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241A -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241A
KR20140012241A KR1020120078529A KR20120078529A KR20140012241A KR 20140012241 A KR20140012241 A KR 20140012241A KR 1020120078529 A KR1020120078529 A KR 1020120078529A KR 20120078529 A KR20120078529 A KR 20120078529A KR 20140012241 A KR20140012241 A KR 20140012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derwater
connection rope
rope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9021B1 (en
Inventor
한승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021B1/en
Publication of KR2014001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measuring vertical displacement of a measured object moving underwater.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ncludes a standard member including a base unit mounted on the sea-bed; a connection rope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a buoyancy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rope and maintaining the connection rope to be a state of tension by generating buoyance towards the upper side, a guide moving toge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in the position closed to the connection rope by being connected to the measured object, and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measuring unit measuring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guide and the connection rope.

Description

수중 변위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본 발명은 수중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 위치한 측정중량물의 해류에 의한 움직임을 수중 변위측정장치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movement by currents of measured weights placed in the water.

세계적인 천연에너지의 감소로 인한 해양에서의 에너지 발굴 작업이 가속화되면서 이들의 생산 필수조건인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설비(FPSO), 드릴쉽(Drillship)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석유, 가스 등의 채굴작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As the exploration of energy at sea is accelerated due to the reduction of global natural energy, the demand for oil and gas such as floating oil production storage facilities (FPSO) and drillships is soaring. This is on the increasing trend.

또한, 현재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에너지 개발을 위한 선박 및 해양플랜트 사업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고, 나아가 대용량이며 정밀제어가 가능한 크레인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urrent increase in energy demand worldwide, the ship and offshore plant projects for energy development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in addition, the demand for large-capacity and precisely controllable cranes is increasing.

이와 함께 세계적인 선주 또는 석유회사들은 관련선박이 필수적임과 동시에 심해에서 운용 또는 설치되는 시추장비들(예를 들면, ROV, X-mas tree, BOP, Riser)을 핸들링 해야 하는 크레인 역시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Along with this, shipbuilders or oil companies around the world are also essential, as well as cranes that need to handle drilling equipment (e.g. ROV, X-mas tree, BOP, Riser) operating or installed in the deep sea. have.

또한, 고비용인 공급선에 의존하는 대신 본선에 장착된 리프트 크레인으로서 작업함이 생산적,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 판명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선박의 주요장비(X-mas tree, Wellhead등)의 운용을 위한 정밀제어 크레인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relying on expensive supply ships, it has been found that a workbench as a lift crane mounted on a main ship is very productive and economically efficient, and research on th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Precise control cranes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ship's main equipment (X-mas tree, Wellhead, etc.).

이러한 선박용 크레인은 선박에 설치되어 해양 장비나 다른 선박을 인양하거나, 다른 선박에 물건을 옮기고 해저 작업시 작업물을 해저에 이송하는 것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These marine cranes are used to lift marine equipment or other vessels installed on ships, transfer goods to other vessels, and transfer workpieces to the seabeds during subsea operations.

선박용 크레인은 선박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도에 의해 선박이 상하로 요동(heave)하고, 이에 따라 선박의 상하 요동에 따라 함께 요동하면서 작업물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Since the ship crane is installed in the ship, the ship shakes up and down by the waves,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keep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constant while swing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swing of the ship.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물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and keep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constant.

이와 같이 개발된 선박용 크레인의 일 예로는 국내 공개특허 2011-0125555 인 `해양 선박용 넉클 크레인의 요동 보상장치`가 있다.One example of a marine crane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is a domestic swing patent compensation device 'knock crane crane for marine vessels'.

본 발명은 수중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저면상에 위치한 별도의 기준부재를 구비하여 수중에 위치한 측정중량물과의 상대적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측정중량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separate reference member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sea to provide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measured weight by detecting a relative position change with the measured weight placed in the water.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는 수중에서 움직이는 측정중량물의 상하방향 변위를 측정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에 있어서, 해저면상에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연결로프 및 상기 연결로프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로 부력이 발생하여 상기 연결로프가 긴장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부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기준부재, 상기 측정중량물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프와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움직이는 안내가이드 및 상기 연결로프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easured weight moving in the water, the base portion is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ne side is the base portion A reference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p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rope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rope, and having a buoyancy generating portion to maintain the connection rope in a tensioned state,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weight and adjacent to the connection rope In the guide includes a guide guide tha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and th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on rope and the guide guide.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측정중량물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로프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는 수중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n underwater camera provided on the measured weight to measur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rope and the guide guide.

또한, 상기 연결로프는 상기 안내가이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측정표식이 포함되며, 상기 측정표식은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눈금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rope includes a separate measurement marker for detecting and measur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guide guide, the measurement marker may be in the form of a graduation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또한, 상기 부력발생부는 상기 기준부재가 안착되는 해저면의 깊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부력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may adjust the buoyancy so that the connecting rop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reference member is seated.

또한, 상기 부력발생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기체를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therein to receive the gas to generate buoyancy.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uide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안내가이드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에 따른 상기 안내가이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guide guide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guide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해저의 측정중량물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외부의 움직임에 의해 해저에서 측정중량물과 함께 움직이는 안내가이드 및 이와 별도로 분리되어 해저면상에 구비되어 외부의 움직임과 분리된 기준부재를 구비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해서 기준부재에 대한 측정중량물의 상대적 움직임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중량물이 해저에 깊이 있더라도 정확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uide member is connected to the outside from the measured weight of the seab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measured weight from the seabed by external movement,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abed separately separated from the external movement. By measur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relative t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easure the accurate movement even if the measured weight is deep in the seabed.

또한, 기준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수직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 형태의 측정표식을 구비한 연결로프를 가지고, 측정중량물에 연결되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연결로프를 따라 움직이는 안내가이드를 가짐으로써, 측정중량물의 움직임에 따라 안내가이드와 연결로프의 상대적인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member has a connecting ro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vertically arranged and having a measuring mark in the form of a sca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measured weight, and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alo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pe. By having a guide guide moving along the ro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easure the relative moving distance of the guide guide and the connecting rop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연결로프에 형성된 측정표식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에서 측정중량물의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에서 해류에 의한 측정중량물의 움직임이 측정표식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에서 측정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ip;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
3 is a view showing a measurement marker formed on the connecting rope of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does not occur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due to the current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ure 1 is detected by the measurement marker; And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measuring unit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중 변위측정장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에서는 해수면상에 위치한 선박의 AHC크레인에서 해저에 위치한 측정중량물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측정중량물을 포함한 구성을 통해 설명한다.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form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located on the sea floor in the AHC crane of the ship located on the sea surface.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weight.

먼저,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가 선박(S)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ship (S)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변위측정장치는 크게 기준부재(100), 안내가이드(200) 및 측정유닛(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준부재(100)는 해저면(B)상에 위치하여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별도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선박(S)에 연결되며 해저면(B)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의한 측정중량물(H)의 위치변화 정도를 상기 기준부재(100)와 비교하여 측정하는 장치이다.As show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reference member 100, the guide guide 200 and the measuring unit 300, the reference member 100 is the bottom surface (B) It is located on the separate and disposed separately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vessel (S), the guide guide 200 is connected to the vessel (S)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sea bottom (B) It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hange in position of the measured weight (H) by the movement of the vessel (S)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member 100.

상기 측정중량물(H)은 별도의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S)에 연결되며 해저면(B)에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을 한다. 여기서, 상기 선박(S)은 해수면상에 위치하여 파도나 해류 등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프에 의해서 연결된 상기 측정중량물(H)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The measured weight (H) is connected to the ship (S) by using a separate rope and disposed on the upper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 bottom (B) and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hip (S). Here, the ship (S) is located on the sea surface and is moved by waves or currents, and accordingly, the measured weight (H) connected by the rope is also moved together.

상기 기준부재(100)은 상기 선박(S)과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크게 베이스부(110), 연결로프(120) 및 부력발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중 변위측정장치의 기준이 된다.The reference member 100 is separated from the ship (S), and comprises a base 110, a connecting rope 120 and a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is largely the reference of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do.

상기 베이스부(110)은 일정한 무게 및 비중을 가지며 이에 따라 해저면(B)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자중에 의해서 해저면(B)상에 안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수보다 밀도가 커야 한다The base 110 has a certain weight and specific gravity, and thus can be positioned on the sea bottom B. In this embodiment, the base portion 110 should be larger than seawater because it must be seated on the sea bottom B by its own weight.

상기 연결로프(1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11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로프(120)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밧줄, 체인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ope 1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10. The connection rope 12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and ropes, chains,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부력발생부(130)는 상기 연결로프(1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프(120)가 해저로 가라앉지 않고 수직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부력을 공급한다.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rope 120 to supply buoyancy so that the connection rope 120 is disposed close to the vertical without sinking to the seabed.

상기 부력발생부(13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110)와 연결된 상기 연결로프(120)의 일측이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부력발생부(130)에 연결된 상기 연결로프(120)의 타측이 상부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프(120)의 배치는 상기 부력발생부(130)가 받는 부력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rope 120 connected to the base part 110 by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pe 120 connected to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is upward. Located in Here,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rope 120 depends on the degree of buoyancy received by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한편, 상기 부력발생부(130)는 상기 연결로프(12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의 부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상기 베이스부(110)를 해저면(B)에서부터 들어올리면 안 된다. 상기 베이스부(110)가 해저면(B)에서부터 들어올려지면, 해류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110)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하기 어렵다. 상기 베이스부(110)에 의해서 수중 변위측정장치가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should have a buoyancy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connecting rope 120, but should not lift the base portion 110 from the bottom (B). When the base 110 is lifted from the sea bottom B, since the base 110 may move due to the curr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base 110. The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perates by the base unit 11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기준부재(100)는 해저면(B)의 깊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압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10)의 무게 및 상기 부력발생부(130)의 크기를 조절하여 해저면(B)의 깊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member 100 adjusts the weight of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size of the buoyancy generating portion 130 to correspond to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B) the bottom surface (B)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력발생부(1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기체를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receive a gas therein to generate a buoyancy to accommodate the gas.

상기 기준부재(100)의 구성을 다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부(110), 상기 연결로프(120) 및 상기 부력발생부(130)로 구성되어 상기 선박(S)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10)가 해저면(B)상에 위치하고 상기 부력발생부(130)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로프(120)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로프(120)가 수직방향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Looking bac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eference member 100, consisting of the base portion 110, the connecting rope 120 and the buoyancy generating portion 130 is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vessel (S) and the base Part 11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B) and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rope 12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rope ( 120 is disposed to be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측정중량물(H)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프와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된다.The guide guide 200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weight (H) is configured to move toge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ion ro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측정중량물(H)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로프(1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측정중량물(H)과 고정되어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측정중량물(H)이 움직이는 경우,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연결로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guide 200 is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120 at one side of the measured weight (H). Since the guide guid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ly coupled to the measured weight H, when the measured weight H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essel S, the guide guide 200 moves together. The guide 20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120.

여기서, 상기 측정중량물(H)이 파도에 의한 상하방향이 안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연결로프(120)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11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연결로프(120)를 따라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Here, the guide guide 200 is the one side of the connection rope 120 is fixed by the base portion 110 even if the measured weight (H) is moved up and dow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wave The position moves along the connection rope 120.

상기 측정유닛(300)는 상기 측정중량물(H) 또는 상기 안내가이드(200)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의 상대적 위치변화를 측정한다. 즉, 상기 측정유닛(300)는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해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의 정확한 상대적 위치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The measuring unit 300 is disposed on the measurement weight (H) or the guide guide 200 to measure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of the connecting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That is, the measurement unit 300 detects the exact change in relative position of the connection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from the outside because the connection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is located on the seabed. It is provided in order to.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유닛(300)는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중카메라로 구성되어 상기 측정중량물(H)상에 결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asuring unit 300 is composed of an underwater camera to measur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is coupled to the measurement weight (H).

이와 같이 상기 안내가이드(200) 및 상기 측정유닛(30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측정중량물(H)이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 상기 기준부재(100)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 움직임을 측정 함으로써, 상기 선박(S)에서 상기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As such, the guide guide 200 and the measuring unit 300 are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the reference member 100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hip S. By measur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in the vessel (S) can be measured.

여기서,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고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프(120)의 일부를 감싸되 상기 연결로프(120)와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측정중량물(H)이 움직이는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내가이드(200)와 상기 연결로프(120)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접촉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guide 200 is formed in a ring shape may be wrapped around a portion of the connection rope 120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rope 120.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essel (S) do not contact so that the friction forc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guide guide 200 and the connecting rope 120 does not interfe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ot configured.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서 측정중량물(H)이 움직이는 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상기 선박(S)과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 정도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박(S)은 별도의 AHC(Active Heave Compensation Mode)크레인(C)의 구비하여 상기 측정중량물(H)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측정중량물(H)이 해류에 의한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줄일 수 있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ip S may be measured, and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vessel S and the measured weight H may be corrected. That is, the vessel S is provided with a separate AHC (Active Heave Compensation Mode) crane C and connected to the measured weight H, so that the measured weight H of the vessel S due to the current flow It can reduce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HC크레인(C)의 보정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준부재(100)와 안내가이드(200)의 상대적 움직임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래서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게 AHC크레인(C)을 조절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correction of the AHC crane (C) must be precisely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reference member 100 and the guide guide 200 must be accurately known. do. Therefore, by accurately measur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ssel (S) it can adjust the AHC crane (C) correspondingly.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연결로프(12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rope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의 연결로프(120)에 형성된 측정표식(122)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measurement marker 122 formed on the connecting rope 120 of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120)는 상기 안내가이드(200)와의 움직임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측정표식(122)이 구비된다. 상기 측정표식(122)은 상기 연결로프(120)상에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표식(122)은 상기 연결로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균일한 간격을 가진 눈금 형태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rope 12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easurement marker 122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degree of movement with the guide guide 200. The measurement marker 122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rope 120 and in this embodiment the measurement marker 1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cale with a uniform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120.

이와 별도로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연결로프(1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정표식(122)에 의해서 상기 연결로프(120)를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200)가 움직인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돌출부(210)가 구비된다.Separately, the guide guide 20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120 to measure the relative distance the guide guide 200 is moved along the connection rope 120 by the measurement marker 122. Protrusions 210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그래서 상기 돌출부(210)와 상기 측정표식(122)의 상대적 위치변화를 통해서 상기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유닛(300)인 수중카메라는 상기 돌출부(210)와 상기 측정표식(122)의 움직임을 촬영한다.Therefor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easurement weight H can be measured by chang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rotrusion 210 and the measurement marker 122. Here, the underwater camera which is the measuring unit 300 photographs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210 and the measurement marker 122.

이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120)는 상기 측정표식(12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로프(120)에 대한 상기 측정중량물(H)의 상대적 움직임을 수치로 나타내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s such, the connection rope 120 includes the measurement marker 122,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easurement weight H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rope 120 may be represented as a numerical value to accurately measure.

한편, 상기 연결로프(120)는 해저에서 위치하기 때문에 눈금형태의 상기 측정표식(122)은 형광물질 또는 자체발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necting rope 120 is located on the seabed, the measurement marker 122 in the form of a scale may be configured to enable fluorescent material or self-emiss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선박(S)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의 상대적 위치변화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of the connecting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ssel (S) As follows.

도 4는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에서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에서 해류에 의한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이 측정표식(122)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does not occur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ure 1 and Figure 5 is a measurement marker of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due to the current flow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detected by 122. As shown in FIG.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선박(S)이 움직이지 않은 상태로써 상기 측정중량물(H)이 움직이지 않아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의 상대적 움직임이 없는 상대이다.First, referring to FIG. 4, since the measurement weight H does not move as the vessel S is not move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connecting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does not exist.

그래서 상기 연결로프(120)에 구비된 상기 측정표식(122)의 일 지점 위치에 상기 돌출부(210)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Thus, the protrusion 21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measurement mark 122 provided in the connection rope 120.

하지만, 도 5와 같이 해류 또는 파도에 의해서 상기 선박(S)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측정중량물(H)은 상기 선박(S)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움직이고 이에 따라서 상기 측정중량물(H)에 결합된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기준부재(100)와 상대적인 위치변화가 일어난다.However, when the vessel (S) is moved by the current or waves as shown in Figure 5, because the measured weight (H) is connected to the ship (S) is moved together and accordingly coupled to the measured weight (H) The guide guide 200 is a position change relative to the reference member 100 occurs.

그래서 상기 안내가이드(200)는 상기 연결로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도 5는 상기 측정중량물(H)이 상부방향으로 움직인 상태로써 상기 안내가이드(200)가 상기 연결로프(120)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Thus, the guide guide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120,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measured weight (H)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the guide guide 200 is the connection rope ( Move upwards along 120).

이와 같이 상기 안내가이드(200)가 상기 연결로프(120)를 따라서 움직임으로써, 상기 돌출부(210)에 대응하던 상기 측정표식(122)의 눈금이 이동하여 상기 안내가이드(200)가 상기 연결로프(120)를 따라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As the guide guide 200 moves along the connection rope 120 as described above, the scale of the measurement marker 122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10 is moved to move the guide guide 200 to the connection rope ( The distance traveled along 120 may be measured.

그래서 상기 측정유닛(300)가 상기 돌출부(210)와 대응된 위치의 상기 측정표식(122)이 움직이는 것을 관측한다.Thus, the measuring unit 300 observes the movement of the measurement marker 12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10.

이와 같이 구성된 수중 변위측정장치는 해수면에 위치한 상기 선박(S)이 AHC크레인(C)을 구비한 경우, 상기 측정중량물(H)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피드백 함으로써 AHC크레인(C)의 MRU(motion Reference Unit)시스템 세팅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AHC크레인(C)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MRU (motion reference) of the AHC crane C by measuring and feeding back the movement of the measured weight H when the vessel S located on the sea surface has the AHC crane C. Unit) can be applied to system settings to make the AHC crane (C) run more effectively.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측정유닛(3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 6, a modified form of the measuring unit 300 is as follows.

도 6은 도 1의 수중 변위측정장치에서 측정유닛(3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measuring unit 300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유닛(300)는 앞서 상술한 수중카메라가 아닌 센서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센서(310)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가이드(200)상에 배치된다. As shown, the measuring unit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ensor rather than the above-described underwater camera. More specifically, it is composed of a sensor 310 is disposed on the guide guide 200.

그래서 상기 연결로프(120)에 형성된 상기 측정표식(122)과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로프(120)에 형성된 눈금형태의 상기 측정표식(122)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310)가 상기 연결로프(120)와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Thus, as the measurement marker 122 formed in the connection rope 120 is disposed to face the measurement marker 122 formed in the connection rope 120, the detection sensor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he moving distance with the rope 120 is measured.

이와 같이 상기 측정유닛(300)가 상기 감지센서(310)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상기 수중카메라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연결로프(120)와 상기 안내가이드(200)의 상대적인 위치변화에 대해 감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 거리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As such, the measurement unit 300 is configured as the detection sensor 310 to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of the connection rope 120 and the guide guide 200 even if the camera is not provided with the separate underwater camera. The distance traveled can also be measu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기준부재 110: 베이스부
120: 연결로프 122: 측정표식
130: 부력발생부 200: 안내가이드
300: 측정유닛 310: 감지센서
H: 측정중량물 S: 선박
B: 해저면 C: AHC크레인
100: reference member 110: base portion
120: connection rope 122: measurement marker
130: buoyancy generating unit 200: guide guide
300: measuring unit 310: detection sensor
H: Weight of S S: Ship
B: Bottom C: AHC Crane

Claims (7)

수중에서 움직이는 측정중량물의 상하방향 변위를 측정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에 있어서,
해저면상에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연결로프 및 상기 연결로프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로 부력이 발생하여 상기 연결로프가 긴장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부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기준부재;
상기 측정중량물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프와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움직이는 안내가이드; 및
상기 연결로프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는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
I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easured weight moving in the water,
A reference member including a base portion seated and fixed on the sea bottom,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p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rope and buoyancy is generated to maintain the connection rope in a tension state by generating a buoyancy upwards. ;
A guide guide connected to the measured weight and moving toge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p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ion rope; And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rope and the guide gu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측정중량물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로프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는 수중카메라를 포함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n underwater camera provided on the measured weight to measure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rope and the guide gui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프는 상기 안내가이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측정표식이 포함되며,
상기 측정표식은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눈금 형태인 수중 변위측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rope includes a separate measurement marker for detecting and measur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guide guide,
The measurement marker is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n the form of a scal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는 상기 기준부재가 안착되는 해저면의 깊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부력이 조절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is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s a buoyancy is adjusted so that the connecting rope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reference member is se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기체를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수중 변위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is an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therein to receive the gas to generate buoyanc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기준부재가 해저면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th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fixing the reference member on the sea floor by its own we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안내가이드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방향에 따른 상기 안내가이드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중 변위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unit is provided on the guide guide underwater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guide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pe.
KR1020120078529A 2012-07-19 2012-07-19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KR101379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29A KR101379021B1 (en) 2012-07-19 2012-07-19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29A KR101379021B1 (en) 2012-07-19 2012-07-19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241A true KR20140012241A (en) 2014-02-03
KR101379021B1 KR101379021B1 (en) 2014-03-28

Family

ID=5026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529A KR101379021B1 (en) 2012-07-19 2012-07-19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0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59B1 (en) * 2021-01-04 2021-08-27 주식회사 씨지오 Suction anchor rapid instal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111A (en) 1972-05-01 1975-10-07 Texaco Inc Wave height measuring device
JPS59166804A (en) * 1983-03-14 1984-09-20 Hitachi Ltd Detecting device for pitching and rolling of vessel
JPH0861950A (en) * 1994-08-18 1996-03-08 Hitachi Zosen Corp Pitch and roll measuring device for ship
KR101805481B1 (en) * 2011-05-31 2017-1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eave Measuring Apparatus for Ship Cra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59B1 (en) * 2021-01-04 2021-08-27 주식회사 씨지오 Suction anchor rapid instal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021B1 (en)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5062A1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KR101219575B1 (en) Heave Compensator
US10151151B2 (en) Riser deflection mitigation
US10358191B2 (en) Floating structure
KR10137902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Displacement
KR101267096B1 (en) Marking buoy device using wave-force generation
KR20160108030A (en) Offshore platform
KR101498246B1 (en) Material handling structure for moving equipements at moonpoll zone and drill ship including the structure
KR20150004571A (en) BOP Test Apparatus and Method
US10240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intervention in a subsea well from a floating vessel
KR101715704B1 (en) Movement Compensator Of Cable Installation Ship And Compensating Method Of Ship Movement Using The Same
US9352808B2 (en) Offshore platform having SCR porches mounted on riser keel guide
KR20120001055U (en) Recess type structure of trolley rail for drillship
KR102016315B1 (en) Spudcan structure
KR102260451B1 (en) Semi-submersible marine structure
KR101219576B1 (en) Heave Compensator
KR20150062509A (en) Anchor supporting structure for Semi submersible Rig
NO148632B (en) SUBMISSION DEVICE FOR A DIVE CLOCK CONSTRUCTION
KR20150034858A (en) Structure for fixing floating crane
KR20150020862A (en) installation method for derrick of drillship
KR101711471B1 (en) Apparatus for drilling
CN113833418A (en) Wave compensation device for downhole tool winch of floating drilling platform
KR20140127016A (en) Testing device for hang-off trolly road of drillship
KR20160011789A (en) A Dynamic Positioning System
JP2015129661A (en) Levelness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driven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