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225A -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225A
KR20140010225A KR1020120077040A KR20120077040A KR20140010225A KR 20140010225 A KR20140010225 A KR 20140010225A KR 1020120077040 A KR1020120077040 A KR 1020120077040A KR 20120077040 A KR20120077040 A KR 20120077040A KR 20140010225 A KR20140010225 A KR 2014001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vel gear
grain
vertic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문주
Original Assignee
탁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문주 filed Critical 탁문주
Priority to KR102012007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225A/ko
Publication of KR2014001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3으로 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베어링캡으로 취부하도록 구성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곡물을 이송 부하 없이 빠르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5로 하되, 이를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은 베어링캡으로 취부되고, 수평 안내관과 수직 연장관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는 커버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Gear assembly for grain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곡물을 이송 부하 없이 빠르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5로 하되, 이를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은 베어링캡으로 취부되고, 수평 안내관과 수직 연장관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는 커버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 등에는 탈곡한 곡물을 이송시키는 곡물 저장부에는 하부에 곡물을 측면으로 밀어내는 스크루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의 선단에는 곡물의 배출방향을 조정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곡물 저장부로 이송된 곡물은 스크루와 배출구를 통하여 건조기로 투입된다.
상기 곡물 저장부에서 건조기 또는 보관창고로 곡물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출구로 배출된 곡물을 건조기 또는 보관창고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곡물 이송기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곡물 이송기는 종류에 따라서 곡물 저장부의 배출구 높이보다 투입구의 높이가 높아 곡물 저장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곡물을 그대로 곡물 이송기의 투입구로 투입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곡물 저장부에서 배출된 곡물을 일정 높이로 올려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곡물 이송기는 곡물을 수평 상태로 이동시킨 후 이를 다시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 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와, 수평 이송 헬릭스와 수직 이송 헬릭스를 연결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는 수평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와, 수직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어 수평 베벨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곡물 이송기의 기어 조립체는 수평 베벨기어와 수직 베벨기어의 기어비가 1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곡물량만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송되는 곡물이 파손되거나 이송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629호에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를 연결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20)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50)와, 상기 수직 이송 헬릭스(30)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50)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6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베벨기어(50)와 상기 수직 베벨기어(60)의 기어비는 1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를 선출원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직 베벨기어를 기준으로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가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외경이 커지므로 내경을 만족시키는 깊은 홈의 베어링 규격이 없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의 수평 안내관과 수직 이송 헬릭스의 수직 연장관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은 곡선처리된 폐쇄 구조로 수평 베벨기어와 수직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달리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를 교체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62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곡물을 이송 부하 없이 빠르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5로 하되, 이를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은 베어링캡으로 취부되고, 수평 안내관과 수직 연장관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는 커버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는,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3으로 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베어링캡으로 취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는,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5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조립이 가능토록 수평 안내관과 수직 연장관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 커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곡물을 이송 부하 없이 빠르게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 베벨기어와 수평 베벨기어의 기어비를 1:1.2~1.5로 하되, 이를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은 베어링캡으로 취부되고, 수평 안내관과 수직 연장관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는 커버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 베벨기어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곡물 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 본 발명 곡물 이송기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101)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110)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101)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102)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120)와 수평 베벨기어(110)의 기어비를 1:1.2~1.3으로 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의 축(111)에 결합되는 베어링(112)을 베어링캡(113)으로 취부(取付)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10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곡물을 이송 부하 없이 빠르게 수직 이송 헬릭스(10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 베벨기어(120)와 수평 베벨기어(110)의 기어비는 1:1.2~1.3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기어비를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의 외경이 커지므로 내경을 만족시키기 위한 깊은 홈 베어링(112)이 없기 때문에 베어링캡(113)을 사용하여 상기 베어링(112)을 취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는,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101)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110)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101)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102)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120)와 수평 베벨기어(110)의 기어비를 1:1.2~1.5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의 조립이 가능토록 수평 안내관(101a)과 수직 연장관(102a)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 커버(13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곡물의 종류에 따라 이송 부하 없이 곡물을 빠르게 이송하기 위해 상기 수직 베벨기어(120)와 수평 베벨기어(110)의 기어비는 1:1.2~1.5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기어비의 변경을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수평 안내관(101a)과 수직 연장관(102a)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 커버(130)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커버(130)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해 커버(130)의 상·하단부에 체결수단(131)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수평 이송 헬릭스 101a: 수평 안내관
102: 수직 이송 헬릭스 102a: 수직 연장관
110: 수평 베벨기어 111: 축
112: 베어링 113: 베어링캡
120: 수직 베벨기어 130: 커버

Claims (2)

  1.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101)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110)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101)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102)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120)와 수평 베벨기어(110)의 기어비를 1:1.2~1.3으로 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의 축(111)에 결합되는 베어링(112)을 베어링캡(113)으로 취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2.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 헬릭스(101)에 결합되는 수평 베벨기어(110)와, 상기 수평 이송 헬릭스(101)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송 헬릭스(102)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와 맞물림 결합하는 수직 베벨기어(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베벨기어(120)와 수평 베벨기어(110)의 기어비를 1:1.2~1.5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수평 베벨기어(110)의 조립이 가능토록 수평 안내관(101a)과 수직 연장관(102a)이 만나는 모서리 외측에 커버(13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KR1020120077040A 2012-07-16 2012-07-16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KR20140010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40A KR20140010225A (ko) 2012-07-16 2012-07-16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40A KR20140010225A (ko) 2012-07-16 2012-07-16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25A true KR20140010225A (ko) 2014-01-24

Family

ID=5014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040A KR20140010225A (ko) 2012-07-16 2012-07-16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2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647A (zh) * 2020-07-02 2020-10-09 合肥麦稻之星机械有限公司 一种谷物烘干除杂一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647A (zh) * 2020-07-02 2020-10-09 合肥麦稻之星机械有限公司 一种谷物烘干除杂一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4004B (zh) 包括由桥轨连接的两条螺旋轨的输送机
CN103787013B (zh) 片材自动上下料匣
WO2007123962A3 (en) Transport system including vertical rollers
RU2514983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емкостей
JP5547320B1 (ja) 搬送装置
KR20140010225A (ko)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CN206813888U (zh) 一种便于调节的输送装置固定架
JP5959455B2 (ja) フローコンベヤ
KR102108468B1 (ko) 복합물 이송용 컨베이어
CN103332414A (zh) 一种炉前料仓拨料装置
KR20110001285A (ko) 곡물이송기
KR101191366B1 (ko)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CN208882562U (zh) 一种秸秆类制浆原料输送机用储存输送料仓
JP2015033347A (ja) 製茶用搬送装置
FI122826B (fi) Laite ja menetelmä vierivän aineksen siirtämiseksi
CN209382394U (zh) 气球包装机的输送装置
KR20100108629A (ko) 곡물 이송기용 기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기
CN105083961A (zh) 皮带输送机搭接输料装置
CN204777269U (zh) 一种用于食品机械的螺旋供料装置
CN204124738U (zh) 新型气垫机尾部进料箱
KR100916599B1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JP5502381B2 (ja) ガイド装置および搬送装置
CN202175219U (zh) 一种多列粉末加料机构
CN204137775U (zh) 一种u形螺旋输送机连接轴支撑结构
CN209973476U (zh) 一种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