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001A -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001A
KR20140011001A KR1020140000620A KR20140000620A KR20140011001A KR 20140011001 A KR20140011001 A KR 20140011001A KR 1020140000620 A KR1020140000620 A KR 1020140000620A KR 20140000620 A KR20140000620 A KR 20140000620A KR 20140011001 A KR20140011001 A KR 2014001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block
panel
building
bal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313B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칠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칠칠공사 filed Critical (주)칠칠공사
Priority to KR102014000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3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45Drain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및 빌라,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 옥상에 방수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경시설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방수기능과 건물 옥상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난간(20)의 상부 일측으로 좌, 우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직렬구조로 용이하게 연결되는 평형판넬(100)과, 그 평형판넬(100)의 하측으로 평형판넬(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평형판넬(100)을 난간(10)에 고정시켜 주는 'Y' 자형 수직기둥(110)이 구비되되, 그 수직기둥(110)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120)가 일체형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 일측에는 난간의 두께에 따라 유연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블록(130)이 구성되고, 상기 옥상 바닥(10)의 상부 면에는 옥상의 바닥 가장자리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둔부(200)가 평평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안착둔부(200)의 표면에는 일자형 또는 격자무늬 형상의 배수로(2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둔부(200)의 상부 면에는 방수시트(300)가 도포 됨과 동시에 그 방수시트(30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통수홈(410)이 형성되며 보온 단열 기능을 수반하는 타공블록(400)이 안착 구성되는 한편, 상기 타공블록(400)의 상면에는 내부 수용공간(510)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고정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화단블록(500)이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Waterproof and landscaping at the same time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building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주택 및 빌라,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 옥상에 방수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경시설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방수기능과 건물 옥상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라, 아파트를 포함한 고층건물의 상단에는 옥상 바닥(10)이 구비되도록 시공을 하거나, 옥상 바닥 대신 지붕을 시공하여 빗물이 건축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였다.
특히 옥상의 둘레에 시공되는 난간(20)을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로 시공하거나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철구조물로 시공할 경우에는 그 난간을 통해 건축물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어 누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옥상 바닥에도 액상의 방수재를 도포시공하는 도막 방수공법과, 시트화 된 방수재(방수시트)를 도배하듯 시공하는 시트방수공법, 방수시트의 외부 노출 유무에 따라 나누어지는 노출식·비노출식 방수공법 및 상기 도막 방수공법과 시트방수공법을 복합하여 방수시공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완벽한 방수 상태를 제공받기 어려웠다.
더욱이 건물이 노후화되면 지속적인 유지 보수공사를 해주어야만 방수기능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음은 물론, 빗물이 침투되어 방수공사를 할 경우에도 정확한 침투지점을 찾기 어려워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그에 따른 필요 이상의 인적 물적 자원이 투입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건축물의 옥상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 간단한 체육시설 및 식물원을 조성하기도 하나 옥상의 바로 아래층에 거주하는 사람이 소음에 시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빗물을 재사용하기 위해 빗물을 집수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양의 빗물을 집수하기 어려워 활용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축물의 난간에서부터 옥상의 바닥까지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옥상의 바닥에는 조경시설을 시공함으로써 방수기능과 건물 옥상의 미적 심미감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구조물로 시공된 옥상 난간(20) 및 옥상 바닥(10)이 시공된 고층 건물(30)에 있어서,
상기 난간(20)의 상부 일측으로 좌, 우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직렬구조로 용이하게 연결되는 평형판넬(100)과, 그 평형판넬(100)의 하측으로 평형판넬(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평형판넬(100)을 난간(10)에 고정시켜 주는 'Y' 자형 수직기둥(110)이 구비되되, 그 수직기둥(110)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120)가 일체형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 일측에는 난간의 두께에 따라 유연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블록(130)이 구성되고, 상기 옥상 바닥(10)의 상부 면에는 옥상의 바닥 가장자리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둔부(200)가 평평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안착둔부(200)의 표면에는 일자형 또는 격자무늬 형상의 배수로(2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둔부(200)의 상부 면에는 방수시트(300)가 도포 됨과 동시에 그 방수시트(30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통수홈(410)이 형성되며 보온 단열 기능을 수반하는 타공블록(400)이 안착 구성되는 한편, 상기 타공블록(400)의 상면에는 내부 수용공간(510)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고정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화단블록(5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블록(130)은 지지대(120)에서 좌, 우 일정 간격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대(120)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이동장공(1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블록(130)의 상부 일측에는 이동장공(121)에 삽입되면서 탈착이 용이한 장착핀(13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형판넬(100)의 끝단부와 화단블록(50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10 내지 50cm 중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210)는 안착둔부(200)에 골(211)을 형성하는 것과, 장 방향으로 절개된 파이프(212)를 매설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210)가 형성된 이후에는 배수로(210)의 상면에 방수액(213)이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블록(400)은 고무, 재생 타이어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탄성과 보온단열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는 건축물의 난간에서부터 옥상의 바닥까지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옥상의 바닥에는 조경시설을 시공함으로써 방수기능과 건물 옥상의 미적 심미감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종래 고층 건물의 옥상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와 간격조절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착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안착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타공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는, 도 3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구조물로 시공된 옥상 난간(20) 및 옥상 바닥(10)이 시공된 고층 건물(30)에서,
상기 난간(20)의 상부 일측으로 좌, 우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직렬구조로 용이하게 연결되는 평형판넬(100)이 구비된다. 상기 평형판넬(100)은 난간이 있는 4개 면에 연속적으로 설치고정되며, 끝단에 형성된 배수 안내로(101)를 통해 빗물은 우수관(미도시)으로 배수된다.
상기 평형판넬(100)을 난간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는 평형판넬(100)의 하측으로 평형판넬(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Y' 자형 수직기둥(110)이 구비되며, 그 수직기둥(110)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120)가 일체형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 일측에는 난간의 두께에 따라 유연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블록(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블록(13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에서 좌, 우 일정 간격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대(120)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이동장공(1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블록(130)의 상부 일측에는 이동장공(121)에 삽입되면서 탈착이 용이한 장착핀(131)이 고정된다.
이때 장착핀(131)은 볼트와 너트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며, 장착핀(131)은 이동장공(121)과 간격조절블록(130)의 관통공(13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너트를 조금만 느슨하게 풀어준다면, 간격조절블록(130)은 용이하게 좌, 우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난간 두께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옥상 바닥(10)의 상부 면에는 옥상의 바닥 가장자리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둔부(200)가 평평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안착둔부(200)의 표면에는 도 5내지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또는 격자무늬 형상의 배수로(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로(210)는 안착둔부(200)에 도 5 및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211)을 형성하는 것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 방향으로 절개된 파이프(212)를 매설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빗물은 우수관을 통해 배수가 되거나, 화단에 고여지는 빗물은 화단블록(500)의 배수구(520)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수되며, 옥상 바닥의 가장자리 전체가 안착둔부(200)에 비해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배수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안착둔부(200)에는 물이 고여있을 겨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로(210)가 형성된 이후에는 배수로(210)의 상면에 방수액(213)을 도포하기 때문에 안착둔부에 물이 스며든다고 하더라도 배수로(210)를 통해 배수가 되어 옥상바닥의 누수 현상은 완전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둔부(200)의 상부 면에는 방수시트(300)가 도포 되기 때문에 더욱 더 누수를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수시트(30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통수홈(410)이 형성되며, 보온 단열 기능을 수반하는 타공블록(400)이 안착 구성된다.
화단블록의 저면으로 물이 새더라도 타공블록의 통수홈(410)을 통해 안착둔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물은 흘러가게 되고, 이어서 우수관으로 완전 배수가 된다.
또한 상기 타공블록(400)의 상면에는 내부 수용공간(510)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고정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화단블록(500)이 구성되며, 화단블록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구(520)가 구성된다.
상기 화단블록(5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할 수 있으나, 가급적이면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FRP 또는 합성수지제의 조립이 용이한 블록으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형판넬(100)의 끝단부와 화단블록(50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10 내지 50cm 중첩되게 구성되게 장착함으로써 빗물이 옥상 바닥에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옥상의 난간을 포함한 모든 곳에서 빗물이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완벽한 방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조경시설을 시공할 수 있어 건물 자체의 미적 심미감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사용자들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블록(400)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재생 타이어 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탄성과 보온단열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옥상의 바로 밑에 층에 거주하는 입주민은 여름철 고온 및 겨울철 한기를 조금이나마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발명의 핵심은 빗물이 직접적으로 난간 및 옥상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옥상의 바닥에 미적 심미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조경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10:옥상 바닥 20:난간
30:고층 건물
100:평판형 시트 101:배수안내로
110:수직기둥 120:지지대
121:이동장공 130:간격조절블록
131:장착핀 132:관통공
200:안착둔부
210:배수로 211:골
212:파이프 213:방수액
300:방수시트 400:타공블록
41:통수홈 500:화단블록
510:수용공간 520:배수구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구조물로 시공된 옥상 난간(20) 및 옥상 바닥(10)이 시공된 고층 건물(30)에 있어서,
    상기 난간(20)의 상부 일측으로 좌, 우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직렬구조로 용이하게 연결되는 평형판넬(100)과, 그 평형판넬(100)의 하측으로 평형판넬(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평형판넬(100)을 난간(10)에 고정시켜 주는 'Y' 자형 수직기둥(110)이 구비되되, 그 수직기둥(110)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120)가 일체형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20)의 하부 일측에는 난간의 두께에 따라 유연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블록(130)이 구성되고, 상기 옥상 바닥(10)의 상부 면에는 옥상의 바닥 가장자리에 비해 볼록하게 형성된 안착둔부(200)가 평평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안착둔부(200)의 표면에는 일자형 또는 격자무늬 형상의 배수로(21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둔부(200)의 상부 면에는 방수시트(300)가 도포 됨과 동시에 그 방수시트(300)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통수홈(410)이 형성되며 보온 단열 기능을 수반하는 타공블록(400)이 안착 구성되는 한편, 상기 타공블록(400)의 상면에는 내부 수용공간(510)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고정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화단블록(5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블록(130)은 지지대(120)에서 좌, 우 일정 간격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대(120)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이동장공(1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블록(130)의 상부 일측에는 이동장공(121)에 삽입되면서 탈착이 용이한 장착핀(13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판넬(100)의 끝단부와 화단(40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10 내지 50cm 중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210)는 안착둔부(200)에 골(211)을 형성하는 것과, 장 방향으로 절개된 파이프(212)를 매설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210)가 형성된 이후에는 배수로(210)의 상면에 방수액(213)이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블록(400)은 고무, 재생 타이어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탄성과 보온단열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KR1020140000620A 2014-01-03 2014-01-03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KR10142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620A KR101426313B1 (ko) 2014-01-03 2014-01-03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620A KR101426313B1 (ko) 2014-01-03 2014-01-03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01A true KR20140011001A (ko) 2014-01-27
KR101426313B1 KR101426313B1 (ko) 2014-08-05

Family

ID=5014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620A KR101426313B1 (ko) 2014-01-03 2014-01-03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5512A (zh) * 2020-05-14 2020-08-14 浙江奥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种植建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037U (ja) * 2002-09-26 2003-04-18 良玄 三好 パラペット用手摺の手摺取付金具
KR100784241B1 (ko) * 2006-10-19 2007-12-10 건융건설 주식회사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0725029B1 (ko) *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5512A (zh) * 2020-05-14 2020-08-14 浙江奥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种植建筑结构
CN111535512B (zh) * 2020-05-14 2022-04-19 浙江奥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种植建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313B1 (ko)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1634B2 (en) Elongated shower drain
US20120297712A1 (en) In-Floor Track Assembly for Sliding Panels with Built-In Drainage System
US20090320204A1 (en) Shower pan having no visible drainage means
CA2731855A1 (en) Low profile shower base
CN212129710U (zh) 一种防水保温屋面与女儿墙连接结构
US20030159379A1 (en) Balcony drainag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383484B2 (en) Sloped shower tiling frame
CN201924415U (zh) 线形地漏
KR101426313B1 (ko) 방수 및 조경시설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건축물의 옥상 구조
DE4015393A1 (de) Ablaufarmatur fuer fussboeden oder daecher
CN205935444U (zh) 石材平铺装屋面暗排水结构
CN102086660B (zh) 线形地漏及其安装方法
KR20120083195A (ko) 조립식 대형화분과 실내외 방수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실내외 조경방법
EP2209363A1 (en) Plant tray and panel
US20160053480A1 (en) Modular landscaping and waterproofing system
JP2018154994A (ja) 排水溝構造、排水溝用金具、及び、排水溝構造の製造方法
CN209891580U (zh) 一种新型屋顶结构
CN215424319U (zh) 一种应用于整体卫浴的快装卫浴底盘结构
CN213653704U (zh) 一种装配式卫生间不降板侧排总成
CN210369728U (zh) 干式供暖架空地板
US20230380637A1 (en) Shower curb system
CN213774295U (zh) 一种装配式卫生间不降板排水系统
CN207513045U (zh) 一种种植屋面排水结构
CN202227594U (zh) 一种直立锁边屋面板底座
CN207739522U (zh) 一种屋顶可达式的生态更衣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