쐐기블록(230)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리테이너(240)가 도와준다. 상기 롤러 리테이너(240)는 다수개의 상기 롤러(241)와 다수개의 상기 롤러(241)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본체부(242)로 이루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에 형성된 상기 홈에 끼워져 있다. 상기 롤러(241)는 제자리에서 구름운동을 하고 이는 상기 쐐기블록(230)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쐐기블록(230)이 상기 롤러 리테이너(240)의 구름운동의 도움을 받아 상하로 이동할수록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마찰을 이르켜 정지를 시킨다.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비상정지장치(200)는 순간작동식이 아니라 점차 작동식으로 상기 쐐기블록(230)이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양측에서 서로 밀착되면서 마찰이 된다. 아무리 쐐기형태의 블록이라 할지라도 갑작스럽게 작동하게 되면 승객들에게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 충격을 적절히 조절해 주기위해 상기 완충판(210) 뒤에 상기 완충기(2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점차 작동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제동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의 문제도 상기 브레이크 블록(220)을 짧게 설계를 하면서 작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승객의 안전을 위해 순간적으로 많은 마찰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완충기(260)로 보완한 양방향 엘리베이터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이다.
1 - 승강로 2 - 메인로프
3 - 가이드레일 4 - 엘리베이터 카
5 - 균형추 6 - 비상정지장치
7 - 권상기 8 - 전동기
9 - 조속기 10 - 제어반
11 - 엘리베이터 칸 12 - 안내레일
12a - 안내레일면 13 - 비상정지장치
14 - 틀체 14a - 노치
15 - 압압체 17 - 제 1압압편
17a - 제 2압압편 17b - 압압면
18 - 제동 쐐기편 18a - 제동면
19 - 롤러 20 - 베어링 브래킷
21 - 연결축 22 - 캠
23 - 제 1부서체 24 - 제 2부서체
25 - 유지구 26 - 끌어올림 레버
27 - 끌어올림 봉 28 - 스토퍼
100 - 세로프레임 110 - 가이드 레일
200 - 비상정지장치 210 - 완충판
220 - 브레이크 블록 230 - 쐐기 블록
231 - 쐐기블록 중심축 240 - 롤러 리테이너
241 - 롤러 242 - 본체부
250 - 가이드 판 260 - 완충기
270 - 구동축 280 - 쐐기 작동 지렛대
281 - 몸체부 282 - 양팔부
300 - 링크 310 - 링크 연결대
320 - 원형 코일 스프링

Claims (5)

  1. 가이드 레일, 프레임, 구동축, 완충판, 완충기 링크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면은 완충판에 붙어있으며 타측면은 롤러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홈을 가진 반대칭형 쐐기 형태의 브레이크 블록;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의 반대칭형 쐐기와 대응되게 반대칭형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은 비상시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마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형태의 쐐기블록;
    일측면은 상기 브레이크 블록에 롤러가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타측면은 상기 쐐기블록이 롤러를 따라 상하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일렬로 롤러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 리테이너; 및
    상기 쐐기블록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속이 원통형의 몸체와 바형태로 각각 쐐기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양팔로 이루어진 쐐기 작동 지렛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블록은 상기 브레이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부에 세로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된 가운데 부분에 상기 쐐기 작동 지렛대와 연결되는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3. 제 1항과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마찰하는 상기 쐐기블록의 평평한 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진행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블록 양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가운데부분으로 수렴되는 판 형태의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리테이너는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롤러를 고정시켜주는 홈을 포함하는 바형태의 본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KR1020120081450A 2012-07-25 2012-07-25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KR20140013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50A KR20140013624A (ko) 2012-07-25 2012-07-25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50A KR20140013624A (ko) 2012-07-25 2012-07-25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24A true KR20140013624A (ko) 2014-02-05

Family

ID=5026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50A KR20140013624A (ko) 2012-07-25 2012-07-25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6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3529A (zh) * 2016-06-21 2016-08-24 浙江屹立电梯有限公司 一种自平衡的渐进式电梯安全钳
KR101887142B1 (ko) 2017-10-23 2018-08-0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111646337A (zh) * 2020-05-26 2020-09-11 乐天电梯部件(浙江)有限公司 一种可浮动式电梯安全钳
KR20230141464A (ko) 2022-03-30 2023-10-10 장익환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3529A (zh) * 2016-06-21 2016-08-24 浙江屹立电梯有限公司 一种自平衡的渐进式电梯安全钳
CN105883529B (zh) * 2016-06-21 2018-07-03 浙江屹立电梯有限公司 一种自平衡的渐进式电梯安全钳
KR101887142B1 (ko) 2017-10-23 2018-08-0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초대형 고하중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111646337A (zh) * 2020-05-26 2020-09-11 乐天电梯部件(浙江)有限公司 一种可浮动式电梯安全钳
CN111646337B (zh) * 2020-05-26 2024-03-12 上海乐天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可浮动式电梯安全钳
KR20230141464A (ko) 2022-03-30 2023-10-10 장익환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5713B (zh) 电梯的安全装置
KR1016175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0125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1230457B2 (en) Elevator apparatus
CN104395220B (zh) 电梯装置
KR20140013624A (ko)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JPWO2006054328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WO201410293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21694A (ko) 균형추
JP200217937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517391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834301B2 (en)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N104555657B (zh) 一种新型电梯导轨
JP2012158440A (ja) エレベータ
CN111994753A (zh) 一种电梯安全辅助系统
JP2016204061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4873350U (zh) 一种无机房电梯
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4746353A (zh) 电梯及其紧急停止装置
JP4433888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JP553904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WO2022172407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6329365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