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065A -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065A
KR20140011065A KR1020120077637A KR20120077637A KR20140011065A KR 20140011065 A KR20140011065 A KR 20140011065A KR 1020120077637 A KR1020120077637 A KR 1020120077637A KR 20120077637 A KR20120077637 A KR 20120077637A KR 20140011065 A KR20140011065 A KR 2014001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dy member
cover
image displa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708B1 (ko
Inventor
권오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화면 인식부; 상기 화면 인식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대 이동 가능한 균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장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에 상기 케이블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균형장치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 상태가 되거나 고정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Screen recognizing apparatus of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영상표시기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화면인식장치에 의해서 인식될 수 있으며, 화면인식장치에서 인식된 정보를 기초로 화면을 조정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종래의 화면인식장치는 미국등록특허 공보 제7064831호에 개시된다.
종래의 화면인식장치는, 컬러리미터(Colorimeter)와, 슬라이더블 웨이트와,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웨이트에 형성된 그루브에 수용되고, 압력 딤플에 끼워져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인식장치에 의하면, 압력 딤플에 케이블이 한번 끼워지면, 사용자가 상기 컬러리미터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경우 일정 힘 이상으로 케이블을 잡아당겨야 하므로,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케이블과 균형장치의 상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화면 인식부; 상기 화면 인식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대 이동 가능한 균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장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에 상기 케이블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균형장치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 상태가 되거나 고정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균형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부재와 바디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균형장치와 케이블이 고정 상태가 되거나 고정 해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균형장치가 영상표시기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균형장치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 후에 상기 케이블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화면 인식부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인식장치가 영상표시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영상표시기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인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재의 사시도.
도 6은 균형장치와 케이블의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의 균형장치 및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균형장치와 케이블의 상대 이상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균형장치 및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인식장치가 영상표시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인식장치는, 영상표시기기(1)에 놓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화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는 스탠드 장치(5)에 의해서 지지되거나 벽 등에 브라켓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면인식장치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화면에 접촉하여 화면을 인식하는 화면 인식부(10)와, 상기 화면 인식부(10)와 연결되는 케이블(30)과, 상기 화면 인식부(10)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화면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균형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균형장치(20)는 상기 케이블(30)과 고정되거나 상기 케이블(30)과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인식부(10)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30)을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상면에 걸고, 상기 균형장치(20)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배면 측에 위치시키면, 상기 화면 인식부(10)가 상기 영상표시기기(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영상표시기기(1)를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또는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화면 인식부(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균형장치(20)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균형장치(20)는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블(30)과 고정됨으로써, 상기 화면 인식부(10)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케이블(30)의 단부에는 상기 화면 인식부(10)에서 인식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본체(미도시)에 연결되는 본체 커넥터(50)가 구비된다.
도 2는 영상표시기기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인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면 인식부(10)는, 하면 커버(112)와, 상기 하면 커버(112)에 안착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발산되는 빛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130)와, 상기 가이드(130)의 상방에서 상기 하면 커버(112)에 체결되며 상기 케이블(30)과 연결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의 상방에서 상기 하면 커버(112)에 안착되는 조정 놉(140)과, 상기 조정 놉(140)을 커버하며 상기 하면 커버(112)에 체결되는 상면 커버(111)를 포함한다.
상기 하면 커버(112)에는 빛이 통과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130)는 상기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면 커버(112)에 안착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체결부재(128)에 의해서 상기 하면 커버(11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30)가 상기 하면 커버(112)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20)가 상기 가이드(130)에 안착되고, 상기 센서부(120)가 상기 가이드(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면 커버(112)에 체결되므로, 상기 가이드(1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130)의 움직임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130)가 상기 하면 커버(112)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면 커버(112)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화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1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균형장치(20)는, 커버부재(210)와, 상기 커버부재(210)와 결합되는 바디부재(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는 상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커버부재(21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10)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3)는 상기 커버부재(210)에서 돌출되는 제1부재(213a)와, 상기 제1부재(213a)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부재(213a) 보다 좌우 폭이 큰 제2부재(213b)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걸림부(213)는 "T"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걸림부(213)가 상기 바디부재(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부(213)가 걸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홀(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홀(2)의 좌우 폭은 상기 제2부재(213b)의 좌우 폭 보다 작다. 상기 걸림홀(2)의 좌우 폭은 상기 제1부재(213a)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13)를 세로로 놓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2)에 삽입한 후에 상기 균형장치(20)를 대락 90도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213)를 가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면, 상기 제2부재(213b)가 상기 걸림홀(2)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상기 균형장치(2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균형장치(20)는 자석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영상표시기(1)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10)는 플레이트(211)와, 상기 플레이트(211)에서 돌출되는 리브(214)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11)는 일 예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에는 사용자가 상기 플레이트(211)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212)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4)에는 상기 케이블(30)이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부(215)가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리브(214)에는 두 개의 수용부(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용부(215)는 상기 리브(214)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개의 리브가 서로 이격되고, 두 개의 리브 사이에 상기 다수의 수용부(215)가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리브(214)에는 상기 바디부재(220)에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216)가 돌출된다. 이 때, 상기 체결부(216)는 상기 플레이트(211)에서 상기 리브(214)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16)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가 상대 회전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돌기(217)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216)는 상기 리브(214)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2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재(220)는 일 예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에는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재(220)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221)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재(220)에는 상기 커버부재(210)의 리브(214)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4)가 상기 안착홈(224)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가 안정적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재(220)에는 상기 체결부(216)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225)은 상기 안착홈(224)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16)가 상기 체결홀(22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216)가 상기 체결홀(225)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225)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216)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의 상대 회전 시, 상기 체결부(216)가 상기 체결홀(225)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225)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220)에는 상기 커버부재(210)의 고정돌기(217)가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돌기 삽입부(22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홀(225)을 형성하는 면에 다수의 돌기 삽입부(226)가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상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217)가 일 돌기 삽입부(226)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가 타 방향으로 상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217)가 타 돌기 삽입부(22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재(220)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부(222, 223)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222, 223)는 상기 안착홈(224)이 형성하는 영역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가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222, 223)는 상기 커버부재(210)의 리브(214)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균형장치(20)의 외부로 상기 복수의 돌출부(222, 223)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222, 223)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재(220)와 상기 커버부재(210)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케이블(30)은 직선인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 5와 같이 꺽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돌출부(222, 223) 사이에 상기 케이블(30)이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222, 223)에 의해서 상기 케이블(30)이 꺽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도 5와 같이 케이블(30)이 꺽인 상태에서는 상기 균형장치(20)가 상기 케이블(3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균형장치와 케이블의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의 균형장치 및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균형장치와 케이블의 상대 이상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균형장치 및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 중 어느 하나 만이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바디부재(220)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10)가 회전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30)은 직선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블(30)을 따라 상기 균형장치(20)가 이동할 수 있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재(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22, 223)는 상기 케이블(30)과 이격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균형장치(2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커버부재(210)를 도 7과 같이 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재(210)의 수용부(215)에 수용된 케이블(30)은 상기 커버부재(210)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케이블(3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30)은 복수의 돌출부(222, 223)에 의해서 꺽이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210)의 타 방향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부재(210)의 고정돌기(217)가 상기 바디부재(220)의 돌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바디부재(22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30)이 꺽인 상태에서는 상기 균형장치(2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균형장치(20)와 상기 케이블(30)의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상기 균형장치(20)와 케이블(30)의 고정 해제 상태라하고, 상기 균형장치(20)와 케이블(30)의 상대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상기 균형장치(20)와 상기 케이블(30)의 고정 상태라 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균형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부재와 바디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균형장치와 케이블이 고정 상태가 되거나 고정 해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균형장치가 영상표시기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균형장치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한 후에 상기 케이블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화면 인식부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커버부재의 리브 및 바디부재의 돌출부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균형장치는, 커버부재(410)와 바디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410)는 리브(414)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414)의 기본 구조는 이전 실시 예의 리브(214)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바디부재(420)에는 리브(414)가 안착되는 안착홈(424)과, 체결홀(425) 및 복수의 돌출부(422, 423)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안착홈(424), 체결홀(425) 및 복수의 돌출부(422, 423)의 기능은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422, 423)는 상기 안착홈(424)이 형성하는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410)와 상기 바디부재(420)가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422, 423)는 상기 리브의 외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422, 423) 간의 거리가 이전 실시 예에서 언급한 복수의 돌출부(222, 223) 간의 거리 보다 크므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상대 회전 시 케이블의 꺽임량이 꺼지고, 적은 힘으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바디부재를 상대 회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화면 인식부 20: 균형장치
30: 케이블

Claims (9)

  1.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화면 인식부;
    상기 화면 인식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대 이동 가능한 균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장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에 상기 케이블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균형장치와 상기 케이블이 고정 상태가 되거나 고정 해제 상태가 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기 위한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리브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바디부재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상대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가 수용되는 복수의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와 상기 바디부재의 체결 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리브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와 상기 바디부재의 체결 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리브의 외측에 위치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장치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인식부는, 하면 커버와,
    상기 하면 커버에 안착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발산되는 빛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방에서 상기 하면 커버에 체결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상방에서 상기 하면 커버에 안착되는 조정 놉과,
    상기 조정 놉을 커버하며 상기 하면 커버에 체결되는 상면 커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KR1020120077637A 2012-07-17 2012-07-17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KR10203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37A KR102037708B1 (ko) 2012-07-17 2012-07-17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37A KR102037708B1 (ko) 2012-07-17 2012-07-17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65A true KR20140011065A (ko) 2014-01-28
KR102037708B1 KR102037708B1 (ko) 2019-10-29

Family

ID=5014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637A KR102037708B1 (ko) 2012-07-17 2012-07-17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969U (ja) * 1983-10-31 1985-05-31 松下電工株式会社 ワイヤ−締付治具
JPH02143408A (ja) * 1988-11-24 1990-06-01 Toray Eng Co Ltd 巻線機用線材端末処理装置
JPH06132155A (ja) * 1992-10-20 1994-05-13 Nittoku Eng Co Ltd ワイヤのクランプ方法、および同クランプ装置
WO2004036158A2 (en) * 2002-10-15 2004-04-29 Sequel Imaging, Inc. Colorimeter with single cable low impact moun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7969U (ja) * 1983-10-31 1985-05-31 松下電工株式会社 ワイヤ−締付治具
JPH02143408A (ja) * 1988-11-24 1990-06-01 Toray Eng Co Ltd 巻線機用線材端末処理装置
JPH06132155A (ja) * 1992-10-20 1994-05-13 Nittoku Eng Co Ltd ワイヤのクランプ方法、および同クランプ装置
WO2004036158A2 (en) * 2002-10-15 2004-04-29 Sequel Imaging, Inc. Colorimeter with single cable low impact mou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08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539B1 (ko) 영상 촬영장치
KR10186884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8695936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EP3367675B1 (en) Image sound device having display portion that can appear/disappear
US20090256048A1 (en) Swiv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888154B1 (ko) 전자기기
US20110297806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JP5405897B2 (ja) 移動式スクリーンを備える黒板装置
KR20190123517A (ko) 감시 카메라
KR102037708B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인식장치
KR10136129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스탠드
EP3747516A1 (en) Display device with lock cover structure
JP2005267675A (ja) 横置き・壁掛け兼用可能な電子機器
US20110228176A1 (en) Television, pedestal, and electronic device
JP5525490B2 (ja) クレードル
KR101473006B1 (ko) 스탠드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TW201616036A (zh) 監視器設備
JP5391112B2 (ja) 警報器
US20150121762A1 (en) Pull cord fixing support for inner and outer windows
KR101579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1841A (ko) 슬림형 디스플레이장치가 수납 가능한 가구
KR100587350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JP2019041836A (ja) カウンター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3224616U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サイドカバ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