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008A - 고정격 전류들에 대한 이중 전류 경로 - Google Patents

고정격 전류들에 대한 이중 전류 경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008A
KR20140011008A KR1020147001175A KR20147001175A KR20140011008A KR 20140011008 A KR20140011008 A KR 20140011008A KR 1020147001175 A KR1020147001175 A KR 1020147001175A KR 20147001175 A KR20147001175 A KR 20147001175A KR 20140011008 A KR20140011008 A KR 20140011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ath
path section
section member
circuit break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897B1 (ko
Inventor
울프 오케손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472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110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1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8Plug-and-socket contacts
    • H01H1/385Contact arrangements for high voltage gas blast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5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4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회로 차단기 (100) 가 개시된다. 회로 차단기 (100)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과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102b)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107b) 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107b)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의 표면 (109a, 109b) 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107b)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의 표면 (109a, 109b) 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 (110a, 110b) 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Description

고정격 전류들에 대한 이중 전류 경로{DUAL CURRENT PATH FOR HIGH RATED CURRE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고전압 전력 전송 시스템들에 특히 적합할 수도 있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즉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을 중지시키기 위한 회로 차단기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차단기들은,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몇몇 미리 정의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차단되도록 의도된 각각의 전기 회로들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회로 차단기들의 동작은 장애 조건 (fault condition) 또는 장애 전류 (fault current) 의 검출에 응답한다. 이러한 장애 조건 또는 장애 전류의 검출시, 메커니즘은 회로 차단기를 동작시켜 회로 차단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전기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장애가 일단 검출되면, 전기 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해 회로 차단기 내의 접점들은 분리된다. 접점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종종 스프링 장치, 공압식 장치 (pneumatic arrangements) 또는 기계적으로 저장된 에너지를 활용하는 몇몇 다른 수단이 활용된다. 접점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일부는 장애 전류 그 자체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전기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면, 일반적으로 아크가 생성된다. 이 아크는, 아크가 소멸되거나 꺼지게 되어, 접점들 사이의 갭이 전기 회로에서의 전압을 반복적으로 견딜 수 있게 되도록, 냉각되어야만 한다. 아크가 형성되는 매체로서 진공, 공기, 오일 또는 절연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절연 가스는 예를 들면 육불화황 (SF6) 가스를 포함한다. 장애 조건이 약화되거나 제거되면 접점들이 연결되고, 이것에 의해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이 재개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 접점들은 과도한 발열없이 부하 전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회로 차단기 접점들은 전기 회로가 차단될 때 생성되는 아크의 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접점들은 예를 들면 금속들 또는 금속 합금들 예컨대 Cu 또는 Ag 또는 Cu 및/또는 Ag를 포함하는 합금들로 만들어진다. 아크의 냉각 및/또는 소멸은, 퍼퍼형 실린더 (puffer-type cylinder) 또는 셀프블라스트 챔버 (selfblast chamber) 로서 종종 칭해지는 회로 차단기의 컴포넌트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퍼퍼형 실리더는 각각의 전류 경로 섹션들 (상부 및 하부 전류 경로들 또는 전류 경로 섹션들로 종종 칭해짐) 을 통해 두 단부들에서 전기 회로에 통상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에 대한 최대 가능 연속 정격 전류 (maximum possible continuous rated current) 는 회로 차단기에서의 전류 전달부들의 재료의 선택에 의해 제한된다.
더 큰 최대 연속 정격 전류를 갖는 회로 차단기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회로 차단기에 대한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류 경로 섹션들의 저항의 감소를 획득하도록 전류 경로 섹션들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퍼퍼형 실린더에 대한 전류 경로 섹션들의 배치에 의해, 이러한 해결책은 퍼퍼형 실린더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해결책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냉각이 실행될 수 있는 더 큰 면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퍼퍼형 실린더와 평행하게 배열된 추가 퍼퍼형 실린더를 회로 차단기에 장착하는 것이 또한 제안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안된 해결책들은 기존의 장비의 실질적인 수정을 수반할 수도 있다. 기존의 장비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정만을 필요로 하면서 회로 차단기에 대한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요
상기 논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장비의 상대적으로 적은 수정만을 필요로 하면서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이들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을 다루기 위해, 독립청구항에 따른 회로 차단기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형태들은 종속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따르면, 전기 회로에 연결될 수 있는 회로 차단기가 제공된다. 회로 차단기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과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각각의 제 1의 단부 및 각각의 제 2의 단부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각각의 제 1의 단부에서 전기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는, 회로 차단기 모듈을 통한 전류의 흐름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중지시킴으로써,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중지시키도록 적응된 회로 차단기 모듈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각각의 제 2의 단부에서 회로 차단기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적어도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본 발명의 한 요지는, 예를 들면, 대류에 의한 전류 경로 섹션의 냉각에 이용 가능한 증가된 표면적, 및 예를 들면 전류의 차단을 실현하는 회로 차단기 모듈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에 비해 감소된 저항을 갖는 전류 경로 섹션 배치 및 전기 회로에 회로 차단기 모듈을 연결시키는 단일 부재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 섹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일 부재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 섹션에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경로 섹션 배치는 냉각 표면을 증가시키고 전체적인 전류 경로 섹션 배치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된 2개 이상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에 의해, 전체적인 전류 경로 섹션 배치의 냉각에 이용 가능한 표면은 증가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사이의 전기적 커플링에 의해, 전체적인 전류 경로 섹션 배치의 저항은 감소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전류의 차단을 실현하는 회로 차단기 모듈 및 회로 차단기 모듈을 전기 회로에 연결하는 단일 부재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 섹션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에 비해 더 큰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가 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격은 통상적으로 수 밀리미터 또는 수 센티미터일 수도 있다. 그 간격은, 제 1의 전류 경로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 사이의 갭에서 대류가 발생하도록 허용하는 또는 대류가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차단기 모듈은, 전기 접점들, 어쩌면 가동 전기 접점들, 소위 퍼퍼형 실린더, 소위 셀프블라스트 챔버, 압력 수집 공간, 압축 공간, 또는 퍼퍼 볼륨, 및 확장 공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 차단기 모듈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컴포넌트들에 의해 전기 회로의 차단을 실현하여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을 중지시키고, 및/또는 전기 회로가 차단될 때 발생하는 아크의 소멸을 실현할 수도 있다.
전기 회로의 차단 및/또는 전기 회로가 차단될 때 발생되는 아크의 소멸은 예를 들면 WO96/21234 A1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즉,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표면 부분, 또는 커플링 지점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그러므로, 커플링 표면 부분은 표면 상의 단일 지점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복수의 상이한 커플링 표면 부분들 또는 지점들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것은 전체적인 전류 경로 섹션 배치의 저항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제 2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더 커플링될 수도 있고,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은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의 제 1의 단부에 위치되고 제 2의 커플링 표면 부분은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의 제 2의 단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위치된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과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 및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각각은, 적절한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Cu 및/또는 Al, 또는 Cu 및/또는 Al을 포함하는 합금과 같은 금속들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리스트는 전체 목록이 아니다.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한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사이의 전기적 커플링은,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에서,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일부를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에 용접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용접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다른 전기적 커플링 실현 방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차단기 모듈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동의 몸체 (axially movable hollow body) 를 포함하며, 이 몸체 내에는,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하나가 공동의 (hollow) 몸체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열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언급된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내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내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내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내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공동의 몸체는 예를 들면 공동의 실린더, 예컨대 퍼퍼형 실린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류 섹션 중 하나는 공동의 몸체를 포함하고, 회로 차단기 모듈은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언급된 하나의 공동의 몸체 내에 배열되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몸체는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언급된 하나의 공동의 몸체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열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언급된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외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외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외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외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몸체는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 예컨대 퍼퍼형 실린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회로 차단기 모듈은 예를 들면 퍼퍼형 실린더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언급된 제 1의 실시예에 따르면 퍼퍼형 실린더 내에 배열되거나, 상기 언급된 제 2의 실시예에 따르면 퍼퍼형 실린더는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들 중 하나 내에 배열된다.
상기 언급된 제 1 및 제 2의 실시예들 양자에 따른 구성들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경로 섹션 배치는 전류 차단기 모듈의 실질적인 수정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전류 경로 섹션 배치의 추가적인 전류 경로 섹션 (들) 을 수용하기 위한 퍼퍼형 실린더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성은 완화되거나 심지어 제거될 수도 있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각각은 예를 들면 서로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배열된 튜브형 또는 실린더형 공동의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각각은 금속 튜브 (tube) 를 포함할 수도 있고, 금속 튜브들은 상이한 직경들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배열된다. 금속 튜브들은, 그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도록, 예를 들면 용점에 의해 각각의 단부들의 양자에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금속 튜브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수 밀리미터 또는 수 센티미터이지만, 더 두껍거나 더 얇을 수도 있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파동형 (undulating) 표면, 복수의 핀들 (fins), 복수의 돌출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들의 각각은, 예를 들면 자연적 대류 또는 강제적 대류에 의한 냉각에 이용 가능한 표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도 한층 더 증가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맥락 (context) 에서, 파동형 표면은, 웨이브가 있는 구조 및/또는 외관을 갖는 표면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핀 (fin) 은 엘리먼트 상의 돌출된 리브 (rib) 등, 또는 엘리먼트로부터 연장하는 표면을 의미하며, 이것은 엘리먼트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기다란 몸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다란 몸체들은 예를 들면 스트립들 및/또는 로드들 (rods) 또는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기다란 몸체들은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의 제 2의 단부의 경계 둘레로 이격될 수도 있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스루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루홀들은 예를 들면 구멍들, 즉 각각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어쩌면 원통형 공동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루홀들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에서,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 상에 스루홀들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분포에 따라 분포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자연적인 또는 강제적인 대류가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대류가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배기 구멍들을 구비할 수도 있고, 그 결과 각각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에서 발생된 열이 각각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에서 그 주변들로, 예를 들면, 회로 차단기의 주변들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각각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냉각도 또한 증가시킬 수도 있고, 그 결과 회로 차단기의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를 어쩌면 증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스루홀들을 포함하는 경우, 자연적인 대류 또는 강제적인 대류가 제 1의 전류 경로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 사이의 간격들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루홀들은 통상적으로 약 10~15mm의 직경을 가지지만, 더 작거나 더 큰 직경들도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 상의 스루홀들의 수, 각각의 스루홀들의 직경 및/또는 스루홀들의 분포는, 소망의 냉각 요건, 예를 들면, 회로 차단기의 소망의 최대 가능 정격 연속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된 냉각 요건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충족하도록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스위치기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가 연결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전력 전송 시스템은 고전압 전력 전송 시스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고전압 전기 회로들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특히 전력 전송 출원들에 관해, "고전압"은 35kV를 초과하는 전압들을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전압이 35kV 이하인 전기 회로들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전압이 10kV보다 더 크거나, 또는 15kV보다 더 큰 전기 회로들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대류에 의한 냉각에 이용 가능한 표면과, 전체적인 전류 경로 섹션 배치의 저항이 각각 더 증가되고 감소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맥락에서,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되거나 라는 용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컴포넌트들을 구비하는 함수적 (functional) 연결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면, 한편으로, 제 1의 컴포넌트의 출력이 제 2의 컴포넌트의 입력에 연결되면, 이것은 직접적인 연결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론, 전기적 도체가 제 1의 컴포넌트의 출력으로부터 제 2의 컴포넌트의 입력으로 실질적으로 변경없이 직접적으로 전기 신호를 제공하거나,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통해 전기 신호를 제공하면, 제 1 및 제 2의 컴포넌트도 또한 연결된다. 그러나, 제 1의 컴포넌트의 출력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서의 점차적인 또는 급작스런 변화가, 제 2의 컴포넌트에 입력되는 신호에서의 대응하는 또는 수정된 변화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연결은 함수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실시형태들을 예시화하는 것에 의해 하기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들에서 열거된 특징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에 관련됨을 주목해야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본 발명에 의한 이점들은,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의 고찰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들이 결합되어 하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 이외의 실시형태들을 생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설명될 것인데: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 차단기들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류 경로 섹션들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인데, 도면들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선 안되며; 대신, 이들 실시형태들은 실시예로서 제공되어 본 개시가 본 발명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전달할 것이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엘리먼트들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전송 시스템 (200) 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력 전송 시스템 (20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 차단기 (100) 가 연결되는 전기 회로 (210) 를 포함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 차단기 (100) 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회로 차단기 (100) 의 축 또는 길이 방향 (101) 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회로 차단기 (100) 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회로 차단기 (100)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과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을 포함한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은 제 1의 단부 (103a) 와 제 2의 단부 (104a) 를 포함한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의 제 1의 단부 (103a) 는 제 1의 연결 플랜지 (108a) 를 통해 전기 회로 (도 2에 도시되지 않음, 도 1 참조) 에 연결된다.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은 제 1의 단부 (103b) 와 제 2의 단부 (104b) 를 포함한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의 제 1의 단부 (103b) 는 제 2의 연결 플랜지 (108b) 를 통해 전기 회로에 연결된다.
회로 차단기 (100) 는,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을 통한 전류의 흐름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중지시킴으로써,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중지시키도록 적응된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을 포함한다. 이것은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102b) 의 각각은 각각의 제 2의 단부 (104a, 104b) 에서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에 연결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와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를 포함한다.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의 표면 (109a) 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표면 (109a) 의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 (110a) 및 제 2의 커플링 표면 (111a) 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묘사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b) 와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b) 를 포함한다.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b)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b) 의 표면 (109b) 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표면 (109b) 의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 (110b) 및 제 2의 커플링 표면 (111b) 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b) 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도 2에 묘사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들 (107a, 107b) 의 각각은 2개의 상이한 커플링 표면들 (110a, 110b, 111a, 111b) 을 통해 각각의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지만,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들 (107a, 107b) 의 각각은 하나의 커플링 표면 (110a, 110b) 만을 통해 각각의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의 실시예가 도 3에 묘사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의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의 축 단면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의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b) 의 축 단면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의 두께는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107b) 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의 두께는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107b) 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얇을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회로 차단기 (100) 의 동작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회로 차단기 (100) 의 동작은 WO96/21234 A1에서 개시된 회로 차단기의 동작과 유사할 것이다.
회로 차단기 (100) 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각각 수용하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의 연결 플랜지들 (108a, 108b) 사이에 배열된 기다란 케이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음) 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제 1 및 제 2의 연결 플랜지들 (108a 및 108b) 을 포함한다. 케이스 내에, 절연 가스, 예를 들면, SF6이 존재한다.
묘사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은, 회로 차단기 (100) 의 축 방향 (101) 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퍼퍼형 실린더를 포함한다.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은 아크 접점 (112) 과 메인 접점 (115) 을 포함한다.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은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의 아크 접점 (112) 과 협력하는 아크 접점 (113) 을 포함한다.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의 제 2의 단부 (104b) 는, 회로 차단기 (100) 의 고정 메인 접점 (114) 을 구성하는 복수의 접점 핑거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이 묘사된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등을 포함하는 경우, 그 튜브의 일 단부는 복수의 접점 핑거들을 형성하도록 압축 성형 및 슬롯화될 수도 있다. 메인 접점 (114) 의 다른 배치들도 가능하다.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은,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들 등을 포함하고, 회로 차단기 모듈 (105) 과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슬라이딩 접점 수단 (116) 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옵션적으로, 슬라이딩 접점 수단 (116) 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과는 별개의 엔티티들일 수도 있다.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은 동작 로드 (operating rod; 118) 를 통해 동작 디바이스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 에 연결된다. 동작 디바이스는, 전기 회로가 닫히게 되는 닫힌 위치와 전기 회로가 차단되는 열린 위치 사이에서 동작 로드 (118) 에 의해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열린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동작 디바이스는, 전기 회로에서의 장애 조건 또는 장애 전류의 검출에 응답하여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을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회로 차단기 (100) 의 동작 동안,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은 동작 로드 (118) 에 의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101) 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되며, 이것에 의해 메인 접점들 (114 및 115) 이 분리된다. 그 결과 전류는 아크 접점들 (112 및 113) 을 통해 전송되거나 전달된다. 아크 접점들 (112 및 113) 이 분리되면, 그들 사이에 아크가 생성된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101) 을 따른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의 축 변위 동안, 메인 접점들 (114 및 115) 이 먼저 분리되고, 그 다음,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101) 을 따른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의 한층 더의 축 변위 이후, 아크 접점들 (112 및 113) 이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아크 접점들 (112 및 113) 이전에 개방되는 메인 접점들 (114 및 115) 은, 따라서, 분리시 아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회로 차단 모듈 (105) 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 방향 (101) 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퍼퍼형 실린더 내에 봉입된 절연 가스는 압축되어 아크 접점 (112) 을 지나 노즐 (120) 을 통해 가압된다. 아크 접점들 (112 및 113) 이 분리되면, 그들 사이에 아크가 생성된다.
아크 전류는 일반적으로 전력 주파수 사인 곡선을 따르며, 전류의 값이 영점 (zero crossing) 에 가까워지면, 절연 가스는 퍼퍼형 실린더에서 나와 노즐 (120) 을 통해 흐르기 시작한다. 절연 가스의 흐름에 의해, 아크는 냉각된다. 그 다음, 전류의 값이 다음 영점에 가까워지면, 아크는 소멸된다. 이 때문에, 전기 회로를 통한 전류는 차단된다.
후속하여, 예를 들면, 전기 회로에서의 장애 조건 또는 장애 전류가 없어지면,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은 동작 로드 (118) 에 의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을 향해 축방향 (101) 을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이것에 의해 먼저 아크 접점들 (112, 113) 이 서로 맞물리고 그 다음 메인 접점들 (114 및 115) 이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이 재개된다.
후속하여, 퍼퍼형 실린더는 절연 가스로 재충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절연 가스는 케이스 인클로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이 퍼퍼형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 관련된다. 즉, 도 2 및 도 3은 퍼퍼형 또는 셀프블라스트형 회로 차단기들에 관련된다. 그러나,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가 차단될 때 생성되는 아크를 소멸시키기 위해 SF6과 같은 절연 가스를 활용하는 모든 타입들의 회로 차단기들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예를 들면 열 블라스트 챔버형 회로 차단기들에 적용될 수 있음이 생각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 차단기 (100) 를 포함하는 스위치기어 (220) 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른 회로 차단기에서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전류 섹션 경로 (102a) 이외의 회로 차단기의 컴포넌트들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 내지 도 8의 각각은 회로 차단기의 축방향 또는 길이 방향 (101) 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전류 경로 섹션 (102a) 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전류 경로 섹션 (102a) 은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와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를 포함하며,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의 표면 (109a) 에 대해 이결된 관계로 배열되고 그 표면 (109a) 의 2개의 상이한 커플링 표면 부분들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묘사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의 각각은 서로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배열된 실린더형 공동의 몸체를 포함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는 복수의 스루홀들 (122) 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옵션적으로,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는 복수의 스루홀들 (도 6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는 파동형 표면 (124) 을 포함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는 복수의 돌출부들 (126) 을 포함한다. 돌출부들 (126) 중 몇몇만이 도 8에서 도면 부호들로 나타내어져 있다.
결론적으로,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가 개시된다.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적어도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첨부된 도면들과 상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이 상세히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예시 및 설명은 예증적이거나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들, 개시내용,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고찰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른 변형예들이 당업자에게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 어떤 수단들이 상호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열거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수단들의 조합이 유익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서의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선 안된다.

Claims (11)

  1. 전기 회로 (210) 에 연결가능한 회로 차단기 (100) 로서,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과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으로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및 상기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각각의 제 1의 단부 (103a, 103b) 및 각각의 제 2의 단부 (104a, 104b)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제 1의 단부에서 상기 전기 회로에 연결가능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102a) 과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102b) ; 및
    회로 차단기 모듈 (105) 로서, 상기 회로 차단기 모듈을 통한 전류의 흐름을 적어도 순간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중지시키기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 회로에서의 전류의 흐름을 적어도 순간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중지시키도록 된 상기 회로 차단기 모듈 (105)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제 2의 단부에서 상기 회로 차단기 모듈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6a, 106b) ; 및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표면 (109a, 109b) 에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상기 표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 (110a, 110b) 을 통해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107a, 107b) 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차단기 모듈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동의 (hollow)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의 몸체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하나가 상기 공동의 몸체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내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상기 내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회로 차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하나는 공동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차단기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하나의 상기 공동의 몸체 내에 배열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몸체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하나의 상기 공동의 몸체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중 상기 하나는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외면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며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상기 외면의 적어도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을 통해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회로 차단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는 또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의 상기 표면의 적어도 제 2의 커플링 표면 부분 (111a, 111b) 을 통해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제 1의 커플링 표면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의 상기 제 1의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2의 커플링 표면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의 상기 제 2의 단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위치되는, 회로 차단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의 각각은 서로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배열된 튜브형 또는 실린더형 공동의 몸체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파동형 (undulating) 표면 (124), 복수의 핀들 (fins) 및 복수의 돌출부들 (1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기다란 몸체들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다란 몸체들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의 각각의 섹션의 상기 제 2의 단부의 경계 둘레로 이격되는, 회로 차단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전류 경로 섹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스루홀들 (122) 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100) 를 포함하는, 스위치기어 (220).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100) 가 연결되는 전기 회로 (210) 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 시스템 (200).
KR1020147001175A 2011-06-29 2012-06-27 고정격 전류들에 대한 이중 전류 경로 KR101484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1906.8 2011-06-29
EP11171906.8A EP2541569B2 (en) 2011-06-29 2011-06-29 Dual current path for high rated currents
PCT/EP2012/062457 WO2013000951A1 (en) 2011-06-29 2012-06-27 Dual current path for high rated curr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08A true KR20140011008A (ko) 2014-01-27
KR101484897B1 KR101484897B1 (ko) 2015-01-20

Family

ID=4494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175A KR101484897B1 (ko) 2011-06-29 2012-06-27 고정격 전류들에 대한 이중 전류 경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95883B2 (ko)
EP (1) EP2541569B2 (ko)
JP (1) JP5596246B1 (ko)
KR (1) KR101484897B1 (ko)
CN (2) CN102856114B (ko)
BR (1) BR112013033680B1 (ko)
CA (1) CA2840334C (ko)
MX (1) MX2013014707A (ko)
RU (1) RU2557011C1 (ko)
WO (1) WO2013000951A1 (ko)
ZA (1) ZA2013094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1569B2 (en) * 2011-06-29 2023-12-20 Hitachi Energy Ltd Dual current path for high rated currents
FR3001575B1 (fr) * 2013-01-29 2015-03-20 Alstom Technology Ltd Disjoncteur pourvu de moyens reduisant l'arc de commutation entre contacts permanents
CN104362026B (zh) * 2014-10-16 2017-01-25 平高集团有限公司 一种超高速机械开关及其开关断口
CN106158503B (zh) * 2015-04-11 2017-11-14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断路器
JP6794327B2 (ja) 2017-09-15 2020-12-02 株式会社東芝 ガス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1465B (de) 1963-09-06 1965-04-22 Siemens Ag Elektrischer Schalter fuer grosse Einschaltstroeme
US3632928A (en) * 1969-03-20 1972-01-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act structures for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s
DE2036099C3 (de) * 1970-07-16 1974-08-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akuumleistungsschalter
US3777089A (en) * 1972-08-21 1973-12-04 Allis Chalmers Vacuum interrupter
US3953693A (en) * 1974-09-09 1976-04-27 Allis-Chalmers Corporation Vacuum switch with integrated capacitor shield
DE7906561U1 (de) * 1979-03-09 1983-05-0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Autopneumatischer Druckgasschalter
FR2722609B1 (fr) * 1994-07-18 1996-08-30 Schneider Electric Sa Disjoncteur electrique a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pour calibres eleves
SE514917C2 (sv) 1994-12-29 2001-05-14 Abb Ab Högspänningsbrytare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n sådan brytare
RU2106034C1 (ru) * 1996-01-22 1998-02-27 Товари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НПАК" Выключатель
DE10221580B3 (de) * 2002-05-08 2004-01-22 Siemens Ag Unterbrechereinheit eines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s
EP1403891B2 (de) * 2002-09-24 2016-09-28 ABB Schweiz AG Leistungsschalter
EP1494252B1 (de) 2003-07-02 2007-09-19 ABB Technology AG Kontaktfinger für Hochleistungsschalter
CN2651923Y (zh) * 2003-09-29 2004-10-27 深圳市光辉电器实业有限公司 真空断路器
WO2006066420A1 (de) 2004-12-24 2006-06-29 Abb Technology Ag Generatorschalter mit verbesserter schaltleistung
US8314355B2 (en) * 2005-05-20 2012-11-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 insulated breaking device
EP2325859B1 (de) 2009-11-24 2013-04-17 ABB Technology AG Gasisolierter Hochspannungsschalter
EP2541569B2 (en) * 2011-06-29 2023-12-20 Hitachi Energy Ltd Dual current path for high rated curr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309414B (en) 2014-08-27
EP2541569B1 (en) 2014-09-10
EP2541569A1 (en) 2013-01-02
RU2557011C1 (ru) 2015-07-20
US20140110235A1 (en) 2014-04-24
MX2013014707A (es) 2014-01-31
BR112013033680B1 (pt) 2022-08-09
CN202495394U (zh) 2012-10-17
CA2840334A1 (en) 2013-01-03
KR101484897B1 (ko) 2015-01-20
EP2541569B2 (en) 2023-12-20
WO2013000951A1 (en) 2013-01-03
JP2014525119A (ja) 2014-09-25
JP5596246B1 (ja) 2014-09-24
CN102856114A (zh) 2013-01-02
CA2840334C (en) 2016-11-08
BR112013033680A2 (pt) 2017-01-24
CN102856114B (zh) 2016-10-05
US8895883B2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897B1 (ko) 고정격 전류들에 대한 이중 전류 경로
US8502101B2 (en) Circuit breaker
JP2017216094A (ja) ガス遮断器
KR101199588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용 이중 구조 콘택트 장치
US9570263B2 (en) Vacuum switching assembly
EP2715761B1 (en) Vacuum interrupter
KR10129178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6659864B2 (ja) ガス遮断器
CN101930871B (zh) 一种高压开关设备用高载流能力灭弧室
JP4131926B2 (ja) ガス遮断器
US9087664B2 (en) Circuit breaker with compactable contact structure
CN111095464B (zh) 用于在高、中和/或低压技术中切换大电流的装置和方法
JP6057887B2 (ja) 真空遮断器
JPH05314873A (ja) 投入抵抗付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JP2015082368A (ja) ガス遮断器
JPH0473834A (ja) 投入抵抗付き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KR101304564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S585926A (ja) ガス絶縁断路器
JPH0371526A (ja) 電力用ガス遮断器
JP2017034921A (ja) 開閉装置
JPH03257730A (ja) ダブルモーション方式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