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491A -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491A
KR20140009491A KR1020137030182A KR20137030182A KR20140009491A KR 20140009491 A KR20140009491 A KR 20140009491A KR 1020137030182 A KR1020137030182 A KR 1020137030182A KR 20137030182 A KR20137030182 A KR 20137030182A KR 20140009491 A KR20140009491 A KR 20140009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ystem
voltage
switching member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185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클링키그
라이너 플라이쉐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0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62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 F02N11/0866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comprising several power sources, e.g. battery and capacitor or two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02J1/082Plural DC voltage, e.g. DC supply voltage with at least two different DC voltage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제어 유닛(9)에 의해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트/스탑 명령(S-S-B)이 감지 또는 검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타트/스탑 명령(S-S-B)의 감지 또는 검출 시 스위칭 부재(4)는 제1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며, 스위칭 부재(4)에 연결되는 DC/DC-출력부의 전압은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명령(S2)에 따라서 증가하고, 측정 유닛은 스위칭 부재(4) 상의 전압 상태를 감지 및 평가하고, 이 경우 평가에 의존해서 스타트/스탑 명령이 제어 유닛(9)에 의한 제어 명령(S3)에 따라서 실행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에 공회전 시 CO2-배출의 문제로 인해 스타트/스탑 기능을 장착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스타트/스탑 기능에서 예를 들어 신호등에서의 자동차의 정지 시, 연료를 절약하고 CO2-배출을 줄이기 위해, 엔진은 작동 중단된다. 계속해서 주행을 위해 엔진은 스타터에 의해 다시 시동된다. 엔진의 작동을 위해 스타터는 800 A까지 전류를 인출하기 때문에, 자동차 배터리의 내부 저항에서 전압이 6V까지 강하한다. 즉, 전기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단자 전압은 단기간에 12V - 6V = 6V로 강하한다. 신호등에서의 스타트/스탑 기능 외에도 주행 중인 자동차에서도 비사용 시 엔진을 작동 중단할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엔진 중단 프리 러닝(free-running)", "주행 중 스타트/스탑"). 어떠한 경우에도 자동차의 재시동은 보장되어야 한다.
DE 10 2008 054 885 A1호에는 부하가 접속될 수 있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에너지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스타터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에너지 저장 장치, 발전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기 및,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와 발전기 사이에 배치되고 자동차의 작동 시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발전기를 향한 방향으로만 전류 흐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칭 부재를 포함한다. 스위칭 부재는 다른 스위칭 상태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칭 상태에서 스위칭 부재는 도체와 같은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특히 MOSFET이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낮은 게이트 전압과 최소 지연 시간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가능한 스위칭 부재에 의한 전류 흐름의 변동 또는 전기 시스템 내에서 급격한 전압 변동에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병렬 접속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들은, 진성(intrinsic)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들의 전도 방향이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발전기로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가 차단되는 경우에, 발전기로부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로 전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한편으로 트랜지스터의 차단 시에도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전기 시스템으로 흐르는 전류의 일부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진성 다이오드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부하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는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칭 부재가 한편으로는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발전기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충전 회로가 제공되고, 이 경우 상기 충전 회로는, 자동차의 작동시, 제1 에너지 저장 장치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압(UE2)보다 크거나 같고 발전기의 전압보다 작은 전압(UE1)으로 충전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바람직하게 이중층 커패시터로서 형성되고,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로서 형성된다.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는 웜 스타트(warm start)를 위해 스타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및/또는 부하에 의한 전압 변동을 완화하고, 이 경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는 콜드 스타트시 스타터를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방식의 자동차 전기 시스템을 스타트/스탑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6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이를 위해 자동차 전기 시스템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터와 제1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발전기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스위칭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칭 상태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류 흐름이 가능하거나 또는 양쪽 방향으로 전류 흐름이 중단되고,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연결된다. 스위칭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하는 제1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는 DC/DC 컨버터를 통해 발전기에 연결된다.
제어 유닛에 의해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트/스탑 명령이 감지 또는 검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타트/스탑 명령의 감지 또는 검출 시 스위칭 부재는 제1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고, 또는 제1 스위칭 상태로 전환을 위한 제어 명령이 형성된다. 제어 유닛(경우에 따라서 제2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스위칭 부재에 연결되는 DC/DC 컨버터 출력부의 전압은 증가하고, 이 경우 측정 유닛은 스위칭 부재 상의 전압 상태를 감지 및 평가하고, 이 경우 평가에 의존해서 스타트/스탑 명령이 제어 유닛(경우에 따라서 제3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실행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로써 간단한 수단에 의해, 내연기관의 재시동이 보장되는 경우에만 스타트/스탑 명령이 실행되고 및/또는 나머지 자동차 전기 시스템에 대한 반응은 특히 제2 영역에서 미미한 것이 보장된다. 상기 반응은 본 발명에 따라 스위칭 부재의 제1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저지된다. 높은 스타터 전류로 인해 스타터 배터리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압 강하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 제2 영역 내의 전압 강하를 야기할 수도 있다. DC/DC 컨버터의 출력부에서 전압의 상승으로 인해 두 가지가 달성된다. 한편으로는 제2 영역이 더 안정화되는데, 그 이유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스타터 배터리의 평활 작용이 생략되기 때문이고, 이는 전압의 더 높은 리플(ripple)을 야기할 수 있다. DC/DC 컨버터의 출력부의 전압의 예비적 상승에 의해 전압 강하가 보상된다. 다른 한편으로 일시적 상승으로 인해, 적절한 작동 시 스위칭 부재 상의 전압 차가 감소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그 이유는 DC/DC 컨버터의 출력부의 전압이 스타터 배터리의 공칭 전압보다 크기 때문이다.
스위칭 부재 상의 전압 상태에 따라, 한편으로는 스위칭 부재가 제1 스위칭 상태인지 그리고 스타터 배터리가 내연기관을 다시 시동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재시동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스타트/스탑 명령의 실행은 중단된다.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또는 모든 제어 유닛들(제1, 제2 및 제3 제어 유닛)은 하나의 공통 제어 유닛에 통합된다. 또한, 측정 유닛은 제어 유닛들 중 하나의 제어 유닛에 또는 공통 제어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스타트/스탑 명령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하나의 제어 유닛에 의해 또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다른 하나의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위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의해 또는 엔진 제어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 부재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 전력 릴레이 또는 병렬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력 릴레이로서 형성된다. 전력 반도체 스위치는 이 경우 예를 들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진성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MOSFET 또는 IGBT로서 형성된다. 다이오드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정류된 전류 흐름을 야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 유닛에 의해 전압 및/또는 전압 구배가 검출 및 평가된다. 이 경우 공칭 전압은 한편으로는 제1 스위칭 상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기준인데, 그 이유는 전압차가 나타나는 경우에, 이는 접속(제2 스위칭 상태)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전압차가 더 큰 경우에 스타터 배터리 내부의 또는 스타터 배터리의 공급 라인 내부의 단속이 추측될 수 있다. 구배에 의해 예를 들어 스타터 배터리의 내부 전지 단락 또는 극단자 부식이 추측될 수 있다. 구배는 예를 들어 스타터 배터리에서 전위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타트/스탑 명령의 비실행은 신호화되어, 예컨대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므로, 자동차 운전자는 한 번 멈춘 자동차가 다시 시동될 수 없다는 것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타터 배터리의 결함 확인 및 스타트/스탑 명령의 비실행 시 스위칭 부재는 제1 스위칭 상태에서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에너지 저장 장치의 설정 - 또는 공칭 전압은 제1 에너지 저장 장치(스타터 배터리)의 설정- 또는 공칭 전압보다 크다.
제1 에너지 저장 장치는 예를 들어 납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너지 저장 장치는 예를 들어 이중층 커패시터 또는 리튬-이온 전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후자는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이다.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은 도시되지 않은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터(S)와 하기에서 스타터 배터리(2)라고도 하는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를 포함한다. 스타터(S)와 스타터 배터리(2)는 자동차(1)의 제1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은 발전기(G)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를 포함하고, 이들은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2 영역에 배치된다.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스위칭 부재(4)가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칭 상태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류 흐름이 가능하고,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연결된다. 스위칭 부재(4)는 도면에서 스위치(5) 및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6)에 의해 도시되고, 예를 들어 MOSFET로서 형성되며, 상기 MOSFET는 폐쇄된 스위치(5)처럼 도통되도록 작용하고, 다이오드(6)와 같은 진성 다이오드로 인해 차단된 상태에서 작용한다.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는 DC/DC 컨버터(7)를 통해 발전기(G) 또는 스위칭 부재(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의 공칭 전압은 스타터 배터리(2)의 공칭 전압보다 크다. 따라서 DC/DC 컨버터(7)는 발전기의 방향으로 다운 컨버터로서 작동하고,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의 방향으로는 업 컨버터로서 작동한다. 또한,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2 영역에 전기 부하(8)가 배치되고, 상기 부하는 예를 들어 광원, 제어장치, 전기 기계 스티어링 장치 및/또는 전기 기계 브레이크일 수 있다.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수의 전지들(3.1 내지 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지들은 일부는 병렬로 그리고 일부는 직렬로 접속되므로, 소정의 용량에서 공칭 전압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전기 시스템 제어장치에 통합되는, 제어 유닛(9) 및, 제2 스타터 배터리(2)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을 포함한다.
정상 작동 시 내연기관은 스타터(S)에 의해 먼저 시동된다. 이 경우 스위치(5)는 도시된 것처럼 개방된다. 작동 중인 내연기관은 특히 발전기(G)를 구동하고, 상기 발전기는 전기 시스템 부하(8)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또한, 업 컨버터로서 작동되는 DC/DC 컨버터(7)에 의해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가 충전된다. 시동 후에 폐쇄된 스위치(5)를 통해 발전기(G)는 스타터 배터리(2)도 충전한다.
주행 중에 스타트/스탑 과정이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작동 중단된 내연기관이 다시 시동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제어 유닛(9)이 스타트/스탑 명령(S-S-B)을 받거나 또는 상기 제어 유닛이 직접 스타트/스탑 명령을 검출하면, 제1 단계에서 제어 신호(S1)에 의해 스위치(5)가 개방된다. 제어 유닛(9)의 제2 제어 명령(S2)에 의해 DC/DC 컨버터(7)의 출력부의 전압이 증가한다. 제어 유닛(9)은 전위(KL30, KL30Z)를 서로 비교한다. DC/DC 컨버터(7)의 출력부의 전압이 상승했기 때문에, 스위치(5)의 개방 시 전압차(KL30-KL30Z = ΔU)가 설정되어야 하고, 이 경우 바람직한 경우에 ΔU은 DC/DC 컨버터(7)의 출력부의 전압 증가에 상응한다. 그와 달리 전압 강하가 0이면, 즉, 이것은 스위치(5)가 폐쇄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제어 신호(S1)가 교란되었거나 또는 스위칭 부재(4)에 결함이 있기 때문이다. 스위치(5)의 폐쇄 시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2 영역에 반응하지 않는 내연기관의 시동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어 유닛(9)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반응할 수 있다. 스타트/스탑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 신호(S3)가 생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 적절하게,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에 오류 또는 경고 메시지로서 신호화된다. 그러나 제한된 개수의 스타트/스탑 명령이 실행될 수도 있고, 즉 제한된 스타트/스탑 작동이 유지될 수 있다. 스타트/스탑 명령(S-S-B)은 스타트/스탑 요청 신호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제어 신호(S3)는 실제 스타트/스탑 명령(예 또는 아니오)을 나타낸다.
제어 유닛(9)의 평가가 전압차가 존재하는 것을 증명했다는 것이 전제되면, 스위치(5)는 개방된다. 그러면 제어 유닛(9)은 계속해서 전압차의 크기를 평가한다. 상기 전압차의 크기가 DC/DC 컨버터(7)의 출력부의 전압 상승보다 큰 경우에, 이는 전위(KL30Z)의 강하를 의미한다. 원인은 예를 들어 스타터 배터리(2) 내부의 또는 스타터 배터리(2)의 공급 라인 내부의 단속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타터 배터리(2)는 재시동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면, 제어 유닛(9)은 스타트/스탑 명령이 실행되지 않는 제어 신호(S3)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스위치(5)는 개방되어 유지되고, 따라서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2 영역에 대한 결함 있는 스타터 배터리(2)의 반응은 제외된다. 또한, 제어 유닛(9)은 전위(KL30Z)의 시간에 따른 구배도 평가한다. 제어 유닛(9)이 다시 스타터 배터리(2)의 공칭 전압으로 상승하는 전위(KL30Z)의 단기적 강하를 검출하는 경우에, 이는 스타터 배터리(2)(개별 배터리 전지들로 구성 시)의 내부의 전지 단락 또는 극단자 부식의 근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스타트/스탑 명령은 실행되지 않거나 또는 제한적으로만 실행된다. 스위치(5)는 마찬가지로 개방되어 유지될 수 있다.
그와 달리, 스타터 배터리(2)에 결함이 없다는 것, 즉 KL30 - KL30Z ≤ ΔU라는 평가가 이루어진 경우에, 제어 유닛(9)은 스타트/스탑 명령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S3)를 생성하고 내연기관은 작동 중단된다.
배터리 관리 모듈(10)은 스타터 배터리(2)의 충전 및 방전 전류를 검출한다. 그로부터 배터리 관리 모듈(10)은 예를 들어 스타터 배터리(2)의 내부 저항 및/또는 스타터 배터리(2)의 충전 상태(SOC-state of charge) 및/또는 노화 상태(SOH-state of health)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내부 저항의 변동으로 인해 내부 전지 단락 또는 유사한 결함이 추측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모듈(10)은 제어 유닛(9)에 제어 신호(S4)를 전달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모듈에서 스타터 배터리(2)의 개별 또는 모든 파라미터들이 고려된다. 제어 유닛(9)은 스타트/스탑 명령의 실행 여부의 결정 시, 내부 저항이 임계값보다 크면, 제어 신호(S4)의 정보를 고려하고 예컨대 상기 명령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오드(6)의 기능이 방법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DC/DC 컨버터(7) 및/또는 제2 저장 에너지 저장 장치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다이오드(6)는 부하(8)에 에너지 공급을 보장한다.

Claims (10)

  1. 자동차 전기 시스템(1)으로서,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터(S)와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 및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발전기(G)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스위칭 부재(4)가 배치되며, 상기 스위칭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칭 상태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류 흐름이 가능하거나 또는 양쪽 방향으로 전류 흐름이 중단되고,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부재(4)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하는 제1 제어 유닛(9)에 의해 제어 신호(S1)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는 DC/DC 컨버터(7)를 통해 상기 발전기(G)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9)에 의해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트/스탑 명령(S-S-B)이 감지 또는 검출될 수 있고, 스타트/스탑 명령(S-S-B)의 감지 또는 검출 시 상기 스위칭 부재(4)는 제1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4)에 연결되는 DC/DC 출력부의 전압은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명령(S2)에 따라서 증가하고, 이 경우 측정 유닛은 스위칭 부재(4) 상의 전압 상태를 검출 및 평가하고, 상기 평가에 의존해서 스타트/스탑 명령이 상기 제어 유닛(9)에 의한 제어 명령(S3)에 따라 실행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또는 모든 제어 유닛은 하나의 공통 제어 유닛(9)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4)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로서, 전력 릴레이로서 또는 병렬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력 릴레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전압 및/또는 전압 구배를 검출 및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의 설정 전압은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의 설정 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
  6.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은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터(S)와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 및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발전기(G)와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자동차 전기 시스템(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스위칭 부재(4)가 배치되며, 상기 스위칭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칭 상태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제1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만 전류 흐름이 가능하거나 또는 양쪽 방향으로 전류 흐름이 중단되고, 제2 스위칭 상태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이 경우 상기 스위칭 부재(4)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하는 제1 제어 유닛(9)에 의한 제어 신호(S1)에 따라서 제어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저장 장치(3)는 DC/DC 컨버터(7)를 통해 상기 발전기(G)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9)에 의해 내연기관을 위한 스타트/스탑 명령(S-S-B)이 감지 또는 검출될 수 있고, 스타트/스탑 명령(S-S-B)의 감지 또는 검출 시 상기 스위칭 부재(4)는 제1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4)에 연결되는 DC/DC 출력부의 전압은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명령(S2)에 따라서 증가하고, 이 경우 측정 유닛은 스위칭 부재(4) 상의 전압 상태를 검출 및 평가하고, 상기 평가에 의존해서 스타트/스탑 명령이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명령(S3)에 따라서 실행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상태를 참고하여 상기 스위칭 부재(4)가 제1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전압 및/또는 전압 구배를 검출 및 평가하고, 상기 전압을 참고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 내부의 또는 상기 제1 에너지 저장 장치(2)의 공급 라인 내부의 단속이 검출되고 및/또는 상기 전압 구배를 참고하여 내부의 전지 단락 및/또는 극단자 부식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타트/스탑 명령의 비실행이 신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배터리(2)의 결함의 확인 및 상기 스타트/스탑 명령의 비실행 시 상기 스위칭 부재(2)는 제1 작동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37030182A 2011-05-14 2012-04-30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486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1531.4A DE102011101531B4 (de) 2011-05-14 2011-05-14 Kraftfahrzeugbordnetz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bordnetzes
DE102011101531.4 2011-05-14
PCT/EP2012/001865 WO2012156028A1 (de) 2011-05-14 2012-04-30 Kraftfahrzeugbordnetz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bordnetz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491A true KR20140009491A (ko) 2014-01-22
KR101486185B1 KR101486185B1 (ko) 2015-01-23

Family

ID=4604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182A KR101486185B1 (ko) 2011-05-14 2012-04-30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41600B2 (ko)
EP (1) EP2710254B1 (ko)
JP (1) JP5693788B2 (ko)
KR (1) KR101486185B1 (ko)
DE (1) DE102011101531B4 (ko)
WO (1) WO2012156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582B2 (en) 2012-09-20 2015-1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ail operational power system with single energy storage
US9682672B2 (en) * 2013-09-18 2017-06-20 Flextronics Ap, Llc Device and method for current flow control for dual battery vehicle architecture
FR3011700B1 (fr) * 2013-10-03 2017-05-26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Systeme de regulation de tension
WO2015079522A1 (ja) * 2013-11-27 2015-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回路
FR3015571B1 (fr) * 2013-12-23 2018-11-23 Safran Helicopter Engines Procede et systeme de demarrage fiabilise de turbomachine
DE102015008881A1 (de) * 2015-07-09 2017-01-12 Daimler Ag Integration von Starterstromsteuerung und Bordnetztrennschalter
JP6551089B2 (ja) * 2015-09-11 2019-07-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電源装置
FR3043281B1 (fr) * 2015-10-30 2017-12-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trole actif pour un circuit electrique a convertisseur dc/dc et stockeur d’energie electrique montes en serie
JP2017166463A (ja) * 2016-03-18 2017-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DE102016225107A1 (de) * 2016-12-15 2018-06-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maschinen-anordnung
JP2019064449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制御システム
DE102020112074A1 (de) 2020-05-05 2021-11-11 Eberspächer Controls Landau Gmbh & Co. Kg Bordspannung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Bordspannungssystems
SE544760C2 (en) * 2021-03-18 2022-11-08 Scania Cv Ab A battery circuit with parallel battery systems and battery testing means, and a method, for a vehicle
SE544759C2 (en) * 2021-03-18 2022-11-08 Scania Cv Ab A battery circuit with parallel battery systems and battery testing means, and a method, for a vehicle
CN116707089A (zh) * 2023-06-25 2023-09-05 东莞市达锂电子有限公司 汽车启动电池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8643B1 (en) * 1991-07-18 2001-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automotive part
DE19628222A1 (de) * 1996-07-15 1998-01-2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Spannungsversorg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9645944A1 (de) * 1996-11-07 1998-05-14 Bosch Gmbh Robert Steuergerät für ein Bordnetz
JP3896258B2 (ja) * 2001-04-25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電源装置
JP3812459B2 (ja) * 2002-02-26 2006-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制御装置
US7236893B2 (en) 2002-06-11 2007-06-26 Daimlerchrysler Ag Arrangement for voltage supply to several users and controllers for a on-board network comprising at least two energy stores
JP3972906B2 (ja) * 2003-04-09 2007-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源システム
DE102004036042A1 (de) * 2004-07-24 2006-02-16 Robert Bosch Gmbh Bordnetz
JP2008072880A (ja) * 2006-09-15 2008-03-27 Toyota Motor Corp 電源システム
DE102007026164A1 (de) * 2007-06-04 2008-12-11 Ipgate Ag Elektrisches Versorg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20100181828A1 (en) * 2007-07-25 2010-07-2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ic power source device for vehicle
DE102008054706A1 (de) * 2008-12-16 2010-06-17 Robert Bosch Gmbh Energieversorgungsnetzwerk für ein Fahrzeug
DE102008054885B4 (de) 2008-12-18 2014-09-18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Energieversorgung eines Bordnetzes eines Fahrzeugs
EP2686195B1 (en) * 2011-03-16 2019-10-30 CPS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ultiple storag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18806A (ja) 2014-08-07
JP5693788B2 (ja) 2015-04-01
EP2710254A1 (de) 2014-03-26
US9441600B2 (en) 2016-09-13
DE102011101531A1 (de) 2012-11-15
DE102011101531B4 (de) 2015-09-24
WO2012156028A1 (de) 2012-11-22
KR101486185B1 (ko) 2015-01-23
EP2710254B1 (de) 2017-06-21
US20150084345A1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185B1 (ko)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10690724B2 (en) Power supply protective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 failure diagnosing method
EP1719240B1 (en) Voltage generator device, motor vehicle, control method for the voltage generator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motor vehic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KR101476946B1 (ko)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9515554B2 (en) Power supply that charges an electric storage by regenerative power generated by a generator and supplies power to a load
US10308119B2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US9855905B2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6215221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9856847B2 (en) Vehicle power source device
US9843184B2 (en) Voltage conversion apparatus
US9434256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voltage applied to a first electric consuming device arranged in an onboard power supply system of a vehicle
US20150352968A1 (en) Vehicle power source system
JPWO2012008124A1 (ja) 車両用電源装置
JP5104648B2 (ja) 車両の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155791A (ja) 車両用電源装置
US10787136B2 (en) Electric power system for controlling pre-charge of vehicle
JP2016077077A (ja) 電子制御装置
KR20130042149A (ko) 연료전지 차량의 전원시스템
US10611360B2 (en) Electric power source system
JP6617653B2 (ja) 電源装置
US20180073479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US11161420B2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JP202018056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4098354A (ja) 充放電制御回路、車両用電源装置及び故障判定方法
JP2017099257A (ja) 充放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