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236A - 구이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구이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236A
KR20140010236A KR1020120077078A KR20120077078A KR20140010236A KR 20140010236 A KR20140010236 A KR 20140010236A KR 1020120077078 A KR1020120077078 A KR 1020120077078A KR 20120077078 A KR20120077078 A KR 20120077078A KR 20140010236 A KR20140010236 A KR 2014001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charcoal
plate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수
Original Assignee
양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수 filed Critical 양윤수
Priority to KR1020120077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236A/ko
Publication of KR2014001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의 로스나 볶음 등을 할 수 있는 돌구이판이 설치되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나 가스없이도 돌판이나 금속제 및 주물 등 구이판을 적정온도로 빠르게 상승시켜 고기를 구울 수 있고, 구이판이나 숯 교체없이도 오랜시간 구이를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이용 테이블을 구현함으로써, 배관시설이 없는 관계로 테이블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업소의 구조적인 환경 또한 개선할 수 있고, 테이블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으며, 구이판의 열효율이 높아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구이를 할 수 있는 구이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이용 테이블{Roasting table}
본 발명은 구이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의 로스나 볶음 등을 할 수 있는 돌구이판이 설치되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고기 등을 구워 먹기 위한 대표적인 조리법으로는 숯불구이, 돌판구이 또는 바베큐 구이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조립법은 고기의 기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 자체의 고유한 냄새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다.
그 중에서도 돌판구이는 돌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는 동안 타거나 눌러 붙지 않기 때문에, 담백한 고기맛을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보통 돌판구이의 경우, 테이블의 상판에 가스 버너 등과 같은 가열수단을 올려 놓고, 그 가열수단 상에 소정 넓이와 두께를 가진 돌판을 얹어 놓기 때문에, 가열수단과 돌판의 높이로 인해 테이블 상판의 사용 면적이 협소해져 음식물을 먹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테이블 자체에 전기를 사용한 열선이나 히터, 그리고 가스를 사용하는 등의 가열수단을 일체식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돌판을 얹어 놓고 사용하는 형태의 것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10-0914639호, 한국등록특허 10-062198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8479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54524호 등에는 여러 형태의 구이용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나 가스를 가열수단으로 사용함에 있어 홀에 있는 테이블 하나하나마다 배관시설을 해야 하고, 이러한 배선의 연결로 벽체나 바닥에 시공을 하게 되므로서, 건물에 손상이 가고 배선으로 인해 다니는데도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운영 중인 업소를 다른 장소로 옮기려 해도 배관시설비와 배선이 연결된 테이블을 폐기해야 하는 등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장소에 또 다시 전기나 가스의 배관시설을 해야 하므로 비용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장소를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보통 고기를 구울 때에는 구이판을 경사지게 놓아 기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열수단의 전기에 의한 열선이나 히터, 그리고 가스인 경우에는 한 자리에서 수차례 구이를 함에 있어서도 온도에는 별 문제가 없고, 또 가열수단이 전기와 숯 겸용이거나, 가스와 숯 겸용인 경우에도 온도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숯 만으로 구이를 할 경우에는 숯불이 가지는 지속적인 열효율의 한계로 구이판에 첫 번째 올려놓은 고기는 제대로 구이를 할 수 있지만, 첫 번째 올려놓은 고기를 다 굽고 다시 두 번째로 고기를 구이판에 올려놓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구이판 온도가 점차 내려가기 때문에 고기를 제대로 굽기가 불가능하고, 결국 새 숯으로 교체하여 주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새 숯을 두 번, 세 번 교체하는 것은 인력적 시간적 낭비와 번거로움, 년 중 발생되는 연료(숯)의 낭비와 비용, 이러한 문제들로 수익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 현재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숯불이 있는 숯 함은 구이판 중앙 하부에 수평으로 놓여지게 제작되기 때문에, 경사지게 놓여있는 구이판과 숯 함 거리가 가까운 쪽(중앙에서 하단쪽)은 구이할 수 있는 적정온도가 어느 정도의 시간 유지가 되지만, 구이판과 숯 함 거리가 먼 쪽(중앙에서 상단쪽)은 온도가 빠르게 내려가 구이를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나 가스없이도 돌판이나 금속제 및 주물 등 구이판을 적정온도로 빠르게 상승시켜 고기를 구울 수 있고, 구이판이나 숯 교체없이도 오랜시간 구이를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이용 테이블을 구현함으로써, 배관시설이 없는 관계로 테이블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업소의 구조적인 환경 또한 개선할 수 있고, 테이블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으며, 구이판의 열효율이 높아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구이를 할 수 있는 구이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이용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구이용 테이블은 중앙의 구이판 설치홀 및 그 저부의 케이스를 가지면서 적어도 4개의 다리를 이용하여 일정높이로 놓여지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구이판 설치홀에 배치되는 상단 거치대 및 하단 거치대에 의해 한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이판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지지대에 의해 받쳐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숯 함 받침대 및 상기 숯 함 받침대의 경사진 상단을 갖는 좌측 벽체와 우측 벽체 사이에 걸쳐지면서 구이판과 나란하게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는 숯 함과, 상기 테이블의 저면부 일측에 설치되고 통풍구에 의해 숯 함 받침대의 내부와 통하면서 숯 함 받침대에 있는 숯 함측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이용 테이블은 서로 동일한 경사각으로 나란한 구이판 및 숯 함의 배치 구조와 송풍기를 이용한 송풍방식으로 숯 함의 숯불을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구이판 전체적으로 열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판의 적정온도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구이용 테이블은 구이판의 자세를 경사진 자세 또는 수평 자세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이판 수평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구이판 수평조절장치는 테이블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조작가능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케이스의 벽면에 있는 양쪽의 축 지지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과, 상기 축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케이스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선단에는 하단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이용 테이블은 테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 설치홀의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테이블 상면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세워져서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해주는 차단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구이판 미사용시 구이판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단으로 구이판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구이판 거치대는 테이블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거치블럭과, 상기 거치블럭에 수직 관통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거치바와, 상기 거치블럭의 수평 관통되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거치바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는 조절바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송풍기의 경우에는 테이블의 상면에서부터 저부에 걸쳐 설치되는 송풍기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 박스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가 설치되는 동시에 통풍구와 통하는 후면부에는 옆으로 밀고 당겨서 개폐하는 미닫이문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대는 케이스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세워지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숯 함 받침대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와 숯 함 받침대의 밑판, 그리고 지지봉의 하단부와 지지판은 서로 나사체결구조로 결합되어, 숯 함 받침대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이용 테이블에는 소비자들이 구이도 하면서 오락도 즐길 수 있는 게임기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게임기구는 테이블에 수납 및 인출가능한 구조로 설치하고, 전면에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선택영역이 표시되어 있는 회전식 원판 및 이 회전식 원판의 중심을 지지하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이용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적정한 바람과 소량의 숯, 그리고 숯 함의 위치와 경사도를 통해 돌판 또는 금속제나 주물 등의 구이판을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구이를 할 수 있으므로, 고기 등을 빠르고 편리하게 구울 수 있다.
둘째, 숯불이 있는 숯 함과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거의 밀착된 상태에서 열을 전도하고, 또 송풍기를 이용하여 숯불을 활성화함으로써, 구이판의 적정온도가 오랜시간 지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숯을 자주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상당한 연료비(숯 비용)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전기나 가스 배관시설이 없으므로, 테이블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으며, 테이블 구조 단순화는 물론, 업소의 전체적인 구조적 환경을 깔끔하게 조성할 수 있고, 소비자들의 거동시 불편을 주지 않는다.
넷째, 테이블의 일측에 게임기구를 구비함으로써, 흥미와 즐거운 분위기에서 고기 등을 시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에서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이용 테이블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이판의 경사각에 맞춰 이와 나란하게 숯 함을 설치한 구조로서, 숯불이 구이판의 전체 면적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구이판의 적정온도를 오래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4개의 다리(12)를 이용하여 적당한 높이로 놓여지는 테이블(13)이 마련되고, 이때의 테이블(13)의 중앙에는 구이판 설치를 위한 구이판 설치홀(10)이 형성되며, 테이블(13)의 중앙영역 저부로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대략 사각의 케이스(11)가 설치된다.
이러한 테이블(13)의 케이스(11)에는 그 내측 상단 위치에, 예를 들면 구이판 설치홀(10)의 앞쪽과 뒷쪽 가장자리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상단 거치대(14)와 하단 거치대(15)가 각각 설치되며, 이때의 상단 거치대(14)와 하단 거치대(15)는 서로 간에 높이차를 갖게 되고, 결국 상단 거치대(14)와 하단 거치대(15)에 의해 받쳐지는 구이판(16)은 한 쪽으로 기울어진 경사진 자세로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앞쪽의 상단 거치대(14)에 비해 뒷쪽의 하단 거치대(15)가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고, 이에 따라 여기에 놓여지는 구이판(16)은 앞쪽은 높고 뒷쪽이 낮은 경사진 자세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때의 하단 거치대(15)는 케이스측에 고정되어 있는 상단 거치대(14)와는 달리 후술하는 수평조절장치(24)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구이시 나오는 기름을 한 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름 유도체(31)가 구비되고, 이때의 기름 유도체(31)는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길다란 바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 한 쪽 벽면, 구이판(16)의 뒷쪽과 접하는 위치의 벽면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구이판(16)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은 케이스 밖에 있는 기름받이(미도시)쪽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구이판 뒷쪽과 접하는 위치의 케이스 벽면에는 구이판 정지판(32)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구이판 정지판(32)에 구이판 뒷쪽 단부가 붙게 되므로서, 그 사이에 틈새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이 틈새를 통해 기름 유도체(31)측으로 기름이 흘러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의 둘레에는 열이 소비자가 있는 곳으로 전해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열차단판(36)이 설치되는데, 이때의 열차다판(36)은 테이블(13)의 저면에 고정되는 대략 사각의 박스형 구조물로서, 케이스(11) 및 후술하는 송풍기(23), 그리고 후술하는 게임기구(30)가 속하는 영역들을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열이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13)에는 구이시 기름이 튀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차단판(25)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판(25)은 절곡단면을 가지는 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이블(13)에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 설치홀(10)의 4면 가장자리를 따라 걸쳐지면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판(25)은 테이블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예를 들면 약 30mm 이상의 높이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이시 밖으로 튀는 기름을 약 90% 이상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숯불을 피우기 위한 수단으로 숯을 담는 숯 함(21)과 이 숯 함(21)을 지지하는 숯 함 받침대(18)가 마련된다.
특히, 상기 숯 함(21)은 경사진 자세로 놓여지는 구이판(16)의 저부에서 이때의 구이판(16)과 서로 동일한 경사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서, 구이판 전체 면적에 걸쳐 숯불의 열이 균일하게 골고루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숯 함 받침대(18)는 상부와 한 쪽 벽체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특히 양쪽의 벽체, 즉 좌측 벽체(19)와 우측 벽체(20)는 그 상단부가 앞쪽에서 뒷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렇게 높이차를 갖는 좌우측 벽체(19,20)에 숯 함(21)의 양쪽이 걸쳐지는 형태로 놓여지게 되므로서, 결국 숯 함(21)은 구이판(16)과 나란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숯 함 받침대(18)에 있는 좌우측 벽체(19,20)의 상단부 경사각은 구이판(16)의 경사각을 고려하여, 즉 구이판(16)의 경사각에 맞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숯 함 받침대(18)의 내부 바닥부근에는 숯 함(21)에서 떨어지는 재를 받을 수 있는 판형의 재받이(33)가 설치되며, 이때의 재받이(33)는 숯 함 받침대(18)의 앞쪽을 통해 빼내어 재를 턴 후에 다시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숯 함 받침대(18)의 좌우측 벽체(19,20)에는 다수의 타공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타공홀(34)은 송풍기측으로 환원되는 열기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숯 함 받침대(18)는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지지대(17)에 의해 지지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대(17)는 원판 형태의 지지판(17a)과 이 지지판(17a)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봉(17b), 예를 들면 3개 정도의 지지봉(17b)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지지봉(17b)의 양단부에는 나사부(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7b)의 상단부 나사부(35)는 숯 함 받침대(18)에 밑판에 나사결합되고, 하단부에 있는 나사부(35) 역시 지지판(17a)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봉(17b)을 돌리게 되면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숯 함 지지대(18)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고, 결국 그 위에 있는 숯 함(21)과 구이판(16) 간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7)의 원판 형태 지지판(17a)은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케이스(11)의 바닥에는 2개 정도의 핀 홀(40a)을 가지는 고정판(41)이 돌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고정판(41)의 한쪽면에는 케이스(11)의 바닥에 놓여지는 지지판(17a)이 밀착 배치되며, 대략 "ㄷ"자 모양의 핀(42)을 고정판(41)에 있는 핀 홀(40a)과 이에 접해 있는 지지판(17a)의 측면 홀(40b)에 동시에 끼움으로써 지지판(17a)을 포함하는 지지대(17)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핀(42)을 제거하면 지지대(17)를 떼어낼 수 있는 등 지지대(17)를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숯 함(21)은 숯을 담는 일종의 가열박스로서, 박스 양단의 절곡된 플랜지 부분을 이용하여 숯 함 지지대(18)의 경사진 좌우측 벽체에 얹혀지면서 구이판(16)과 나란하게 경사진 자세로 설치된다.
이러한 숯 함(21)은 4면의 벽체와 철망으로 된 바닥으로 이루어져 그 속에 다수 개의 숯을 가지런히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숯 함(21)의 바닥에는 2열의 숯 정렬봉(37)이 설치되어 있어서, 운반시 원통형 숯이 굴러다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고, 숯 간이 밀착됨에 따라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불이 붙은 숯을 숯 함(21)에 넣고 숯 함 지지대(18) 위에 거치하게 되면 숯 함(21)과 구이판(16)이 서로 한 쪽으로 경사지게 나란히 배치되고, 결국 숯불과 구이판(16)의 저면 간의 거리가 균일해지면서 구이판 전체 면적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숯불의 화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숯 함(21)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어주는 수단으로 송풍기(23)가 마련된다.
상기 송풍기(23)는 일종의 팬으로서, 테이블(13)의 저면부 일측, 예를 들면 케이스(11)의 앞쪽에 설치되는 송풍기 박스(27)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그 토출측을 케이스(11)가 있는 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 박스(27)는 테이블(13)의 상면에서부터 그 저부로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 박스(27)의 후면부에는 덕트구조물 형태의 통풍구(22)가 연결 설치되고, 이때의 통풍구(22)는 뒷쪽으로 연장되면서 케이스(11)의 내부까지 이어져 송풍기(23)로부터 나오는 바람을 케이스 내부의 숯 함(21) 아래쪽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풍구(22)는 케이스(11)의 안쪽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풍구 받침대(39)에 놓여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송풍기 박스(27)의 전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 박스(27)의 상부에는 힌지구조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8)가 구비되며, 이때의 덮개(28)를 열고 송풍기(23)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송풍기 박스(27)의 후면부에는 통풍구(22)의 바로 앞단에 위치되는 판 형태의 미닫이문(29)이 수직 설치되고, 이때의 미닫이문(29)을 옆으로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송풍기 박스(27)의 내부와 통풍구(22) 사이를 차단 또는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닫이문(29)을 옆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테이블측에서는 홈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 부분 또한 테이블 상면 위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경사진 자세로 사용하고 있던 구이판(16)을 필요시 수평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수평조절장치(24)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조절장치(24)는 조작수단인 레버(24a), 회전중심축 역할을 하는 축(24d), 하단 거치대(15)가 장착되어 있는 로드(24b)를 포함하며, 높이가 낮은 구이판 뒷쪽을 들어 올려서 구이판이 전체적으로 수평상태가 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테이블 저면측 등에는 양쪽 2개의 축 지지대(24c)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축 지지대(24c)에는 축(24d)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축(24d)의 한쪽 끝에는 레버(24a)의 하단이 결합되어 레버 조작으로 축(24d)이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축(24d)의 양단부에서 안쪽으로 들어와 있는 위치에는 한 쌍의 로드(24b)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24b)는 곡선형상으로 휘어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각 로드(24b)의 끝에는 구이판(16)을 받쳐주는 하단 거치대(15)가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하단 거치대(15)는 로드측에서 연장되는 핀상에 조립되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구이판 저면과의 접촉시 회전하면서 구이판과의 양호한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레버(24a)의 경우에는 길이 하단 부분이 한쪽 옆으로 젖힐 수 있는, 즉 한쪽으로 꺽을 수 잇는 힌지부(24e)로 이루어져, 한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옆으로 꺽어놓으면 레버(24a), 축(24d) 및 로드(24b)를 포함하는 하단 거치대(15) 전체를 고정시켜놓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구이시) 테이블(13)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ㄴ"자 모양의 레버홈(38)의 앞쪽에 레버(24a)를 위치시켜 놓게 되면, 하단 거치대(15)는 정상적으로 상단 거치대(14)보다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레버(24a)를 레버홈(38)의 뒷쪽으로 당긴 후에 옆으로 꺽어서 걸어놓으면, 이와 동시에 로드(24b)가 회동되면서 그 단부가 위로 올라가게 되고, 따라서 로드(24b)의 단부에 있는 하단 거치대(15)가 상단 거치대(14)와 같은 높이로 올라가게 되므로서, 결국 구이판(16)은 수평상태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이판(16)을 수평 자세로 만들어 놓으면, 구이 후에 구이판(16)상에서 밥이나 야채를 놓고 비빔 등을 할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숯 함을 집어넣을 때나 꺼낼 때, 또는 케이스 내부 청소시 등과 같이 구이판(16)을 들어내야 하는 경우, 이때의 구이판(16)을 테이블 한 쪽 옆에 임시 거치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이판 거치대(26)가 마련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대(26)는 구이판(16)을 받칠 수 있는 거치바(26b), 이 거치바(26b)의 아래쪽을 걸 수 있는 조절바(26c) 및 거치바(26b)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거치블럭(26a)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테이블(13)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수직홀 및 수평홀을 가지는 거치블럭(26a)이 설치되고, 사각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 거치바(26b)는 거치블럭(26a)의 수직홀을 통해 수직으로 끼워져 위아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절바(26c)는 거치블럭(26a)의 수평홀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빼내거나 끼울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 거치블럭(26a)에 끼워져 있는 조절바(26c)를 뒷쪽으로 완전히 밀어넣어 위치시키게 되면, 거치바(26b)가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게 되고, 상기 거치바(26b)를 위로 올린 다음에 조절바(26c)를 앞쪽으로 빼내서 거치바(26b)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면, 거치바(26b)가 테이블 윗쪽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이때의 거치바(26b)와 테이블(13)에 있는 차단틀(25) 사이에 구이판(16)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이판 거치대(26)를 사용하여 구이판(16)을 테이블상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되므로, 구이판을 테이블 밖으로 들어내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구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이 오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게임기구(30)를 제공한다.
상기 게임기구(30)는 테이블(13)의 일측에 고정식 구조 또는 수납 및 인출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선택영역이 표시되어 있는 회전식 원판(30a)과, 상기 회전식 원판(30a)의 중심을 지지하는 포스트(30b)로 구성되며, 사용시에만 테이블(13)의 윗쪽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구이시에는 테이블(13)의 저부로 수납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게임기구(30)의 회전식 원판(30a)의 전면에는 운수대통, 안주, 술, 몽땅, 술 값 등으로 구분되는 영역이 표시되고, 회전식 원판(30a)을 돌려서 소정의 마크에 해당 영역이 멈추어 선택되면, 당사자게 해당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사항을 담당하는 등의 오락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게임기구(30)는 하루의 피로를 술한잔 나누면서 유쾌, 상쾌, 통쾌한 게임을 즐기면서 풀고, 술값, 안주값, 교통지 등 1인 몽땅 계산이 아닌 나눔계산으로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이용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을 피운 숯이 들어 있는 숯 함(21)을 케이스(11)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위에 상단 거치대(14)와 하단 거치대(15)를 이용하여 구이판(16) 역시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한 구이판(16)과 숯 함(21)은 동일한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위치되므로, 구이판(16)의 전체 면적에 걸쳐 숯불이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구이에 적합한 적정온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구이판(16) 위에 올려놓은 고기 등을 잦은 숯불의 교체없이도 오랫동안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이 후에 구이판(16)에서 밥 등을 볶는 경우, 수평조절장치(24)를 조작하여 기울어져 있던 구이판(16)을 수평상태로 반듯하게 놓을 있기 때문에 밥 등을 볶을 때에도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초기 구이시 한 쪽의 송풍기(23)를 ON시키면, 송풍기 바람은 통풍구(22)를 통해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숯이 들어 있는 숯 함(21)의 저부로부터 그 윗쪽으로 흐르게 되므로, 숯불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등 구이판(16)의 온도를 적정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숯 함을 구이판과 나란히 경사지게 배치하고 송풍기 바람으로 숯불을 활성화시켜줌으로써, 숯불은 전체적으로 구이판과 거의 밀착된 상태에서 열을 전도하므로, 구이판의 온도가 극대화되어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소량의 숯을 새로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상당한 숯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구이판 설치홀 11 : 케이스
12 : 다리 13 : 테이블
14 : 상단 거치대 15 : 하단 거치대
16 : 구이판 17 : 지지대
18 : 숯 함 받침대 19 : 좌측 벽체
20 : 우측 벽체 21 : 숯 함
22 : 통풍구 23 : 송풍기
24 : 수평조절장치 25 : 차단틀
26 : 구이판 거치대 27 : 송풍기 박스
28 : 덮개 29 : 미닫이문
30 : 게임기구 31 : 기름 유도체
32 : 구이판 정지판 33 : 재받이
34 : 타공홀 35 : 나사부
36 : 열차단판 37 : 숯정렬봉
38 : 레버홈 39 : 통풍구 받침대
40a,40b : 핀 홀 41 : 고정판
42 : 핀

Claims (7)

  1. 중앙의 구이판 설치홀(10) 및 그 저부의 케이스(11)를 가지면서 적어도 4개의 다리(12)를 이용하여 일정높이로 놓여지는 테이블(13);
    상기 테이블(13)의 구이판 설치홀(10)에 배치되는 상단 거치대(14) 및 하단 거치대(15)에 의해 한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이판(16);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지지대(17)에 의해 받쳐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숯 함 받침대(18) 및 상기 숯 함 받침대(18)의 경사진 상단을 갖는 좌측 벽체(19)와 우측 벽체(20) 사이에 걸쳐지면서 구이판(16)과 나란하게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는 숯 함(21);
    상기 테이블(13)의 저면부 일측에 설치되고 통풍구(22)에 의해 숯 함 받침대(18)의 내부와 통하면서 숯 함 받침대(18)에 있는 숯 함(21)측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송풍기(23);
    를 포함하며, 서로 동일한 경사각으로 나란한 구이판 및 숯 함의 배치 구조와 송풍기를 이용한 송풍방식으로 숯 함의 숯불을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구이판 전체적으로 열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 거치대(15)의 자세를 경사진 자세 또는 수평 자세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테이블(13)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조작가능한 레버(24a)와, 상기 레버(24a)의 하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케이스(11)의 벽면에 있는 양쪽의 축 지지대(24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24d)과, 상기 축(24d)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케이스(11)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선단에는 하단 거치대(15)가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24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버의 당김조작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로드상의 하단 거치대를 이용하여 구이판을 수평상태로 놓을 수 있는 구이판 수평조절장치(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3)에 형성되어 있는 구이판 설치홀(10)의 가장자리에는 테이블 상면에서부터 일정높이로 세워져서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해주는 차단틀(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이판 미사용시 구이판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단으로 구이판 거치대(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이판 거치대(26)는 테이블(1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거치블럭(26a)과, 상기 거치블럭(26a)에 수직 관통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거치바(26b)와, 상기 거치블럭(26a)의 수평 관통되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거치바(26b)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는 조절바(26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23)는 테이블(13)의 상면에서부터 저부에 걸쳐 설치되는 송풍기 박스(27)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 박스(27)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28)가 설치되는 동시에 통풍구(22)와 통하는 후면부에는 옆으로 밀고 당겨서 개폐하는 미닫이문(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7)는 케이스(11)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판(17a)과, 상기 지지판(17a)의 상면에 세워지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숯 함 받침대(18)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봉(17b)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봉(17b)의 상단부와 숯 함 받침대(18)의 밑판, 그리고 지지봉(17b)의 하단부와 지지판(17a)은 서로 나사체결구조로 결합되어, 숯 함 받침대(1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3)에 수납 및 인출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전면에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선택영역이 표시되어 있는 회전식 원판(30a) 및 이 회전식 원판(30a)의 중심을 지지하는 포스트(30b)로 구성되어, 소비자들이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테이블.
KR1020120077078A 2012-07-16 2012-07-16 구이용 테이블 KR20140010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78A KR20140010236A (ko) 2012-07-16 2012-07-16 구이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78A KR20140010236A (ko) 2012-07-16 2012-07-16 구이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36A true KR20140010236A (ko) 2014-01-24

Family

ID=5014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078A KR20140010236A (ko) 2012-07-16 2012-07-16 구이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2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746A (zh) * 2014-09-05 2014-12-03 胡家晨 一种环保型餐车
CN105534044A (zh) * 2016-01-29 2016-05-04 白雪峰 一种自动木炭烧烤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746A (zh) * 2014-09-05 2014-12-03 胡家晨 一种环保型餐车
CN105534044A (zh) * 2016-01-29 2016-05-04 白雪峰 一种自动木炭烧烤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607B2 (en) Outdoor grill, oven and fire pit unit
EP3397896B1 (en) Cooking apparatus
CN106211752B (zh) 带有保温柜的烧烤装置
US6913011B1 (en) Tapered grill, smoker and fireplace device
US10595540B1 (en) Barbecue oven having circulation control
US118796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ssembly that is convertible between a fire pit, grill, griddle, smoker, and/or table
EP2850981B1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US20150245740A1 (en) Cooking apparatus
US2806463A (en) Barbecue grill and oven
KR101379180B1 (ko) 스마트 구이기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387043Y1 (ko) 훈제 그릴장치를 구비한 숯불 그릴장치
KR20140010236A (ko) 구이용 테이블
ES2339056T3 (es) Barbacoa con quemador vertical.
KR20110003624U (ko) 친환경 열원을 이용하는 스탠드형 구이기
CH631537A5 (fr) Four domestique a gaz a deux enceintes de cuisson.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US10667650B2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58944A (ko) 숯불향 구이돌판 받침대
US20150351586A1 (en) Outdoor Barbecue Grill
EP0132475A1 (fr) Armoires et chariots chauffants à usage des collectivités et du public
US20140069411A1 (en) Barbecue grill cabinet
US6789462B1 (en) Barbecue and smoker apparatus
KR20130068339A (ko) 구이기
KR20100013395A (ko) 휴대 가능한 그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