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734B1 -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 Google Patents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734B1
KR100411734B1 KR10-2001-0006738A KR20010006738A KR100411734B1 KR 100411734 B1 KR100411734 B1 KR 100411734B1 KR 20010006738 A KR20010006738 A KR 20010006738A KR 100411734 B1 KR100411734 B1 KR 10041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dd
wavelength division
wavelength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512A (ko
Inventor
이창희
박성범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1-000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7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중앙노드에서 각 지역노드간을 하나의 광섬유로 연결하고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중앙노드에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환형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노드에서 각 지역노드간을 하나의 광섬유로 연결하고 각 지역노드를, 양쪽에서 들어오는 광신호를 동시에 드롭하고 애드할 수 있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중앙노드에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환형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상상태에서는 단방향 통신망에 비해 광신호의 전송량을 두배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전송되므로 노드 사이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송 선로 상에서 광스위치와 보호용 광섬유의 추가 없이 중앙노드와 지역노드간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다중화기/역다중화기와 광회전기 그리고 광섬유격자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Bidirection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add/drop self-healing Metro-ring network}
본 발명은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중앙노드에서 각 지역노드간을 하나의 광섬유로 연결하고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중앙노드에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환형망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가정에서 사용하는 통신 트래픽 요구량이 증가하면서 중앙노드(Central Office, Hub)와 가입자간을 연결해주는 광가입자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광가입자망은 초고속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고속화 방안이 용이해야 하고, 많은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경제적이어야 한다.
파장분할 다중방식 기술을 이용한 광가입자망은 여러 개의 파장을 사용하여 전송방식이나 속도에 무관하게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초고속화 및 광대역화 시킬 수 있다.
광가입자망에서 중앙노드와 가입자간을 연결하기 위해 가입자 밀집지역 인근에 설치되는 지역노드(Remote Node)에서는 중앙노드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드롭(drop)하는 기능과, 원하는 신호를 망에 전송할 수 있는 애드(add)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파장분할 애드/드롭 다중 기능을 갖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가입자망이 필요하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중앙노드와 지역노드를 연결하는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가입자망으로는 한가닥의 광섬유를 사용하는 단방향 환형 광통신망과 자기치유가 가능한 2가닥의 단방향 환형 통신망, 그리고 메시(mesh)형태의 망 등이 있다.
특히, 환형 광통신망은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고 자기치유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방향 통신으로 자기 치유 기능을 갖는 광가입자망은 중앙노드와 지역노드간을 2가닥의 광섬유로 연결하여 하나의 광섬유는 정상상태 때 광신호를 전송하고 전송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스위치로 광신호의 전송방향을 다른 광섬유로 전환시켜 신호를 우회적으로 돌려 시스템을 치유한다.
종래의 기술에서처럼 광신호를 보호용 광섬유를 통해서 우회적으로 돌리면 정상 상태에 비하여 광신호가 거치는 노드 수 및 전송거리가 증가하여 신호의 품질이 나빠지고 증가된 광섬유의 거리에 대한 손실 보상을 위해 값 비싼 광증폭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노드 및각 지역노드에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여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송 선로상에서 별도의 광스위치 없이 하나의 광섬유만으로 자기 치유를 할 수 있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상태에서 각 지역노드는 중앙노드에서 전송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수신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단방향으로 전송하는 통신망에 비해 두배의 전송량을 송수신할 수 있어, 향후 통신망 고속화에 적합한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하면 중앙노드와 각 지역노드간의 전송량은 정상상태에 비해 반으로 줄지만 중앙노드와 각 지역노드의 송신부에서 전기적 스위치(electrical switch)를 사용하여 장애시 살아 남는 파장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하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보를 우선으로 살려 전송할 수 있고 광전송 선로 상에서 광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형망의 전체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정상상태와 변함이 없기 때문에 광신호가 부가적으로 거치는 전송거리와 노드 수가 증가하지 않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로 구성되고 하나의 광섬유로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망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환형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망의 치유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망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환형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망의 치유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한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한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와 광단방향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상이한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룰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하고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하고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와 광단방향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상이하고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섬유 10,10a,10b,…,10f : 광회전기
12a,12b : 광단방향기 14 : 역다중화기
16 : 다중화기 18a,…,18d : 파장분할 다중화기
20a,…,20d : 파장분할 역다중화기
22a,…,22h : 광섬유격자 24a,24b :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
26a,26b :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
BADM :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
CO : 중앙노드 RN1,RN2, RN3 : 지역노드
RX : 광수신기 EDFA : 광증폭기
ESW : 2 x 2 전기적 스위치 OSW : 2 x 2 광스위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망의 구성도이다.
하나의 중앙노드(CO)와 다수개의 지역노드(RN1,RN2,RN3)로 구성되고 하나의 광섬유(1)로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고,
상기 각 지역노드(RN1,RN2,RN3)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RN1,RN2,RN3)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노드(CO)와 다수개의 각 지역노드(RN1,RN2,RN3)는 하나의 광섬유(1)로 연결되고, 상기 각 지역노드(RN1,RN2,RN3)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로 구성된다.
중앙노드(C0)에서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파장을 다르게 하여 전송을 하고, 각 파장은 서로 다른 정보로 각각 변조하며 변조할 정보의 우선순위는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각 지역노드(RN1,RN2,RN3)의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신호 중 지역노드(RN1,RN2,RN3)에 할당된 파장만을 드롭하고, 드롭 단자와 연결된 2 x 2 광스위치(OSW)는 드롭된 양쪽의 파장신호 중에서 비중이 높은 광신호가 우선순위 광수신기(RX)에 들어갈 수 있도록 광신호의 경로가 설정된다.
또한,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드롭된 파장과 동일한 파장을 다시 애드하여 중앙노드(C0)로 전송하며, 애드되는 양쪽의 광신호는 서로 다른 정보로 변조하고 변조되는 정보의 우선순위는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결정한다.
중앙노드(CO)의 수신부에서는 양쪽에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두 개의 역다중화기(14)로 역다중화한 다음 2 x 2 광스위치(OSW)를 사용하여 광신호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광수신기(RX)로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중앙노드(CO)에서는 짝수 채널과 홀수 채널을 두개의 다중화기(16)로 각각 다중화하고 미약해진 광신호를 광증폭기(EDFA)로 증폭한 후 광회전기(10)를 거쳐 시계 방향으로 짝수 채널을, 반시계 방향으로 홀수 채널을 전송하고,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H:Higher priority data)를 홀수 채널에 변조하고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정보(L:Lower priority data)는 짝수채널에 변조한다.
1번 지역노드(RN1)는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홀수 채널 중 1번 채널,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짝수 채널 중 6번 채널을 드롭하고 동시에 1번, 6번 채널을 다시 애드하여 양방향으로 전송을 한다.
홀수 채널이 우선순위 신호이므로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를 통해 애드하는 1번 채널 신호에 비중이 높은 정보를 변조시키고, 드롭된 1번 채널 신호가 우선순위 광수신기(RX)에 의해 수신되도록 2 x 2 광스위치(OSW)를 광신호의 경로가 설정된다.
2번 그리고 3번 지역노드(RN2,RN3)도 이와 같이 양방향에서 들어오는 광신호를 드롭하고 다시 애드하여 양방향으로 전송을 한다.
즉, 2번 지역노드(RN2)는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홀수 채널 중 3번 채널,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짝수 채널 중 4번 채널을 드롭하고 동시에 3번, 4번 채널을 다시 애드하여 양방향으로 전송을 한다.
3번 지역노드(RN3)는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홀수 채널 중 5번 채널,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짝수 채널 중 2번 채널을 드롭하고 동시에 5번, 2번 채널을 다시 애드하여 양방향으로 전송을 한다.
중앙노드(CO)의 수신부는 양쪽에서 들어오는 광신호를 두개의 역다중화기(14)로 역다중화한 후 2 x 2 광스위치(OSW)를 사용하여 양쪽에서 들어온 광신호중 비중이 높은 광신호가 우선순위 광수신기(RX)에 의해 수신이 될 수 있도록 광신호의 경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1번 채널과 6번채널, 3번 채널과 4번 채널, 그리고 5번 채널과 2번 채널 신호, 즉 각 지역노드(RN1,RN2,RN3)에서 애드하고 드롭되는 채널끼리 2 x 2 광스위치(OSW)의 두 개의 단자와 연결하고 나머지 두 개의 단자는 두 개의 광수신기(RX)와 연결한다.
상기 2 x 2 광스위치(OSW)는 양쪽에서 들어오는 광신호 중 우선순위가 높은 1번 채널, 3번 채널, 그리고 5번 채널 광신호가 우선 순위 광수신기에 들어갈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머지 짝수 채널은 상기 2 x 2 광스위치(OSW)를 거쳐 우선순위가 낮은 광수신기(RX)로 들어가 수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자기치유 환형망의 구성도로서,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서로 다른 경우의 망 구성도이다.
중앙노드(CO)에서 1번에서 3번까지의 채널을 다중화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하면 1번 지역노드(RN1)에서는 1번 채널을 드롭하고 4번 채널을 애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하다.
2번 그리고 3번 지역노드(RN2,RN3)는 1번 지역노드(RN1)와 같이 2번과 3번 채널을 순서대로 각각 드롭하고 5번과 6번 채널을 각각 애드하여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중앙노드(C0)에서 a에서 c까지의 채널을 다중화하여 시계 방향으로 전송을 하면 3번 지역노드(RN3)에서 1번 지역노드(RN1) 순서로 a, b 그리고 c채널을 각각 드롭하고 같은 순서로 d, e 그리고 f채널을 애드하여 시계 방향으로 전송을 하게 된다.
중앙노드(CO)의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각 지역노드(RN1,RN2,RN3)에서 광신호를 애드하고 드롭하는 과정 및 원리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3은 도 1의 환형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망의 치유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광섬유(1)가 끊어지는 경우와 같은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중앙노드(CO)와 지역노드(RN1,RN2,RN3)간의 통신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중앙노드(C0)에서 시계 방향으로 짝수 채널을, 반시계 방향으로 홀수 채널을 전송하는 경우, 1번 노드(RN1)와 2번 노드(RN2) 사이에광섬유(1)가 끊어지게 되면, 1번 노드(RN1)에서 아래쪽에 있는 드롭 채널()과 2번 노드(RN2)의 왼쪽 드롭 채널() 그리고 3번 노드(RN3)의 아래쪽 드롭 채널()에 파워가 들어오지 못하므로 시스템의 장애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즉, 환형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각 지역노드(RN1,RN2,RN3)는 상대적으로 장애 발생지 주변과 가까운 드롭 다중화기에 들어오는 파워를 통해 시스템의 장애 여부를 감시한다.
중앙노드(C0)에서도 양방향으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한 후, 각 광수신기(RX)에 들어오는 각 파장들의 파워를 감시하여 장애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여도, 1번 노드(RN1)는 중앙노드(C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1번 파장 신호로 드롭하고 애드된 6번 파장은 시계 방향으로 중앙노드(C0)까지 전송된다.
반대로 2번과 3번 노드(RN2,RN3)는 중앙노드(C0)에서 시계방향으로 들어오는 4번과 2번 파장 신호를 각각 드롭하고 3번과 5번 파장 신호를 각각 애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중앙노드(C0)까지 광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애가 발생하면 전송량은 정상상태에 비해 반으로 줄지만 중앙노드(C0)와 각 지역노드(RN1,RN2,RN3)의 송신부의 2 x 2 전기적 스위치(ESW)와 수신부의 2 x 2 광스위치(OSW)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우선순위 광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1번 노드(RN1)의 경우 정상상태에서는 1번 채널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하였으나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정보의 경로를 바꾸어 6번 채널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한다.
이 6번 채널은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앙노드(C0) 수신단에 있는 2 x 2 광스위치(OSW)에 의해 정상상태에서 1번 채널을 수신하던 우선순위 광수신기(RX)로 들어가 수신된다.
2번과 3번 노드(RN2,RN3)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우선순위 홀수 채널을 수신할 수 없으므로 중앙노드(C0)는 송신부에 있는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를 사용하여 2번과 3번 노드(RN2,RN3)가 수신하는 짝수 채널 4번과 2번 채널에 비중이 높은 정보를 변조하여 시계방향으로 전송한다.
2번과 3번 노드(RN2,RN3)는 각각 4번과 2번 채널을 드롭하고, 2 x 2 광스위치(OSW)를 사용하여 정상상태에서 홀수 채널을 수신하던 우선순위 광수신기(RX)에 상기 채널을 연결하여 수신한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송 선로 상에서 2 x 2 광스위치(OSW)와 별도의 보호용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앙노드(C0)와 각 지역노드(RN1,RN2,RN3)간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망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환형망은 하나의 중앙노드(CO)와 다수개의 지역노드(RN1,RN2,RN3)로 구성되고, 전체적인 망의 구성과 동작원리는 도 1과 일치하나 중앙노드의 수신부와 각 지역노드의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에서 광신호를 드롭하는 부분의 구조는 도 1과 달리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를 사용한다.
상기 각 지역노드(RN1,RN2,RN3)의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신호 중 지역노드(RN1,RN2,RN3)에 할당된 파장만을 드롭하고, 2개의 광수신기(RX)로 양쪽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설정해 준다.
또한, 중앙노드(CO)의 수신부에서는 양쪽에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두 개의 역다중화기(14)로 역다중화한 다음 광수신기(RX)로 각 광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된 전기적 신호의 경로는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를 사용하여 설정해 준다.
도 5는 도 4의 환형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망의 치유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의 환형망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상기 환형망은 도 3과 동일한 원리로 우선 순위 광신호를 우선적으로 복구하는 방향으로 망을 자기 치유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중앙노드(C0)에서 시계 방향으로 짝수 채널을, 반시계 방향으로 홀수 채널을 전송하는 경우, 1번 노드(RN1)와 2번 노드(RN2) 사이에 광섬유(1)가 끊어지게 되면, 1번 노드(RN1)에서 아래쪽에 있는 드롭 채널()과 2번 노드(RN2)의 왼쪽 드롭 채널() 그리고 3번 노드(RN3)의 아래쪽 드롭 채널()에 파워가 들어오지 못하므로 시스템의 장애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중앙노드(C0)에서도 양방향으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한 후, 각 광수신기(RX)에 들어오는 각 파장들의 파워를 감시하여 장애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가 발생하면 전송량은 정상상태에 비해 반으로 줄지만 중앙노드(C0)와 각 지역노드(RN1,RN2,RN3)의 송신부의 2 x 2 전기적 스위치(ESW)와 수신부의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우선순위 광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1번 노드(RN1)의 경우 정상상태에서는 1번 채널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하였으나, 시스템 장애발생시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정보의 경로를 바꾸어 6번 채널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한다.
이 6번 채널은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앙노드(C0) 수신단에서 광수신기(RX)에 의해 복조되어 전기적 신호로 바뀐 후 2 x 2 전기적 스위치(ESW)에 의해 정보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경로가 재설정된다.
2번과 3번 노드(RN2,RN3)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우선순위 홀수 채널을 수신할 수 없으므로 중앙노드(C0)는 송신부에 있는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를 사용하여 2번과 3번 노드(RN2,RN3)가 수신하는 짝수 채널 4번과 2번채널에 비중이 높은 정보를 변조하여 시계방향으로 전송한다.
2번과 3번 노드(RN2,RN3)는 각각 4번과 2번 채널을 드롭하고 광수신기(RX)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2 x 2 전기적 스위치(ESW)로 우선순위 정보의 경로를 재설정해 준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송 선로 상에서 2 x 2 광스위치(OSW)와 별도의 보호용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앙노드(C0)와 각 지역노드(RN1,RN2,RN3)간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에서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4단자 광회전기(10a,10b))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a,10b)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b)와 광섬유격자(22a,22b)를 직렬 연결한다.
상기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b) 대신에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역다중화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b) 대신에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a)를 거친 후 위쪽에 있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의 공통(common)단자로 들어가서,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만 반사(reflect)단자로 나와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통과(pass)단자로 나와 오른쪽 광회전기(10b)를 거쳐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b)의 애드단자로 애드채널을 입사하면 위쪽에 위치한 광섬유격자(22a)에 의해 애드채널이 반사되어 오른쪽의 광회전기(10b)를 한번더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b)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채널은 드롭되고, 왼쪽 광회전기(10a)의 애드단자로 입사된 애드채널은 아래 쪽의 광섬유격자(22b)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의 선택 파장과 광섬유격자(22a)의 반사 파장을 동일하게 하거나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b)의 선택 파장과 광섬유격자(22b)의 반사 파장을 동일하게 하거나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에서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다중화기/역다중화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3단자 광회전기(10c,10d)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c,10d)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b)와 파장분할 다중화기(18a,18b)를 직렬 연결한다.
상기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b) 대신에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역다중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8a,18b) 대신에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다중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b)와 파장분할 다중화기(18b,18a)의 공통단자는 양쪽의 광회전기(10c,10d)와 연결하고 통과단자는 통과단자끼리 서로 연결한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c)를 거친 후 위쪽에 있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의 공통단자에 들어가서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만 반사단자로 나와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통과 단자로 나와 파장분할 다중화기(18a)와 오른쪽의 광회전기(10d)를 차례로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위쪽에 있는 파장분할 다중화기(18a)의 반사단자로 애드채널을 입사하면 애드채널은 공통단자로 나와 오른쪽의 광회전기(10d)를 거쳐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b)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는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파장분할 다중화기(18b)에 의해 애드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의 선택 파장과 파장분할 다중화기(18a)의 선택 파장을 동일하게 하거나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b)의 선택 파장과 파장분할 다중화기(18b)의 선택 파장을 동일하게 하거나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한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5단자 광회전기(10e,10f)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e,10f)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광섬유격자(22a,22b)를 하나씩 연결한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b)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격자(22a,22b)는 광신호를 애드하고 드롭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e)를 거친 후 위쪽에 있는 광섬유격자(22a)에 의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만 반사되어 왼쪽 광회전기(10e)를 거쳐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통과하여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의 애드단자를 통해 상기 드롭된 파장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입사하면 위쪽의 광섬유격자(22a)에 의해 반사되어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편에 있는 광섬유격자(22b)에 의해 반사되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는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왼쪽에 있는 광회전기(10e)를 통해 입사되어 아래쪽의 광섬유격자(22b)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한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와 광단방향기(optical isolator)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5단자 광회전기(10e,10f)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e,10f)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광섬유격자(22a,22b), 광단방향기(12a,12b), 그리고 광섬유격자(22c,22d)를 연결한다.
여기서 광단방향기(12a,12b) 양쪽의 광섬유격자((22a,22b),(22c,22d)) 중 광신호가 우선으로 거치는 광섬유격자(22a,22d)는 드롭 용도로 사용되고 광단방향기(12a,12b) 다음에 거치는 광섬유격자(22b,22c)는 애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b,22c,22d)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e)를 거친 후 위에 위치한 드롭용 광섬유격자(22a)에 의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만 반사되어 왼쪽 광회전기(10e)를 거쳐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광단방향기(12a)와 반대쪽 광섬유격자(22c)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통과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의 애드단자를 통해 상기 드롭된 파장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입사하면 위에 위치한 애드용 광섬유격자(22c)에 의해 반사되어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드롭용 광섬유격자(22d)에 의해 반사되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는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왼쪽에 있는 광회전기(10e)를 통해 입사되어 아래쪽의 애드용 광섬유격자(22b)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상기 광단방향기(12a,12b)는 애드하는 광신호가 반대쪽 광회전기(10e,10f)의 드롭단자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드롭된 광신호의 누화에 의한 페널티 발생을 억제해 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상이한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5단자 광회전기(10e,10f)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e,10f)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서로 다른 두개의 광섬유격자((22a,22c),(22b,22d))를 연결한다.
여기서 두개의 광섬유격자((22a,22c),(22b,22d)) 중 하나는 드롭 용도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애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b,22d)) 중 드롭용 광섬유격자 대신 드롭하는 파장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b,22d)) 중 애드용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는 파장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e)를 거친 후 위에 위치한 드롭용 광섬유격자(22a)에 의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만 반사되어 왼쪽 광회전기(10e)를 거쳐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통과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의 애드단자를 통해 상기 드롭된 파장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입사하면 위에 위치한 애드용 광섬유격자(22c)에 의해 반사되어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드롭용 광섬유격자(22d)에 의해 반사되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는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왼쪽에 있는 광회전기(10e)를 통해 입사되어 아래쪽의 애드용 광섬유격자(22b)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위편에 있는 드롭용 광섬유격자(22a)와 애드용 광섬유 격자(22c)의 위치는 바뀌어도 무방하고 아래편에 있는 드롭용 광섬유격자(22d)와 애드용 광섬유 격자(22b) 역시 위치가 바뀌어도 상관없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4단자 광회전기(10a,10b)를 하나씩 두고, 상기 광회전기(10a,10b)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20b,20d))와 광섬유격자((22a,22c).(22b,22d))를 드롭하고 애드하고자 하는 채널 수만큼 직렬 연결한다.
상기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20b,20d)) 대신에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역다중화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b,22d)) 대신에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a)를 거친 후 위쪽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개의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의 공통단자를 차례로 거쳐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각각의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에 의해 드롭되어 반사단자로 나온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b)의 애드단자로 애드채널들을 입사하면 위쪽에 위치한 여러 개의 광섬유격자(22a,22c)에 의해 애드채널들이 각각 반사되어 오른쪽의 광회전기(10b)를 한번 더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b,20d)들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채널들이 각각 드롭되고 왼쪽 광회전기(10a)의 애드단자로 입사된 애드채널들은 아래 쪽의 광섬유격자(22b,22d)들에 의해 각각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4단자 광회전기(10a,10b)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a,10b)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한 개의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26b)와 애드하고자 하는 채널 수만큼의 광섬유격자((22a,22c),(22b,22d))를 직렬 연결한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a)를 거친 후 위쪽에 있는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의 공통단자로 들어가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에 의해 드롭되어 여러 개의 반사단자로 각각 나온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b)의 애드단자로 애드채널들을 입사하면 위쪽에 위치한 여러 개의 광섬유격자(22a,22c)에 의해 애드채널들이 각각 반사되어 오른쪽의 광회전기(10b)를 한번 더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b)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채널들이 각각 드롭되고, 왼쪽 광회전기(10a)의 애드단자로입사된 애드채널들은 아래 쪽의 광섬유격자(22b,22d)들에 의해 각각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3단자 광회전기(10c,10d)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c,10d)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20b,20d))와 파장분할 다중화기((18a,18c),(18b,18d))를 드롭하고 애드하고자 하는 채널 수만큼 직렬 연결한다.
상기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20b,20d)) 대신에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역다중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18a,18c),(18b,18d)) 대신에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다중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c)를 거친 후 위쪽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개의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들의 공통단자를 차례로 거쳐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각각의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a,20c)에 의해 드롭되어 반사단자로 나온다.
그리고 위쪽에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파장분할 다중화기(18a,18c)들의 반사단자로 애드채널을 각각 입사하면 애드채널은 각각의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공통단자로 나와 오른쪽의 광회전기(10d)를 거쳐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0d,20b)들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는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파장분할 다중화기(18d,18b)들에 의해 애드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와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3단자 광회전기(10c,10d)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c,10d) 사이에 상하로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26b)와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24a,24b)를 직렬 연결한다.
여기서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26b)와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24a,24b)의 공통단자는 양쪽의 광회전기(10c,10d)와 연결하고 통과단자는 통과단자끼리 서로 연결한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c)를 거친 후 위쪽에 있는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의 공통단자에 들어가서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a)에 의해 선택되어 여러 개의 반사단자로 각각 나와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통과 단자로 나와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24a)와 오른쪽의 광회전기(10d)를 차례로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위쪽에 있는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24a)의 여러 반사단자로 애드채널을 각각 입사하면 애드채널들은 공통단자로 나와 오른쪽의 광회전기(10d)를 거쳐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26b)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들은 동시에 드롭되고 애드채널들은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24b)에 의해 동시에 애드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되고 애드하는 파장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하고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5단자 광회전기(10e,10f)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e,10f)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광섬유격자((22a,22c),(22b,22d))를 애드하고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 수 만큼 직렬 연결한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b,22d))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e)를 거친 후 위쪽에 있는 광섬유격자(22a,22c)들에 의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반사되어 왼쪽 광회전기(10e)를 거쳐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통과하여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의 애드단자를 통해 상기 드롭된 파장들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들을 입사하면 위쪽의 광섬유격자(22a,22c)들에 의해 각각 반사되어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 편에 있는 광섬유격자(22b,22d)들에 의해 반사되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들은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왼쪽에 있는 광회전기(10e)를 통해 입사되어 아래쪽의 광섬유격자(22b,22d)들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동일하고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와 광단방향기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5단자 광회전기(10e,10f)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e,10f)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광섬유격자 ((22a,22c),(22b,22d)), 광단방향기(12a,12b), 그리고 광섬유격자((22e,22g),(22f,22h))를 연결한다.
여기서 광단방향기(12a,12b) 양쪽의 광섬유격자((22a,22c),(22b,22d), (22e,22g),(22f,22h)) 중 광신호가 우선으로 거치는 광섬유격자들((22a,22c),(22f,22h))은 드롭 용도로 사용되고 광단방향기(12a,12b) 다음으로 거치는 광섬유격자들((22b,22d),(22e,22g))은 애드 용도로 사용되며, 양쪽에 놓이는 광섬유격자의 수는 각각 드롭하고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수와 같게 한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b,22d), (22e,22g),(22f,22h))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광회전기(10e)를 거친 후 위에 위치한 드롭용 광섬유격자(22a,22c)들에 의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반사되어 왼쪽 광회전기(10e)를 거쳐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광단방향기(12a)와 반대쪽 광섬유격자(22e,22g)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통과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의 애드단자를 통해 상기 드롭된 파장들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들을 입사하면 위에 위치한 애드용 광섬유격자(22e,22g)들에 의해 반사되어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편에 있는 드롭용 광섬유격자(22f,22h)들에 의해 반사되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들은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왼쪽에 있는 광회전기(10e)를 통해 입사되어 아래쪽의 애드용 광섬유격자(22b,22d)들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광단방향기(12a,12b)는 애드하는 광신호가 반대쪽 광회전기(10e,10f)의 드롭단자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드롭된 광신호의 누화에 의한 페널티 발생을 억제해 준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망의 각 지역노드에서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대해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이 상이하고 애드하고 드롭하는 채널 수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지역노드를 구성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광섬유격자로 구현한 구성도이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양쪽에 5단자 광회전기(10e,10f)를 하나씩 두고, 광회전기(10e,10f) 사이에 상하로 드롭하고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에 해당하는 광섬유격자((22a,22c,22e,22g),(22b,22d,22f,22h))들을 나란히 연결한다.
여기서, 위쪽과 아래쪽에 대해 각각 직렬 연결된 광섬유격자((22a,22c,22e,22g),(22b,22d,22f,22h))의 개수는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 수와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 수의 합만큼 되며 드롭용 광섬유격자들과 애드용 광섬유격자들의 배열순서는 상관이 없다.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e,22g),(22b,22d,22f,22h)) 중 드롭용 광섬유격자 대신 드롭하는 파장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격자((22a,22c,22e,22g),(22b,22d,22f,22h)) 중 애드용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는 파장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홀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의 왼편으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홀수채널는 왼편에 위치한 광회전기(10e)를 거친 후 위에 위치한 드롭용 광섬유격자(22a,22c)들에 의해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채널들만 반사되어 왼쪽 광회전기(10e)를 거쳐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되고 나머지 채널은 애드용 광섬유격자(22e,22g)들과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통과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른쪽 광회전기(10f)의 애드단자를 통해 상기 드롭된 파장들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입사하면 위에 위치한 애드용 광섬유격자(22e,22g)에 의해 반사되어 오른쪽 광회전기(10f)를 거친 후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짝수 채널로 다중화된 광신호가 오른쪽에서 들어오면, 그 중 노드에 할당된 짝수채널는 아래편에 있는 드롭용 광섬유격자(22f,22h)들에 의해 반사되어 드롭하고자 하는 광신호들은 드롭되고 애드채널은 왼쪽에 있는 광회전기(10e)를 통해 입사되어 아래쪽의 애드용 광섬유격자(22b,22d)들에 의해 반사되어 왼쪽으로 진행한다.
상기에서 사용된 모든 광섬유격자 대신 격자구조를 갖는 광학소자나 다층박막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중앙노드(CO) 및 각 지역노드(RN1,RN2,RN3)에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여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송선로 상에서 별도의 광스위치(OSW) 없이 하나의 광섬유(1)만으로 자기 치유를 할 수 있는 양방향 자기 치유 환형망을 제안하였다.
각 지역노드(RN1,RN2,RN3)는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로 구성되어 양방향으로 들어오는 광신호 중 각 노드에 할당된 파장 신호를 드롭하고 애드시켜 준다.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는 광회전기와 파장분할 다중화기/역다중화기 그리고 광섬유격자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BADM)에 들어온 광신호는 두개의 광회전기를 통해 분리되고 파장분할 다중화기/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를 통해 각각 드롭되고 애드된다.
정상상태에서 각 지역노드(RN1,RN2,RN3)는 중앙노드(C0)에서 전송한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수신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단방향으로 전송하는 통신망에 비해 두배의 전송량을 송수신할 수 있어 향후 통신망 고속화에 적합하다.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중앙노드(C0)와 각 지역노드(RN1,RN2,RN3) 간에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므로 장애 발생지역을 기준으로 왼쪽 지역노드는 중앙노드(CO)의 왼쪽 송수신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반대로 오른쪽 지역노드는 중앙노드(C0)의 오른쪽 송수신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장애가 발생하면 중앙노드(C0)와 각 지역노드(RN1,RN2,RN3)간의 전송량은 정상상태에 비해 반으로 줄지만 송신부와 수신부에 2 x 2 전기적 스위치(ESW)와 2 x 2 광스위치(OSW)를 각각 사용하여 비중이 높은 우선순위 신호를 우선적으로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보호용 광섬유와 전송 선로상에서 2 x 2 광스위치(OSW) 없이 시스템 장애가 치유가능하고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정상상태와 변함이 없기 때문에 광신호가 부가적으로 거치는 전송거리와 노드 수는 증가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전송되므로 노드 사이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전송 선로상에 광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망의 자기치유가 가능하여 환형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는 파장분할 다중화기/역다중화기와 광회전기 그리고 광섬유격자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자기치유 환형망은 효율적이고 경제적이어서 광가입자망을 제작하는데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66)

  1.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중앙노드에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신호와 상기 파장 신호에 변조할 정보를 각각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연결하여 광원에 변조할 정보의 경로를 설정해주고, 두개의 파장분할 다중화기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할 광신호를 따로 다중화하여 광증폭기로 광신호를 증폭한 후,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양방향으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양쪽에서 중앙노드로 들어온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두개의 역다중화기로 따로 역다중화한 후, 2 x 2 광스위치의 4개의 단자 중 2개의 단자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온 광신호와 하나씩 연결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는 각각 광수신기와 연결하여 광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노드에서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하고 애드하는 파장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노드에서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하고 애드하는 파장이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노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하고 애드하는 파장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역노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드롭하고 애드하는 파장이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 삭제
  7. 삭제
  8.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양쪽에서 중앙노드로 들어온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두개의 역다중화기로 따로 역다중화하고 양방향에서 들어온 각 광신호를 광수신기로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복조된 전기적 신호와 2 x 2 전기적 스위치를 하나씩 연결하여 전기적 스위치로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9.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지역노드에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애드하여 진행하는 파장 신호와 변조할 정보를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연결하여 광원에 변조할 정보의 경로를 설정해주고,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에 의해 광신호를 애드하여 양방향으로 각각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0.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지역노드에서 양방향으로 들어온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 중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파장 신호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드롭한 후, 2 x 2 광스위치의 4개의 단자 중 2개의 단자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온 광신호와 하나씩 연결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는 각각 광수신기와 연결하여 광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1.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지역노드에서 양방향으로 들어온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 중 각 지역노드에 할당된 파장 신호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드롭한 후, 양쪽의 광신호를 서로 다른 광수신기로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상기 복조된 전기적 신호와 2 x 2 전기적 스위치를 하나씩 연결하여 전기적 스위치로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2.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각 지역노드는 상기 지역노드의 두 개의 드롭 다중화기에서 장애 발생지와 가까운 드롭 다중화기에 들어오는 파워의 변화를 통해 시스템의 장애를 감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3.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중앙노드에서 양쪽에서 들어온 광신호를 역다중화기로 역다중화한 후 각 수신단에 들어오는 파워의 변화를 통해 시스템의 장애를 감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4.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노드는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왼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에게 반시계 방향으로 광신호를 전송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할 수 있도록 송신부에 있는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정보의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5.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왼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은 중앙노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광신호를 드롭하고, 2 x 2 광스위치로 드롭된 광신호의 경로를 설정하여 우선순위 광신호를 우선순위 광수신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6.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왼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은 중앙노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광신호를 드롭하고 양쪽의 광신호를 서로 다른 광수신기로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우선순위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재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7.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노드는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왼편에 있는 지역노드들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기로 역다중화한 후, 2 x 2 광스위치로 수신된 광신호의 경로를 설정하여 우선순위 광신호를 우선순위 광수신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8.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노드는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왼편에 있는 지역노드들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기로 역다중화하고 각각의 광신호를 서로 다른 광수신기로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우선순위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재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19.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왼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은 중앙노드를 행해 시계 방향으로 광신호를 애드하여 전송하고,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할 수 있도록 상기 지역노드의 송신부에 있는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정보의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0.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노드는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에게 시계 방향으로 광신호를 전송하고,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할 수 있도록 송신부에 있는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정보의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1.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은 중앙노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광신호를 드롭하고, 2 x 2 광스위치로 드롭된 광신호의 경로를 설정하여 우선순위 광신호를 우선순위 광수신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2.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은 중앙노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광신호를 드롭하고 양쪽의 광신호를 서로 다른 광수신기로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우선순위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재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3.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노드는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있는 지역노드들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기로 역다중화한 후, 2 x 2 광스위치로 수신된 광신호의 경로를 설정하여 우선순위 광신호를 우선순위 광수신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4.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노드는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있는 지역노드들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오는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역다중화기로 역다중화하고 각각의 광신호를 서로 다른 광수신기로 전기적 신호로 복조한 후,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우선순위 전기적 신호의 경로를 재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5.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환형 메트로망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있는 지역노드들은 중앙노드를 행해 반시계 방향으로 광신호를 애드하여 전송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에 우선순위 정보를 변조할 수 있도록 상기 지역노드의 송신부에 있는 2 x 2 전기적 스위치로 정보의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6.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양쪽에 각각 하나씩 4단자 광회전기를 두고, 광신호의 진행방향 순서로 연결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광섬유격자를 상기 광회전기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광회전기를 통해 양쪽으로 상이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광신호는 광회전기에 의해 경로가 상하로 나누어지고 위쪽 경로와 아래쪽 경로 모두에 대하여, 우선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공통단자로 들어가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만을 반사단자를 통해 드롭하고, 반대편 광회전기의 애드단자를 통해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을 광섬유격자에 의해 반사시켜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개수를 드롭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를 사용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애드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광섬유격자의 개수를 애드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0. 청구항 26 또는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파장분할 역다중화기 대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역다중화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1.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2.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3.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광섬유격자의 반사 파장을 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4.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광섬유격자의 반사 파장을 상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5.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광섬유격자의 반사 파장을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6.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중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광섬유격자의 반사 파장을 상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7.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양쪽에 각각 하나씩 3단자 광회전기를 두고, 광신호의 진행방향 순서로 연결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와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상기 광회전기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광회전기를 통해 양쪽으로 상이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광신호는 광회전기에 의해 경로가 상하로 나누어지고 위쪽 경로와 아래쪽 경로 모두에 대하여, 우선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공통단자로 들어가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만을 반사단자를 통해 드롭하고,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반사단자를 통해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을 입사하여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개수를 드롭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39.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다채널 파장분할 역다중화기를 사용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0.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애드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개수를 애드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1.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애드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화기를 사용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2. 청구항 37 또는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파장분할 역다중화기 대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역다중화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3. 청구항 37 또는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파장분할 다중화기 대신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다중화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4.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선택 파장을 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5.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선택 파장을 상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6.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선택 파장을 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7.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경로 중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경로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기의 선택 파장과 파장분할 다중화기의 선택 파장을 상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8.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양쪽에 각각 하나씩 5단자 광회전기를 두고, 광섬유격자를 상기 광회전기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광회전기를 통해 양쪽으로 상이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광신호는 광회전기에 의해 경로가 상하로 나누어지고 위쪽 경로와 아래쪽 경로 모두에 대하여, 광섬유격자로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만을 반사시켜 광회전기의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하고, 반대쪽 광회전기의 애드단자로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을 입사하여 상기 광섬유격자에 의해 반사시켜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광섬유격자의 개수를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애드하고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0.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1.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2.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양쪽에 각각 하나씩 5단자 광회전기를 두고, 광신호의 진행방향 순서로 연결된 광섬유격자와 광단방향기, 그리고 광섬유격자를 상기 광회전기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광회전기를 통해 양쪽으로 상이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광신호는 광회전기에 의해 경로가 상하로 나누어지고 위쪽 경로와 아래쪽 경로 모두에 대하여, 우선 첫번째 드롭용 광섬유격자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만을 반사시켜 광회전기의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하고, 반대쪽 광회전기의 애드단자로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을 입사하여 광단방향기 다음의 애드용 광섬유격자에 의해 반사시켜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광단방향기 양쪽에 있는 광섬유격자의 개수를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애드하고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4.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5.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6. 하나의 중앙노드와, 다수개의 지역노드와, 상기 노드간을 환형 형태로 연결하여 양방향으로 광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역노드를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로 구현하여 각 지역노드에서 특정 파장신호가 드롭되고 애드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양쪽에 각각 하나씩 5단자 광회전기를 두고, 직렬로 연결된 서로 다른 두개의 광섬유격자를 상기 광회전기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광회전기를 통해 양쪽으로 상이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광신호는 광회전기에 의해 경로가 상하로 나누어지고 위쪽 경로와 아래쪽 경로 모두에 대하여, 우선 드롭용 광섬유격자에 의해 드롭하고자 하는 파장만을 반사시켜 광회전기의 드롭단자를 통해 드롭하고, 반대쪽 광회전기의 애드단자로 애드하고자 하는 파장을 입사하여 애드용 광섬유격자에 의해 반사시켜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7.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드롭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드롭용 광섬유격자의 개수를 드롭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드롭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58.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양쪽에서 애드하는 파장 신호가 여러 개인 경우, 상기 상하에 나란히 놓이는 애드용 광섬유격자의 개수를 애드하는 파장수와 같게 직렬 연결하여, 여러 채널을 동시에 애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자기치유 환형망.
  59.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드롭용 광섬유격자 대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0. 청구항 57에 있어서, 상기 드롭용 광섬유격자 대신 드롭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1.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애드용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2.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애드용 광섬유격자 대신 애드하는 파장 신호를 가변하기 위해 파장가변 광섬유격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3. 청구항 26, 청구항 29, 청구항 33, 청구항 34, 청구항 35, 청구항 36, 청구항 48, 청구항 49, 청구항 52, 청구항 53, 청구항 56, 청구항 57, 청구항 5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격자구조를 갖는 광학소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4. 청구항 26, 청구항 29, 청구항 33, 청구항 34, 청구항 35, 청구항 36, 청구항 48, 청구항 49, 청구항 52, 청구항 53, 청구항 56, 청구항 57, 청구항 5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격자 대신 다층박막소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5. 청구항 31, 청구항 32, 청구항 50, 청구항 51, 청구항 54, 청구항 55, 청구항 59, 청구항 60, 청구항 61, 청구항 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가변 광섬유격자 대신 파장이 가변되는 격자구조를 갖는 광학소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66. 청구항 31, 청구항 32, 청구항 50, 청구항 51, 청구항 54, 청구항 55, 청구항 59, 청구항 60, 청구항 61, 청구항 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가변 광섬유격자 대신 파장이 가변되는 다층박막소자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 메트로망.
KR10-2001-0006738A 2001-02-12 2001-02-12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KR10041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38A KR100411734B1 (ko) 2001-02-12 2001-02-12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38A KR100411734B1 (ko) 2001-02-12 2001-02-12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12A KR20020066512A (ko) 2002-08-19
KR100411734B1 true KR100411734B1 (ko) 2003-12-18

Family

ID=2769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38A KR100411734B1 (ko) 2001-02-12 2001-02-12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52B1 (ko) 2004-11-1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메트로-가입자 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819B1 (ko) * 2002-12-03 2005-08-24 최준국 링형 wdm pon 시스템
KR100474694B1 (ko) * 2002-10-12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트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링형 광네트워크
KR100506206B1 (ko) * 2002-10-16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2-광섬유 링형 광 네트워크
KR100498931B1 (ko) * 2002-12-06 2005-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자기치유 광통신망
KR100594901B1 (ko) * 2004-04-26 2006-06-30 (주)싸이버트론 센터 이중화 구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광 네트워크시스템
KR101126943B1 (ko) * 2005-06-24 2012-04-13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가입자망 장치
KR101433808B1 (ko) * 2012-06-29 2014-08-27 (주)이프라임 양방향 동일 파장을 사용하는 광스위칭 기능 내장형 광통신 단말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858A (en) * 1996-06-25 1998-09-01 Northern Telecom Limit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using optical amplifiers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KR19980048476A (ko) * 1996-12-17 1998-09-15 양승택 2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망을 위한 광분기 결합 장치
KR20000044538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858A (en) * 1996-06-25 1998-09-01 Northern Telecom Limit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using optical amplifiers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KR19980048476A (ko) * 1996-12-17 1998-09-15 양승택 2선식 양방향 선로 절체 링망을 위한 광분기 결합 장치
KR20000044538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52B1 (ko) 2004-11-1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메트로-가입자 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12A (ko) 200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0681B1 (en) Optical WDM network having an efficient use of wavelengths and a node therefor
USRE45104E1 (en) Distributed termi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7343093B2 (en) Protected bidirectional WDM network
WO2004107617A2 (en) Optical ring network with selective signal regeneration and wavelength conversion
JP2006020308A (ja) 光ネットワーク及び光トラフィックを通信する方法
JP4598528B2 (ja) 光ネットワーク及び光ネットワーク用のノード
US7483637B2 (en) Optical ring network with optical subnets and method
EP2339771A2 (en) Optical ring network with nodes and method
EP1571771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raffic between optical rings
US7120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traffic in a hubbed optical ring network
US69681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ully utilizing available optical transmission spectrum in optical networks
US7218805B2 (en) WDM ring network for flexible connections
KR100411734B1 (ko)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US20050019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ptical traffic between ring networks
US20130322883A1 (en) Resilience in an access subnetwork ring
EP2426841A1 (en) Optical add and/or drop device for an optical network element
US7113662B2 (en) Optical filtering by using an add-drop node
KR100429042B1 (ko) 양방향 애드 다중화기 및 드롭 역다중화기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자기치유 환형망
KR100498931B1 (ko)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자기치유 광통신망
CA2474756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optical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0950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network capacity in an optical network
WO2001013561A1 (en) Optical bi-directional line switched ring for wdm transmiss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