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533A -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 Google Patents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533A
KR20140011533A KR1020120071297A KR20120071297A KR20140011533A KR 20140011533 A KR20140011533 A KR 20140011533A KR 1020120071297 A KR1020120071297 A KR 1020120071297A KR 20120071297 A KR20120071297 A KR 20120071297A KR 20140011533 A KR20140011533 A KR 20140011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ne
terminal equipment
waveleng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808B1 (ko
Inventor
최두진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이프라임
주식회사 시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프라임, 주식회사 시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프라임
Priority to KR102012007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8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54Optical medium access
    • H04J14/0267Optical signaling or routing
    • H04J14/0268Restoration of optical paths, e.g. p-cy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28Local loop
    • H04J2203/003Medium of transmission, e.g. fibre, cable, radio
    • H04J2203/0032Fibre

Abstract

고상한 광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한 광통신 시스템은,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 시 광전송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하며,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들을 포함한다. 또한, 광통신 시스템은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해 웨스트에 연결된 제1 OLT와, 이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 지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2 OLT를 구비하는 센터장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ONU having function of fiber line monitoring and switching}
본 발명은 광통신 단말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파장분할다중(WDM)방식의 통신에 적합한 광통신 단말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적으로 파장분할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기술을 이용한 망구성 방식은 센터 장비인 광회선 단말장비(Optical Line Termination; OLT)와 원격에서 서비스를 수용하는 광통신 단말장비(Optical Network unit; ONU)사이를 하나의 광 섬유 라인으로 연결하여, 각종 문자/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광신호에 실어 각 가입자단에 분배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WDM방식은 단일 코어를 통해 복수개의 광 신호 파장을 동시에 전송하므로 대용량 고속 전송, 양방향 대칭 서비스 보장 및 우수한 보안성이 얻어진다.
WDM방식은 파장간격에 따라, 약 20nm의 파장간격을 사용하는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과 약 0.8nm이하의 파장간격을 사용하는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WDM에 속하는 CWDM(저밀도파장분할다중화)기술은 DWDM 보다 파장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파장 간격이 넓다. 이러한 CWDM 기술은 단거리 전송에 주로 사용되는 광통신 기술로서, 구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는 특성을 가진다.
CWDM 방식의 통신에서는 센터 장비(OLT)와 복수의 광통신 단말장비(ONU)들이 하나의 광섬유 선로로써 서로 연결되는데, 연결 타입에 따라 환형(Ring)형태, Pont-to-Pont, 또는 Tree의 연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케이블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케이블을 구분하여 별도로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광섬유 케이블 자체는 넓은 대역폭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송신과 수신 대역을 분리하여 단일(single)의 광섬유 선로를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단일 광섬유 선로로써 양방향 광통신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광통신 단말장비(ONU)내에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과 수광소자로 수광되는 빛을 분리해 주는 격리 소자가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환형 망으로 구현되는 CWDM 방식의 통신에 있어서, 단일의 광섬유 선로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단일의 광섬유 선로에 훼손 및 절단 등이 발생될 시 통신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광섬유 선로에 대한 감시 및 절체 기능이 필요해진다.
또한, 단일의 광섬유 선로에 대한 감시 및 절체 기능을 가지면서도, 상향과 하향의 양방향 광통신이 동일 파장을 사용하여 수행될 경우에 광통신 단말장비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장비 설치 대수가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 광섬유 선로를 효율적으로 감시하여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광통신 단말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일 광섬유 선로에서의 이상 발생 시 광분기결합 다중화기의 광 송수신 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광스위칭 기능을 갖는 광통신 단말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향과 하향의 양방향 광통신을 동일 파장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광통신 단말장비 및 그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일 양상에 따라,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는,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신호들을 분기 및 결합하는 광 분기결합 모듈;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수신 광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로 전송될 송신 데이터를 전송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 트랜시버;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의 광전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광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을 검출 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광통신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말장비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또 다른 광통신 단말장비와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연결되며, 센터 장비에 대하여 환형 형태의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은,
상기 광신호들 중 단말장비에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를 드롭하고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과는 반대 방향에서 인가되는 제2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단말장비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파장이 동일한 제2 방향 광신호를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애드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광 스위치 통해 상기 다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2 방향 광신호를 격리적으로 수신하고 송신하는 써큘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적어도 2개의 CWDM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순방향 18파장 및 역방향 18파장의 광신호들을 포함하여 최대 18채널 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비 제어부는,
상기 광 트랜시버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는 광세기 체크부;
상기 광세기 체크부의 광세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스위치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른 양상에 따라, 광통신 시스템은,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 시 광전송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하며,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들; 및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해 웨스트에 연결된 제1 OLT와, 이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 지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2 OLT를 구비하는 센터장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 OLT들은 서로 통신하며 광 트랜시버, 서큘레이터, 및 채널 다중화 모듈을 각기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광통신 단말장비는,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신호들을 분기 및 결합하는 광 분기결합 모듈;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수신 광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로 전송될 송신 데이터를 전송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 트랜시버;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의 광전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광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을 검출 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광통신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말장비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또 다른 광통신 단말장비와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센터 장비에 대하여 환형 형태의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은,
상기 광신호들 중 단말장비에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수신 광신호를 드롭하고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과는 반대 방향에서 인가되는 제2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단말장비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파장이 동일한 제2 방향 송신 광신호를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애드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광 스위치 통해 상기 다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수신 광신호와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2 방향 송신 광신호를 절연적으로 수신하고 송신하는 써큘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상향 18파장 및 하향 17파장의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비 제어부는,
상기 광 트랜시버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는 광세기 체크부;
상기 광세기 체크부의 광세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스위치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광통신 제어방법은,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을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하고;
해당 채널에 대하여 수신되는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선로 이상을 검출하고;
선로 이상 검출 시에 현재의 광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현재 스위칭 상태를 리드하고 상기 현재 스위칭 상태와는 반대로 스위칭이 되도록 하기 위해 광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한 다음, 상기 현재 스위칭 상태를 갱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향 파장의 개수는 최대 18개이고, 상기 하향 파장의 개수도 최대 18개로 설정되어 총 18 채널의 광신호들이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적 구성에 따르면,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환형(ring) 연결 구조를 갖는 CWDM 방식의 통신에서 광선로 이상 감시 및 스위칭이 광통신 단말장치 측에서 자체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상향과 하향의 양방향 광통신이 동일 파장을 사용하여 수행되므로, 광통신 단말장비(ONU)의 내부를 구성하는 수동소자의 개수가 줄어든다. 더구나, 전송 채널의 손실이 작고, 전송 거리 이득이 커지며, 또한, 1개의 링(Ring)에 최대 18개의 광통신 단말장비(ONU)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형 연결 구조를 갖는 광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1b는 도 1의 광통신 시스템에서 선로 절단 시의 통신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
도 2는 도 1중 광통신 단말장비와 관련하여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통신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
도 3은 도 1중 광통신 단말장비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3중 광 트랜시버의 예시적 구성도,
도 5는 도 3중 단말장비 제어부의 선로 모니터링 및 스위칭 제어흐름도, 및
도 6은 도 3중 광 분기결합 모듈 내의 광박막필터 유닛의 광 필터링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CWDM 방식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OADM 및 광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광통신 단말장비의 광통신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형 연결 구조를 갖는 광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광통신 시스템은 센터 장비(OLT:100)와, 단일 광섬유 선로(OL)에 대하여 환형(ring)구조를 이루며 연결된 복수의 광통신 단말장비(ONU:210,220,...,370,380)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장비(100)는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들(210,220,...,370,380)과 통신하기 위해 웨스트(West)에 연결된 제1 OLT(12)와, 이스트(East)에 연결되며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OL)의 이상 발생 지점에 따라 내부 통신 블록들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2 OLT(22)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 장비(100)는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OL)에 연결된 복수의 광통신 단말장비(210,220,...,370,380)와 각기 할당된 파장으로 광통신을 수행하고 광통신에 필요한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1 OLT(12)는 광 트랜시버(1-8), 서큘레이터(21-24), 및 제1 채널 다중화 모듈(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OLT(22)는 광 트랜시버(11-18), 서큘레이터(25-28), 및 제2 채널 다중화 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광 트랜시버(1,2)는 대응 할당된 파장의 송신 광신호를 전송하고, 대응 할당된 파장의 수신 광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광 트랜시버(1,2)내의 광송신 모듈은 송신되어질 전기적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광신호로 바꾼다. 이른바 전광변환(Electrical-to-Optical Converting)을 수행한다. 광 트랜시버(1,2)내의 광수신 모듈은 수신되는 광신호를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소자를 통해 받아서 다시 전기적 신호로 바꾼다. 이른바 광전변환(Optical-to-Electrical Converting)을 수행한다.
상기 임의의 써큘레이터(21)는 파장 λ1의 하향 광신호를 전송하고 파장 λ1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시에 상하향의 광신호가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격리(아이솔레이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채널 다중화 모듈(10)은 18개 파장의 하향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상기 하향 광신호와 동일한 18개 파장의 상향 광신호를 역다중화한다. 이에 따라,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최대 18채널의 광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 다중화 모듈(20)은 18개 파장의 하향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상기 하향 광신호와 동일한 18개 파장의 상향 광신호를 역다중화한다. 이에 따라,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최대 18채널의 광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OL)의 이상 발생 지점에 따라 상기 제2 채널 다중화 모듈(20)의 내부 블록들은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a에서, 광전송 시스템은 하나의 센터 장비(100)에 대하여 최대 18개의 광통신 단말장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전송 시스템은 CWDM 통신을 위해 단일 광섬유 선로(OL)을 사용하며 환형(ring type)형태의 연결 구조를 가진다.
CWDM 통신의 경우에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OL)을 통해 하향(순방향) 18파장 및 상향(역방향) 18파장의 광신호들이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인 CWDM 통신의 경우에 파장 8개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대표적인 파장대는 1471, 1491, 1511, 1531, 1551, 1571, 1591, 1611 nm (1471 nm ~ 1611 nm 정도)로 할당된다. 결국, ITU-T G.694.2 에서는 CWDM 파장을 1271~1611 nm (O Band ~ L Band) 범위에서 파장 간격 20 nm으로 18개로 정의하고 있으며, 파장 허용오차는 ±2 nm이다.
도면에서 편의상 라인(L10)을 따른 방향은 West에서 East로의 전송방향을 나타내고 이는 하향(순방향)을 나타낸다. 편의상 라인(L20)을 따른 방향은 East에서 West로의 전송방향을 나타내고 이는 상향(역방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도 1a에 한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여된 것이며, 사안이 다른 경우에 서로 반대의 방향이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불려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환형 형태의 연결 구조를 갖는 CWDM 통신에서 상기 하향으로 광통신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단일 광섬유 선로(OL)가 훼손이나 절단 없이 정상적인 상태라고 하면, 상기 제1 OLT(12)는 동작 활성화 상태(온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OLT(22)는 동작 비활성화 상태(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라인(L10)을 따른 방향으로 하향 18 파장과, 라인(L20)을 따른 방향으로 상향 18파장의 광신호들을 합하여 총 18채널의 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의 광통신 시스템에서 선로 절단 시의 통신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광 통신의 수행 중에, 단일 광섬유 선로(OL)가 지점(C1)에서 절단된 경우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에서 하향으로 전송되고 있던 18개 파장의 광신호들은 광통신 단말장비(210)로 인가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에서 상기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으로 전송되던 상향 18개 파장의 광신호들도 상기 제1 출력단(101)에 인가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OLT(12)는 오프되고, 상기 제2 OLT(22)가 동작 활성화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들(210,220,...,370,380)의 내부에 있는 각각의 광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동작되어 광전송 경로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380)는 센터 장비(100)의 제2 출력단(103)으로부터 상향 18개 파장의 광신호들을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광선로의 절단 시 자신이 애드(add)한 상기 1591nm 파장(예)의 광신호를 상기 상향 방향으로 출력함이 없이 상기 하향 방향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상기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으로 향하고 있던 광신호의 방향을 반대로 변경하여 상기 1591nm 파장의 광신호가 상기 센터 장비(100)의 제2 출력단(103)을 향해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이 경우에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상기 1591nm 파장의 광신호와 동일한 파장을 갖는 수신 광신호를 상기 상향 방향(L20)을 통해 받게 된다.
한편, 광 통신의 수행 중에, 도 1b에서와 같이 단일 광섬유 선로(OL)가 지점(C2)에서 절단된 경우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에서 하향으로 전송되고 있던 18개 파장들 중 9개 파장의 광신호들은 광통신 단말장비(300)로 인가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300)에서 상기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으로 전송되던 상향 18개 파장의 광신호들도 상기 제1 출력단(101)에 인가되지 못한다.
그러면, 상기 제1 OLT(12)의 내부 블록들의 절반이 동작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2 OLT(22)의 내부 블록들의 절반이 도 1b에서와 같이 동작 활성화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들의 내부에 있는 각각의 광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동작되어 광전송 경로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9개 파장의 광신호(λ1-λ9)들을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으로부터 하향 수신하여, 1개 파장의 광신호는 드롭하고 8개 파장으로 광신호들을 라인(L10a)을 따라 하향으로 전송한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8개 파장의 광신호들을 광통신 단말장비(220)으로부터 상향 수신하고 자신이 애드한 1개의 파장의 광신호를 포함하여, 총 9개 파장의 광신호들을 센터 장비(100)의 제1 출력단(101)으로 전송한다. 즉, 9개의 광신호들은 라인(L20a)을 따라 상향으로 전송된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90)는 1개 파장의 광신호를 광통신 단말장비(280)으로부터 하향 수신하여 드롭한다. 여기서, 라인(L10a)을 따라 더 이상 하향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없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90)는 자신이 애드한 1개의 파장의 광신호를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80)로 상향 전송한다. 즉, 1개의 광신호는 라인(L20a)을 따라 상향으로 전송된다.
한편, 광통신 단말장비(380)는 9개 파장의 광신호들(λ10-λ18)을 센터 장비(100)의 제2 출력단(103)으로부터 상향 수신하여, 1개 파장의 광신호는 드롭하고 8개 파장으로 광신호들을 라인(L20b)을 따라 상향으로 전송한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380)는 8개 파장의 광신호들을 광통신 단말장비(370)으로부터 하향 수신하고 자신이 애드한 1개의 파장의 광신호를 포함하여, 총 9개 파장의 광신호들을 센터 장비(100)의 제2 출력단(103)으로 전송한다. 즉, 9개의 광신호들은 라인(L10b)을 따라 하향으로 전송된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300)는 1개 파장의 광신호를 광통신 단말장비(310)으로부터 상향 수신하여 드롭한다. 여기서, 단일 광섬유 선로(OL)가 지점(C2)에서 절단된 경우이므로 라인(L20b)을 따라 더 이상 상향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없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300)는 자신이 애드한 1개의 파장의 광신호를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310)로 하향 전송한다. 즉, 1개의 광신호는 라인(L10b)을 따라 하향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광 선로 감시 기능 및 절체의 동작은 후술되는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될 것이다.
도 2는 도 1중 광통신 단말장비와 관련하여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통신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1채널 OADM의 예를 보인 도 2를 참조하면, 광통신 단말장비(ONU)내의 OADM(214)은 광신호들을 분기(drop) 및 결합(add)하는 분기결합 다중화기(Add Drop Multiplexer, ADM)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OADM(214)은 광전 변환없이 광신호 파장들 자체를 광학적으로 분기/결합 (Add/Drop)시키는 다중화기/역다중화기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4개 파장(λ'1,λ2,λ3,λ4)의 광신호들이 하향으로 전송되고, 4개 파장(λ'1,λ2,λ3,λ4)의 광신호들이 상향으로 전송된다고 하면, 단일 광섬유 선로(OL)에 연결된 상기 OADM(214)은 4개의 하향 광신호들 중에서 파장 λ1의 수신 광신호를 리시버를 통해 수신(드롭)한다. 그리고, 자신이 애드한 1개의 파장(λ'1)과 바이패스되는 3개의 파장들(λ2,λ3,λ4)을 합하여 총 4개 파장의 하향 광신호들(λ'1,λ2,λ3,λ4)을 라인(L4)을 통해 하향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OADM(214)은 4개의 상향 광신호들 중 1개의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3개의 상향 광신호들을 상향으로 바이패스한다. 그리고, 상기 OADM(214)는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파장 λ'1의 송신 광신호를 트랜스미터를 통해 상향으로 애드한다. 이에 따라, 라인(L3)을 통해 4개의 파장들(λ'1,λ2,λ3,λ4)의 상향 광신호들이 상향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상향과 하향의 양방향 광통신이 동일 파장을 사용하여 수행되면, 광통신 단말장비(ONU)의 내부를 구성하는 광박막 필터 등과 같은 수동소자의 개수가 줄어든다. 더구나, 전송 채널의 손실이 작고, 전송 거리 이득이 커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중 광통신 단말장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광 분기결합 모듈(214), 광 트랜시버(218,219), 광 스위치(215), 및 단말장비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214)은,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신호들을 분기 및 결합한다.
상기 광 트랜시버(218,219)는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수신 광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로 전송될 송신 데이터를 전송 광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광 스위치(215)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의 광전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광 전송경로를 스위칭한다.
상기 단말장비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을 검출 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광통신의 수행을 제어한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또 다른 광통신 단말장비(도 1내의 참조부호 220)와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OL)를 통해 연결되며, 도 1내의 센터 장비(100)에 대하여 환형 형태의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214)은,
상기 광신호들 중 단말장비에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를 드롭하고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과는 반대 방향에서 인가되는 제2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단말장비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파장이 동일한 제2 방향 광신호를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애드하는 다중화부(211,212)와;
상기 광 스위치 통해 상기 다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2 방향 광신호를 격리적으로 수신하고 송신하는 써큘레이터(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다중화부(211,212)는 적어도 2개의 CWDM(21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는 순방향 18장 및 역방향 18파장의 광신호들을 포함하여 최대 18채널 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OL)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파장 λn의 n은 최대 18이 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단말장비 제어부(300)는,
상기 광 트랜시버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는 광세기 체크부(310), 상기 광세기 체크부의 광세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20), 및 상기 제어부(320)의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스위치(215)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의 단말장비(210)가 1271/1271nm 로서 할당된 경우에 1271,1291,1331,1371,1451,1491,1531,1571,1611nm의 9개 파장의 하향 광신호들이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의 제1 출력단(West)으로부터 제공되는 경우라고 하자.
상기 1271nm의 파장은 해당 단말장비(210)의 필터링에 의해 분기(드롭)되어 수신단자(RX)로 수신된다. 광 스위치(215)의 스위치(SW)가 노드(S1)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1271nm의 파장의 수신 경로는 1a-1d-1e-L1을 거쳐 광 트랜시버의 수신기(218)로 인가되는 경로가 된다. 그리고, 나머지 8개의 파장들 즉, 1291,1331,1371,1451,1491,1531,1571,1611nm 는 분기됨이 없이 도 2의 원리에 따라 제2 출력단(East)을 향해 하향으로 바이패스된다.
한편, 송신 광신호로서 결합되어질 1271nm의 파장의 상향 광신호는 광 트랜시버의 전송기(219)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전송기(219)을 통해 출력된 송신 광신호는 L2-1e-1d-1a를 거쳐 제1 출력단(West)을 향해 상향으로 전송된다.
위와 같이 상하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여 광 통신을 수행하던 중에 라인(1a)의 전단부가 절단된 경우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에, 9개 파장의 하향 광신호들은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210)로 제공되지 못한다.
이때, 상기 센터 장비(100)는 내부의 광 트랜시버를 통해 상향 광신호들이 수신되지 않음을 인지하고 이스트(E)에 연결된 제2 OLT(22)를 활성화 상태로 하여, 이스트(E)측의 상기 제2 출력단(103)에서 9개 파장의 광신호들이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의 단말 장비(2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광세기 체크부(310)는 라인(L3)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1271nm의 파장을 갖는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고 그 체크된 세기 값을 상기 제어부(320)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상기 세기 값을 비교하여 세기 값이 상기 기준 값에 미달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340)로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구동부(340)는 이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광 스위치(215)에 인가한다. 결국, 스위칭 제어신호는 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광신호의 세기가 약하거나 수신 광신호가 미수신시에 생성된다.
이에 따라, 광 스위치(215)의 스위치(SW)는 스위칭 노드(S2)로 절환된다. 따라서, 결합되는 1271nm 파장의 송신 광신호는 경로 L2-1e-1c-1b를 거쳐 제2 출력단(East)을 향해 송신된다. 따라서, 결합된 파장의 송신 방향이 이전과는 반대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분기되는 1271nm 파장의 수신 광신호는 경로 1b-1c-1e-L1을 거쳐 광 트랜시버의 수신기(218)로 인가되는 경로가 된다.
이와 같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광통신을 수행하던 중에 선로의 이상 유무 가 감지될 시 자체적으로 광 전송경로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통신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도 3중 광 트랜시버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 트랜시버(218,219)는 발광부(102), 수광부(106), 및 광학필터(104)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102)는 통상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D : Laser Diode)로 구현된다. 상기 수광부(106)는 통상적으로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로 구현된다.
상기 광학 필터(104)는 대응 할당된 고유 파장을 반사하여 수광부(106)에 전달하고, 나머지 다른 파장의 광신호들을 통과(바이패스)시켜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3중 단말장비 제어부의 선로 모니터링 및 스위칭 제어흐름도이다.
S501 단계에서 단말 장비 제어부(300)는 초기화를 수행한 후, S502 단계에서 광통신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단일 광섬유 선로(OL)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된다.
S503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비 제어부(300)는 해당 채널의 광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단일 광섬유 선로(OL)에 이상이 발생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단일 광섬유 선로(OL)에 결함이 있거나 단선이 발생된 경우에, 대응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는 수신되지 않거나 정상의 경우에 비해 미약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광 트랜시버(218,219)와 연결된 광세기 체크부(310)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한다.
상기 단말 장비 제어부(300)내의 제어부(320)는 상기 광세기 체크부(310)의 광세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결국, S504단계에서 선로의 이상 발생 유무가 체크된다.
선로의 이상 발생 시 S505단계에서 현재 스위칭 상태가 내부의 메모리로부터리드되고, S506단계에서 광전송 방향이 웨스트 측인지 혹은 이스트 측인지 체크된다. 이러한 체크 동작은 선로 이상 검출 시에 현재의 광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현재 스위칭 상태를 리드한 다음 상기 현재 스위칭 상태와는 반대로 스위칭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스위칭 상태가 웨스트 방향인 경우에 S507단계의 수행을 통해 이스트로 절체되고, 현재 스위칭 상태가 이스트 방향인 경우에 S508단계의 수행을 통해 웨스트로 절체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 장비 제어부(300)내의 구동부(340)는 상기 제어부(32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스위치(215)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광 스위치(215)의 스위치(SW)가 스위칭 노드(S1)에서 스위칭 노드(S2)로 절환되거나, 상기 스위치(SW)가 스위칭 노드(S2)에서 스위칭 노드(S1)로 절환되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광 전송경로는 순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또는 역방향에서 순방향으로 변경된다.
S509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비 제어부(300)는 절환된 후의 스위칭 상태를 저장한다. 상기 단말 장비 제어부(3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위칭 상태(이 경우에는 East로 저장)는 불휘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절체 이벤트가 송신된다. 상기 절체 이벤트는 발생 시각 및 단말 장비의 ID 등이 적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터 장비(100)에서는 단일 광섬유 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선로 수리 요청 정보를 외부로 알리게 된다. 한편, 상기 센터 장비(100)는 광통신의 수행 이상 시 이미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을 감지하고, 웨스트(W)에 연결된 제1 OLT(12)와, 이스트(E)에 연결된 제2 OLT(22)를 적절히 제어하여, 하나의 링을 통한 광통신이 최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링 연결 구조를 갖는 CWDM 방식의 통신에서 라인 이상 감시 및 스위칭이 단말 측에서 자체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통신 품질이 라인 단절의 경우에도 보장되고 광통신 단말장비에서의 동작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또한, 상향과 하향의 양방향 광통신이 동일 파장을 사용하여 수행되므로, 광통신 단말장비(ONU)의 내부를 구성하는 수동소자의 개수가 줄어든다. 더구나, 전송 채널의 손실이 작고, 전송 거리 이득이 커지며, 또한, 1개의 링(Ring)에 최대 18개의 광통신 단말장비(ONU)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중 광 분기결합 모듈 내의 광박막필터 유닛의 광 필터링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박막필터 유닛(212)이 1291nm의 필터 유닛인 경우에 입사단(C)으로 인가되는 복수의 파장들 중 1291nm의 파장만이 투사단(I)으로 출력된다. 그 이외의 나머지의 파장들은 반사단(R)으로 반사된다. 상기 광박막필터 유닛(212)은 TFF(Thin Film Filter)를 사용한 마이크로 옵틱 타입 소자이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광통신 단말장비의 세부적 구성을 다양한 균등물이나 등가 소자로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센터 장비(OLT)
210: 광통신 단말장비(ONU)
214: 광분기결합 다중화기(OADM)
215: 광 스위치
300: 단말 장비 제어부

Claims (15)

  1.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신호들을 분기 및 결합하는 광 분기결합 모듈;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수신 광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로 전송될 송신 데이터를 전송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 트랜시버;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의 광전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광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을 검출 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광통신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말장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또 다른 광통신 단말장비와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연결되며, 센터 장비에 대하여 환형 형태의 연결 구조를 이루는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은,
    상기 광신호들 중 단말장비에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를 드롭하고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과는 반대 방향에서 인가되는 제2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단말장비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파장이 동일한 제2 방향 광신호를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애드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광 스위치 통해 상기 다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2 방향 광신호를 격리적으로 수신하고 송신하는 써큘레이터를 포함하는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적어도 2개의 CWDM을 포함하는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순방향 18파장 및 역방향 18파장의 광신호들을 포함하여 최대 18채널 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능력을 가지는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비 제어부는,
    상기 광 트랜시버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는 광세기 체크부;
    상기 광세기 체크부의 광세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스위치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7.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 시 광전송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하며,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들; 및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들과 통신하기 위해 웨스트에 연결된 제1 OLT와, 이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 발생 지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2 OLT를 구비하는 센터장비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OLT들은 서로 통신하며 광 트랜시버, 써큘레이터, 및 채널 다중화 모듈을 각기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광통신 단말장비는,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이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광신호들을 분기 및 결합하는 광 분기결합 모듈;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수신 광신호를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로 전송될 송신 데이터를 전송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 트랜시버;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의 광전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광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는 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을 검출 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광통신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말장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또 다른 광통신 단말장비와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센터 장비에 대하여 환형 형태의 연결 구조를 이루는 광통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결합 모듈은,
    상기 광신호들 중 단말장비에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수신 광신호를 드롭하고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1 방향으로 바이패스하며, 상기 나머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들과는 반대 방향에서 인가되는 제2 방향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제2 방향으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단말장비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광신호와 파장이 동일한 제2 방향 송신 광신호를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향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애드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광 스위치 통해 상기 다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1 방향 수신 광신호와 상기 대응 할당된 파장의 제2 방향 송신 광신호를 절연적으로 수신하고 송신하는 써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신 단말장비는 상향 9채널 및 하향 9채널의 광신호들을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능력을 가지는 광통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비 제어부는,
    상기 광 트랜시버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 광신호의 세기를 체크하는 광세기 체크부;
    상기 광세기 체크부의 광세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 스위치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14.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WDM 방식의 광통신을 상하향 동일 파장으로 수행하고;
    해당 채널에 대하여 수신되는 광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선로 이상을 검출하고;
    선로 이상 검출 시에 현재의 광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현재 스위칭 상태를 리드하고 상기 현재 스위칭 상태와는 반대로 스위칭이 되도록 하기 위해 광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한 다음, 상기 현재 스위칭 상태를 갱신하는 광통신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파장의 개수는 최대 18개이고, 상기 하향 파장의 개수도 최대 18개로 설정되어 총 18 채널의 광신호들이 상기 단일 광섬유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광통신 제어방법.

KR1020120071297A 2012-06-29 2012-06-29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KR10143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97A KR101433808B1 (ko) 2012-06-29 2012-06-29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97A KR101433808B1 (ko) 2012-06-29 2012-06-29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533A true KR20140011533A (ko) 2014-01-29
KR101433808B1 KR101433808B1 (ko) 2014-08-27

Family

ID=5014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297A KR101433808B1 (ko) 2012-06-29 2012-06-29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21A (ko)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쏠리드 광선로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31B1 (ko) * 1999-10-14 2002-05-18 윤덕용 부반송파 다중 방식 양방향 자기 치유 환형 광통신망
KR100411734B1 (ko) * 2001-02-12 2003-12-18 한국과학기술원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KR20130017821A (ko) * 2011-08-12 2013-02-20 (주)엠이엘 텔레콤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단심 환형망에서의 보호복구 절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21A (ko)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쏠리드 광선로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808B1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170B2 (en)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d self-healing passive optical network
US10038946B2 (en)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n optical network
KR100971676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장애 검출 방법 및 검출 장치, 및그 검출 장치를 구비한 수동형 광 가입자 망
US8396361B2 (en)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a passive optical transmission network as well as a passive optical transmission network with a corresponding protection mechanism
US8311409B2 (en) Signal switching module for optical network monitoring and fault locating
US8401386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CN110380809B (zh) 一种波分复用传输系统及其传输方法
JP2006005934A (ja) 自己監視型受動型光加入者網
EP1277294B1 (en) Optical transponder
KR20140076112A (ko) 상향 및 하향 광신호 감시 및 제어를 위한 광회선 종단 장치
EP4199374A1 (en) Communication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6605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ilure protection in optical networks
JP5342709B1 (ja) 光伝送システム
CN101902665B (zh) 光线路终端、光分插复用器和光接入系统
JP2005051774A (ja) リングネットワーク間で光トラヒックを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30655B1 (ko) 단일의 바이 패스용 광 스위치를 구비한 광신호 송수신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단일 광섬유 라인 광 네트워크 이더넷 시스템
KR20050017063A (ko)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허브형환형망
US8406624B2 (en) Degree extending method and optical hub node apparatus
KR101433808B1 (ko)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KR101245845B1 (ko) 광선로 감시 및 절체 기능을 가지는 광통신 단말장비
JP6221219B2 (ja) 冗長システム、光通信装置及び親局装置
JP3588657B2 (ja) 光線路監視システム
JP2006186538A (ja) 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路切換方法
KR100729387B1 (ko) 다채널 저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반사된 광 신호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WO20080312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ilure protection in optic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