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793A -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 Google Patents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793A
KR20140012793A KR1020120079757A KR20120079757A KR20140012793A KR 20140012793 A KR20140012793 A KR 20140012793A KR 1020120079757 A KR1020120079757 A KR 1020120079757A KR 20120079757 A KR20120079757 A KR 20120079757A KR 20140012793 A KR20140012793 A KR 2014001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
pipe
blower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778B1 (ko
Inventor
임기정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임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정 filed Critical 임기정
Priority to KR102012007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23F5/046Methods of roasting coffee with agitation or transportation of the beans by gases; Fluidised-bed roasting or fluidised-bed cooling after roa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화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에서 커피의 제조를 위하여 생두를 이송하고, 또 로스팅과 냉각 가공을 하며, 가공된 원두를 원두공급기로 공급하는 모든 가공과 이송의 과정을 하나의 블로어를 통해서 달성한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최초의 생두를 원두로 가공하고, 이를 소비자가 시식할 수 있는 커피로 변화되는 모든 가공의 과정과 이송의 과정을 하나의 블로어를 통해서 달성하며, 그 변화되는 과정은 물론 이동하는 전과정이 고객의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체의 이송관을 통해서 이루어지기에, 내구성과 상품의 질을 높이면서도, 시각적으로 고객에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the been trasfer unit of auto prosess system to transfer and roaster coffee been}
본 발명은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화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에서 커피의 제조를 위하여 생두를 이송하고, 또 로스팅과 냉각 가공을 하며, 가공된 원두를 원두공급기로 공급하는 모든 가공과 이송의 과정을 하나의 블로어를 통해서 달성한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최초의 생두를 원두로 가공하고, 이를 소비자가 시식할 수 있는 커피로 변화되는 모든 가공의 과정과 이송의 과정을 하나의 블로어를 통해서 달성하며, 그 변화되는 과정은 물론 이동하는 전과정이 고객의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체의 이송관을 통해서 이루어지기에, 내구성과 상품의 질을 높이면서도, 시각적으로 고객에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는 열대지방에서 작물로서 생산된 후, 이를 커피 생산자가 로스팅하여 원두의 형태로 제작하며, 이를 구입한 중간상인이 특별한 가공을 통해서 분말형의 커피를 제작하거나 또는 원두를 판매상에게 판매를 하여 원두커피로서 원두커피 전문점에서 판매를 하곤 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두 생산과 판매 형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며, 소규모의 커피전문점에서도 원두를 직접 로스팅하고 분쇄하여 커피화시키는 제작과정을 작은 점포 안에서 수행하는 형태의 영업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보다 새롭고 특이한 원두의 향과 맛을 즐기도록 소비자의 미각적 질감을 향상시키고 있고, 커피를 즐기는 기호인들을 증가시키는 것까지는 성공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수입을 향상시키거나 정말 우수한 질감의 커피를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즉, 커피의 경우 신선한 생두를 그자리에서 올바른 방식과 적당한 조건을 통해서 로스팅해야 최적의 맛을 내게 되는데, 종래의 로스팅기나 커피메이트는 이러한 질적인 향상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던 것이다.
더욱이 커피란 로스팅된 원두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후, 이를 적당한 시간에 끓여 커피로 제공되야 하기에, 로스팅의 과정에서 그 생두의 형태가 원두까지 유지되야한다. 로스팅의 과정에서 생두가 분쇄되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면, 생두가 고루 로스팅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일측이 타고 어는 일측은 덜 익는 현상이 발생된다. 사실상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모든 커피메이트, 로스팅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하고,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화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시스템에서 커피의 제조를 위하여 생두를 이송하고, 또 로스팅과 냉각 가공을 하며, 가공된 원두를 원두공급기로 공급하는 모든 가공과 이송의 과정을 하나의 블로어를 통해서 달성한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최초의 생두를 원두로 가공하고, 이를 소비자가 시식할 수 있는 커피로 변화되는 모든 가공의 과정과 이송의 과정을 하나의 블로어를 통해서 달성하며, 그 변화되는 과정은 물론 이동하는 전과정이 고객의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체의 이송관을 통해서 이루어지기에, 내구성과 상품의 질을 높이면서도, 시각적으로 고객에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한 후,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로 변환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은,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한 후,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로 변환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있어서, 생두공급기(35)의 적재함(32)에 수용된 생두(1)를, 블로어(11)를 이용하여 바람을 통해서 투명체의 이송관(10)을 타고 생두로스터(A)의 로스터탱크(12)에 유입시키며; 로스터탱크(12)에 유입된 생두(1)는 블로어(11)에서 부는 히터(16)를 지난 바람을 통해서 이송관(10)에서 트레웨이밸브(91)를 통해서 분기된 열공급관(19)을 통해서 원두(2)로 로스팅하며; 로스팅된 원두(2)는 블로어(11)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통해서 열공급관(19)에서 분기된 냉각관(22)과 상단의 냉각호퍼(14)에 하단 이송관(10)을 통해 찬바람을 불어 커피를 냉각시킴으로; 하나의 블로우(11)를 통해서 커피메이트 시스템 내의 상품이 가공되고, 이송되는 모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따른, 로스팅탱크(12)의 로스팅투시부(24)와 배기관(25)을 통해서 연통된 사이클론관(27)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클론관(27)의 상단에는 연장배기관(29)을 배관하여, 히터(16)를 통한 열풍으로 블로어(11)가 열풍을 불어줄 때, 생두가 로스팅되면서, 원두(2)의 재나 분진이 빠져나가도록 하고 : 냉각호퍼(14) 하단의 이송관(10)에는, 냉각 후 떨어진 원두(2)의 이송을 위해서 블로어(11)를 통해서 바람을 불어넣어, 이송관(10)을 타고 원두(2)가 원두공급기(50)의 상단 분배수단(K)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블로어에서 발생되는 에어의 바람을 이송동력으로 사용하여, 시스템 내의 전 가공과정과 상품을 이송시키는 이송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단가를 떨어트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불로어에서 발생된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이송관을 통해서 생두와 원두를 날려 가공하고, 이송시키기에 상품의 파손이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블로어에서 발생된 열풍을 통해서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하고, 그 바람을 이용하여 로스팅된 원두로 생두가 변할 때 발생되는 원두의 재나 분진을 사이클론관으로 뺄 수 있기에 보다 질 놓은 원두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두가 로스팅되어 원두로 변화되고, 원두가 이송되어 커피메이트로 이동하는 전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은 로스터와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열풍을 통해서 생두가 원두로 로스팅되는 작동의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로스팅된 원두가 냉각호퍼에서 냉각되는 냉각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서 생두가 원두로 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전자동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 내지 5에서처럼,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한 후,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로 변환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있어서, 생두공급기(35)의 적재함(32)에 수용된 생두(1)를, 블로어(11)를 이용하여 바람을 통해서 투명체의 이송관(10)을 타고 생두로스터(A)의 로스터탱크(12)에 유입시키며, 로스터탱크(12)에 유입된 생두(1)는 블로어(11)에서 부는 히터(16)를 지난 바람을 통해서 이송관(10)에서 트레웨이밸브(91)를 통해서 분기된 열공급관(19)을 통해서 원두(2)로 로스팅한다. 그리고 로스팅된 원두(2)는 블로어(11)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통해서 열공급관(19)에서 분기된 냉각관(22)과 상단의 냉각호퍼(14)에 하단 이송관(10)을 통해 찬바람을 불어 커피를 냉각시킴으로; 하나의 블로우(11)를 통해서 커피메이트 시스템 내의 상품이 가공되고, 이송되는 모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농산물인 생두(1)를 직접 가공하여 원두(2)로 변화시키고, 원두(2)를 직접 끓여 커피로 제작하는 커피메이트 시스템의 일부이다. 소비자가 판매상의 점포 내에서 주문한 원두커피를 그자리에서 가공하여 마지막 소비물인 커피를 제공하되, 다종의 커피에 따라서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시식하고자하는 종류의 원두(2)를 선택하여 이를 정량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든 가공과 이동의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인 것이다. 커피는 다양한 종류의 원두(2)로 선택되어 사용된다. 생두(1)가 자라나는 지역적인 조건에 따라 그 맛과 향이 다른다. 이를 미식가들은 구별을 하며, 커피의 맛을 즐기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피전문점에서는 미식가들의 다양한 미각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사용하는 원두(2)를 다수의 종으로 비치를 해도 일일이 이를 선별하여 로스팅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주문한 상품이 지금 가공되는 원두(2)인지도 분별하기 힘들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소비자가 마시고자 하는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동된다. 가동의 시작은 블로우(11)가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송관(10)의 내측으로 바람을 주입하게 되면, 이 바람이 상품의 가공과 이송을 위한 동력이 된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의 주요한 이송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생두공급기(35)에 저장된 생두(1)를 빼내어, 로스팅탱크(12)의 내측에 투입하는 과정이다. 이송관(10)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블로어(11)에서 연장되어 로스팅탱크(12)의 상단까지 연통되어 있다. 이송관(10)의 내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생두(1)를 이송관(10)을 통해서 날려 로스팅탱크(12)로 투하시킨다. 이때 도시된 도면에서 처럼, 이송관(10)이 로스팅탱크(12)와 연통됨에 있어서, 중간에 분기된 부분이 있다. 이 분기된 관은 로스팅과 냉각을 위한 가공작업을 위한 열공급관(19)이다.
즉, 상기 이송관(10)에서 트리웨이밸브(91)를 통해서 다른 관이 분기되는데, 이 분기된 관이 열공급관(19)이다. 열공급관(19)은 이송관(10)과 연통된 상태로 로스팅탱크(12)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열공급관(19)은 로스팅탱크(12)와 연통되기 전에 다수의 밸브(13, 17, 91)와 히터(16)와 연통된 상태이다. 결국 블로어(11)에서 바람이 불고, 전술된 트리웨이밸브(91)가 이송관(10)측을 폐쇄하고, 분기된 열공급관(19)으로 바람을 불어 넣게 되면, 상기 히터(16)를 지나며 고열의 열풍으로 변하게 된다. 열풍은 열공급관(19)을 통과하여 로스팅탱크(12)의 하단 트리웨이밸브(13)를 거쳐 로스팅탱크(12)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로스팅탱크(1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강한 고열의 열풍을 불며 올라가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고열의 열풍이 로스팅탱크(12) 내측에 수용시킨 일정량의 생두(1)를 로스팅하여 원두(2)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하나의 블로어(11)를 통해서 열풍을 이용하여 로스팅 가공을 자동적으로 수행시킨다.
이후 본 발명의 블로어(11)는 로스팅된 원두(2)를 냉각호퍼(14)로 내려 냉각시키는 냉각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도 본 발명에서는 연통된 하나의 블로어(11)를 통해서 달성한다. 즉, 로스팅탱크(12)의 호퍼부(23) 하단 트리웨이밸브(13)가 개방되면, 로스팅된 고온의 원두(2)는 하단의 냉각호퍼(14)로 떨어진다. 이후 블로어(11)의 공기는 강하게 불어 냉각호퍼(14) 하단으로 강한 바람을 진입시킨다. 즉, 전술된 트리웨이밸브(13)가 이송관(10)측을 폐쇄시키고 열공급관(19)을 개방하면, 열공급관(19)에서 또 다른 밸브를 통해서 분기된 냉각관(22)만이 개방되기에 바람은 냉각관(22)을 타고 냉각호퍼(14)의 내측으로 강하게 불어 들어간다. 고온의 원두(2)는 냉각호퍼(22)의 내부에서 강한 냉각풍의 영향으로 빠른 시간 내에 냉각된다.
이후 본 발명의 커피메이트시스템은 로스팅된 원두(2)를 이송관(10)을 통해서 날려 원두공급기(50)의 적재함(51) 내측으로 수용시킨다. 즉, 도시된 도 1에서처럼, 냉각호퍼(22)의 하단의 밸브(21)가 개방되면, 냉각된 원두(2)는 이송관(10)의 내측으로 떨어진다. 떠어진 이송관(10)에 블로어(11)의 바람이 불어오게 되면, 원두(2)는 이송관(10)을 타고 날아가 원두공급기(50)의 상단 분배수단(K)으로 떨어진다. 이후 분배수단(K)에서 선택된 원두공급기(50)의 적재함(51)으로 원두(2)는 떨어진다.
결국 본 발명의 주요한 장점은 하나의 블로어(11)를 이용하여 생두(1)에서 원두화 되는 로스팅 공정, 냉각공정이 모두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생두(1)에서 원두(2)에 이르기까지의 전 상품이 가공되고, 다음의 가공장소로 이동하는 전과정의 이송과정도 하나의 블로어(11)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이런 동력을 이용하여 보다 내구성이 높고 질 좋은 원두(2)를 생산한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힌 실시예를 살펴본다.
즉, 본 발명은 로스팅탱크(12)의 로스팅투시부(24)와 배기관(25)을 통해서 연통된 사이클론관(27)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클론관(27)의 상단에는 연장배기관(29)을 배관하여, 히터(16)를 통한 열풍으로 블로어(11)가 열풍을 불어줄 때, 생두가 로스팅되면서, 원두(2)의 재나 분진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출공정도 추가한다.
이도 하나의 블로어(11)를 통해서 달성하는데, 종래의 대다수 로스터기가 할 수 없었던 공정이다. 로스팅을 할 때 본 발명은 고열의 열풍을 블로어가 불게 되면, 이 열풍은 로스팅탱크(12)의 하단을 지나 로스팅탱크(12)의 상단으로 올라가 배출되며, 생두(1)를 원두(2)로 로스팅한다. 이때 생두(1)가 원두(2)로 변하면서 재가 되거나 분진이 된 것은 가벼워져 상기 로스팅탱크(12)의 상단 로스팅투시부(24)와 연통된 사이클론관(27)으로 들어간다. 사이클론관(27)에서는 큰 부피의 원두조각들은 하단의 포잡박스(28)에 모으고, 분진이나 재 등은 상단의 연장배기관(29)을 통해서 외부로 자동배출시킨다.
모두 하나의 블로어(11)에서 부는 바람을 통해서 로스팅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분진이나 재의 배출공정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냉각호퍼(14) 하단의 이송관(10)에는, 냉각 후 떨어진 원두(2)의 이송을 위해서 블로어(11)를 통해서 바람을 불어넣어, 이송관(10)을 타고 원두(2)가 원두공급기(50)의 상단 분배수단(K)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는 전술된 설명에서 이미 어느 정도 설명한 상태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피한다. 단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사항은 본 발명의 생두(1)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에서 가공의 단계나 상품의 이송을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의 블로어(11)를 이용하여 모든 작업을 완성한다는 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본 발명 커피메이트 시스템에 관련된 동일자 출원이 5건이다 본 발명을 제외하고,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로스터",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공급유닛",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 원두공급유닛",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과 그 운영방법"이다. 본 발명의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이들을 참조해도 무방하다.
1; 생두 2; 원두
10; 이송관 11; 블로어
16; 히터 19; 열공급관
24; 로스팅투시부 25; 배기관
27; 사이클론관 29; 연장배기관
K; 분배수단

Claims (3)

  1.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한 후,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로 변환시키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에 있어서,
    생두공급기(35)의 적재함(32)에 수용된 생두(1)를, 블로어(11)를 이용하여 바람을 통해서 투명체의 이송관(10)을 타고 생두로스터(A)의 로스터탱크(12)에 유입시키며;
    로스터탱크(12)에 유입된 생두(1)는 블로어(11)에서 부는 히터(16)를 지난 바람을 통해서 이송관(10)에서 트레웨이밸브(91)를 통해서 분기된 열공급관(19)을 통해서 원두(2)로 로스팅하며;
    로스팅된 원두(2)는 블로어(11)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통해서 열공급관(19)에서 분기된 냉각관(22)과 상단의 냉각호퍼(14)에 하단 이송관(10)을 통해 찬바람을 불어 커피를 냉각시킴으로; 하나의 블로우(11)를 통해서 커피메이트 시스템 내의 상품이 가공되고, 이송되는 모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로스팅탱크(12)의 로스팅투시부(24)와 배기관(25)을 통해서 연통된 사이클론관(27)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클론관(27)의 상단에는 연장배기관(29)을 배관하여, 히터(16)를 통한 열풍으로 블로어(11)가 열풍을 불어줄 때, 생두가 로스팅되면서, 원두(2)의 재나 분진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냉각호퍼(14) 하단의 이송관(10)에는, 냉각 후 떨어진 원두(2)의 이송을 위해서 블로어(11)를 통해서 바람을 불어넣어, 이송관(10)을 타고 원두(2)가 원두공급기(50)의 상단 분배수단(K)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KR1020120079757A 2012-07-23 2012-07-23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KR10139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757A KR101392778B1 (ko) 2012-07-23 2012-07-23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757A KR101392778B1 (ko) 2012-07-23 2012-07-23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793A true KR20140012793A (ko) 2014-02-04
KR101392778B1 KR101392778B1 (ko) 2014-05-08

Family

ID=5026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757A KR101392778B1 (ko) 2012-07-23 2012-07-23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1988B2 (en) 2014-07-03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Yeast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and method of producing product
CN114256553A (zh) * 2019-01-09 2022-03-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模组框架的电池包、车辆和储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84B1 (ko) 2009-01-02 2009-07-14 이현석 열풍식 커피 로스터
KR101130547B1 (ko) 2010-06-30 2012-03-27 (주)한선 커피 로스터 및 그 운용방법
KR101228614B1 (ko) 2012-06-29 2013-01-31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로스팅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1988B2 (en) 2014-07-03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Yeast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and method of producing product
CN114256553A (zh) * 2019-01-09 2022-03-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模组框架的电池包、车辆和储能装置
CN114256553B (zh) * 2019-01-09 2023-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模组框架的电池包、车辆和储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778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513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킹 장치
KR20180133389A (ko) 로스팅 및 분쇄 시스템
KR101915747B1 (ko) 생두에서 커피까지 자동생산하는 개인 주문 맞춤형 커피 메이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468359B1 (ko) 커피의 자동 가공 및 브렌딩 시스템
US11523710B2 (en) Coffee containers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roast and ground coffee
KR101392778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상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KR20150086608A (ko)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101448524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원두공급유닛
KR101392777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공급유닛
KR101481901B1 (ko) 커피메이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생두와 원두공급기의 정량공급유닛
KR101415507B1 (ko)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832981B1 (ko) 에스프레소 머신의 생두 및 원두 자동공급보관시스템
JPH10275275A (ja) 飲料の自動販売機
KR101392776B1 (ko) 생두를 커피로 자동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커피메이트시스템의 생두로스터
JP2011092162A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Müller-Fischer Nutrient-focused processing of rice
KR102590651B1 (ko) 커피 생두별 정점 로스팅 장치
JP7046302B2 (ja) 青汁原料の乾燥処理方法および乾燥処理設備
KR102590650B1 (ko) 시스테마틱 커피 가공 플랜트
CN217157384U (zh) 全自动爆米花售卖机
US11974585B2 (en) Method of beverage extraction
JPH05197879A (ja) レギュラーコーヒー自動販売機及びその作動方法
JP4588677B2 (ja) 焙煎豆の搬送装置とこれを備えた焙煎豆貯槽サイロ
KR20230171130A (ko) 낱알형 누룽지 제조 시스템
KR20240028160A (ko) 밤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